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739B1 -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739B1
KR100493739B1 KR1020040038819A KR20040038819A KR100493739B1 KR 100493739 B1 KR100493739 B1 KR 100493739B1 KR 1020040038819 A KR1020040038819 A KR 1020040038819A KR 20040038819 A KR20040038819 A KR 20040038819A KR 100493739 B1 KR100493739 B1 KR 100493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rushing
contaminants
container
upp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남
신영길
김은석
Original Assignee
신영길
권경남
김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길, 권경남, 김은석 filed Critical 신영길
Priority to KR102004003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20Sickle-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2201/063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오수 및 폐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탈수케익이나 슬러지와 같은 협잡물(挾雜物)들을 파쇄한 후 이송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용기의 내부에서 협잡물을 파쇄한 후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저장용기로 신속하게 이송시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이송설비의 간소화로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장의 환경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11)의 상부에는 덮개(12)가 장착되고, 용기(11)의 상부 일측에는 협잡물 투입구(13)가 형성된 상부탱크(10)와; 상부탱크(10)의 하부에 장착된 원통형 용기(21)의 하부에는 배출관(22)이 접속된 하부탱크(20)와; 상기 덮개(12)에 장착된 모터(34)의 회전축(34a)은 덮개(12)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탱크(10)의 바닥에 이르도록 장착되고, 회전축(34a)의 중앙과 하부에는 제1파쇄날(31)과 제2파쇄날(32)이 장착되며, 상부탱크(10)의 내측면에는 제1파쇄날(31)들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33)들을 갖는 가이드(33a)가 장착된 파쇄부(30)와; 상부탱크(10)와 하부탱크(20)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41)를 통해 삽입된 개폐판(42)은 실린더(43)의 피스톤로드(43a)에 장착되어 작동되면서 상,하부탱크(10)(20)들 사이가 막혀지도록 하고 열려지도록 하는 개폐부(40)와; 상기 하부탱크(20)에는 공기 공급관(50)이 접속되어 하부탱크(20)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하부탱크(20)에 저장된 협잡물들을 하부의 배출관(22)을 통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an adulteration crusher and transfer system}
본 발명은 각종 오수 및 폐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탈수케익이나 슬러지와 같은 협잡물(挾雜物)들을 파쇄한 후 이송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용기의 내부에서 협잡물을 파쇄한 후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저장용기로 신속하게 이송시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이송설비의 간소화로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장의 환경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오수 및 폐수처리장에서는 오수 및 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협잡물을 침전시켜 분리하고 탈수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탈수케익이나 슬러지로 형성된 각종 협잡물 덩어리를 파쇄시킨 후 컨베이어장치를 통해 이송하여 별도의 저장용기에 보관하였다가 법정 폐기물로 지정되어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의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장치는 덩어리 상태인 협잡물을 파쇄기에 투입하여 파쇄시킨 후 컨베이어 시스템과 같은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저장용기로 이송해야 하는 것이므로 파쇄시킨 협잡물이 컨베이어에 낙하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됨에 따라 작업장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악취가 심한 경우에는 처리장의 인근 주민들에게까지 피해를 주게되어 민원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컨베이어장치에는 구동모터, 벨트, 롤러 및 이송용 스크류 등이 장착되어 전체적인 장치가 복잡하면서도 부피가 크게 형성될 뿐 아니라 파쇄장치에서 저장용기에 이르기까지 여러대의 컨베이어를 수평 및 경사를 이루도록 연속 설치해야 하는 것이므로 결국 장소를 많이 차지하게되어 장치를 설치하는데 넓은 면적을 확보해야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밀폐된 용기의 내부에서 협잡물을 파쇄한 후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저장용기로 신속하게 이송시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이송설비의 