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516B1 -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516B1
KR101008516B1 KR1020100108006A KR20100108006A KR101008516B1 KR 101008516 B1 KR101008516 B1 KR 101008516B1 KR 1020100108006 A KR1020100108006 A KR 1020100108006A KR 20100108006 A KR20100108006 A KR 20100108006A KR 101008516 B1 KR101008516 B1 KR 10100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orption liquid
backflow prevention
gas backflow
desorp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철
Original Assignee
변상철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상철, (주)이화에코시스템 filed Critical 변상철
Priority to KR102010010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 B04B15/04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for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83Configuration of liquid outlet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는 탈리액과 탈리액이 배출된 탈수 케이크(Cake)로 고상분리하는 원심탈수기에서 배출된 탈리액을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 이송되도록 하는 탈리액 배출라인(3) 상에 설치되며, 탈리액 유입챔버(11)와, 유입된 탈리액을 집수조나 탈리액 저류조로 배출하는 탈리액 배출챔버(12)와, 탈리액 유입챔버(11)와 탈리액 배출챔버(12)를 연통시키는 배출공(13a)이 형성된 격벽(13)이 구비된 함체(10);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유입된 탈리액을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로(20); 탄성재질로 되며,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격벽(13)에 고정되며, 외측 테두리부분이 상기 배출관로(20)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배출관로(20)를 개폐시키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로(20)를 폐쇄시켜 부식성가스가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REVERSE FLOW OF CORROSIVE GAS IN CENTRIFUGAL DEHYDRATOR}
본 발명은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탈수기 운전 시 슬러지에서 분리된 탈리액이 이송되는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부터 탈리액에 함유된 유기물의 부패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식성가스가 원심탈수기 정지 시 원심탈수기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심탈수기 내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는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장, 공장 폐수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하, 폐수 중에 잉여 슬러지는 농축공정과 탈수공정을 거쳐서 최대로 수분을 제거한 후 슬러지 양을 최소화시켜 수분이 제거된 탈수케익은 폐기물 하치장에 적재하여 매립, 소각,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때, 농축공정을 거친 슬러지는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물리적인 압축력에 의해 농축, 탈수되도록 하는 원심탈수기에 주입하여 탈리액과 탈수케익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탈리액은 배관을 통하여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 이송된다.
분리된 탈리액에는 유기물이 함유되어 있어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에서 이러한 유기물의 부패로 인하여 유화수소(H2S), 아황산가스(SO2) 등 부식성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식성 가스는 원심탈수기 정지 시 원심탈수기 내부로 역류하게 되어 스크류컨베이어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과 스크류컨베이어의 축 및 스크류를 부식시켜 원심탈수기의 수명단축은 물론 소음 및 회전불능 등의 고장원인과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에 의한 압축력이 저하되어 탈수효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탈리액의 분리가 원활하게 되지 않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에서 유기물 부패로 인하여 발생된 부식성 가스가 원심탈수기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탈수기 운전 시 슬러지에서 분리된 탈리액이 이송되는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부터 탈리액에 함유된 유기물의 부패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식성가스가 원심탈수기 정지 시 원심탈수기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심탈수기 내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여 원심탈수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탈리액의 분리가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는 나선형 스크류가 구비된 스크류 피더(1)의 회전으로 슬러지를 압착 탈수하며 스크류 피더(1)의 외부에 구비된 스크린(2)으로 배출되는 탈리액과 탈리액이 배출된 탈수 케이크(Cake)로 고상분리하는 원심탈수기(4)에서 배출된 탈리액을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 이송되도록 하는 탈리액 배출라인(3) 상에 설치되며, 상기 탈리액 배출라인(3)으로 배출된 탈리액을 수용하는 탈리액 유입챔버(11)와,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부터 탈리액이 유입되며 유입된 탈리액을 상기 집수조나 탈리액 저류조로 배출하는 탈리액 배출챔버(12)와, 내부가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와 탈리액 배출챔버(12)로 구획되도록 하며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와 탈리액 배출챔버(12)를 연통시키는 배출공(13a)이 형성된 격벽(13)이 구비된 함체(10); 상기 격벽(13)의 배출공(13a)에 결합되어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유입된 탈리액을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로(20); 탄성재질로 되며,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격벽(13)에 