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908A - 슬러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908A
KR20220055908A KR1020200140471A KR20200140471A KR20220055908A KR 20220055908 A KR20220055908 A KR 20220055908A KR 1020200140471 A KR1020200140471 A KR 1020200140471A KR 20200140471 A KR20200140471 A KR 20200140471A KR 20220055908 A KR20220055908 A KR 20220055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ank
supply
pressure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4646B1 (ko
Inventor
최행숙
Original Assignee
최행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행숙 filed Critical 최행숙
Priority to KR102020014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6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3Transmissions; Means for modifying the speed or direction of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감압(減壓)에 의해 증발기로부터 슬러지를 챔버 내측에 형성한 수급탱크로 유입되게 하고, 수급탱크로 유입된 슬러지를 승압(升壓)에 의해 챔버 내측에 형성한 하부 이송탱크로 공급함과 동시에 승압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하부 이송탱크 하부에 설치된 배출 이송관을 통해 증발기로 용하게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한 감압(減壓)에 의해 슬러지를 챔버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챔버 내측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승압(升壓)에 의해 증발기로 이송되게 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이송펌프의 고장으로 인한 슬러지 건조설비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급탱크와 하부 이송탱크로 이루어지는 챔버에 설치된 에어실린더가 작동되어 배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승압에 의해 수급탱크에서 하부 이송탱크로 슬러지가 유입될 때 챔버 하부에 설치된 배출 이송관을 통해 슬러지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유입되는 슬러지의 양과 비례하여 배출 이송관으로 배출되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하므로 증발기에서 슬러지의 건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이송장치{Sludge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슬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1차 밀폐된 증발기로부터 공기압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챔버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챔버로 유입된 슬러지를 공기압에 의해 2차 밀폐된 증발기로 이송되어 다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일반쓰레기 및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산업쓰레기는 수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손쉽게 소각 처리시킨 후 매립시키나, 하수처리에서 발생된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는 다량 함유되어 있는 수분으로 인해 소각이 어려워 이러한 슬러지의 탈수, 건조, 소각 등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슬러지 소각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수슬러지를 소각 또는 퇴비화하기 위한 슬러지 소각은 슬러지를 수분함량이 75%이하로 되도록 탈수시킨 후, 충분한 노출상태 및 건조시간을 제공하는 이송경로를 구비한 건조로를 통과시켜 지정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시키고, 건조된 슬러지를 연료로 활용하여 소각로에서 소각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건조기 및 소각기는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열에 노출시키기 위한 이송경로를 구비하게 되는데, 대부분이 슬러지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다수 의 금속재 컨베이어나 캐터필러를 상하로 배치시켜 일정길이 이상 수평 이동되고 하측으로 소정간격 하강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경사진 경로로 이송시킨다 하더라도 스크류 경로로 이송되거나 중앙축을 중심으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송펌프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경우 슬러지의 회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및 본체 마로로 잔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수명이 3개월 내,외로 단축되어 고정에 어려움이 많으며, 가동율이 많이 떨어져서 운영상 효율성이 많이 떨어진다. 한편, 회분의 고착에 의해 배출 이송관 내부의 공간이 줄어들면서 이송압력의 상승에 따른 이송펌프의 과부하가 발생되어 고장의 원인이 된다
상기한 원인을 해결하고 공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밀폐용기에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와 레벨스위치를 부착하여 이 기구들을 연속공정에 잘맞게 기능을 발휘시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기존 기술에서는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밀폐용기에서 탈수케이크 및 협작물처리기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케익 또는 협잡물을 슬러지 밀폐저장용기에 모은 다음,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배관라인을 통해 지정된 소정의 장소까지 이송시켜주고, 만일 슬러지케익 또는 협작물이 슬러지저장용기의 배출구에 막힐 경우에는 수압과 공압을 동시에 이용하여 막힌 곳을 뚫고 소정의 장소까지 밀어내어 이송시킬 수 있는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밀폐용기가 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점성이 큰 슬러지라도 슬러지 임시수용부 내에서 원활하게 배출되어 슬러지 이송차량의 적재함까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밀폐용기에서 슬러지임시수용부에 밀폐구조를 이루기 위해 밸브가 설치되고 밸브 상부에는 공기주입관과 연계되는 에어분사구가 마련되어 밸브가 개구 될 때 밸브 및 밸브수용프레임부에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단을 갖도록 적용되고,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의 이음연결부에는 소음저감기가 부설되어 소음저감구조를 이루며,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의 후단에 충격방지판 및 공기배출구를 갖는 이송보조장치가 추가되는 구성의 슬러지 밀폐용기가 제시되어 있다.
