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880A -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880A
KR20030039880A KR1020010071251A KR20010071251A KR20030039880A KR 20030039880 A KR20030039880 A KR 20030039880A KR 1020010071251 A KR1020010071251 A KR 1020010071251A KR 20010071251 A KR20010071251 A KR 20010071251A KR 20030039880 A KR20030039880 A KR 20030039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food waste
generation
collecto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611B1 (ko
Inventor
함용승
Original Assignee
함용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용승 filed Critical 함용승
Priority to KR10-2001-007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6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그 발생 원천인 각 세대내에서 완벽하게 분리, 감량, 감수(減水)처리하고, 처리된 고건조 과립형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적인 진공 청소방식으로 최종 집하장으로 진공 이송하도록 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은, 개별 세대내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용 호퍼(10)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10)의 하부에는 호퍼(10)로부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탈수 및 건조시켜서 배출하는 분쇄/탈수/건조기기(20)를 설치하며,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의 취출구에는 가공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세대별 저류조(30)를 설치하고, 이 세대별 저류조(30)로부터 진공 이송관(40)을 배관하며, 이 진공 이송관(40)의 끝에는 상기 세대별 저류조(30)들에 축적된 분쇄 및 건조 음식물 쓰레기를 집합 저류하는 대용량의 중앙 진공 포집기(50)를 설치하고, 이 중앙 진공 포집기(50)에는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0)를 갖추며, 상기 세대별 저류조(30)로부터 중앙 진공 포집기(50)로의 음식물 쓰레기 이송을 단속하도록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측 이송관(40)에 개폐밸브(31)를 설치하여, 개별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를 거쳐 분쇄 및 건조된 후 진공 이송관(40)을 통하여 중앙 진공 포집기(50)로 진공 이송되어 집합저류되도록 하여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은, 개별 세대내의 다른 공간에, 청소 쓰레기를 포집하여 일시 저장하는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와,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로부터 개별 세대내 단위 청소 구역으로 배관되는 흡입관(90) 및 이 흡입관(90) 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구(91), 그리고 이 흡입구(91)에 결합시켜 청소하는 청소대(100)를 구비하여, 세대별 저류조(30)와 세대별 진공 집진기(80)를 하나의 진공 이송관(40)으로 연결하고, 이 진공 이송관(40)에 각각 개폐밸브(43)(44)를 갖는 대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저장용 중앙 진공 포집기(50)와 대용량의 청소 쓰레기 저장용 중앙 진공 집진기(110)를 설치하며, 상기 중앙 진공 포집기(50) 및 중앙 진공 집진기(110)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0)를 구비한 구조로써 음식물 처리 시스템과 청소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연계하여 중앙 집중식으로 구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그 발생 원천인 각 세대내에서 분리, 감량, 감수처리되어 간조된 다음 최종 집하장으로 이송되므로 종래에 물 이송방식이나 압축공기 이송방식 등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그대로 이송시키는데서 오는 환경 오염과 관로 막힘 등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진공이송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진공 청소 시스템과 쉽게 연계하여 중앙 집중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

Description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Centralized Automatic transportation System for Leftover of Food}
본 발명은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그 발생 원천인 각 세대내에서 완벽하게 분리, 감량, 감수(減水)처리하고, 처리된 고건조 과립형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적인 진공 청소방식으로 최종 집하장으로 진공 이송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이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관로 막힘 등의 문제가 없도록 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가정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소위, 물 이송방식, 압축공기 이송방식 및 세대내 가공 수거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물 이송방식은, 주방내에 디스포저(Disposer)를 설치하고, 이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한 후 다량의 물과 함께 반송관로를 통하여 그대로 하수처리한 다음, 하수처리시설용 정화조(또는 침전조)에서 슬러지와 물로 분리하여 슬러지는 수거차량에 의하여 수거하고, 물은 활성 슬러지 처리 후 방류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물 이송방식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그대로 물과 함께 하수처리하는 방식이므로, 지나치게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는 폐단이 있었고, 특히 음식 쓰레기의 기름기 등에 의하여 반송관로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며, 물과 음식 쓰레기를 한꺼번에 저장하여야 하므로 정화조 설비의 규모가 비대해짐과 아울러 이송 후 퇴비화 처리까지의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압축공기 이송방식은 상기한 물 이송방식을 압축공기로 대체한 형태로서,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제232836호와 같이 각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를 주방에 설치된 투입장치에 투입하면 분쇄기를 통하여 잘게 부서져서 주방의 저류조에 저장되고, 이 저류조에 저장된 음식 쓰레기는 저류조에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장치장치에 의해 압축공기의 힘으로 이송관로를 따라 압송되어 중앙포집기에 포집되도록 한 방식이다.
