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518B1 -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 Google Patents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518B1
KR100638518B1 KR1020060023326A KR20060023326A KR100638518B1 KR 100638518 B1 KR100638518 B1 KR 100638518B1 KR 1020060023326 A KR1020060023326 A KR 1020060023326A KR 20060023326 A KR20060023326 A KR 20060023326A KR 100638518 B1 KR100638518 B1 KR 10063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inlet
lower tank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석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주)정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정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23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72Means for fluidising the sediments, e.g. by jets or mechanical agit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오수 및 폐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탈수케익/침사용모래/씨앗/슬러지 등과 같은 협잡물(挾雜物)이 유입되면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되 에어의 누출을 방지하여 협잡물의 이송 효율을 증대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협잡물이 들어오는 입구와 그 입구를 통해 투입되어 자중에 의해 이송되면 이를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하부 배출관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어 별도의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하부탱크의 사이에 구비되는 개폐부의 개폐판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에어분사노즐을 구비하여 개폐판이 개폐틀의 틈새에 삽입되기 전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협잡물 찌꺼기를 제거하여 줌으로서, 개폐판이 개폐틀의 틈새에 삽입되는 경우 협잡물 찌꺼기가 끼지 않게 되어 입구와 하부탱크가 서로 완벽히 차단되어 하부탱크 내부의 공기압이 틈새를 통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하부탱크의 하부 배출관을 통해 협잡물이 배출시에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오폐수, 이송, 에어

Description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transfering apparatus of adult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개폐부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개폐부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개폐부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1의 개폐부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입구 100: 상부탱크
101: 호퍼 200: 하부탱크
300: 개폐부 310: 개폐틀
310b: 틈새 320: 개폐판
330: 추력수단 332: 지지대
334: 실린더 334a: 피스톤로드
340: 에어분사노즐
본 발명은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오수 및 폐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탈수케익이나 슬러지와 같은 협잡물(挾雜物)들을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는 경우 에어의 누출을 방지하여 협잡물의 이송 효율을 증대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오수 및 폐수처리장에서는 오수 및 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협잡물을 침전시켜 분리하고 탈수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탈수케익/슬러지/침사용 모래/씨앗 등으로 형성된 각종 협잡물 덩어리를 파쇄시킨 후 이송하여 별도의 저장용기에 보관하였다가 법정 폐기물로 지정되어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오폐수 협잡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등록특허 제0493739호의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상부탱크(10)와 하부탱크(20)의 사이에 개폐판(42)이 실린더(43)의 동력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상, 하부탱크(10)(20)들 사이를 개폐시키는 개폐부(40)가 구비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개폐판(42)이 지지대(44)에 장착된 실린더(43)의 피스톤로드(43a)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틈새(41)를 통해 삽입되어 상,하부탱크(10)(20)들 사이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기능을 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개폐부(40)의 경우에는 협잡물이 상부탱크(10)에서 분쇄된 후 하부탱크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개폐판(42)이 실린더(43)작동에 의해 후진시킨 상태에서 협잡물이 자유낙하되면, 개폐판(42)을 전진시켜 틈새(41)에 삽입시킴으로서 폐쇄된 후 하부탱크(20)의 공기 공급관(50)에 장착된 전자밸브(51)가 열려지면서 공기압축기 내지는 에어펌프에서 생성된 압축공기가 공기 공급관(50)을 통해 하부탱크(20) 내부로 유입되어 순간적으로 하부탱크(20)의 내부 압력이 약 높아지면 그 공기압력에 의해 하부탱크(20)의 협잡물이 하부 배출관(22)을 통해 배출 및 이송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개폐판(42)이 반복적으로 전후진되는 과정을 통해 틈새(41)에 삽입 및 이탈을 반복함에 따라 개폐판(42)의 테두리에 들러붙은 협잡물이 틈새(41)로 이동되어 끼게 되며, 이는 개폐판(42)이 폐쇄된 상태에서 하부탱크(20)의 내부에 존재하는 협잡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공기 공급관(50)에 장착된 전자밸브(51)가 열려지면서 압축공기가 하부탱크(20)에 주입시에 이와 같은 틈새를 통해 에어가 누출되어 하부탱크(20)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져서 하부 배출관(22)을 통해 협잡물이 배출되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이와 같이 틈새(41)가 막히는 이유로 인해 개폐판을 이동시키는 실 린더에 상당한 부하가 걸리게 되어 실린더의 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판이 