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646B1 -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646B1
KR101384646B1 KR1020120083785A KR20120083785A KR101384646B1 KR 101384646 B1 KR101384646 B1 KR 101384646B1 KR 1020120083785 A KR1020120083785 A KR 1020120083785A KR 20120083785 A KR20120083785 A KR 20120083785A KR 101384646 B1 KR101384646 B1 KR 101384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food waste
food
tube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700A (ko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김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환 filed Critical 김창환
Priority to KR1020120083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6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충진공간을 갖는 베이스 탱크와 상기 베이스 탱크의 설치되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함과 아울러 압축시 발생하는 배출수를 상기 베이스 탱크로 전달하는 압축장치와 상기 압축장치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압축장치로 전달하는 투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축장치는 내부에 가압공간을 갖으며 일단에 개방부가 형성된 가압관과 상기 가압관에 충진되는 음식물을 가압하는 압축실린더로 이루어진 압축부와, 상기 가압부의 개방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장치로 이루어진 개폐부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가압에 의해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부로 이루어져,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게 되고, 일정량 수분이 제거된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간이 단축되며, 압축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배출수)을 정화시켜 배출시킴으로서,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 APPARATUS FOR FOOD WASTE PROCESSOR }
본 발명은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하여 봉 형태로 배출시켜,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게 되고, 일정량 수분이 제거된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간이 단축되며, 압축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배출수)을 정화시켜 배출시킴으로서,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잔반(폐기 음식물)이 배출되며, 이러한 잔반은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하거나 단순한 거름망을 통하여 섞여 있는 물기 만을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잔반 처리 방법은 쓰레기 수량을 증대시키고, 쓰레기를 자주 버리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므로 음식물 처리기가 사용된다.
보통 음식물처리기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성분은 여러 종류의 가스가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음식물의 종류, 방치기간, 처리온도 등 그 상태에 따라 가스의 성분이 달라지며 부패나 이상발효, 즉 혐기성 발효가 일어날 경우는 인체에도 해를 미칠 수 있는 독성이 있는 고약한 냄새의 가스가 다량 방출하게 된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의 연속처리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혐기적 조건이 형성되어 진행될수록 더욱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악취 원인을 제공하는 가스는 크게 산성, 중성, 염기성으로 분리할 수 있다. 산성계 가스로는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이 있고, 염기성계 가스로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이 있으며 중성계 가스로는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아세트알데히드 등이 있다. 이러한 악취가스는 인체에 유해하고 대기,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며 주변시설에 혐오감을 주어 그 상태가 심각하였다.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에서는, 고온 혹은 고온 열풍을 제품 내부의 음식물에 장시간 공급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음식물의 부피를 줄이는 방식으로 운전하였다. 또한, 최근의 음식물 처리기에서는 음식물에 열을 제공하는 방식과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미세하게 분해하는 기술이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가열을 한다는 점에서 공통되는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고온 혹은 고온의 열풍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한 후 부피를 줄이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유압에 의해 압축시켜 부피를 줄임과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취합하여 정화처리하는 악취발생과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처리기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최근의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하여 봉 형태로 배출시켜,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게 되고, 일정량 수분이 제거된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간이 단축되며, 압축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배출수)을 정화시켜 배출시킴으로서,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충진공간을 갖는 베이스 탱크와 상기 베이스 탱크의 설치되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함과 아울러 압축시 발생하는 배출수를 상기 베이스 탱크로 전달하는 압축장치와 상기 압축장치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압축장치로 전달하는 투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축장치는 내부에 가압공간을 갖으며 일단에 개방부가 형성된 가압관과 상기 가압관에 충진되는 음식물을 가압하는 압축실린더로 이루어진 압축부와, 상기 가압부의 개방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장치로 이루어진 개폐부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가압에 의해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배출헤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헤드는 전면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는 배출면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헤드의 배면부와 상기 배출면이 연통되게 다수의 배출공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부는 상기 가압공간과 연통되게 상기 가압관에 설치되는 투입관과 상기 투입관의 상부에 형성되는 호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투입관의 내부에는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장치와, 상기 투입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관에는 일측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출슬릿이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는 압축시 발생되는 배출수를 배출시켜, 상기 베이스 탱크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관에는 내주연에 상기 배출슬릿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순차적으로 거름시트와 다수의 다공망이 마련된 거름패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관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슬릿에 끼인 이물질을 탈거시키도록 탈거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탈거장치는 상기 배출슬릿에 끼움되어 일측에 배치되고, 일면에 곡선의 배출날이 더 형성된 다수의 배출핀과, 상기 배출핀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이송패널과, 상기 가압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패널을 이송시키는 이송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탱크는 상면에 상기 배출슬릿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인입되도록 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배출부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배출수가 충진되도록 상기 충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수 충진공간에는 절곡된 구조의 수집패널이 더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 탱크에는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된 배출수를 정화시키도록 