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573B1 -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573B1
KR101733573B1 KR1020160184177A KR20160184177A KR101733573B1 KR 101733573 B1 KR101733573 B1 KR 101733573B1 KR 1020160184177 A KR1020160184177 A KR 1020160184177A KR 20160184177 A KR20160184177 A KR 20160184177A KR 101733573 B1 KR101733573 B1 KR 101733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opper
closed container
transfer lin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안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Priority to KR102016018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3Wear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6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03Details; specially adapted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Abstract

본원은 슬러지 밀폐용기 본체와 호퍼부와 이송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밀폐용기 본체 또는 호퍼부의 정밀계량이 가능케하고, 또한 이송라인의 막힘을 방지하고 이송라인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송라인을 손쉽게 해체하여 수리한 후 다시 손쉽게 조립하기에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원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탈수기 및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는 물질을 처리하는 협잡물 처리기에서 배출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을 모아서 공기를 이용하여 케이크 저장호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밀폐용기 본체와 호퍼부와 이송라인과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 또는 호퍼부의 정밀계량을 이루기 위해 밀폐용기 본체의 지지축 상단부에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스프링의 특성이나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유압작기의 특성 중에서 선택되는 감지수단을 갖는 제1중량검지부와 제1중량검지부의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밀폐용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검지된 중량을 전기판넬에 신호를 보내줘서 연동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리미트스윗치나 근접센서나 광센서 중에서 선택되는 제2중량검지부가 사용되어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의 정밀계량이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관련 기술이다.

Description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Air compressing conveyer apparatus for transfer sludge}
본 발명은 환경폐기물인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을 이송하는 컨베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탈수기 및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는 물질을 처리하는 협잡물처리기에서 배출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을 일정량 슬러지 압축저장조에 모은 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이송라인을 통해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케이크 저장호퍼까지 이송하는 구성에서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에서의 정밀계량을 이루기 위해 밀폐용기 본체의 지지축 상단부에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스프링의 특성이나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유압작기의 특성 중에서 선택되는 감지수단을 갖는 제1중량검지부가 설치되고 제1중량검지부의 중량에 따라 압축되거나 검지된 중량을 전기판넬에 신호를 보내줘서 연동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리미트스윗치나 근접센서나 광센서 중에서 선택되는 제2중량검지부가 연동되어 사용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의 정밀계량이 가능케하고, 이송라인의 막힘을 방지하고 이송라인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송라인을 손쉽게 해체하여 수리한 후 다시 손쉽게 조립하기에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처리장이나 환경사업소등 폐수와 분뇨처리의 과정에 있어서,기계설치시 불필요한 공간이나 장소 및 기타 청결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공 기압을 이용한 컨베이어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압을 이용한 컨베이어는 압축된 공기를 사용하며, 기계구조상 밀폐용기 내부에 이송시키고자 하는 물체를 저장한 후, 상기 저장용기 상부의 투입구 을 봉쇄하여 압축된 공기를 기계 내부에 순간적으로 불어 주입하여 내부에 있는 이송물이 공기압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되고 있다.
이러한 이송방법은 기계 설치시 컨베이어 설치에 따른 장소 및 공간 등에 대한 규제가 없고, 수직, 수평 및 곡면관 이송 등이 자유로우며 밀폐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폐기물을 이송함으로써 악취 및 주변환경에 폐해를 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장거리 이송이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및 슬러지 밀폐용기는 이송배관 내부및 기계 내부에 점성 및 물성의 특성으로 인한 이송 중 막힘 현상이 발생된다.