이동시에 협잡물이 들러붙어 틈새에 끼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서 협잡물의 이송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입구를 통해 협잡물이 투입되면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하부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하부탱크와, 상기 입구와 하부탱크를 상호간에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부로 이루어진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입구의 하단과 하부탱크의 상단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비되되 중앙부에 상기 입구와 하부탱크를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틈새가 형성되는 개폐틀과, 상기 개폐틀의 틈새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직선왕복시키기 위한 추력수단과, 상기 개폐판의 선단 테두리를 향하여 압축에어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분사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개폐부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개폐부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개폐부의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개폐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는 협잡물이 투입되는 입구(100')와, 그 입구(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하부탱크(200)와, 상기 입구(100')와 하부탱크(2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입구(100')와 하부탱크(200) 상호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부(300)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판넬(4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입구(10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상부탱크(100)로 이루어져 그 상부탱크(100)의 하부에 하부탱크(20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탱크(100)와 하부탱크(200)의 사이에 개폐부(300)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입구(100')인 상부탱크(100)는 협잡물이 투입되면 파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용기(110)로 이루어지며, 그 용기(110)의 상부에는 덮개(120)가 구비되고, 용기(110)의 상부 일측에는 협잡물 투입구(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덮개(120)에는 모터(122)가 수직으로 장착되고, 모터(122)의 회전축(122a)은 덮개(12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 탱크(100)의 바닥에 이르도록 장착되는데, 상기 회전축(122a)에는 파쇄부(1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파쇄부(140)는 상기 회전축(122a)의 중앙 사방에 지지프레임(141)이 방사형으로 장착되어 있고, 지지프레임(141)의 선단에는 복수의 제1파쇄날(142)들이 다단으로 장착하고, 상기 회전축(122a)의 하부에는 제2파쇄날(143)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상부탱크(100)의 내측면 사방에는 가이드홈(145a)들이 형성된 가이드(145)들이 장착되고, 가이드홈(145a)들에는 제1파쇄날(142)들이 회전되면서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협잡물의 파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2파쇄날(142,143)들이 회전되면서 협잡물을 교반하는 한편 효과적인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부탱크(200)는 원통형 용기(210)로 구성되며, 용기(210)의 하부에는 배출관(220)이 접속되어 파쇄된 협잡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경 우에 따라서는 상기 하부탱크(200)의 내부에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식의 안내관(230)을 장착하고, 폭이 좁은 안내관(230)의 하부에 배출관(220)을 접속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안내관(230)에 의하여 협잡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하부탱크(200)의 내부에 협잡물이 잔류되는 등의 폐단이 방지되어 협잡물들의 전량을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탱크(200)의 상부에는 공기 공급관(240)들이 접속되어 있고, 공기 공급관(240)들은 공기압축기나 에어펌프(도시하지 않았음) 등과 연결되어 있어, 하부탱크(200)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하부탱크(200)에 저장된 협잡물을 하부의 배출관(220)을 통해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관(240)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자밸브(242)가 구비되는데, 그 전자밸브(242)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가 개폐구를 회동시키는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부탱크(100)의 하단과 하부탱크(200)의 상단 사이에는 상부탱크(100) 내의 협잡물이 하부탱크(200)로 안내될 수 있도록 개방시키거나 또는 상부탱크(100)와 하부탱크(200)가 서로 격리되도록 하기 위해 개폐부(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300)는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요소로서,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부탱크(100)의 하단과 하부탱크(200)의 상단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비되되 중앙부에 상부탱크(100)와 하부탱크(200)를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공(311a)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310a)의 내주면을 따라 틈새(310b)가 형성되는 개폐틀(310)과, 상기 개폐틀(310)의 틈새(310b)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되는 개폐판(320)과, 상기 개폐판(320)을 직선왕복시키기 위한 추력수단(3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추력수단(330)은 상기 개폐틀(3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대(332)에 장착된 실린더(334)로 이루어지며, 그 실린더(334)의 피스톤로드(334a)에 상기 개폐판(320)의 후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334)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실린더(334)가 컨트롤판넬(400)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되어 피스톤로드(334a)가 전진하게 되면 개폐판(320)이 틈새(310b)에 삽입되어 상/하부탱크(100,200)들 사이를 폐쇄시키고, 실린더(334)의 피스톤로드(334a)가 후진하게 되면 개폐판(320)이 틈새(310b)에서 이탈되며 상/하부탱크(100,200)들 사이가 개방된다. 