고정되며, 외측 테두리부분이 상기 배출관로(20)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유입된 탈리액의 자중에 의해 젖혀져 상기 배출관로(20)를 개방시켜 탈리액을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로 배출시키고,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 내의 탈리액 배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로(20)를 폐쇄시켜 상기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부터 탈리액에 함유된 유기물의 부패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식성가스가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로(20)는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에 위치한 배출측 단부가 하부에서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 방향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21)이 형성되고,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외측 테두리부분이 상기 경사면(21)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변형을 방지하며, 자중에 의해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상기 배출관로(20)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보조플레이트(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플레이트(40)를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에 볼트결합시키기 위한 볼트체결용 환형 플레이트(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의 상부에는 유입된 탈리액에 용수를 분사하여 탈리액 유입시 형성된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 제거노즐(1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은 합성고무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는 원심탈수기 운전 시 슬러지에서 분리된 탈리액이 이송되는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부터 탈리액에 함유된 유기물의 부패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식성가스가 원심탈수기 정지 시 원심탈수기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심탈수기 내 부품, 특히, 스크류컨베이어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과 스크류컨베이어의 축 및 스크류 등의 부식을 방지하여 원심탈수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압착력이 저하되지 않아 탈리액의 분리가 원활하게 되어 효과적인 고액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가 설치된 원심탈수기의 정지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가 설치된 원심탈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탈리액 유입챔버에 설치된 거품 제거노즐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가 설치된 원심탈수기의 정지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가 설치된 원심탈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탈리액 유입챔버에 설치된 거품 제거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는, 탈리액과 탈리액이 배출된 탈수 케이크(Cake)로 고상분리하는 원심탈수기에서 배출된 탈리액을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 이송되도록 하는 탈리액 배출라인(3) 상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부터 이송된 탈리액에 함유된 유기물의 부패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식성가스가 원심탈수기(4)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원심탈수기(4)는 나선형 스크류가 구비된 스크류 피더(1)의 회전으로 슬러지를 압착 탈수하며 스크류 피더(1)의 외부에 구비된 스크린(2)으로 배출되는 탈리액과 탈리액이 배출된 탈수 케이크(Cake)로 고상분리하는 것으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 원심탈수기(4)는 고상분리된 탈리액을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 이송되도록 하는 탈리액 배출라인(3)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는 상기 탈리액 배출라인(3) 상에 설치되며, 부식성가스가 원심탈수기(4)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여 원심탈수기 내 부품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원심탈수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탈리액의 분리가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100)가 구비된다.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100)는 탈리액 유입챔버(11)와, 유입된 탈리액을 집수조나 탈리액 저류조로 배출하는 탈리액 배출챔버(12)와, 탈리액 유입챔버(11)와 탈리액 배출챔버(12)를 연통시키는 배출공(13a)이 형성된 격벽(13)이 구비된 함체(10);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유입된 탈리액을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로(20); 탄성재질로 되며,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격벽(13)에 고정되며, 외측 테두리부분이 상기 배출관로(20)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배출관로(20)를 개방시켜 탈리액을 배출시키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로(20)를 폐쇄시켜 부식성가스가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함체(10)는 상기 탈리액 배출라인(3)으로 배출된 탈리액을 수용하는 탈리액 유입챔버(11)와,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부터 탈리액이 유입되며 유입된 탈리액을 상기 집수조나 탈리액 저류조(5)로 배출하는 탈리액 배출챔버(12)가 구비되며,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와 탈리액 배출챔버(12)는 격벽(13)으로 구획된다. 상기 함체(10)에는 상기 탈리액 배출라인(3)으로 배출된 탈리액을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유입되도록 하는 탈리액 유입구(10a)와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로부터 상기 집수조나 탈리액 저류조(5)로 탈리액을 배출하는 탈리액 배출구(10b)가 구비된다.