즉, 공기압 콘베이어의 이송물중 점도가 강한 슬러지나, 협잡물 중 비닐성분같은 것이나, 공기가 밀어내기 어려운 이송물은 공기압의 컨베이어와 이송설비상 짧은 시간 내에 이송되지 못하면 관내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압축된 공기가 이송물을 밀어내지 못하면 투입밸브가 열릴 때 압축된 공기가 역으로 빠져나가면서 굉음과 함께 밀폐저장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이송 물이 그대로 외부로 튀어나와 컨베이어 주변 및 밀폐저장용기 내부를 더럽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적으로 자동 운전되는 방식으로 투입밸브가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며, 기계내부 및 관내에 있는 이송물이 이송여부에 관계없이 시간이 되면, 열고 닫히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작동하는 과정에서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종래 기술은 공기압 컨베이어의 막힘시 배관 라인을 사람이 직접 분리시켜 관내를 막고 있던 슬러지 이송물을 강제로 완전히 제거시켜 배관을 청소하고, 재조립하여야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청소 및 분해 조립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 10-0535906호 기술에서는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밀폐용기에서 탈수케이크 및 협작물처리기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케익 또는 협잡물을 슬러지 밀폐저장용기에 모은 다음,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배관라인을 통해 지정된 소정의 장소까지 이송시켜주고, 만일 슬러지케익 또는 협작물이 슬러지저장용기의 배출구에 막힐 경우에는 수압과 공압을 동시에 이용하여 막힌 곳을 뚫고 소정의 장소까지 밀어내어 이송시킬 수 있는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밀폐용기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특허 10-1413256호에서는 점성이 큰 슬러지라도 슬러지임시수용부 내에서 원활하게 배출되어 슬러지 이송차량의 적재함까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밀폐용기에서 슬러지임시수용부에 밀폐구조를 이루기 위해 밸브가 설치되고 밸브 상부에는 공기주입관과 연계되는 에어분사구가 마련되어 밸브가 개구 될 때 밸브 및 밸브수용프레임부에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단을 갖도록 적용되고,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의 이음연결부에는 소음저감기가 부설시켜 소음저감구조를 이루며,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의 후단에 충격방지판 및 공기배출구를 갖는 이송보조장치가 추가되는 구성의 슬러지 밀폐용기가 제시되어 있다
본원은 슬러지 밀폐용기 본체와 계량호퍼부와 이송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의 정밀계량이 가능케하고, 또한 이송라인의 막힘을 방지하고 이송라인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송라인을 손쉽게 해체하여 수리한 후 다시 손쉽게 조립하기에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의 정밀계량이 가능케 하기 위한 중량감지수단으로 스프링장치 또는 유압작기가 밀폐용기 본체 및 지지축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공기압컨베이어에 투입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 또는 슬러지의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길이를 셋팅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서(리미트스위치,근접센서,광센서 등)를 설치하여 스프링장치 또는 유압작기의 상부에 감응부를 설치하여 셋팅된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길이 끝단에 설치된 센서를 작동시켜 전기판넬에 신호를 주어 연동된 설비를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탈수기 및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는 물질을 처리하는 협잡물 처리기에서 배출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을 모아서 공기를 이용하여 케이크 저장호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밀폐용기 본체와 계량호퍼부와 이송라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술로서, 본원의 특징부는 상기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의 정밀계량을 이루기 위해 밀폐용기 본체의 지지축 상단부에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스프링의 특성이나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유압작기의 특성 중에서 선택되는 감지수단을 갖는 제1중량검지부와 제1중량검지부의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밀폐용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검지된 중량을 전기판넬에 신호를 보내줘서 연동설비를 제어하기 위해 리미트스윗치나 근접센서나 광센서 중에서 선택되는 제2중량검지부가 사용되어 유지관리중 고장의 발생이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의 정밀계량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에서 케이크 저장호퍼로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의 프랜지와 프랜지의 이음부 사이에 탄성의 플렉시블 재질로 제공되는 배관완충재가 원뿔형 콘넥타 형태로 끼워 결합되는 구조로 적용되어 마모 및 부식방지에 대비하고 제1중량검지부의 중량변화에 대응구성을 이루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에서는 상기 밀폐용기 본체에서 케이크 저장호퍼로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의 배관콘넥터와 배관클램프에 STS 304 재질과 같은 주물품 SCS 13 재질을 이용하여 곡관부를 형성하므로서 배관부의 마모 및 부식, 파손이 발생할 경우 손쉽게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용기 본체의 내부 호퍼부에 용접이나 가공부위가 없는 주물품 SCS 13 재질로 제공되는 주물재가 적용되어 마모 및 부식, 파손에 대응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용기 본체에서 케이크 저장호퍼로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의 배관곡관부에도 주물품 SCS 13 재질로 제공되는 주물품으로 적용하여 마모 및 부식, 파손에 대응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하여 내구성을 높인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적용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슬러지 밀폐용기 본체와 계량호퍼부와 이송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은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의 정밀계량이 가능할 수 있고, 또한 이송라인의 막힘을 방지하고 이송라인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송라인을 쉽게 해체하여 수리한 후 다시 손쉽게 조립하기에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원의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하며 이송라인의 막힘이 없으며, 이송거리를 늘일 수 있어 청소에 따른 인건비와 에어컴프레셔 가동을 위한 동력비 등을 절감을 할 수 있고, 시스템 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 종래기술에 적용되어 온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괄적 적용예시도
도 2 :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특징부가 적용되는 대상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개괄적 도면.