한편,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탈수기 및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는 물질을 처리하는 협잡물처리기에서 배출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을 모아서 공기를 이용하여 케이크 저장호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밀폐용기 본체와 계량호퍼부와 이송라인과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의 정밀계량을 이루기 위해 밀폐용기 본체 및 지지축 사이에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스프링의 특성이나 중량에 따라 압축되는 유압작기의 특성 중에서 선택되는 제1중량검지부의 감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1중량검지부에서 감지된 중량을 전기판넬에 신호를 보내줘서 연동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근접센서나 광센서 중에서 선택되는 제2중량검지부가 밀폐용기 본체 및 지지축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용기 본체 또는 계량호퍼부의 정밀계량이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용기 본체에서 케이크 저장호퍼로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의 플랜지와 플랜지의 이음부 사이에 탄성의 플렉시블 재질로 제공되는 배관완충재가 원뿔형 컨넥터 형태로 끼워 결합되는 구조로 적용되어 마모 및 부식방지에 대비하고 제1중량검지부의 중량변화에 대응하여 완충기능을 갖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은 슬러지를 공압에 의해 이송되게 이루어진 것이나, 이 또한 배출 이송관로에 고착화되는 회분에 의해 배출 이송관로가 협소해지기 때문에 슬러지의 이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등록특허 제10-0535906호 등록특허 제10-1413256호 등록특허 제10-1733573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한 감압(減壓)에 의해 슬러지를 챔버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챔버 내측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승압(升壓)에 의해 증발기로 이송되게 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급탱크와 하부 이송탱크로 이루어지는 챔버에 설치된 에어실린더에 의해 배출구를 개방시켜 수급탱크에서 하부 이송탱크로 슬러지가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수급탱크에서 이루어지는 승압에 의해 챔버 하부에 설치된 배출 이송관을 통해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감압(減壓)에 의해 증발기로부터 슬러지를 챔버 내측에 형성한 수급탱크로 유입되게 하고, 수급탱크로 유입된 슬러지를 승압(升壓)에 의해 챔버 내측에 형성한 하부 이송탱크로 공급함과 동시에 승압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하부 이송탱크 하부에 설치된 배출 이송관을 통해 증발기로 용하게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챔버는, 내부가 수급탱크와 하부 이송탱크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슬러지가 공급되는 유입구가 수급탱크의 상부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챔버는, 공기의 감압에 의해 슬러지를 수급탱크로 유입시키고, 공기의 승압에 의해 슬러지를 하부 이송탱크 및 증발기로 공급하는 슬러지공급 및 배출관이 구성되며, 상기 슬러지공급 및 배출관은, 슬러지가 챔버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챔버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급탱크의 저면까지 연설되는 복수의 에어실린더가 설치되고, 감압(減壓)에 의해 슬러지가 수급탱크로 유입될 수 있도록 수급탱크에서 공기압이 배출되거나 또는 승압(升壓)에 의해 하부 이송탱크의 슬러지가 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수급탱크로 공기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급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감압밸브 및 승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챔버는, 하부 이송탱크의 내부로 공급된 슬러지가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반기가 더 구성되고, 교반기는,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베벨기어부재와; 슬러지가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벌기어축에 설치되는 교반축과; 교반축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챔버는, 슬러지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이송탱크의 외측 하부쪽에 이중자켓이 구성되고, 상기 이중자켓으로 증기가 투입되어 하부 이송탱크 내의 슬러지가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증기의 투입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이중자켓에 응축수배출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한 감압(減壓)에 의해 슬러지를 챔버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챔버 내측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승압(升壓)에 의해 증발기로 이송되게 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이송펌프의 고장으로 인한 슬러지 건조설비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슬러지의 날림현상을 방지하고, 본 건조방법인 유증건조 방법으로 펌프(Pump)로 이송될 때 기름에 의하여 에멀젼이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급탱크와 하부 이송탱크로 이루어지는 챔버에 설치된 에어실린더가 작동되어 배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승압에 의해 수급탱크에서 하부 이송탱크로 슬러지가 유입될 때 챔버 하부에 설치된 배출 이송관을 통해 슬러지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유입되는 슬러지의 양과 비례하여 배출 이송관으로 배출되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하므로 증발기에서 슬러지의 건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이송펌프에 의해 슬러지를 이송하지 않으므로 슬러지의 회분에 의한 이송펌프의 고장이 발생되지 않고, 