상기 격벽(13)에는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와 탈리액 배출챔버(12)를 연통시키는 배출공(13a)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3a)에는 배출관로(20)가 결합된다.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의 상부에는 용수가 유입되는 용수유입관로(15)와, 유입된 탈리액에 상기 용수유입관로(15)로 유입된 용수를 분사하여 탈리액 유입시 형성된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 제거노즐(14)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상기 배출관로(20)는 상기 격벽(13)의 배출공(13a)에 결합되어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유입된 탈리액을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관로(20)의 배출측 단부에는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이 설치되며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은 상기 배출관로(20)를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은 탄성재질로 되며,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에 구비된다.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격벽(13)에 고정되며, 외측 테두리부분이 상기 배출관로(20)의 단부와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관로(20)의 단부와 접한 상태에서 원심탈수기 운전 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유입된 탈리액의 자중에 의해 젖혀져 상기 배출관로(20)를 개방시켜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유입된 탈리액을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로 배출시키고,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 내의 탈리액 배출 후 원심탈수기 정지 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로(20)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렇게 탈리액 배출 후 원심탈수기 정지 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로(20)를 폐쇄시키게 되면 상기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부터 탈리액에 함유된 유기물의 부패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식성가스가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로(20)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부식성가스가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면, 결국 원심탈수기(4) 내부로 부식성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원심탈수기 내 부품, 특히, 스크류컨베이어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과 스크류컨베이어의 축 및 스크류 등의 부식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원심탈수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탈리액의 분리가 원활하게 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일측 단부를 격벽(13)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격벽(13)에 고정되는 고정부(16)가 구비되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일측 단부를 상기 고정부(16)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판(17)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판(17)을 상기 고정부(16)에 나사 또는 볼트로 결합시켜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일측 단부를 고정시킨다.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은 합성고무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며, 내식성을 갖는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예로는 테프론 고무, 부틸 고무, 크로로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배출관로(20)의 단부는 관로와 수직면을 가질 수 있으나, 잦은 탈리액 배출에 의해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이 상기 배출관로(20)와 접하는 테두리 부분에 틈새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외측 테두리부분이 상기 배출관로(20)와 접하게 될 때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접하여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관로(20)는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에 위치한 배출측 단부가 하부에서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 방향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2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외측 테두리부분이 상기 경사면(21)과 접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잦은 개폐 작동으로 인해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이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배출관로(20)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변형을 방지하며, 자중에 의해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이 상기 배출관로(20)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조플레이트(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보조플레이트(40)는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변형을 방지하고 자중에 의해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상기 배출관로(20)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조플레이트(40)를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잦은 개폐작동에 의해 상기 보조플레이트(40)와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이 서로 이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플레이트(40)와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과의 결합은 볼트결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플레이트(40)를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에 볼트결합시키기 위한 볼트체결용 환형 플레이트(50)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보조플레이트(40)와 상기 볼트체결용 환형 플레이트(50)는 내식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스크류 피더 2: 스크린
3: 탈리액 배출라인 4: 원심탈수기
100: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10: 함체
11: 탈리액 유입챔버 12: 탈리액 배출챔버
13: 격벽 13a: 배출공
14: 거품 제거노즐 20: 배출관로
21: 경사면 30: 부식가스 역류방지판
40: 보조플레이트 50: 볼트체결용 환형 플레이트

Claims (6)

  1. 나선형 스크류가 구비된 스크류 피더(1)의 회전으로 슬러지를 압착 탈수하며 스크류 피더(1)의 외부에 구비된 스크린(2)으로 배출되는 탈리액과 탈리액이 배출된 탈수 케이크(Cake)로 고상분리하는 원심탈수기(4)에서 배출된 탈리액을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 이송되도록 하는 탈리액 배출라인(3) 상에 설치되며,