도 3 :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1중량검지부 및 제2중량검지부가 연동되어 적용되는 적용예시도.
도 4 : 본 발명에서 배관 완충부에서의 원뿔형 콘넥터의 적용예시도
도 5 : 본 발명에서 배관 컨넥터와 클램프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적용예시도
이하에서는, 본원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일 적용 실시양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원에서 제시되는 도면의 실시양태는 본원 기술사상이 구현될 때 본원의 특징부가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실시양태를 중심으로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공지 공용의 기술로 기존의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에 사용되는 구성이 본원 기술에 접목되거나 추가되어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 같이 변형되어 적용되는 경우에도 본원의 기술사상 및 청구범위에 포함되어 적용되는 유사한 변형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도 본원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하기에 제시되는 도면의 실시양태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부터 적용되어 온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시스템의 개괄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도 1과 같은 기존의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시스템에 본원 기술사상의 특징부가 적용되는 요부구성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1중량검지부 및 제2중량검지부가 연동되어 적용되는 실시양태의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배관 완충부에 원뿔형 콘넥터의 적용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배관 컨넥터와 클램프의 체결부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상광하협의 콘(Cone) 형상을 갖고 일정량의 협잡물이 투입 및 저장되고 압축공기가 인입되어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밀폐용기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을 인입시킬 때는 열리고 인입 완료 후 닫혀 압축공기가 인입될 때 상기 본체(1) 내에 압력이 걸려 협잡물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인입밸브(2)와; 상기 인입밸브(2)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료를 보내주는 이송콘베이어(C)로 부터 투입되는 원료가 밀폐용기 본체(1) 내로 모두 인입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 호퍼(3)와; 상기 본체(1)의 상부로 압축공기와 세정수가 인입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및 세정수 인입부(4)와 상기 본체(1)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협잡물이 적은 저항을 받으며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방향을 90°로 전환시켜 주는 리듀스(reduce)형 배출관(5) 및 이송라인(6)으로 구성되어 최종적으로 케이크저장호퍼(7)로 보내주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10)으로 적용되는 종래 구성의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밀폐용기 본체(1) 또는 가이드 호퍼(3)의 정밀계량이 가능하고, 또한 이송라인(6)의 막힘을 방지하고 이송라인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송라인을 손쉽게 해체하여 수리한 후 다시 손쉽게 조립하기에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신규로 적용되는 요부구성의 개요를 특징부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원 기술구성의 1차적 특징부는 본원의 밀폐용기 본체(1)와 인입밸브(2) 및 가이드 호퍼(3)까지의 무게 하중을 바닥면 지지체(20)로부터 일정높이 위치에서 밀폐용기 본체(1)를 지탱해주기 위해 설치되는 수직지지축(21)과 또는 좌우 수직지지축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지지축(22) 상단부에서 밀폐용기 본체(1)의 측부에 설치되는 브라켓(11)과지지축(21,22)의 접점위치에 제1중량검지부 및 제2중량검지부가 설치되어 밀폐용기 본체(1)나 또는 가이드 호퍼(3)의 정밀계량이 가능하게 한 부분이 1차적 특징부로 이의 구체적 설명은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본원에서 2차적 특징부는 밀폐용기 본체(1) 내측에 설치되는 콘형 호퍼부를 형성하는 경사호퍼부(12)가 쉽게 마모 및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STS 304 재질과 같은 주물품 SCS 13으로 두께를 두껍게 제작/설치하므로서 마모 및 부식방지에 대비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본원에서 3차적 특징부는 밀폐용기 본체(1)에서 케이크 저장호퍼(7)로 이송시키는 이송라인(6)의 이음부 사이에 탄성의 플렉시블 재질로 제공되는 배관완충재가 적용되어 마모 및 부식 방지에 대비하고 또한 밀폐용기 본체(1)의 중량변화에 따른 대응구성을 이루기 위해 배관완충재가 설치되도록 적용되는 부분에 특징부를 이루는바 이는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에서 4차적 특징부는 밀폐용기 본체(1)에서 케이크 저장호퍼(7)로 이송시키는 이송라인(6) 중에서 배관 곡관부를 형성할 때 마모 및 부식에 대처하기 위하여 STS 304 재질과 같은 주물품 SCS 13으로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여 사용하고 특히 바깥쪽은 안쪽보다 더 두껍게 제작하여 사용하며 또한 배관 및 배관 곡관부의 연결은 