한편, 상기 추력수단(330)은 실린더 이외에도 모터와 랙크 및 피니언을 이용하여 구성함도 동일한 기술적 원리를 채용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틀(310)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판(320)의 선단 테두리(320a)를 향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분사노즐(340)이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에어분사노즐(340)은 그 수평 분사각(θ)이 100~120°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공기압축기(미도시됨)의 작동에 의해 에어를 고압으로 분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분사노즐(340)은 그 분사각(θ)을 110°로 유지하고 3 개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하여 개폐판(320)의 선단 테두리(320a)의 중앙부를 포함하여 양측부 모두에 골고루 중첩되게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개폐판(320)을 폐쇄하기 위해 추력수단(330)을 작동시켜 개폐판(320)이 전진하게 되는 경우, 상기 에어분사노즐(340)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개폐판(320)의 테두리(320a)에 들러붙는 협잡물 찌꺼기를 제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협잡물 찌꺼기를 제거하게 되면 개폐판(320)이 전진하여 개폐틀(310)의 틈새(310b)에 삽입시에 협잡물 찌꺼기가 끼지 않게 되어 개폐판(320)이 상부탱크(100)와 하부탱크(200)를 완벽하게 기밀을 유지하며 격리시켜주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탱크(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협잡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공기 공급관(240)에 장착된 전자밸브(242)가 작동하여 압축공기가 하부탱크(200)에 주입되더라도 이와 같은 틈새(310b)를 통한 에어의 누출이 방지되어 하부탱크(20)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하부의 배출관(220)을 통해 협잡물을 신속히 배출하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원심분리기, 탈수기 등을 이용한 협잡물 전처리 공정을 거쳐 각종 협잡물들이 탈수된 상태에서 협잡물 투입구(130)를 통해 상부탱크(100) 내부에 주입되면 컨트롤판넬(400)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122)가 작동되어 제1파쇄날(142)들이 회전되 면서 협잡물이 잘게 파쇄되고, 제2파쇄날(143)의 회전에 의하여 협잡물이 고르게 교반되면서 협잡물들이 충분한 파쇄가 이루어져 컨트롤판넬(400)에 세팅된 시간이 도달되면 추력수단(330)인 실린더(334)가 작동되어 개폐판(320)이 후진하면서 열려짐과 동시에 파쇄된 협잡물들이 자중(自重)에 의하여 하부탱크(200)로 낙하되면 다시 실린더(334)가 작동되어 개폐판(320)이 전진함과 동시에 개폐틀(310)에 설치되는 에어분사노즐(340)에서 고압으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개폐판(320)의 테두리부(320a)에 들러붙는 협잡물 찌꺼기를 제거시켜 주어 개폐틀(310)의 틈새(310b)에 협잡물 찌꺼기가 끼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하부탱크(100,200)들 사이가 막혀진다.
이어서, 하부탱크(200)의 공기 공급관(240)에 장착된 전자밸브(242)가 열려지면서 공기압축기 내지는 에어펌프에서 생성된 압축공기가 공기 공급관(240)을 통해 하부탱크(200)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개폐틀(310)의 틈새(310b)를 개폐판이 완벽하게 막아주어 하부탱크 내부의 공기압의 틈새를 통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하부탱크(200)의 내부 압력이 순간적으로 약 7Kg/cm2 이상 유지되면 하부탱크(200)에 주입된 협잡물들이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하부의 배출관(220)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어 별도의 저장용기로 이송되어 보관되고, 이와 같은 작동이 반복되어 연속으로 협잡물을 파쇄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를 도 시한 것으로 입구(100')를 협잡물이 투입이 원활하도록 상하부가 개방되되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식의 호퍼(101)로 구성하여, 협잡물을 파쇄하는 공정없이도 일단 입구(100')인 호퍼(101)로 투입한 후 추력수단(330)인 실린더(334)를 작동시켜 개폐판(320)이 후진하면서 열리면 자중(自重)에 의하여 하부탱크(200)로 낙하된다. 그리고 다시 실린더(334)가 작동되어 개폐판(320)이 전진시에 에어분사노즐(340)에서 분사되는 압축에어에 의해 개폐판(320)의 테두리부(320a)에 들러붙는 협잡물 찌꺼기를 제거시켜 주어 개폐틀(310)의 틈새(310b)에 협잡물 찌꺼기가 끼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호퍼(101)와 하부탱크(200) 사이에 하부탱크(200) 내부의 에어가 누출될 수 있는 빈틈이 사라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는 협잡물을 입구(100')를 통해 투입되는 협잡물이 자중에 의해 하부탱크(200)로 이송되면 이를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배출관(220)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어 별도의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하부탱크(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개폐부(300)의 개폐판(320)의 테두리부 를 향하여 에어분사노즐(340)을 구비하여 개폐판(320)이 개폐틀(310)의 틈새(310b)에 삽입되기 전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협잡물 찌꺼기를 제거하여 줌으로서, 개폐판(320)이 개폐틀(310)의 틈새(310b)에 삽입되는 경우 협잡물 찌꺼기가 틈새(310b)에 끼지 않게 되어 입구(100')와 하부탱크(200)가 서로 완벽히 차단되어 하부탱크(200)내부의 공기압이 틈새를 통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하부탱크(200)의 배출관(220)을 통해 협잡물이 배출시에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틈새(310b)가 막히는 이유로 인해 개폐판(320)을 이동시키는 추력수단(330)에 부하가 걸리는 것이 최소화되어 고장의 발생빈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협잡물이 