이러한 압축공기 이송방식은 물을 사용하는 대신 압축공기를 사용함으로써 이송관로의 크기를 작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고가의 정수설비 대신에 염가의 탈취기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물 이송방식에 비하여 관로 막힘 현상을 줄이고자 한 것이나, 물 이송방식과 마찬가지로 감량.감수.건조를 하지 않은 젖은음식물 쓰레기를 압축공기로 이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젖은 음식물 쓰레기의 부하에 의하여 관로 막힘 현상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그렇기 때문에 대용량의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설비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으며, 중앙포집기에 포집된 젖은 음식물 쓰레기가 침전.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포집기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주기적으로 자동 순환시키는 순환관로와 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도있으며, 중앙포집기에 포집된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운송하여 별도의 퇴비화처리를 행하거나 소각하여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 발효기와 같은 장치를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처리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드는 폐단이 있다.
나아가, 세대내 가공 수거 방식은 예를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0202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12194호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기로 분쇄한 후 건조시켜 별도의 수거통에 저장하였다가 수거통을 비우는 방식이다.
이러한 세대내 가공 수거 방식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건조시킴으로써 수질오염방지에 효과가 있고, 장치도 비교적 간단한 잇점은 있으나, 사용자가 수거통을 직접 들고나가 비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외에, 가정이나 사무실의 일반 쓰레기 처리 시스템으로서는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청소 쓰레기를 한 곳으로 집중하여 흡입할 수 있는 집진기를 단위세대의 차고나 보일러실 등 일정한 한 곳에 설치하고, 상기 집진기로부터 거실, 방 등의 단위 청소 구역마다 벽체 내부를 통하여 흡입관을 시공하며, 각 단위 청소 구역으로 배관된 흡입관 마다 흡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흡입구에 알맞게 된 청소대를 구비하여서, 이의 청소대의 청소호스를 각 단위 청소 구역에 마련된 흡입구에 꽂아 진공 흡입 방식으로 청소를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은, 진공력에 의하여, 그리고 건조 쓰레기를 흡입하여 집진기에 포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는 경우와는 달리 이송관로가 막히는 일이 없고, 비교적 소용량의 진공펌프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가 집진기를 일일이 비워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위와 같은 사정을 종합해 보면,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문제는 쓰레기를 물과 함께 또는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중앙포집기나 정화조로 이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송관로가 막히거나 대용량의 압축펌프를 필요로 하게 되며, 중앙포집기나 정화조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다시 별도로 폐기처리하거나 별도로 자원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방식이어서 처리과정이 복잡할 수밖에 없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결국,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들은 모두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그대로 어떻게 치울 것인가 또는 이송시킬 것인가에만 생각이 치우치다 보니, 이것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한계점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발생 원천인 각 세대내에서 분리, 감량, 감수처리하고, 건조된 과립형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방식을 도입하여 최종 집하장으로 자연스럽게 이송함으로써, 종래에 물 이송방식이나 압축공기 이송방식에서 야기되었던 환경 오염과 관로 막힘등의 문제를 해소하도록 함과 아울러, 최종 집하장에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그대로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이 간편하게 되고 사용자에게도 편리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진공 청소 시스템과 쉽게 연계하여 시공할 수 있으면서 해당 진공 청소 시스템도 개별세대에 집진된 청소 쓰레기를 대용량의 중앙 집진기에 이송한 후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이 집합주택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처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시스템과 연계하여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장치가 집합주택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퍼20 : 분쇄/탈수/건조기기
30 : 세대별 저류조31,43,44, 81 : 개폐밸브
32,82 : 수위센서40 : 진공 이송관
41,42 : 분기관50 : 중앙 진공 포집기
60 : 진공펌프61,83 : RF수신기
70 : 조작반71 : 상태표시창
72 :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3 : 구동스위치
74 : RF송신부75 : 집진기 비우기 스위치
76 : 경고부`80 : 세대별 진공 집진기
