KR100712265B1 -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265B1
KR100712265B1 KR1020060095499A KR20060095499A KR100712265B1 KR 100712265 B1 KR100712265 B1 KR 100712265B1 KR 1020060095499 A KR1020060095499 A KR 1020060095499A KR 20060095499 A KR20060095499 A KR 20060095499A KR 100712265 B1 KR100712265 B1 KR 10071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main body
water
outlet
mesh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곤자
Original Assignee
김곤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2691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1226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곤자 filed Critical 김곤자
Priority to KR102006009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vehicle washing facil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함유 슬러지에 대한 이송속도와 탈수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새로운 구조에 의해 컴팩트한 사이즈를 가져 설치면적이 적게 소요되며, 안전하고 간편하게 작동가능하면서도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에 의하면, 본체가 경사지게 설치됨과 동시에 수분함유 슬러지가 이송되는 관체를 매쉬망으로 구현함으로써 아주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배출구에 밀접되어 있는 배출수단에 의해서 탈수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구조에 의해 컴팩트한 사이즈를 가져 설치면적이 적게 소요되며, 안전하고 간편하게 작동가능하면서도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탈수장치, 슬러지, 구동모터, 이송스크류, 매쉬망

Description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A dehydration apparatus of the sludge contain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작동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매쉬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매쉬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수단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발명의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110 : 본체
112 : 투입구 114 : 배출구
115 : 드레인 116 : 압축실
118a,118b,118c,118d : 파티션 120 : 매쉬망
122 : 플랜지 130 : 이송스크류
132 : 회전축 134 : 회전날개
136 : 솔 138 : 가이드바
140 : 배출수단 142 : 밀착판
144 : 조정구 145 : 볼트
146 : 지지판 147a : 결합관
147b : 삽입관 148 : 탄성부재
149 : 결합부재 150 : 구동모터
160 : 프레임부재 162 : 지지대
170 : 물분사관 180 : 이송수단
본 발명은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함유 슬러지에 대한 이송속도와 탈수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새로운 구조에 의해 컴팩트한 사이즈를 가져 설치면적이 적게 소요되며, 안전하고 간편하게 작동가능하면서도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Sludge)란, 사전적인 의미로써 진흙, 진창, 음식물 찌꺼기 등의 수분이 함유된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러지는 소정의 탈수과정을 거쳐 처리되어야 함수율만큼의 폐기물 처리비용이 절감되며, 직접 소각시에도 에너지 절감효과는 물론 대기 오염도 줄일 수 있다. 이는 비단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음식물 쓰레기의 슬러지를 포함한 각종 슬러지의 발생은 날로 증가하고 그로 인한 환경의 오염도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에 있으나,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폐기물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의 개선에는 아직 괄목할 만한 발전이 없다. 이로 인해 슬러지 탈수장치 또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것을 답습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구조에 의해 슬러지에 대한 탈수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분함유 슬러지에 대한 탈수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구조에 의해 컴팩트한 사이즈를 가져 설치면 적이 적게 소요되는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하고 간편하게 작동가능하면서도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상단에는 슬러지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면에는 수분이 배출되는 드레인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 내측에는 슬러지가 배출되기 전 저장/압축될 수 있는 압축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고정 설치되며, 투입구로 투입된 슬러지가 배출구 쪽으로 이송되도록 관로 역할을 하는 매쉬망; 상기 매쉬망 내부에 길이 방향대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 양단에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상에 형성되어 슬러지를 이송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본체의 배출구 외측면에서 배출구에 밀접되도록 위치되되 회전축 상에 설치되며, 배출구 내측에 형성된 압축실로 이송되어 압축된 슬러지를 소량씩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배출수단; 및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축 상에 끼움되어 본체의 배출구 외측면에 밀접되게 위치되는 밀착판; 상기 밀착판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축상에 끼움 설치되는 조정구; 상기 조정구의 외주면으로 끼움 부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밀착판과 지지판을 결합하되, 상기 밀착판에 부착되며 내부에 탄성부재를 개재하는 결합관과,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상기 결합관 내로 삽입되는 삽입관으로 구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어 본체를 지지하되, 상기 본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레임부재가 추가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날개 끝단부에는 투입된 슬러지를 보다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게 매쉬망에 밀접되는 솔이 부착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100)는 크게 본체(110), 매쉬망(120), 이송스크류(130), 배출수단(140) 및 구동모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 며, 일측 상단에는 투입구(11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배출구(1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14) 내측에는 압축실(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체(110)는 배출구(114) 쪽이 하향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110)는 하기 도 2 내지 도 4에서 더욱 상술하겠다.