정화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정화장치는 액상의 정화약품이 충진되는 약품충진탱크와, 상기 약품충진탱크와 상기 충진공간을 연결하는 관로부와, 상기 관로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충진탱크의 정화약품을 상기 충진공간에 공급하는 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하여 봉 형태로 배출시켜,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게 되고, 일정량 수분이 제거된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간이 단축되며, 압축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배출수)을 정화시켜 배출시킴으로서,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의 제 1 실시예에 본 발명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의 제 1 실시예에 본 발명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10)(이하 설명의 편의상 음식물 처리기로 명명함)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압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물)을 분리하여 배출시킴과 아울러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한 형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음식물 처리기(10)는 베이스 탱크(20), 압축장치(30) 및 투입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탱크(20)는 상기 압축장치(30)에서 압축되면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수가 충진됨과과 아울러 충진된 배출수를 정화시킨 후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베이스탱크(20)는 직사각형의 탱크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충진되도록 충진공간(21)을 갖으며 상면에는 후술될 상기 압축장치(30)의 배출슬릿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인입되도록 입구(22)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배출부(23)가 마련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수 충진공간(21)에는 절곡된 구조의 수집패널(24)이 더 설치된다.
상기 수집패널(24)은 " V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충진공간(21)에 내면에 용접고정되어 충진된 배출수가 고이지 않고 상기 수닙패널의 경사진 내측면을 따라 좁혀지는 하부로 용이하게 모일 수 있게 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패널(24)의 하부가 배출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탱크(20)에는 상기 충진공간(21)에 충진된 배출수를 정화시키도록 정화장치(5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정화장치(50)는 액상의 정화약품이 충진되는 약품충진탱크(51)와, 상기 충진공간(21)과 상기 약품충진탱크(51)을 연결하는 관로부(52)와, 상기 관로부(52)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충진탱크(51)에 충진된 정화약품을 상기 충진공간(21)에 공급하는 펌프(5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정화약품은 상기 펌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액상으로 이루어지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정화 및 중화시키는 액상의 약품이면 복합알카리제를 포함하여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약품충진탱크(51)는 격벽에 의해 상기 충진공간에 구획되게 형성된다.
상기 압축장치(30)는 상기 베이스 탱크의 설치되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함과 아울러 압축시 발생하는 배출수를 상기 베이스 탱크(2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압축장치(30)는 압축부(31)와 개폐부(32)와 토출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부(31)는 내부에 가압공간을 갖으며 일단에 개방부가 형성된 가압관(311)과 상기 개방부와 대응되게 상기 가압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관(311)에 충진되는 음식물을 가압하는 압축실린더(3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실린더(312)의 가압축에는 헤드가 마련되어 음식물을 이동 및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관(311)은 일측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출슬릿(313)이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는 압축시 발생되는 배출수를 배출시켜, 상기 베이스 탱크(20)로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실린더를 도 4에서와 같이 스크류 축을 갖는 가압모터로 대체하여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가압하도록 구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폐부(32)는 상기 가압관(311)의 개방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결(321)관과 상기 연결관(321)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장치(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장치(322)는 상기 연결관(3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출공에 끼움되어, 상기 연결관(321)에 내주연에 형성되는 차단홈(321a)에 끼움되는 도어(321b)와, 상기 도어(321b)를 이송시키는 승강실린더(321c)와 상기 연결관(321)의 상부에 용접되어 상기 승강실린더(321c)를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321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부(33)는 상기 연결관(321)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압축실린더(321)의 가압에 의해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토출부(33)는 상기 연결관(321)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토출관(331)과 상기 토출관(331)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배출헤드(3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출헤드(332)는 전면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는 배출면(332a)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헤드(332)의 배면부와 상기 배출면(332a)이 연통되게 다수의 배출공(332b)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332b)을 경사지게 형성시킴으로서 배출면(332a)에 집중되어 봉 형태로 배출되는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작업자가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출헤드의 배면부 중앙에 이송돌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이송돌부의 감싸면서 환형의 수집홈을 형성하여, 상기 압축실린더의 압축에 의해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수집홈으로 안내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관(311)과 상기 토출관(331)의 양단부에는 플렌지부가 마련되어 플렌지부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 탱크의 상면을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연결관(321)은 상기 가압관(311) 및 상기 토출관(331)과 연통되게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투입부(40)는 상기 압축부(31)의 가압관(311)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가압관(311)의 가압공간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투입부(40)는 상기 가압공간과 연통되게 상기 가압관(311)의 상부에 용접되는 투입관(41)과 상기 투입관(41)의 상부에 형성되는 호퍼(42)로 이루어지되, 상기 투입관(41)의 내부에는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장치(411)와, 상기 투입관(4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장치(4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쇄장치(411)는 상기 투입관(41) 내부에에 설치되는 한쌍의 파쇄롤러(411a)와 상기 파쇄롤러(411a)를 회전시키는 파쇄모터(411b)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장치(412)는 십자 형상의 차단날개를 갖는 개폐부재(412a)와 상기 개폐부재(412a)를 회전시키는 개폐모터(412b)로 이루어져, 상기 파쇄모터(411b)의 회전에 의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고, 상기 개폐모터(412b)의 회전에 의해 차단날개의 상부에 배치되는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방향에 따라 하향으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음식물 쓰레기가 호퍼(42)를 통해 투입관(41)으로 투입되면 파쇄모터(411b)와 개폐모터(412b)의 구동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되면서 일정량이 상기 가압관(311)의 내부로 투입되고, 상기 압축실린더(312)의 구동에 의해 가압관 (311)내부에 충진된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는 수분(물)이 배출슬릿(313)을 통해 배출되어 베이스 탱크(20)로 충진된다.
