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863B1 -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863B1
KR101844863B1 KR1020150075920A KR20150075920A KR101844863B1 KR 101844863 B1 KR101844863 B1 KR 101844863B1 KR 1020150075920 A KR1020150075920 A KR 1020150075920A KR 20150075920 A KR20150075920 A KR 20150075920A KR 101844863 B1 KR101844863 B1 KR 101844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rushing
unit
reaction tank
oper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957A (ko
Inventor
최미순
Original Assignee
최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순 filed Critical 최미순
Priority to KR102015007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86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helical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9Shred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칼리성 약품과 물을 혼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약산성의 특성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의 성질을 바꾸어 환경오염을 시키지 않으면서 비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리더부에 의해 획득된 고객 정보와 계량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에 저장 관리하여 해당 정보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제공하도록 하며, 건조수단을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Smart-based food waste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칼리성 약품과 물을 혼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약산성의 특성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의 성질을 바꾸어 환경오염을 시키지 않으면서 비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리더부에 의해 획득된 고객 정보와 계량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 관리하여 해당 정보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제공하도록 하며, 건조수단을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국적으로 하루에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8톤 트럭 1,880 대 분인 1만 5천 75톤으로 전체 생활쓰레기 발생량의 31.6%에 해당되며,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를 종류별로 보면 채소류가 전체의 53.1%에 해당하는 1일 8,005톤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육류 및 어패류가 18.6%인 1일 2,804톤 배출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각 지자체에서 음식물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지급하여 일괄적으로 수거하여 소각 또는 매몰의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수집 운반 그리고 처리과정에서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를 통하여 그대로 배출시킬 경우에 하수관 내부에서 침전되기도 하고 하수 종말 처리장의 처리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으로 크게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방법과 건조장치를 통해 건조하는 처리 방법이 있으나, 두가지 모두 처리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며, 미생물은 온도에 민감하여 관리가 어렵고 일부의 찌꺼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2차적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며, 건조된 찌꺼기의 경우에 약산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염분을 함유하여 화초나 채소에 뿌릴 수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217770호(1999.06.0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칼리성 약품과 물을 혼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유해한 성분과 산성 성분 및 동물성과 식물성 기름 및 유해 미생물 등을 중화, 분해 및 살균 처리하여 환경 오염을 시키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더부와 계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컨트롤러를 구성하여 리더부에 의해 획득된 고객 정보와 계량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 관리하여 해당 정보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수단을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처리 공정없이 비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은,
음식물쓰레기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음식물저장호퍼(100)와;
상기 음식물저장호퍼의 하측에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를 파쇄수단공급호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200)과;
상기 이송수단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송수단에서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하측에 형성된 파쇄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파쇄수단공급호퍼(300)와;
상기 파쇄수단공급호퍼에 의해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여 일측에 형성된 분쇄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파쇄수단(400)과;
일측이 반응조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파쇄수단에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수단(500)과;
일측이 반응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수단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반응조로 공급하기 위한 반응조공급수단(600)과;
알칼리성 약품과 물을 보관하고 있으며, 교반장치, 드레인, 수위센서, 자동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반응조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 및 중화시키기 위한 반응조(700)와;
상기 반응조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반응조에서 제공되는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건조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수단(800)과;
상기 압축수단을 통해 제공된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건조수단(9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은,