상기 매쉬(Mesh)망(120)은 상기 본체(110) 내에 형성된 압축실(116)과 투입구(112)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투입구(112)와 압축실(116)을 연설하되, 투입된 슬러지가 이송되는 관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 매쉬망(120)이 가지는 구멍은 슬러지가 빠지지 못할 정도로 아주 미세하게 형성될 것이다.
한편, 상기 매쉬망(120)을 본체(110) 내부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여 본체(110) 내에 설치할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구조적으로 튼튼하지 못할 것이므로 비교적 길이가 짧은 매쉬망(120)을 다수 구비하여 본체(110) 내에 간헐적으로 구비된 파티션(118a)(118b)(118c)(118d)과 압축실(116)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하여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매쉬망(120) 또한 하기 도 5에서 더욱 상술하겠다.
상기 이송스크류(130)는 상기 매쉬망(120) 내부에 길이 방향대로 설치된다. 한편,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이송스크류(130)는 본체(110)의 양단에 지지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 상에 형성되어 슬러지를 이송하는 회전날개(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이송스크류와 동일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이송스크류(130)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회전날개(134)의 끝단부를 따라 솔(136)을 부착하였다. 즉, 투입된 슬러지를 보다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게 매쉬망(120)에 밀접되는 솔(136)을 부착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솔(136)이 매쉬망(120)의 내면에 밀접된 채 회전됨으로 슬러지의 이송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 질 것은 당연하고, 매쉬망(120)의 구멍 사이에 붙게 되는 슬러지를 떼어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솔(136)의 부착방법을 살펴보면, 유연성을 가지는 ㄷ자 형상의 가이드바(138)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솔(136)을 부착하며, 이 가이드바(138)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회전날개(134) 끝단부를 따라 부착하게 된다.(도 7참조)
상기 배출수단(140)은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4) 외측면에서 배출구(114)에 밀접되도록 위치되되, 회전축(132) 상에 고정 설치되어 같이 회전되며, 배출구(114) 내측에 형성된 압축실(116)로 이송된 슬러지를 압축할 수 있도록 배출구(114)를 막음함과 동시에 압축된 슬러지는 소량씩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써, 하기 도 6에서 더욱 상술하겠다.
상기 구동모터(150)는 상기 이송스크류(13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50)의 연결과 작동 방법은 통상적으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음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본체(11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부재(160)를 추가로 구비함을 알 수 있다. 즉, 본체(110)의 배출구(114) 하단부를 프레임부재(160) 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 투입구(112) 하단에는 승하강 작동되는 지지대(162)를 구비하여 본체(110)의 배출구(114) 쪽은 상시 하향되도록 고정하되, 투입구(112) 쪽을 상승 혹은 하향시켜 그 경사각을 작업환경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양 측면 상단에는 내부에 설치된 매쉬망(120)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물분사관(170)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는 슬러지의 이송과정에서 매쉬망(120)의 구멍 사이에 낄 수 있는 슬러지를 낙하시키기 위해서 셋팅된 시간에 물을 분사토록 구현된다.