잦은 고장으로 인한 이송펌프의 사용기간 단축에 따른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슬러지 건조설비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챔버의 외측에 설치된 이중자켓에 증기를 투입하여 슬러지가 적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증발기에서 슬러지의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급탱크의 하부 쪽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가 슬러지 건조설비에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에어를 감압하여 수급탱크 내부로 슬러지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에어를 승압하여 수급탱크의 슬러지가 하부 이송탱크로 이송되고 동시에 슬러지가 증발기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에어를 승압하여 하부 이송탱크에서 증발기로 슬러지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는 1차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슬러지를 감압(減壓)에 의해 챔버(100) 내측에 형성한 수급탱크(110)로 유입되게 하고, 수급탱크(110)로 유입된 슬러지를 승압(升壓)에 의해 하부 이송탱크(120)로 공급함과 동시에 승압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챔버(100) 하부에 설치된 배출관(121)을 통해 2차 증발기로 용하게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챔버(100)에 교반기(300)와 이중자켓(400)을 설치하여 수급탱크(110)에서 하부 이송탱크(120)로 유입된 슬러지가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이동에 따른 감압(減壓) 및 승압(升壓)에 의해 1차 증발기로부터의 공급 또는 챔버(100)에서 2차 증발기로의 공급이 용이한 것은 물론 회분에 의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가 슬러지 건조설비에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는 챔버(100), 슬러지공급 및 배출관(200), 교반기(300), 이중자켓(4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챔버(100)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다시 하부 이송탱크(120)로 공급하는 수급탱크(110)와, 수급탱크(110)로부터 슬러지를 공급받아 다시 증발기로 공급하는 하부 이송탱크(120)로 구성된다.
상기 수급탱크(110)는 중앙부에 격벽(1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에는 슬러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유입구(111-1)와 제2유입구(112-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이송탱크(120)로 슬러기가 에어의 승압에 의해 투입될 있도록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의 하부에 제1배출구(111-2)와 제2배출구(1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구(111-2)와 제2배출구(112-2)의 하부에는 제1배출관(111-3)과 제2배출관(112-3)이 설치되며, 제1배출관(111-3) 및 제2배출관(112-3)에는 감압(減壓) 또는 승압(升壓)시 에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과 구멍이 형성된 제1배출판(111-4)과 제2배출판(112-4)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 이송탱크(120)는 제1수급탱크(111) 또는 제2수급탱크(112)로부터 동시에 슬러지가 공급되거나 또는 선별적으로 슬러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 하부의 전체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이송탱크(120)는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로부터 슬러지가 승압에 의해 공급될 때 내부의 압력이 같이 상승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이송관(121)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 이송관(12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구부러진 곡관의 형태로 형성되어 슬러지 공급시에 승압되는 압력에 의해 하부 이송탱크(120) 내부에 저장된 슬러지가 배출된다.
상기 슬러지공급 및 배출관(200)은 1차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슬러지를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로 공급할 수 있도록 수급탱크(110)에 슬러지메인공급관(210)이 구성되고, 상기 제1유입구(111-1)와 제2유입구(112-1)와 연결될 수 있도록 슬러지메인공급관(210)에서 제1슬러지공급관(211)과 제2슬러지공급관(213)으로 분기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에 선별적으로 슬러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슬러지공급관(211)과 제2슬러지공급관(213) 상에 제1슬러지공급밸브(212)와 제2슬러지공급밸브(2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슬러지공급관(211)과 제2슬러지공급관(213)을 통해 슬러지를 공급하거나 또는 수급탱크(110)에 저장된 슬러지를 하부 이송탱크(120)로 공급시 수급탱크(110)에 에어를 감압(減壓) 또는 승압(升壓)할 수 있도록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에 제1에어배출및공급관(220a)과 제2에어배출및공급관(220b)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수급탱크(110)로 슬러지를 공급할 때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 내의 공기를 감압 및 승압할 수 있도록 제1에어배출및공급관(220a)과 제2에어배출및공급관(220b) 각각에서 분기되는 에어배출관(221)과 에어공급관(222)이 설치된다.
상기 에어배출관(221)은 제1에어배출관(221a)과 제2에어배출관(221b)으로 이루어져 제1에어배출및공급관(220a)과 제2에어배출및공급관(220b)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에어공급관(223)은 제1에어공급관(223a)과 제2에어공급관(223b)으로 이루어져 제1에어배출및공급관(220a)과 제2에어배출및공급관(220b)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수급탱크(110)를 감압 또는 승압 할 때 에어를 단속할 수 있도록 제1에어배출관(221a)과 제1에어공급관(223a) 및 제2에어배출관(221b)과 제2에어공급관(223b)에 감압밸브(222)와 승압밸브(223)가 설치된다.