알칼리성 약품과 물을 혼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유해한 성분과 산성 성분 및 동물성과 식물성 기름 및 유해 미생물 등을 중화, 분해 및 살균 처리하여 환경 오염을 시키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리더부와 계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컨트롤러를 구성하여 리더부에 의해 획득된 고객 정보와 계량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에 저장 관리하여 해당 정보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고객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를 구성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본 발명의 시스템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건조수단을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처리 공정없이 비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매립할 경우에 그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다른 각도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며, 도 4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투영 사시도이며, 도 5b 내지 도 5c는 외형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각도에서 본 투영 사시도이며, 도 7은 파쇄수단 평면도이며, 도 8은 분쇄수단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컨트롤러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건조수단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반응조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압축수단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다른 각도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며, 도 4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투영 사시도이며, 도 5b 내지 도 5c는 외형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각도에서 본 투영 사시도이며, 도 7은 파쇄수단 평면도이며, 도 8은 분쇄수단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은 크게, 계량부(10)와, 리더부(20), 컨트롤러(1000), 음식물저장호퍼(100), 이송수단(200), 파쇄수단공급호퍼(300), 파쇄수단(400)과, 분쇄수단(500), 반응조공급수단(600), 반응조(700), 압축수단(800), 건조수단(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음식물저장호퍼에 형성된 호퍼덮개(110)의 일측에 실린더부(150)를 형성하게 될 수 있는데, 이는 컨트롤러에서 제공되는 오픈 신호 또는 클로즈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호퍼덮개를 오픈하거나, 클로즈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모든 처리 과정을 전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최초 음식물 쓰레기 투입 과정부터 컨트롤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음식물저장호퍼(100)는 음식물쓰레기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저장호퍼의 하측에 이송수단(200)을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를 파쇄수단공급호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수단에는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송스크류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외부에 동작모터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의 일측에 파쇄수단공급호퍼(300)를 구성하여 이송수단이 동작하여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하측에 형성된 파쇄수단으로 공급하는 저장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파쇄수단공급호퍼의 하측에는 파쇄수단(400)을 구성하게 되는데,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여 일측에 형성된 분쇄수단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파쇄수단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한 쌍의 평행한 축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 개의 파쇄날을 구성하고, 파쇄날이 장착된 축이 일측으로 관통한 후 장착되어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기어를 구성하고 기어에 체인으로 모터와 연결시켜 모터 동작에 의해 파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은 하나의 일실시예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으로 도입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일측이 반응조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파쇄수단에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수단(500)을 파쇄수단의 하측에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분쇄수단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를 내부에 구성하고, 각각 기어가 장착된 축들을 일측으로 관통시키고, 맞물려 회전하는 외부기어를 구성하고 외부기어의 어느 한 부위에 체인에 의해 모터와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은 하나의 일실시예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으로 도입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파쇄수단과 분쇄수단을 구성하는 이유는 하나의 수단만 사용할 경우에 원하는 입도로 잘게 부수는데 소모되는 시간이 길며, 시스템 전체의 부하가 걸릴 수 있기 때문에 2 개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크게 파쇄수단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에 각종 뼈 등의 단단한 것과 크기가 큰 것이 있어 부하가 많이 발생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파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1차적으로 파쇄된 쓰레기를 다시 분쇄수단을 통해 2차적으로 분쇄하여 원하는 입도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분쇄수단(500)에, 잔류센서부를 설치 구성하여 잔류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타임에 의해 파쇄수단 및 분쇄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분쇄수단 및 파쇄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반응조공급수단(600)을 분쇄수단의 어느 일측에 구성하고 타측에 반응조와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분쇄수단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반응조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응조로 원하는 시간에 공급하기 위하여 펌프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반응조(700)에는 알칼리성 약품과 물을 보관하고 있게 되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교반장치(710)를 구성하고, 일측면에 드레인(720)을 구성하게 되며, 수위센서(730)를 구성하여 수위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알칼리성 약품과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공급관(750)을 구성하고,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면, 약품과 물을 설정 위치까지 채우고, 이를 반응시킨 후, 1차 드레인하여 물에 포함된 세균 등을 제거하고, 2차적으로 물을 투입하게 된다.
또한, 물과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토출관(드레인)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물을 투입한 후, 3차적으로 최종 압축수단 또는 건조수단으로 공급하게 된다.
수위센서가 위치한 부위까지 물을 채우고, 설정된 시간 동안 교반을 하고 드레인을 하기 위하여 설치된 수위센서 높이까지 물과 이물질을 배출하게 된다.