간소화로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장의 환경개선을 이룰 수 있는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11)의 상부에는 덮개(12)가 장착되고, 용기(11)의 상부 일측에는 협잡물 투입구(13)가 형성된 상부탱크(10)와; 상부탱크(10)의 하부에 장착된 원통형 용기(21)의 하부에는 배출관(22)이 접속된 하부탱크(20)와; 상기 덮개(12)에 장착된 모터(34)의 회전축(34a)은 덮개(12)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탱크(10)의 바닥에 이르도록 장착되고, 회전축(34a)의 중앙과 하부에는 제1파쇄날(31)과 제2파쇄날(32)이 각각 장착된 파쇄부(30)와; 상부탱크(10)와 하부탱크(20)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41)를 통해 삽입된 개폐판(42)은 실린더(43)의 피스톤로드(43a)에 장착되어 작동되면서 상, 하부탱크(10)(20)들 사이가 막혀지도록 하고 열려지도록 하는 개폐부(40)와; 상기 하부탱크(20)에는 공기 공급관(50)이 접속되어 하부탱크(20)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하부탱크(20)에 저장된 협잡물을 하부의 배출관(22)을 통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에 있어서.상기 하부탱크(20)의 내부에는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식의 안내관(23)이 장착되고, 폭이 좁은 안내관(23)의 하부에 배출관(22)이 접속되어 협잡물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파쇄날(31)들은 회전축(34a)의 중앙 사방에서 방사형으로 장착된 지지프레임(31a)의 선단에서 복수의 제1파쇄날(31)들이 다단으로 장착되고, 상부탱크(10)의 내측면에는 제1파쇄날(31)들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33)들을 갖는 가이드(33a)가 장착되며, 상기 제2파쇄날(32)은 회전축(34a)의 하부에 고정된 회전판(32a)의 외주연부에서 연속으로 돌출 되어 방사형으로 장착되고, 각각의 제2파쇄날(32)들은 상부 및 하부로 교대로 절곡 형성되며, 상부로 절곡된 제2파쇄날(32)은 15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하고, 하부로 절곡된 제2파쇄날(32)은 10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부탱크(1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11)의 상부에는 덮개(12)가 장착되어 있고, 용기(11)의 상부 일측에는 협잡물 투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탱크(10)의 하부에는 하부탱크(20)가 장착되어 있고, 하부탱크(20)도 원통형 용기(21)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기(21)의 하부에는 배출관(22)이 접속되어 파쇄된 협잡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하부탱크(20)의 내부에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식의 안내관(23)을 장착하고, 폭이 좁은 안내관(23)의 하부에 배출관(22)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안내관(23)에 의하여 협잡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하부탱크(20)의 내부에 협잡물이 잔류되는 등의 폐단이 방지되어 협잡물들의 전량을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12)에는 모터(34)가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고, 모터(34)의 회전축(34a)은 덮개(12)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탱크(10)의 바닥에 이르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4a)의 중앙 사방에는 지지프레임(31a)이 방사형으로 장착되어 있고, 지지프레임(31a)의 선단에는 복수의 제1파쇄날(31)들이 다단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4a)의 하부에는 제2파쇄날(32)이 장착되어 있고, 제2파쇄날(32)은 회전축(34a)의 하부에 고정된 회전판(32a)의 외주연부에서 연속으로 돌출되어 방사형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파쇄날(32)들은 상부 및 하부를 향하여 교대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제2파쇄날(32)들 중에서 상부로 절곡된 제2파쇄날(32)은 15。의 경사를 이루도록 하고, 하부로 절곡된 제2파쇄날(32)은 10。의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협잡물의 원활한 교반과 함께 상부탱크(10)의 바닥에 장착된 개폐판(42)에 협잡물이 퇴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탱크(10)의 내측면 사방에는 가이드홈(33)들이 형성된 가이드(33a)들이 장착되어 있고, 가이드홈(33)들에는 제1파쇄날(31)들이 회전되면서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협잡물의 파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은 제1,2파쇄날(31)(32)들이 회전되면서 협잡물을 교반하는 한편 효과적인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쇄부(30)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탱크(10)와 하부탱크(20)의 사이에는 틈새(41)가 형성되어 있고, 별도의 개폐판(42)이 틈새(41)를 통해 삽입되어 상,하부탱크(10)(20)들 사이가 막혀지도록 하거나 열려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42)은 별도의 지지대(44)에 장착된 실린더(43)의 피스톤로드(43a)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은 