입구(100')를 통해 투입되면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하측에 구비되는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시키는 하부탱크(200)와, 상기 입구(100')와 하부탱크(200)를 상호간에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입구(100')의 하단과 하부탱크(200)의 상단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비되되 중앙부에 상기 입구(100')와 하부탱크(200)를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공(310a)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310a)의 내주면을 따라 틈새(310b)가 형성되는 개폐틀(310)과, 상기 개폐틀(310)의 틈새(310b)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되는 개폐판(320)과, 상기 개폐판(320)을 직선왕복시키기 위한 추력수단(330)으로 구성된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틀(310)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판(320)의 선단 테두리(320a)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압축에어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분사노즐(3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수단(330)은 상기 개폐틀(3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대(332)에 장착되되 전후진가능한 피스톤로드(334a)의 단부에 상기 개폐판(320)의 후측부가 결합되는 실린더(3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100')는 협잡물이 투입되면 모터(122)의 구동에 따라 파쇄하는 파쇄부(140)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상부탱크(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100')는 협잡물이 투입이 원활하도록 상하부가 개방되되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식의 호퍼(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KR1020060023326A 2006-03-14 2006-03-14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KR10063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326A KR100638518B1 (ko) 2006-03-14 2006-03-14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326A KR100638518B1 (ko) 2006-03-14 2006-03-14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518B1 true KR100638518B1 (ko) 2006-10-27

Family

ID=3762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326A KR100638518B1 (ko) 2006-03-14 2006-03-14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24B1 (ko) * 2022-09-20 2023-02-23 주식회사 한하산업 슬러지 투입구 및 토출구 자동개폐를 통해 기류제어가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540A (ja) 2002-03-07 2003-09-16 Sintokogio Ltd 水平割抜枠鋳型造型装置における鋳物砂吹込みタンクの砂供給口機構
KR100493739B1 (ko) 2004-05-31 2005-06-10 신영길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KR100526950B1 (ko) 2003-10-01 2005-11-08 최광남 소각로용 쓰레기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540A (ja) 2002-03-07 2003-09-16 Sintokogio Ltd 水平割抜枠鋳型造型装置における鋳物砂吹込みタンクの砂供給口機構
KR100526950B1 (ko) 2003-10-01 2005-11-08 최광남 소각로용 쓰레기 공급장치
KR100493739B1 (ko) 2004-05-31 2005-06-10 신영길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91884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24B1 (ko) * 2022-09-20 2023-02-23 주식회사 한하산업 슬러지 투입구 및 토출구 자동개폐를 통해 기류제어가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271B1 (ko) 고압세척노즐을 통해 음식폐기물 고형성분의 여과효율을 높인 드럼선별기 및 이를 장착한 음식폐기물 자원화장치
KR100308407B1 (ko) 폐수 슬러지 탈수 건조 시스템
KR101804226B1 (ko) 슬러지 처리용 탈수 및 건조 장치
SE544566C2 (en) A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to separate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water
KR100638518B1 (ko) 오폐수용 협잡물 이송기
KR20100083909A (ko) 스크린드럼형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조절장치
KR101134405B1 (ko) 폐합성수지 처리장치
KR100493739B1 (ko)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CN114274417A (zh) 一种汽车塑料破碎清洗装置
KR20160000474U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150071361A (ko)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KR100739427B1 (ko)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JPH11244839A (ja) 生ごみ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7123763B2 (ja) し渣搬送装置
KR200360008Y1 (ko)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KR102203422B1 (ko)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81960Y1 (ko)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침출수 처리용 자켓 클리너 장치
KR20200133431A (ko)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배출 구조
JP2006095401A (ja) し渣処理装置
KR102400306B1 (ko) 공압에 의해 탈수성을 향상시킨 협잡물 탈수기
KR102192972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감량기
KR101113973B1 (ko) 폐합성수지 처리장치
CN215796031U (zh) 厨余垃圾回收利用装置
CN214360388U (zh) 一种食品生产污水过滤排放装置
KR100586867B1 (ko) 펌프를 구비하는 유기성 폐기물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