즉, 상기 반응조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 및 중화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반응조의 일측에 압축수단(800)을 구성하여, 반응조에서 제공되는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건조수단으로 제공하게 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수단(900)은,
중앙 부위에 회전축이 형성되며, 교반임펠라가 내부에 형성된 건조통(995)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교반을 수행하기 위한 교반임펠라(9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컨트롤러의 동작 신호에 따라 교반임펠라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켜 건조 혹은 배출을 수행하게 된다.
배출을 위하여 어느 일측에 배출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축수단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게 된다.
즉, 일측에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측에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압축통(810)과,
상기 압축통의 내부에 장착되되, 무수한 타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통(820)과,
상기 타공통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압축스크류(830)와,
상기 압축통에서 하부로 관통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물 배출구와,
상기 압축스크류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구동모터(8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압축통 외부에 한 개 이상의 구멍을 구성하고, 상기 구멍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에어를 통해 압축통과 타공통을 청소할 수 있는 압축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스크류를 회전시켜 찌꺼기를 압축하여 건조수단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축수단을 통해 탈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건조수단(900)은 압축수단을 통해 제공된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건조수단(900)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와 같은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즉, 외면에 무수한 타공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타공통(910)과,
상기 타공통의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축(920)과,
컨트롤러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타공통에 형성된 무수한 타공 구멍으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950)와,
상기 에어공급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컨트롤러의 동작 신호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부(960)와,
상기 히터부에 의해 발생된 열 혹은 에어를 에어공급부로 제공하기 위한 송풍부(97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타공통을 형성하고 중앙 부위에 회전축을 구성한 후 회전축을 모터에 의해 구동시키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들을 원심력에 의해 탈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탈수된 수분들은 하측에 형성된 배수구(도면부호 미기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예를 들어, 탈수기의 원리와 비슷한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타공통의 일측에 에어공급부를 구성하여 에어를 타공 구멍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에어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도 있지만, 건조를 위하여 뜨거운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히터부를 에어공급부의 일측에 구성하고, 히터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에어공급부로 제공하기 위하여 히터부의 일측에 송풍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건조수단의 상측 일측에 흡입구(930)를 구성하여 반응조에서 제공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유입하고, 건조 후에 상측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940)를 구성하고 배출구의 일측에는 흡입장치(미도시)를 구성하여 흡입장치가 동작할 경우에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구로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청소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의 구조 및 동작 원리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원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이송수단(200)의 일측에 금속검출기가 포함된 금속검출수단(11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금속검출기를 구성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 내부에 포함된 금속이 감지될 경우에 이를 컨트롤러에 제공하여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금속이 탐지되면 자동적으로 동작이 정지되도록 컨트롤러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컨트롤러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000)는,
리더부에 의해 획득된 고객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고객정보추출부(1050)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 제어신호를 원격지에 제공하기 위한 원격제어부와,
상기 고객 정보와 계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1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고객정보추출부(1050)에 의해 리더부에 의해 획득된 고객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에 저장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부(1100)에는 고객 정보와 계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원격지로 송출하기 위하여 통신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통신부를 구성하게 되면 원격지서버로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원격지 서버에 컨트롤러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부를 구성하게 되면 이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모니터링부를 구성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 구성된 각종 센서들과 구동수단들의 신호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 기반의 시스템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원격제어모듈을 스마트폰에 구성하게 되면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언제든지 현재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실린더부에 오픈 신호 또는 클로즈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실린더동작부(1150)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경우에, 이송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파쇄수단공급호퍼로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하기 위한 이송수단동작부(1200)와,
파쇄수단공급호퍼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경우에, 파쇄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파쇄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파쇄수단동작부(1250)와,
분쇄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수단동작부(1300)와,
분쇄수단에 분쇄 동작 신호 송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반응조공급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반응조로 공급하기 위한 반응조공급수단동작부(1350)와,
교반장치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교반을 수행하기 위한 반응조동작부(1400)와,
상기 교반장치의 교반이 완료될 경우에, 압축수단으로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수단동작부(1450)와,
상기 건조수단에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경우에, 건조수단으로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건조수단동작부(1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실린더동작부(1150)는 실린더부에 오픈 신호 또는 클로즈 신호를 송출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수단동작부(120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경우에, 이송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파쇄수단공급호퍼로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수단들에는 구동 장치들이 구성되기 때문에 이를 컨트롤하기 위한 부들을 각각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파쇄수단동작부(1250)는 파쇄수단공급호퍼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경우에, 파쇄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파쇄를 수행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분쇄수단동작부(1300)은 분쇄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게 되며, 반응조공급수단동작부(1350)는 분쇄수단에 분쇄 동작 신호 송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반응조공급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반응조로 공급하게 한다.