    상기 탈리액 배출라인(3)으로 배출된 탈리액을 수용하는 탈리액 유입챔버(11)와,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부터 탈리액이 유입되며 유입된 탈리액을 상기 집수조나 탈리액 저류조로 배출하는 탈리액 배출챔버(12)와, 내부가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와 탈리액 배출챔버(12)로 구획되도록 하며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와 탈리액 배출챔버(12)를 연통시키는 배출공(13a)이 형성된 격벽(13)이 구비된 함체(10);
    상기 격벽(13)의 배출공(13a)에 결합되어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유입된 탈리액을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로(20);
    탄성재질로 되며,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격벽(13)에 고정되며, 외측 테두리부분이 상기 배출관로(20)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유입된 탈리액의 자중에 의해 젖혀져 상기 배출관로(20)를 개방시켜 탈리액을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로 배출시키고,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 내의 탈리액 배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로(20)를 폐쇄시켜 상기 집수조나 탈리액저류조로부터 탈리액에 함유된 유기물의 부패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식성가스가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로(20)는 상기 탈리액 배출챔버(12)에 위치한 배출측 단부가 하부에서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 방향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21)이 형성되고,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외측 테두리부분이 상기 경사면(21)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변형을 방지하며, 자중에 의해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상기 배출관로(20)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보조플레이트(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플레이트(40)를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에 볼트결합시키기 위한 볼트체결용 환형 플레이트(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액 유입챔버(11)의 상부에는 유입된 탈리액에 용수를 분사하여 탈리액 유입시 형성된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 제거노즐(1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가스 역류방지판(30)은 합성고무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KR1020100108006A 2010-11-02 2010-11-02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KR101008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006A KR101008516B1 (ko) 2010-11-02 2010-11-02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006A KR101008516B1 (ko) 2010-11-02 2010-11-02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516B1 true KR101008516B1 (ko) 2011-01-14

Family

ID=4361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006A KR101008516B1 (ko) 2010-11-02 2010-11-02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5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283B1 (ko) 2016-09-30 2017-02-02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에너지절감 디칸터형 원심탈수기
KR101858433B1 (ko) * 2018-02-05 2018-05-16 (주)이화에코시스템 원심탈수기의 부식성 가스 역류방지장치
KR20180081315A (ko) 2017-01-06 2018-07-16 이세호 워터추진식 유압원심탈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026B1 (ko) 2005-06-27 2006-09-26 주식회사 로얄정공 슬러지 케익토출 슈트에 누수방지 장치가 부착된원심탈수기
KR100721258B1 (ko) 2005-12-15 2007-05-23 유명기 원심력과 필터를 이용한 이물질 여과장치
KR100945273B1 (ko) 2009-09-30 2010-03-03 정용원 고농도 유기폐수의 원심 농축장치
JP2010094611A (ja) 2008-10-17 2010-04-30 Nishihara Environment Technology Inc 回転式固液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026B1 (ko) 2005-06-27 2006-09-26 주식회사 로얄정공 슬러지 케익토출 슈트에 누수방지 장치가 부착된원심탈수기
KR100721258B1 (ko) 2005-12-15 2007-05-23 유명기 원심력과 필터를 이용한 이물질 여과장치
JP2010094611A (ja) 2008-10-17 2010-04-30 Nishihara Environment Technology Inc 回転式固液分離装置
KR100945273B1 (ko) 2009-09-30 2010-03-03 정용원 고농도 유기폐수의 원심 농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283B1 (ko) 2016-09-30 2017-02-02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에너지절감 디칸터형 원심탈수기
KR20180081315A (ko) 2017-01-06 2018-07-16 이세호 워터추진식 유압원심탈수기
KR101858433B1 (ko) * 2018-02-05 2018-05-16 (주)이화에코시스템 원심탈수기의 부식성 가스 역류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2565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осушитель бурового шлама
KR101008516B1 (ko) 원심탈수기의 부식가스 역류방지장치
KR101545546B1 (ko) 슬러지농축기
KR100526441B1 (ko)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
RU2310497C1 (ru) Способ модернизации сепарационного узла газового и сепаратор газовый
KR200440020Y1 (ko) 진공식 고액분리기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1858433B1 (ko) 원심탈수기의 부식성 가스 역류방지장치
CN111925085B (zh) 一种适用于重质底油泥、清罐油泥的油污泥处理方法
CN208500720U (zh) 脱水污泥储存输送干化卸料及尾气处理设备
KR20160024993A (ko) 배수 처리 설비
CN202724826U (zh) 一种旋转式滤盘固液分离设备
CN106586320B (zh) 一种可实现焦炭与水分离的卸料装置及方法
KR100628026B1 (ko) 슬러지 케익토출 슈트에 누수방지 장치가 부착된원심탈수기
CN110921879A (zh) 一种生活废水处理系统及方法
CN220449832U (zh) 一种湿法脱硫后回流水装置
CN219308193U (zh) 一种单组滤芯清洗设备
CN208184690U (zh) 一种土木工程钻井用多管头排渣管道
CN218230241U (zh) 一种含盐废水处理回用装置
CN217868500U (zh) 一种自清洁机构的屠宰废水处理设备
KR102414646B1 (ko) 슬러지 이송장치
CN214286801U (zh) 新型油水分离罐
CN219879226U (zh) 一种油泥分离装置
CN220546629U (zh) 一种高浓度悬浮物污水处理过滤器
CN220078694U (zh) 一种用于电镀废水回收的储存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