컨넥타를 배관 끝단에 용접으로 설치하고 서로 맞댄 상태에서 오링이 포함된 클램프로 연결되는 구성의 배관 곡관부로 적용하여 배관의 신속한 연결 및 교체가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부분에 특징부를 이루는바 이는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은 본원의 밀폐용기 본체(1) 또는 호퍼부(3)의 정밀계량을 이루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a는 정밀계량이 수행되는 부분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제1중량검지부가 압축되는 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하중이 실리기 전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3c는 하중이 실리면서 감응센서부가 이동하는 과정을 요부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도 밀폐용기 본체(1)는 내용물을 일정량 저장 후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배출하도록 기능하게 되는바, 종래의 기술에서도 부분적으로 공기압 컨베이어의 제어를 타이머를 이용하여 조절하거나 또는 일부 업체에서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중량을 측정하며 제어를 실시하고 있는 형태가 부분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나, 타이머를 이용한 제어는 공기압 컨베이어에 유입된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 슬러지의 양과 상관없이 작동함으로 연동설비의 수시 작동에 따른 불필요한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로드셀을 이용한 제어는 로드셀 작동이 셋팅된 중량에 따른 제어가 실시됨으로 실제 투입되는 현장별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이나 슬러지의 중량이 많고 적음의 상황에 따라 대처할 수 없이 셋팅된 중량에 이를 때에만 작동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원에서는 중량감지수단으로 스프링장치 또는 유압작기의 원리를 이용하는 제1중량검지수단을 통하여 공기압 컨베이어에 투입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 슬러지의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제1중량검지수단에 의해 압축되는 길이를 셋팅한 감응수단이 제2중량검지수단으로 리미트스위치, 근접센서,광센서 중에서 선택되는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스프링장치 또는 유압작기의 상부에 감응철편을 설치하여 셋팅된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길이 끝단에 설치된 센서를 작동시켜 전기판넬에 신호를 보내줘서 연동설비를 제어하도록 적용되는 제1 및 제2중량감지수단을 적용하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원의 도 3b 및 도 3c에서는 압축되는 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하는 형태로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바닥면 지지체(20)로부터 일정높이 위치에서 밀폐용기 본체(1) 무게가 실린 측벽브라켓(11)이 3~4개로 제공되고 측벽브라켓(11)과 수직지지축(21) 또는 수평지지축(22) 사이의 접점위치에 제1중량검지부 및 제2중량검지부가 설치되어 정밀계량이 가능케 하고자 하는 기술로서, 지지축(21,22) 상단부에 밀폐용기 본체(1)의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스프링(30)의 하단고정축(31)은 수평지지축(22)에 고정되고 스프링(30)의 상단이동축(32)은 밀폐용기 본체(1)의 측벽브라켓(11)과 연결되며, 상단이동축(32)의 일측단부에는 감응센서부(32a)를 갖고 하단부가 수평지지축(22)에 고정되는 리미트스위치(33)는 중심축(34)을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밀폐용기 본체(1) 내부에 슬럿지가 체적되어 하중이 증가되면 스프링이 하중을 받아 압축되면서 밀폐용기 본체(1)가 전체적으로 내려와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고, 리미트 스위치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에서 공기압 컨베이어시스템이 작동하게 되어 내부의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구성을 이루며 1차적 특징부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제1중량검지수단은 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 유압작기의 특성을 이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는바, 도 3d는 제1중량검지부가 압축되는 유압작기의 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하중이 실리기 전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3e는 유압실린더에 하중이 실리면서 감응센서부가 이동하는 과정을 요부확대도로 나타낸 것으로써, 도 3b 및 도 3c에서는 압축되는 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하여 적용하던 형태를 도 3d 및 도 3e에서는 지지축(21,22) 상단부에 밀폐용기 본체(1)의 중량의 무게를 지지하는 밀폐용기 본체(1)의 측벽브라켓(11)에 실린더로드(35)가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고 유압실린더의 받침부(37)는 수평지지축(22)에 고정되고 유압의 압력을 받는 실린더(36)를 눌러주는 실린더로드(35)의 일 측부에는 감응센서부(35a)를 갖고 하단부가 수평지지축(22)에 고정되는 리미트스위치(33)는 중심축(34)을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밀폐용기 본체(1) 내부에 슬럿지가 체적되어 하중이 증가되면 실린더로드(35)에 부착된 감응센서부(35a) 하중을 받아 압축되면서 리미트스위치(33)를 작동시키게 되고, 리미트스위치(33)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에서 공기압 컨베이어시스템이 작동하게 되어 