이때, 상기 반응조동작부(1400)는 교반장치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교반을 수행하도록 하며, 드레인이 구성될 경우에 물 공급과 약품 공급 드레인의 오픈 및 클로즈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압축수단동작부(1450)는 교반장치의 교반이 완료될 경우에, 압축수단으로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수단으로 제공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건조수단동작부(1500)는 건조수단에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경우에, 건조수단으로 동작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건조수단동작부는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에 동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히터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동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부에 의해 발생된 열 혹은 에어를 에어공급부로 제공하기 위한 송풍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분쇄수단(500)에, 잔류센서부를 설치 구성하여 잔류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에 송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잔류를 체크하면서 분쇄된 찌꺼기를 반응조로 반복 이송하도록 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잔류센서부가 잔류 없음을 체크하면 일정 시간 후 파쇄 및 분쇄 정지 신호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컨트롤러에 타공통회전동작부와, 송풍부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타공통회전동작부는 타공통과 결합되어 있는 구동모터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타공통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부동작부는 송풍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거나, 에어를 공급하여 타공통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알칼리성 약품과 물을 혼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유해한 성분과 산성 성분 및 동물성과 식물성 기름 및 유해 미생물 등을 중화, 분해 및 살균 처리하여 환경 오염을 시키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리더부와 계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컨트롤러를 구성하여 리더부에 의해 획득된 고객 정보와 계량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에 저장 관리하여 해당 정보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고객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음식물저장호퍼
200 : 이송수단
300 : 파쇄수단공급호퍼
400 : 파쇄수단
500 : 분쇄수단
600 : 반응조공급수단
700 : 반응조
800 : 압축수단
900 : 건조수단
1000 : 컨트롤러
1100 : 금속검출수단

Claims (9)

  1. 계량부(10)와 리더부(20)와 통신부 및 컨트롤러(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음식물저장호퍼(100)와;
    상기 음식물저장호퍼의 하측에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를 파쇄수단공급호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200)과;
    상기 이송수단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송수단에서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하측에 형성된 파쇄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파쇄수단공급호퍼(300)와;
    상기 파쇄수단공급호퍼에 의해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여 일측에 형성된 분쇄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파쇄수단(400)과;
    일측이 반응조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파쇄수단에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수단(500)과;
    일측이 반응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수단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반응조로 공급하기 위한 반응조공급수단(600)과;
    알칼리성 약품과 물을 보관하고 있으며, 교반장치, 드레인, 수위센서, 자동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반응조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 및 중화시키기 위한 반응조(700)와;
    상기 반응조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반응조에서 제공되는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건조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수단(800)과;
    상기 압축수단을 통해 제공된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건조수단(9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200)의 일측에,
    금속검출기가 포함된 금속검출수단(11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000)는,
    리더부에 의해 획득된 고객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고객정보추출부(1050)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 제어신호를 원격지에 제공하기 위한 원격제어부와,
    상기 고객 정보와 계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000)는,
    실린더부에 오픈 신호 또는 클로즈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실린더동작부(1150)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경우에, 이송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파쇄수단공급호퍼로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하기 위한 이송수단동작부(1200)와,
    파쇄수단공급호퍼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경우에, 파쇄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파쇄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파쇄수단동작부(1250)와,
    분쇄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수단동작부(1300)와,
    분쇄수단에 분쇄 동작 신호 송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반응조공급수단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반응조로 공급하기 위한 반응조공급수단동작부(1350)와,
    교반장치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교반을 수행하기 위한 반응조동작부(1400)와,
    상기 교반장치의 교반이 완료될 경우에, 압축수단으로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수단동작부(1450)와,
    상기 건조수단에 분해 및 중화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경우에, 건조수단으로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건조수단동작부(1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수단(500)에,