상기 감압밸브(222)는 제1감압밸브(222a)와 제2감압밸브(222b)로 이루어져 제1에어배출관(221a)과 제1에어공급관(223a)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승압밸브(223)는 제1승압밸브(224a)와 제2승압밸브(224b)로 이루어져 제2에어배출관(221b)과 제2에어공급관(223b)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수급탱크(110)에 저장된 슬러지를 하부 이송탱크(1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에 제1에어실린더(231)와 제2에어실린더(233)가 설치되며, 상기 제1에어실린더(231)와 제2에어실린더(233)의 작동에 의해 제1수급탱크(111)의 제1배출구(111-2)와 제2수급탱크(112)의 제2배출구(112-2)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의 상부에서 저부 쪽으로 로드가 연결된다.
상기 제1에어실린더(231)와 제2에어실린더(233)에는 제1실린더디스크(232)와 제2실린더디스크(234)가 구성되고, 상기 제1실린더디스크(232)와 제2실린더디스크(234)는 제1에어실린더(231)의 로드와 제2에어실린더(233)의 로드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배출판(111-4)과 제2배출판(112-4)에 형성된 구멍을 폐쇄 또는 개방하여 슬러지의 공급 또는 차단한다.
상기 교반기(300)는 하부 이송탱크(120)의 내부로 공급된 슬러지가 회분에 의해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챔버(100)의 수급탱크(110) 일측에 모터(310)가 설치되고, 베벨기어부재(32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모터(310)와 연결되어 수급탱크(110)의 내부로 회전축(311)이 연설되며, 모터(31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모터(310)의 회전축(311)과 베벨기어부재(320)가 연결되고, 상기 베벨기어부재(320)를 통해 전달되는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슬러지가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벌기어축(321)에 교반축(331)이 결합되며, 하부 이송탱크(120)의 내측에 저장되는 슬러지가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반축(331)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교반하는 교반날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중자켓(400)은 하부 이송탱크(120)의 하부 쪽과 측면에 걸쳐서 설치되어 하부 이송탱크(120) 내부에 저장되는 슬러지의 온도가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증기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증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이중자켓(400)에 응축수배출관(41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의 작용을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에어를 감압하여 수급탱크 내부로 슬러지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에어를 승압하여 수급탱크의 슬러지가 하부 이송탱크로 이송되고 동시에 슬러지가 증발기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에어를 승압하여 하부 이송탱크에서 증발기로 슬러지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로 이루어지는 수급탱크(110)에 슬러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슬러지메인공급관(210)에서 분기된 제1슬러지공급관(211)과 제2슬러지공급관(213)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슬러지공급밸브(212)와 제2슬러지공급밸브(214)를 개방함과 동시에 제1감압밸브(222a)와 제2감압밸브(222b)를 열어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 내부에서 감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 내부에서 감압이 이루어지면 제1슬러지공급관(211)과 제2슬러지공급관(213)을 통해 슬러지가 유입된다.