즉, 물을 분사함으로 매쉬망(120)의 구멍 사이에 삽입된 슬러지를 낙하시킴은 물론이고 슬러지를 물과 희석시켜 줌으로 발생되는 악취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물론, 물분사관(170)은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작동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체(110)의 일측 상단에는 각지에 수거된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11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 는 배출구(114)가 형성되며, 탈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115)이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14) 내측에는 슬러지가 배출되기 전 저장/압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실(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는 간헐적으로 파티션(118a)(118b)(118c)(118d)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는 다수의 매쉬망(120)을 부착하기 위한 것이며, 이 파티션은 관통되어 있다. 상기 파티션(118a)(118b)(118c)(118d)에 의해 구획된 각 구획실의 하부에 보조 드레인을 별도로 형성하여 이송과정에서 탈수되는 수분을 각각 배출토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투입구(112)에는 별도의 공급관이 연결되어 슬러지를 자동으로 공급하게끔 하고,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 또한 별도의 이송수단을 구비해 자동으로 저장조로 이송되게끔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드레인(115)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 또한 별도의 이송관을 연설하여 외부의 저장조로 이송하게끔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체(110)의 배출구(114) 쪽이 하향되게끔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즉, 프레임부재(160)가 구비되어 본체(110)의 배출구(114) 하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타측 투입구(112) 하단을 승하강 작동되는 지지대(16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경사지게 설치하였다. 이렇게 본체(110)의 배출구(114) 쪽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으로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는 보 다 신속하게 배출구(114) 쪽으로 이송될 것이다. 아울러 본체(110)의 경사각은 지지대(162)의 승하강 작동을 통해 작업환경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매쉬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매쉬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매쉬망(120)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매쉬망(120) 양단에는 본체(110)에 구비된 파티션(118a)(118b)(118c)(118d) 및 압축실(116)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플랜지(122)를 형성하고 있다. 물론, 매쉬망(120)은 이 플랜지(122)를 매개로 파티션(118a)(118b)(118c)(118d) 및 압축실(116)의 외주면에 볼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압축실(116)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통부재가 구비될 것인바, 이 통부재의 외주면과 매쉬망(120)의 플랜지(122)가 볼트 결합되는 것은 너무나 명백하다.
한편, 상기 매쉬망(120) 대신에 구멍이 없는 원통형 형상의 관로를 부착하여 작동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내부를 육안으로 투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기가 소통되지 않음으로 이에 따라 내부 압력이 증대되어 슬러지의 이송 속도가 늦게 될 것이다.
여기서, "나"를 참조로 하면, 매쉬망(120)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부만이 매쉬(Mesh) 형태를 가지는 매쉬망(120)을 도시하였다. 이렇게 구성하여도 전체가 매쉬 형태를 가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수단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로 하면, 배출수단(140)은 크게 밀착판(142), 조정구(144), 지지판(146) 및 결합부재(1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착판(142)은 상기 이송스크류(130)의 회전축(132) 상에 끼움되어 본체(110)의 배출구(114) 외측면에 밀접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밀착판(142)은 회전축(132)에 끼움 체결된 것이지 부착된 것은 아님을 인지하여야 된다.
상기 조정구(144)는 상기 이송스크류(130)의 회전축(132) 상에 끼움되되, 상기 밀착판(142)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고정 및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볼트(145)를 구비하여 일측 방향으로 돌려 회전축 (132)상에 조정구(144)를 고정시키거나 혹은 볼트(145)를 반대로 돌려 고정 해제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146)은 상기 조정구(144)의 외주면으로 끼움 부착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46)은 상기 밀착판(142)과 달리 조정구(144)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149)는 상기 밀착판(142)과 지지판(146)을 결합하되, 상기 밀착판(142)에 부착되며 내부에 탄성부재(148)를 내재하는 결합관(147a)과, 상기 지지판(146)에 부착되어 상기 결합관(147a) 내로 삽입되는 삽입관(147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수단(140)은 이송스크류(130)의 회전축(132)에 고정되는 조정구(144)와, 이에 부착되는 지지판(146)과, 배출구(114)에 밀접된 밀착판(142)은 결합부재(149)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으로 회전축(132)과 같이 회전될 것이다.
또한, 미도시 하였지만 상기 밀착판(142)의 타측면 즉, 배출구(114)에 밀접되는 면에는 슬러지의 배출을 돕고자 회전축(132)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장홈을 형성할 수 있다.