이후, 압축실린더(312)의 구동를 종료시킨 상태에서 상기 승강실린더(321c)를 작동시켜 도어(321b)를 상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됨과 아울러 수분이 일정량 빠진 음식물 쓰레기를 재차 압축실린더(312)를 가동시켜 가압하여 토출관(331)으로 이동시키게 됨과 아울러 지속적인 가압에 의해 상기 배출공(332b)을 통해 봉 형태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후, 펌프가 작동하여 약품충진탱크(51)에 충진된 약품을 충진공간(21)으로 이동시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일정시간 정화시키게 되고, 상기 배출부(23)의 밸브를 개방하여 정화된 배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됨으로서, 일련의 공정을 마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관(311)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시 배출되는 배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슬릿(313)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관의 내주연에 홈부(311a)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311a)에 순차적으로 거름시트(60)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다공망이 마련된 거름패널(70)이 더 설치하게 된다,
즉,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및 이물질을 걸러내고 배출수만 베이스 탱크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압관(311)의 내주연에 상기 배출슬릿(313)들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홈부(311a)를 형성하고, 순차적으로 거름시트(60)와 금속재로 이루어진 거름패널(70)을 나사체결하거나 용접고정하여, 압축시 압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및 이물질이 상기 배출슬릿(313)에 끼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수만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관(311)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슬릿(313)들에 끼인 이물질이나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을 탈거시키도록 탈거장치(80)가 설치되며, 상기 탈거장치(80)는 상기 배출슬릿(313)에 끼움되어 일단부에 배치되고, 일면에 곡선의 배출날(811)이 더 형성된 다수의 배출핀(81)과, 상기 배출핀(81)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이송패널(82)과, 상기 가압관(311)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패널(82)을 이송시키는 이송실린더(83)로 이루어진다.
즉, 음식물 처리기는 반복적으로 사용에 따라 이물질이 누적되어 배출슬릿(313)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송실린더(83)의 구동에 의해 이송패널(83)이 이동되어, 막히거나 잔존하는 배출슬릿(313)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 배출핀(81)이 이동하면서 가압하여 상기 배출날(811)을 따라 하향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막힘없이 원활하게 배출수가 배출슬릿(3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10 : 음식물 처리기 20 : 베이스 탱크
30 : 압축장치 40 : 투입부
50 : 정화장치 60 : 거림시트
70 : 거름패널 80 : 탈거장치
21 : 충진공간 22 : 입구
23 : 배출부 24 : 수집패널
31 : 압축부 311 : 가압관
311a : 홈부 312 : 압축실린더
313 : 배출슬릿 32 : 개폐부
321 : 연결관 321a : 차단홈
321b : 도어 321c : 승강실린더
321d : 고정프레임 33 : 토출부
331 : 토출관 332 : 배출헤드
332a : 배출면 332b : 배출공
41 : 투입관 411 : 분쇄장치
411a : 파쇄롤러 411b : 파쇄모터
412 : 개폐장치 412a : 개폐부재
412b : 개폐모터 42 : 호퍼
51 : 약품충진탱크 52 : 관로부
53 : 펌프 81 : 배출핀
811 : 배출날 82 : 이송패널
83 : 이송실린더

Claims (7)

  1. 내부에 충진공간을 갖는 베이스 탱크와, 상기 베이스 탱크의 설치되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함과 아울러 압축시 발생하는 배출수를 상기 베이스 탱크로 전달하는 압축장치와, 상기 압축장치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압축장치로 전달하는 투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축장치는 내부에 가압공간을 갖으며 일단에 개방부가 형성된 가압관과 상기 가압관에 충진되는 음식물을 가압하는 압축실린더로 이루어진 압축부와, 상기 가압관의 개방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장치로 이루어진 개폐부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가압에 의해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관에는 일측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출슬릿이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는 압축시 발생되는 배출수를 배출시켜, 상기 베이스 탱크로 전달되도록 하는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배출헤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헤드는 전면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는 배출면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헤드의 배면부와 상기 배출면이 연통되게 다수의 배출공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가압공간과 연통되게 상기 가압관에 설치되는 투입관과 상기 투입관의 상부에 형성되는 호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투입관의 내부에는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장치와,