    잔류센서부를 설치 구성하여 잔류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로 송출하거나,
    타임에 의해 파쇄수단 및 분쇄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파쇄수단 및 분쇄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900)은,
    외면에 무수한 타공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타공통(910)과,
    상기 타공통의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축(920)과,
    컨트롤러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타공통에 형성된 무수한 타공 구멍으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950)와,
    상기 에어공급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컨트롤러의 동작 신호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부(960)와,
    상기 히터부에 의해 발생된 열 혹은 에어를 에어공급부로 제공하기 위한 송풍부(9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000)는,
    타공통과 결합되어 있는 구동모터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타공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타공통회전동작부와,
    송풍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거나, 에어를 공급하여 타공통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송풍부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단(800)은,
    일측에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측에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압축통(810)과,
    상기 압축통의 내부에 장착되되, 무수한 타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통(820)과,
    상기 타공통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압축스크류(830)와,
    상기 압축통에서 하부로 관통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물 배출구와,
    상기 압축스크류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구동모터(8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900)은,
    중앙 부위에 회전축이 형성되며, 교반임펠라가 내부에 형성된 건조통(995)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교반을 수행하기 위한 교반임펠라(9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20150075920A 2015-05-29 2015-05-29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844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20A KR101844863B1 (ko) 2015-05-29 2015-05-29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20A KR101844863B1 (ko) 2015-05-29 2015-05-29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57A KR20160139957A (ko) 2016-12-07
KR101844863B1 true KR101844863B1 (ko) 2018-04-04

Family

ID=5757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920A KR101844863B1 (ko) 2015-05-29 2015-05-29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158A (ko) * 2020-12-15 2022-06-22 현대건설주식회사 딥 러닝 기반 이물질 검출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슬러지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48B1 (ko) * 2017-11-30 2018-07-06 김대웅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CN112517611B (zh) * 2018-10-05 2021-11-05 绍兴迪艾仕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环保型工业固体废料回收挤压装置
CN112246393A (zh) * 2020-09-23 2021-01-22 淄博创立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餐饮垃圾清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588A (ja) * 2001-07-24 2003-02-07 Nishi Nippon Ecology Kk 食物性残渣の循環連鎖型リサイクルシステム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770B1 (ko) 1997-07-23 1999-09-01 김지숙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588A (ja) * 2001-07-24 2003-02-07 Nishi Nippon Ecology Kk 食物性残渣の循環連鎖型リサイクルシステム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158A (ko) * 2020-12-15 2022-06-22 현대건설주식회사 딥 러닝 기반 이물질 검출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슬러지 처리 시스템
KR102416680B1 (ko) * 2020-12-15 2022-07-05 현대건설(주) 딥 러닝 기반 이물질 검출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슬러지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57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863B1 (ko)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033145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자동처리 및 사료제조장치
JP5325425B2 (ja) 生ゴミ処理装置
JP2010526656A (ja) 腐敗しやすい有機性廃棄物の処理
KR2015012928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1734153B1 (ko) 디스크 건조기를 이용하는 음식물류폐기물 처리 시스템
JP2012040518A (ja) 廃棄物の処理装置
US20230339000A1 (en) Dewatering Apparatus
KR20150104752A (ko) 음식물쓰레기 종량 및 연속건조 감량방법 및 장치
KR101036488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200432685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0039880A (ko)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EP3245015B1 (en) Household appliance for the treatment of household waste
KR101338152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335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017257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599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WO2008066360A1 (en) Processing system of food wastes
KR101845243B1 (ko) 필터링 장치,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KR100776021B1 (ko)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시스템
KR2016005961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20170070844A (ko)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