내부의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기존의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밀폐용기 본체(1)의 호부퍼는 STS 304재질의 원자재를 원뿔모양의 콘 타입으로 제작하여 본체에 용접시켜 설치할 때 원뿔모양의 콘 타입으로 제작시 원판을 롤링으로 가공하여 용접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본체 호퍼부는 마모 및 부식에 의하여 언제든 파손(예를 들면, 호퍼부벽면에 구멍 뚫림 현상 등)위험이 상존하게 되는데, 파손이 발생하는 부위는 주로 용접부위로 롤링 가공작업의 한계로 인하여 일정 두께까지만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관계로 마모 및 부식에 대처하기가 어려운 상횡이고 대부분의 롤링 가공작업이 철판을 덧대어 용접을 실시하는 형태의 보수작업이 실시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원에서는 밀폐용기 본체(1)의 경사호퍼부(12)를 마모 및 부식에 대처하기 위하여 STS 304재질과 같은 주물품 SCS 13으로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내마모성을 높여 내구성을 높이고자 하는 2차적 특징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에서 밀폐용기 본체(1)의 중량감지부의 스프링(30)장치 또는 유압작기가 작동 시 압축되는 길이에 대해 배관라인의 완충 역활을 위하여 Rubber재질의 FLEXIBLE재(43)를 사용하고 원뿔모양의 콘넥타(40)를 연결할 때 제1연결플렌지(41)가 원뿔모양의 콘넥타(40)를 감싸 고정하고 제2연결플렌지(42)가 Rubber재질의 FLEXIBLE재(43)를 감싸 고정되는 구성으로 Rubber 콘넥터 구조를 이루는 경우 밀폐용기 본체(1)내부에 슬러지가 체적되어 하중이 증가하게 될 경우 컨넥터의 외부 Rubber 부분이 완충 역활을 하게 되어 파손방지를 막을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Rubber가 콘넥터의 마모 및 부식을 방지하여 제품수명을 연장시키고 우측 도면과 같이 슬러지 하중이 발생되어 배관이 뒤틀리는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도 Rubber콘넥터가 어느 정도까지 이를 수용하고 다시 원위치 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원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배관곡관부(50)의 결합구조의 적용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에서 적용되는 배관곡관부(50)는 마모 및 부식에 대처하기 위하여 STS 304재질과 같은 주물품 SCS 13으로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여 사용하고자 하며, 특히 바깥쪽은 안쪽보다 더 두껍게 제작하여 사용하고 또한 배관 및 배관 곡관부의 연결은 컨넥타를 배관 끝단에 용접으로 설치하고 서로 맞댄 상태에서 오링이 포함된 클램프로 연결되는 구성이 적용되도록 함으로서 배관의 신속한 연결 및 교체가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설비의 안정적 유지관리에 용이하도록 적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도면에 예시된 배관곡관부(50)는 양쪽으로 일측은 수평파이프(51) 타측은 90°엘보 등의 경사엘보(55)로 적용될 때 수평파이프(51) + 배관콘넥터a(52) + 오링a(53) + 클램프(54) + 오링b(53) + 배관콘넥터b(52) + 경사엘보(55)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적용의 일 실시양태를 설명하여 보면, 자체 제작을 원하는 규격의 수평파이프(51)와 배관콘넥터a(52)를 용접하여 하나의 중간제품a로 만들고 타측은 90°엘보(55)와 배관콘넥터b(52)를 용접하여 하나의 중간제품b로 만든 후 맞대어진 부분과 클램프(54)를 체결할 때 각각 오링(53)을 사용 체결하므로 누수를 방지하는 구조를 이루면서 배관라인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마모나 부식, 판손이 발생하는 경우 교체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하고 다시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 기재된 본원의 기술구성으로부터 본원은 슬러지 밀폐용기 본체와 계량호퍼부와 이송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을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제공하면서 정밀계량이 가능하고, 또한 운전 중 이송라인의 막힘을 방지하고 이송라인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송라인을 쉽게 해체하여 수리한 후 다시 손쉽게 조립하기에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여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스템 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1 : 밀폐용기 본체 2 : 인입밸브
3 : 가이드 호퍼 4 : 세정수인입부
5 : 배출관 6 : 이송라인
7 : 케이크저장호퍼 11 : 밀폐용기 측벽 브라켓
12 : 경사호퍼부 20 : 바닥면 지지체
21 : 수직지지축 22 : 수평지지축
30 : 스프링 31 : 하단고정축
32 : 상단이동축 33 : 리미트스위치
34 : 중심축 35 : 실린더로드
36 : 유압실린더 37 : 유압실린더 고정받침구
40 : 원뿔콘넥타 41 : 제1연결플렌지
42 : 제2연결플렌지 43 : Rubber FLEXIBLE재
50 : 배관곡관부 51 : 수평파이프
52 : 배관콘넥터 53 : 오링
54 : 클램프 55 : 90°엘보
100 :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Claims (5)