    상기 투입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관에는 내주연에 상기 배출슬릿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순차적으로 거름시트와 다수의 다공망이 마련된 거름패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관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슬릿에 끼인 이물질을 탈거시키도록 탈거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탈거장치는 상기 배출슬릿에 끼움되어 일측에 배치되고, 일면에 곡선의 배출날이 더 형성된 다수의 배출핀과,
    상기 배출핀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이송패널과,
    상기 가압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패널을 이송시키는 이송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탱크는 상면에 상기 배출슬릿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인입되도록 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배출부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배출수가 충진되도록 상기 충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수 충진공간에는 절곡된 구조의 수집패널이 더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 탱크에는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된 배출수를 정화시키도록 정화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정화장치는 액상의 정화약품이 충진되는 약품충진탱크와,
    상기 약품충진탱크와 상기 충진공간을 연결하는 관로부와,
    상기 관로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충진탱크의 정화약품을 상기 충진공간에 공급하는 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KR1020120083785A 2012-07-31 2012-07-31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KR101384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785A KR101384646B1 (ko) 2012-07-31 2012-07-31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785A KR101384646B1 (ko) 2012-07-31 2012-07-31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700A KR20140016700A (ko) 2014-02-10
KR101384646B1 true KR101384646B1 (ko) 2014-04-14

Family

ID=5026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785A KR101384646B1 (ko) 2012-07-31 2012-07-31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159A (ko) * 2022-05-23 2023-11-30 케이씨에코사이클(주) 도어 충돌 방지 수단이 구비된 폐기물 압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8163A (zh) * 2020-08-21 2020-12-15 青岛兴开环境科技有限公司 液压式固体物自动脱水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727B1 (ko) * 2005-07-19 2006-05-22 이순복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장치
KR100853602B1 (ko) * 2007-11-30 2008-08-22 윤영금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41989A (ko) * 2008-10-15 2010-04-23 김대중 음식물 및 하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727B1 (ko) * 2005-07-19 2006-05-22 이순복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장치
KR100853602B1 (ko) * 2007-11-30 2008-08-22 윤영금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41989A (ko) * 2008-10-15 2010-04-23 김대중 음식물 및 하수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159A (ko) * 2022-05-23 2023-11-30 케이씨에코사이클(주) 도어 충돌 방지 수단이 구비된 폐기물 압축 장치
KR102651913B1 (ko) 2022-05-23 2024-03-27 케이씨에코사이클(주) 도어 충돌 방지 수단이 구비된 폐기물 압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700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7507B1 (de) Desinfektionsanlage für kontaminierten Krankenhausmüll
US5570845A (en)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N106269793A (zh) 一种综合性垃圾处理站
KR201600394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20190210314A1 (en) Separation system
CN201105280Y (zh) 医疗垃圾高温高压湿热处理设备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1384646B1 (ko)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KR101801268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CN112974484B (zh) 一种医疗垃圾的加工处理装置
KR101844863B1 (ko)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100232836B1 (ko) 압축공기에 의한 중앙집중식 음식쓰레기 자동포집시스템
CN212681999U (zh) 垃圾处理站
KR100300265B1 (ko) 음식물쓰레기의처리장치
CN108126973A (zh) 一种餐厨垃圾的一体化破碎处理方法
KR102203422B1 (ko)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7929789A (zh) 一种医疗垃圾处理装置
KR20160000474U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CN205307874U (zh) 油水分离机以及垃圾处理装置
DE202011102252U1 (de) Vorrichtung zum Sammeln und Abführen von Küchenabfällen
CN208018694U (zh) 一种医疗废弃物粉碎装置
KR20200133431A (ko)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배출 구조
CN210208063U (zh) 一种固废处理设备
CN112620321A (zh) 一种用于环保设备领域的垃圾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