개폐판(42)이 실린더(43)의 동력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상,하부탱크(10)(20)들 사이를 개폐시키는 개폐부(40)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탱크(20)의 상,하부에는 공기 공급관(50)들이 접속되어 있고, 공기 공급관(50)들은 공기압축기나 에어펌프(도시하지 않았음) 등과 연결되어 하부탱크(20)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하부탱크(20)에 저장된 협잡물을 하부의 배출관(22)을 통해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공급관(50)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자밸브(51)로 구성되어 있고, 전자밸브(51)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가 개폐구를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0은 모터(34), 실린더(43), 전자밸브(51)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부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 탈수기와 같은 협잡물 전처리 공정을 거쳐 각종 협잡물들이 탈수된 상태에서 협잡물 투입구(13)를 통해 상부탱크(10) 내부에 주입되면 컨트롤부(60)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34)가 작동되어 제1파쇄날(31)들이 회전되면서 협잡물이 잘게 파쇄되고, 제2파쇄날(32)의 회전에 의하여 협잡물이 고르게 교반되면서 상부탱크(10)의 하부에 장착된 개폐판(42)에 협잡물들이 퇴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므로 하부탱크(20)의 하부가 협잡물들에 의하여 막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협잡물들이 충분한 파쇄가 이루어져 컨트롤부(60)에 세팅된 시간이 도달되면 실린더(43)가 작동되어 개폐판(42)이 열려짐과 동시에 파쇄된 협잡물들이 자중(自重)에 의하여 하부탱크(20)로 낙하되면 다시 실린더(43)가 작동되어 개폐판(42)에 의하여 상,하부탱크(10)(20)들 사이가 막혀진다.
이어서, 하부탱크(20)의 공기 공급관(50)에 장착된 전자밸브(51)가 열려지면서 공기압축기 내지는 에어펌프에서 생성된 압축공기가 공기 공급관(50)을 통해 하부탱크(20) 내부로 유입되어 순간적으로 하부탱크(20)의 내부 압력이 약 10Kg/cm2 이상 유지되면 하부탱크(20)에 주입된 협잡물들이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하부 배출관(22)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어 별도의 저장용기로 이송되어 보관되고, 전술한 작동이 반복되어 연속으로 협잡물을 파쇄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밀폐된 상부탱크(10)의 내부에 주입된 협잡물들이 제1,2파쇄날(31)(32)들의 회전에 의하여 파쇄된 후 개폐판(42)의 작동에 의하여 밀폐된 하부탱크(20)로 유입된 후 공기 공급관(50)을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협잡물들이 하부 배출관(22)을 통해 저장용기로 이송되어 보관되는 것이므로 협잡물의 파쇄 및 이송작업이 밀폐된 상태에서 이루어져 악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작업장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협잡물이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관(22)은 자유롭게 절곡 형성하여 협잡물들을 수직 및 수평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협잡물의 이송과정이 매우 간소화되면서도 협잡물들의 이송에 별도의 동력장치들이 필요 없는 것이므로 이송라인이 차지하는 장소가 최소화되어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협잡물 처리장치에 장착된 모터(34), 실린더(43), 전자밸브(51) 등은 컨트롤부(60)에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협잡물 처리공정들의 자동화설비가 가능하여 상당한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협잡물 처리장치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파쇄날을 예시한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탱크 11, 21 : 용기
12 : 덮개 13 : 투입구
20 : 하부탱크 22 : 배출관
23 : 안내관 30 : 파쇄부
31 : 제1파쇄날 31a : 지지프레임
32 : 제2파쇄날 32a : 회전판
33 : 가이드홈 33a : 가이드
34 : 모터 34a : 회전축
40 : 개폐부 41 : 틈새
42 : 개폐판 43 : 실린더
43a : 피스톤로드 44 : 지지대
50 : 공기 공급관 51 : 전자밸브
60 : 컨트롤부

Claims (4)

  1. 상,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11)의 상부에는 덮개(12)가 장착되고, 용기(11)의 상부 일측에는 협잡물 투입구(13)가 형성된 상부탱크(10)와; 상부탱크(10)의 하부에 장착된 원통형 용기(21)의 하부에는 배출관(22)이 접속된 하부탱크(20)와; 상기 덮개(12)에 장착된 모터(34)의 회전축(34a)은 덮개(12)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탱크(10)의 바닥에 이르도록 장착되고, 회전축(34a)의 중앙과 하부에는 제1파쇄날(31)과 제2파쇄날(32)이 각각 장착된 파쇄부(30)와; 상부탱크(10)와 하부탱크(20)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41)를 통해 삽입된 개폐판(42)은 실린더(43)의 피스톤로드(43a)에 장착되어 작동되면서 상, 하부탱크(10)(20)들 사이가 막혀지도록 하고 열려지도록 하는 개폐부(40)와; 상기 하부탱크(20)에는 공기 공급관(50)이 접속되어 하부탱크(20)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하부탱크(20)에 