결국, 회전축(132)에 고정되는 지지판(146)이 탄성부재(148)를 통해 밀착판(142)을 가압함으로 밀착판(142)이 탄성력을 지니도록 구현된 것을 알 수 있고, 조정구(144)를 통해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본체(110)에 형성된 배출구(114)에 밀착판(142)을 더욱 밀착시키거나 그렇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7의"가"를 보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출수단(140)의 밀착판(142)은 본체(110)의 배출구(114)에 밀접되게 위치되어 있으며, 조정구(144) 및 이에 부착된 지지판(146)은 회전축(132)에 고정된 채 결합부재(149)를 매개로 밀착판(142)에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를 보면, 배출수단(140)의 밀착판(142)이 배출구(114)에 밀접되어 있음으로 이송된 슬러지가 본체(110) 내에 마련된 압축실(116)에 저장된다. 즉, 배출구(114)는 밀착판(142)이 밀접되어 있으므로 슬러지가 저장될 것이고, 어느 정도 저장되면 압축실(116) 내에서 압축된다.
계속해서, 지속적으로 이송되어 쌓이는 슬러지의 압력에 의해 배출수단(140)의 밀착판(142)은 결합관(147a)에 내재된 탄성부재(148)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약간 밀리게 될 것인데, 이에 따라 배출구(114)와 밀착판(142)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통해 슬러지는 소량씩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밀착판(142)은 회전축(132)과 같이 회전되고 있음으로 배출되는 슬러지를 마치 맷돌과 같은 원리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탈수 배출하게 될 것이다.
물론, 상기 밀착판(142)은 탄성부재(148)의 강도에 따라 탄성력을 달리 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140)은 위치 이동됨으로 작업 환경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기능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먼저, 구동모터(150)를 작동시켜 이송스크류(130)를 회동시킨 후 본체(110) 투입구(112)로 슬러지를 투입시킨다. 물론, 슬러지를 투입하고 구동모터(150)를 작동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이렇게 슬러지가 투입되면 슬러지는 이송스크류(130)의 회동에 의해 배출구(114) 쪽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음으로 투입된 슬러지는 신속하게 이송될 것이고, 아울러 압력이 발생되지 않는 매쉬망(120) 내부를 따라 이송됨으로 더욱 신속하게 이송될 것이다. 그리고, 본체(110)의 양 측면에는 물분사관(170)이 구비되어 물을 분사하고 있음으로 이송시 매쉬망(120)의 구멍에 끼는 슬러지는 자연스럽게 낙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나"를 참조로 하면, 투입구(112)에서 배출구(114) 쪽으로 이송된 슬러지는 배출구(114) 내측에 형성된 압축실(116)에 저장되며, 어느 정도 저장되면 압축실(116) 내에서 슬러지는 압축될 것이다. 즉, 배출구(114)의 외측에는 배출수단(140)의 밀착판(142)이 밀접되어 있고, 내측에서는 지속적으로 슬러지가 이송됨으로 자연스럽게 압축실(116) 내에서 압축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탈수된 수분은 본체(110) 하면에 형성된 드레인(1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지속적인 이송과 동시에 탈수되어 쌓이는 슬러지의 압력에 의해 배출구(114)에 밀접되어 있는 배출수단(140)의 밀착판(142)은 외측으로 약간 밀리게 되고 슬러지는 이 틈새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밀착판(142)은 이송스크류(130)의 회전축(132)과 같이 회전되고 있음으로 배출되는 슬러지를 마치 맷돌과 같은 원리에 의해 최종적으로 다시 한번 탈수하게 됨으로 탈수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탈수과정에서 분리된 수분과 슬러지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각각의 이송수단(180)을 통해 저장조로 이송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너무나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100)는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됨으로 컴팩트한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어 설치면적이 적게 소요될 것이고, 무엇보다 작동 원리가 아주 간편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에 의하면, 본체가 경사지게 설치됨과 동시에 수분함유 슬러지가 이송되는 관체를 매쉬망으로 구현함으로써 아주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배출구에 밀접되어 있는 배출수단에 의해서 탈수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구조에 의해 컴팩트한 사이즈를 가져 설치면적이 적게 소요되며, 안전하고 간편하게 작동가능하면서도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통상의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일측 상단에는 슬러지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면에는 수분이 배출되는 드레인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 내측에는 슬러지가 배출되기 전 저장/압축될 수 있는 압축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고정 설치되며, 투입구로 투입된 슬러지가 배출구 쪽으로 이송되도록 관로 역할을 하는 매쉬망; 상기 매쉬망 내부에 길이 방향대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 양단에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상에 형성되어 슬러지를 이송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본체의 배출구 외측면에서 배출구에 밀접되도록 위치되되 회전축 상에 설치되며, 배출구 내측에 형성된 압축실로 이송되어 압축된 슬러지를 소량씩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배출수단; 