상기에서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로 슬러지의 공급은 제1슬러지공급밸브(212)와 제2슬러지공급밸브(214)를 모두 열어 슬러지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슬러지공급밸브(212)와 제2슬러지공급밸브(214)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여 선별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수급탱크(111) 또는 제2수급탱크(112)에 설치된 제1에어실린더(231)와 제2에어실린더(233)가 제1배출구(111-2)와 제2배출구(112-2)를 막고 있기 때문에 하부 이송탱크(120)의 공기가 제1수급탱크(111) 또는 제2수급탱크(112)로 유입되지 못해 감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로 인하여 감압에 의한 슬러지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에어실린더(231)와 제2에어실린더(233)가 제1수급탱크(111) 또는 제2수급탱크(112)의 하부에 형성한 제1배출구(111-2)와 제2배출구(112-2)를 막고 있어 하부 이송탱크(120)로 슬러지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수급탱크(111) 또는 제2수급탱크(112)로 적정량의 슬러지가 유입되면, 제1감압밸브(222a)와 제2감압밸브(222b)를 조작하여 제1에어배출관(221a)과 제2에어배출관(221b)으로 제1수급탱크(111) 또는 제2수급탱크(112)의 감압을 차단되도록 함과 동시에 에어감압/승압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1수급탱크(111) 또는 제2수급탱크(112)로 유입된 슬러지를 하부 이송탱크(120)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제1승압밸브(224a)와 제2승압밸브(224b)를 열어 에어감압/승압장치에 의해 제1에어공급관(223a)과 제2에어공급관(223b)으로 에어가 공급되어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 내부에 승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 내부에 승압이 이루어지면 이와 동시에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의 하부에 형성된 제1배출구(111-2)와 제2배출구(112-2)를 통해 슬러지가 이송될 수 있도록 제1에어실린더(231)와 제2에어실린더(233)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1에어실린더(231)와 제2에어실린더(233)의 작동에 의해 제1배출판(111-4)과 제2배출판(112-4)에 형성된 구멍을 개방하여 하부 이송탱크(120)의 내부로 슬러지가 승압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슬러지가 하부 이송탱크(120)로 유입되면, 하부 이송탱크(120)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교반날개(330)가 회전하면서 술러지가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 이송탱크(120)의 외주연에 설치된 이중자켓(400)으로 유입되는 증기에 의해 슬러지가 적정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를 에어에 의해 승압이 이루어지면서 제1에어실린더(231)와 제2에어실린더(233)에 의해 제1배출구(111-2)와 제2배출구(112-2)가 개방되면,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의 승압력이 하부 이송탱크(120)의 내부까지 전달되고, 그로 인하여 먼저 유입된 슬러지는 하부 이송탱크(120)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 이송관(121)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증발기로 공급된다.
상기에서는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에서 동시에 슬러지가 하부 이송탱크(120)로 이송되는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제1수급탱크(111) 또는 제2수급탱크(112)에 저장된 슬러지를 개별적으로 하부 이송탱크(1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수급탱크(111)와 제2수급탱크(112)로 슬러지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하부 이송탱크(120)에 저장된 슬러지를 배출 이송관(121)을 통해 증발기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한 감압(減壓)에 의해 슬러지를 챔버(100)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챔버(100) 내측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승압(升壓)에 의해 증발기로 이송되게 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이송펌프의 고장으로 인한 슬러지 건조설비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2수급탱크(111, 112)를 포함하는 수급탱크(110)와 하부 이송탱크(120)로 이루어지는 챔버(100)에 설치된 제1, 제2에어실린더(231, 233)에 의해 수급탱크(110)에서 하부 이송탱크(120)로 슬러지를 이송시키기 위해 승압이 이루어지면 동시에 하부 이송탱크(120)에 저장된 슬러지가 배출 이송관(121)을 통해 배출되므로 슬러지의 공급량을 조절하기가 용이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고안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고안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챔버 110:수급탱크
111: 제1수급탱크 111-1: 제1유입구
111-2: 제1배출구 111-3: 제1배출관
111-4: 제1배출판 112: 제2수급탱크
112-1: 제2유입구 112-2: 제2배출구
112-3: 제2배출관 112-4: 제2배출판
120: 하부 이송탱크 121: 배출 이송관
200: 슬러지공급 및 배출관 210: 슬러지메인공급관
211: 제1슬러지공급관 212: 제1슬러지공급밸브
213: 제2슬러지공급관 214: 제2슬러지공급밸브
220a: 제1에어배출및공급관 220b: 제2에어배출및공급관
221: 에어배출관 221a: 제1에어배출관
221b: 제2에어배출관 222: 감압밸브
222a: 제1감압밸브 222b: 제2감압밸브
223: 에어공급관 223a: 제1에어공급관
223b: 제2에어공급관 224: 승압밸브
224a: 제1승압밸브 224b: 제2승압밸브
230: 에어실린더 231: 제1에어실린더
232: 제1실린더디스크 233: 제2에어실린더
234: 제2실린더디스크 300: 교반기
310:모터 311: 회전축 320: 베벨기어부재
321: 베벨기어축 330: 교반날개
331: 교반축 400: 이중자켓
410: 응수구배출관

Claims (5)

  1. 감압(減壓)에 의해 증발기로부터 슬러지를 챔버(100) 내측에 형성한 수급탱크(110)로 유입되게 하고, 수급탱크(110)로 유입된 슬러지를 승압(升壓)에 의해 챔버(100) 내측에 형성한 하부 이송탱크(120)로 공급함과 동시에 승압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하부 이송탱크(120) 하부에 설치된 배출 이송관(121)을 통해 증발기로 용하게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는,
    내부가 수급탱크(110)와 하부 이송탱크(120)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슬러지가 공급되는 유입구가 수급탱크(110)의 상부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는,
    공기의 감압에 의해 슬러지를 수급탱크(110)로 유입시키고, 공기의 승압에 의해 슬러지를 하부 이송탱크(120) 및 증발기로 공급하는 슬러지공급 및 배출관(200)이 구성되며,
    상기 슬러지공급 및 배출관(200)은,