저장된 협잡물을 하부의 배출관(22)을 통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탱크(20)의 내부에는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식의 안내관(23)이 장착되고, 폭이 좁은 안내관(23)의 하부에 배출관(22)이 접속되어 협잡물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파쇄날(31)들은 회전축(34a)의 중앙 사방에서 방사형으로 장착된 지지프레임(31a)의 선단에서 복수의 제1파쇄날(31)들이 다단으로 장착되고, 상부탱크(10)의 내측면에는 제1파쇄날(31)들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33)들을 갖는 가이드(33a)가 장착되며, 상기 제2파쇄날(32)은 회전축(34a)의 하부에 고정된 회전판(32a)의 외주연부에서 연속으로 돌출 되어 방사형으로 장착되고, 각각의 제2파쇄날(32)들은 상부 및 하부로 교대로 절곡 형성되며, 상부로 절곡된 제2파쇄날(32)은 15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하고, 하부로 절곡된 제2파쇄날(32)은 10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40038819A 2004-05-31 2004-05-31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KR100493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819A KR100493739B1 (ko) 2004-05-31 2004-05-31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819A KR100493739B1 (ko) 2004-05-31 2004-05-31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028U Division KR200360008Y1 (ko) 2004-05-31 2004-05-31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3739B1 true KR100493739B1 (ko) 2005-06-10

Family

ID=3730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819A KR100493739B1 (ko) 2004-05-31 2004-05-31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7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518B1 (ko) 2006-03-14 2006-10-27 (주)정문엔지니어링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KR100768298B1 (ko) * 2001-06-29 2007-10-17 주식회사 포스코 로터리 킬른의 낙광 파쇄장치
CN106427016A (zh) * 2015-08-12 2017-02-22 王亚萍 一种用于固液分离机的挤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98B1 (ko) * 2001-06-29 2007-10-17 주식회사 포스코 로터리 킬른의 낙광 파쇄장치
KR100638518B1 (ko) 2006-03-14 2006-10-27 (주)정문엔지니어링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CN106427016A (zh) * 2015-08-12 2017-02-22 王亚萍 一种用于固液分离机的挤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410B1 (ko) 회전 스크류를 구비한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68620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0676729B1 (ko)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15172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93739B1 (ko)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KR20100083909A (ko) 스크린드럼형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조절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52626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전처리장치
KR200360008Y1 (ko)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KR100573905B1 (ko) 폐기물 탈수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0739427B1 (ko)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KR101134405B1 (ko) 폐합성수지 처리장치
KR100196970B1 (ko) 음식물 쓰레기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5413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38518B1 (ko)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KR0147763B1 (ko) 음식물 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
KR20200133431A (ko)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배출 구조
KR10074563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실
KR018512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자동차의 건조탈수장치
KR20017404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발효장치
KR19990021745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0261536B1 (ko) 음식물을포함한협잡물쓰레기처리시스템
KR100365048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