및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축 상에 끼움되어 본체의 배출구 외측면에 밀접되게 위치되는 밀착판; 상기 밀착판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축상에 끼움 설치되는 조정구; 상기 조정구의 외주면으로 끼움 부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밀착판과 지지판을 결합하되, 상기 밀착판에 부착되며 내부에 탄성부재를 개재하는 결합관과,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상기 결합관 내로 삽입되는 삽입관으로 구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어 본체를 지지하되, 상기 본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레임부재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함유 슬 러지의 탈수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날개 끝단부에는 투입된 슬러지를 보다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게 매쉬망에 밀접되는 솔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5. 삭제
KR1020060095499A 2006-09-29 2006-09-29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KR10071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499A KR100712265B1 (ko) 2006-09-29 2006-09-29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499A KR100712265B1 (ko) 2006-09-29 2006-09-29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719U Division KR200434797Y1 (ko) 2006-09-29 2006-09-29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2265B1 true KR100712265B1 (ko) 2007-05-02

Family

ID=3826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499A KR100712265B1 (ko) 2006-09-29 2006-09-29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2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105B1 (ko) * 2013-01-31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오일제거장치
KR102639149B1 (ko) * 2023-11-02 2024-02-21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오폐수 슬러지를 친환경 재료로 재활용 하기 위한 탈수 및 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7578A (en) * 1987-02-18 1991-03-05 Hedemora Ab Method and apparatus for dewatering and squeezing material
KR20010068025A (ko) * 2001-04-16 2001-07-13 손정원 탈수장치
KR20050041575A (ko) * 2003-10-31 2005-05-04 최인환 원심력을 이용하는 오니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7578A (en) * 1987-02-18 1991-03-05 Hedemora Ab Method and apparatus for dewatering and squeezing material
KR20010068025A (ko) * 2001-04-16 2001-07-13 손정원 탈수장치
KR20050041575A (ko) * 2003-10-31 2005-05-04 최인환 원심력을 이용하는 오니 탈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105B1 (ko) * 2013-01-31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오일제거장치
KR102639149B1 (ko) * 2023-11-02 2024-02-21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오폐수 슬러지를 친환경 재료로 재활용 하기 위한 탈수 및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1931B2 (ja) 自動空圧ポンプ
KR101298035B1 (ko) 음식물처리장치
KR2008011368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9622578A (zh) 一种餐厨垃圾压榨脱水机
KR102533025B1 (ko)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 수분 감량장치
KR100712265B1 (ko)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KR1012338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14291999B (zh) 一种低能耗污泥脱水干化一体化设备
KR200434797Y1 (ko)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KR101563804B1 (ko) 음폐수 저감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7556B1 (ko) 무주축 스크류 이송식 압축·탈수 장치
CN109092860B (zh) 一种城市垃圾处理方法
KR102092805B1 (ko) 슬러지 농축탈수장치
KR100616244B1 (ko)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CN216662822U (zh) 一种水利工程现场施工用污泥处理设备
KR102202951B1 (ko) 자동 세척기능이 구비된 고액분리장치
KR100535906B1 (ko)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CN208042734U (zh) 一种压缩脱水机
RU44695U1 (ru) Транспорт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оемов
CN110238159A (zh) 一种城市人行道节能清洁设备
KR2015013330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219156760U (zh) 一种立式污泥脱水机
KR0180499B1 (ko) 쓰레기 탈수장치
KR102192972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감량기
KR20150024460A (ko) 슬러지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