    슬러지가 챔버(1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챔버(10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급탱크(110)의 저면까지 연설되는 복수의 에어실린더(230)가 설치되고,
    감압(減壓)에 의해 슬러지가 수급탱크(1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수급탱크(110)에서 공기압이 배출되거나 또는 승압(升壓)에 의해 하부 이송탱크(120)의 슬러지가 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수급탱크(110)로 공기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급탱크(110)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감압밸브(222) 및 승압밸브(2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는,
    하부 이송탱크(120)의 내부로 공급된 슬러지가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반기(300)가 더 구성되고,
    교반기(300)는, 챔버(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310)와;
    모터(310)의 회전축(311)과 연결되어 회전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베벨기어부재(320)와;
    슬러지가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벌기어축(321)에 설치되는 교반축(331)과;
    교반축(331)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교반하는 교반날개(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는,
    슬러지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이송탱크(120)의 외측 하부쪽에 이중자켓(400)이 구성되고,
    상기 이중자켓(400)으로 증기가 투입되어 하부 이송탱크(120) 내의 슬러지가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증기의 투입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이중자켓(400)에 응축수배출관(4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KR1020200140471A 2020-10-27 2020-10-27 슬러지 이송장치 KR102414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471A KR102414646B1 (ko) 2020-10-27 2020-10-27 슬러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471A KR102414646B1 (ko) 2020-10-27 2020-10-27 슬러지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908A true KR20220055908A (ko) 2022-05-04
KR102414646B1 KR102414646B1 (ko) 2022-06-29

Family

ID=8158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471A KR102414646B1 (ko) 2020-10-27 2020-10-27 슬러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6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906B1 (ko) 2004-03-29 2005-12-12 이태경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100813467B1 (ko) * 2006-10-12 2008-03-13 삼창기업 주식회사 산업유기성 슬러지 처리를 위한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
KR101224425B1 (ko) * 2012-06-29 2013-01-21 (주)클레버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256B1 (ko) 2013-02-28 2014-06-27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
KR101733573B1 (ko) 2016-12-30 2017-05-10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906B1 (ko) 2004-03-29 2005-12-12 이태경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100813467B1 (ko) * 2006-10-12 2008-03-13 삼창기업 주식회사 산업유기성 슬러지 처리를 위한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
KR101224425B1 (ko) * 2012-06-29 2013-01-21 (주)클레버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256B1 (ko) 2013-02-28 2014-06-27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
KR101733573B1 (ko) 2016-12-30 2017-05-10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646B1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226B1 (ko) 슬러지 처리용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0308407B1 (ko) 폐수 슬러지 탈수 건조 시스템
KR102414646B1 (ko) 슬러지 이송장치
KR101615674B1 (ko) 건조 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100823999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101189158B1 (ko) 건조슬러지를 재순환시키는 슬러지 처리 설비
KR100836664B1 (ko) 송풍기의 폐열을 열풍으로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슬러지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1748572B1 (ko) 진공력을 이용한 폐슬러지 밀폐 이송 정량 공급 시스템
KR101008516B1 (ko)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KR101071324B1 (ko) 마찰력 저감과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KR200204010Y1 (ko)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배출장치
US4233155A (en) Apparatuses for the anaerobic digestion of natural organic waste
KR20030072873A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
KR20150027038A (ko) 가압유동로 시스템의 불순물의 반송 방법
KR101999357B1 (ko) 정비배관내 잔류유체 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KR101524856B1 (ko) 건조 장치
KR101732695B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217092970U (zh) 半干污泥调质处理系统
CN208166829U (zh) 一种桨叶式污泥干燥装置
KR20110060647A (ko) 다기능 분사장치가 구비된 패들 및 디스크형 슬러지 건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방법
KR100493739B1 (ko)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JPH11165193A (ja) 脱水汚泥の移送システム
KR20210088393A (ko) 슬러지 저장조에 저장된 슬러지 이송 배출용 스크류 컨베이어
KR100331894B1 (ko) 체인 컨베어 타입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는 오수의 슬러지이송장치
CN218968269U (zh) 一种污泥干化炭化撬装设备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