  1.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탈수기 및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는 물질을 처리하는 협잡물 처리기에서 배출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을 모아서 공기를 이용하여 케이크 저장호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밀폐용기 본체와 계량호퍼부와 이송라인과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의 정밀계량을 이루기 위해 밀폐용기 본체 및 지지축 사이에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스프링의 특성이나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유압작기의 특성 중에서 선택되는 제1중량검지부의 감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1중량검지부에서 감지된 중량을 전기판넬에 신호를 보내줘서 연동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근접센서나 광센서 중에서 선택되는 제2중량검지부가 밀폐용기 본체 및 지지축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의 정밀계량이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용기 본체에서 케이크 저장호퍼로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의 프랜지와 프랜지의 이음부 사이에 탄성의 플렉시블 재질로 제공되는 배관완충재가 원뿔형 콘넥타 형태로 끼워 결합되는 구조로 적용되어 마모 및 부식방지에 대비하고 제1중량검지부의 중량변화에 대응하여 완충기능을 갖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에서 케이크 저장호퍼로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의 배관체결부를 이룰 때 주물품 SCS 13으로 제공되는 배관콘넥터 및 배관클램프를 이용하여 배관부의 마모 및 부식을 방지하며, 파손이 발생할 경우 손쉽게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의 내부 호퍼부에 용접이나 가공부위가 없는 주물품 SCS 13 재질로 제공되는 주물재를 적용하여 마모 및 부식에 대응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에서 케이크 저장호퍼로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의 배관곡관부에 주물품 SCS 13으로 제공되는 주물품으로 적용하여 마모 및 부식, 파손에 대응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160184177A 2016-12-30 2016-12-30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 KR101733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77A KR101733573B1 (ko) 2016-12-30 2016-12-30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77A KR101733573B1 (ko) 2016-12-30 2016-12-30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573B1 true KR101733573B1 (ko) 2017-05-10

Family

ID=5874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177A KR101733573B1 (ko) 2016-12-30 2016-12-30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5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908A (ko) 2020-10-27 2022-05-04 최행숙 슬러지 이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133B1 (ko) * 2016-04-01 2016-08-09 주식회사 태경엔텍 압축공기 이용 폐기물 이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133B1 (ko) * 2016-04-01 2016-08-09 주식회사 태경엔텍 압축공기 이용 폐기물 이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908A (ko) 2020-10-27 2022-05-04 최행숙 슬러지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133B1 (ko) 압축공기 이용 폐기물 이송시스템
KR101733573B1 (ko)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
CN105408228A (zh) 用于进给和搬运废弃物料的方法和设备
CN203753430U (zh) 一种真空输送旋风分离自动上料机
CN113692387A (zh) 用松散物料特别是沙子填装容器的设备
FI124207B (fi) Menetelmä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uljetta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piste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KR101750097B1 (ko)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KR100823999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101282723B1 (ko)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KR100535906B1 (ko)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101071324B1 (ko) 마찰력 저감과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KR101750098B1 (ko) 중량측정 제어부와 교차사용 투웨이 이송관 시스템을 적용한 장시간 운전형 폐기물 이송시스템
NL8502754A (nl) Installatie voor het pneumatisch transporteren van stortgoed.
CN216155029U (zh) 一种用于灰罐车装料系统的除尘装置及灰罐车装料系统
CN208103354U (zh) 渗沥液系统脱水污泥输送设备
CN208775869U (zh) 气力输送装置
CN112644904A (zh) 用于在塑料领域中使用的输送设备
CN113682823A (zh) 移动式集装箱粉料卸料泵送车
CN207434274U (zh) 一种能够节省时间的环保型垃圾投放装置
CN211663613U (zh) 一种袋装物料进仓的输送系统
CN220572750U (zh) 一种板框式压滤机管道泄压反吹缓冲装置
CN218595524U (zh) 一种环保智能投料系统
KR200239939Y1 (ko) 공기압을 이용한 탈수된 슬러지이송장치
CN214217274U (zh) 一种平板式输送机汽缸带清洗装置
CN209974365U (zh) 一种压风机井下供风输送管路集水排污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