90 : 흡입관91 : 흡입구
100 : 청소대101 : RF송신기
110 : 중앙 진공 집진기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집중식 음식물 처리 시스템은, 개별 세대내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용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의 하부에는 호퍼로부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탈수 및 건조시켜서 배출하는 분쇄/탈수/건조기기를 설치하며,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의 취출구에는 가공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세대별 저류조를 설치하고, 이 세대별 저류조로부터 진공 이송관을 배관하며, 이 진공 이송관의 끝에는 상기 세대별 저류조들에 축적된 분쇄 및 건조 음식물 쓰레기를 집합 저류하는 대용량의 중앙 진공 포집기를 설치하고, 이 중앙 진공 포집기에는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를 갖추며, 상기 세대별 저류조로부터 중앙 진공 포집기로의 음식물 쓰레기 이송을 단속하도록 상기 세대별 저류조측 이송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개별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를 거쳐 분쇄 및 건조된 후 진공 이송관을 통하여 중앙 진공 포집기로 이송되도록 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은, 개별 세대내의 일정 공간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와, 이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탈수/건조기기와, 이 분쇄/탈수/건조기기의 취출구측에 가공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세대별 저류조를 구비하되, 개별 세대내의 다른 공간에, 청소 쓰레기를 포집하여 일시 저장하는 세대별 진공 집진기와,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로부터 개별 세대내 단위 청소 구역으로 배관되는 흡입관 및 이 흡입관 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구, 그리고 이 흡입구에 결합시켜 청소하는 청소대를 구비하여, 상기 세대별 저류조와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를 하나의 진공 이송관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각각에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하나의 진공 이송관을 별도의 공간으로 연장시킴과 아울러 연장된 단부를 분기관으로 분기시키면서 각 분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분기관의 연장단부에 각각 대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저장용 중앙 진공 포집기와 대용량의 청소 쓰레기 저장용 중앙 진공 집진기를 설치하며, 상기 중앙 진공 포집기 및 중앙 진공 집진기에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은, 개별 세대내에 바람직하게는 주방의 씽크대(2) 아래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용 호퍼(10)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10)의 하부에 호퍼(10)로부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탈수 및 건조시켜서 배출하는 분쇄/탈수/건조기기(20)가 설치되며,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의 취출구에 가공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세대별 저류조(30)가 설치되고, 이 세대별 저류조(30)로부터 이송관(40)이 배관되며, 이 이송관(40)의 끝에는 상기 세대별 저류조(30)들에 축적된 분쇄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집합 저류하는 대용량의 중앙 진공 포집기(50)가 갖추어지고, 이 중앙 진공 포집기(50)에는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0)가 갖추어지며, 또,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측 이송관(40)에는 세대별 저류조(30)로부터 중앙 진공 포집기(50)로의 음식물 쓰레기 이송을 단속하는 개폐밸브(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개별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를 거치면서 분쇄 및 건조된 후 진공 이송관(40)을 통하여 중앙 진공 포집기(50)로 이송.집하되도록 하여서 상기 중앙 진공 포집기(50)에 집하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괄적으로수거하여 그대로 퇴비나 사료 등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에 음식물 쓰레기의 축적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32)를 구비하고, 개별 세대내에는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알려줌과 아울러 사용자가 조작하여 시용하기 위한 조작반(70)을 구비한다.
상기 조작반(70)에는 적어도, 상기 수위센서(3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축적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창(71)과, 상기 세대별 저류조(30)를 비우고자 할 경우 상기 개폐밸브(31)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상기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를 누르면 상기 개폐밸브(31)가 개방되고 상기 진공펌프(60)가 구동됨으로써 세대별 저류조(30)에 축적된 분쇄/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진공 이송관(40)을 통하여 이송되어 중앙 진공 포집기(50)로 흡입된다.
또한, 상기 조작반(70)에는 분쇄/탈수/건조기기(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73)도 구비하여 대부분의 사용조작이 하나의 조작반(70)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공펌프(60)의 구동 방식을 무선 주파수에 의한 원격 구동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자에 의하여 고안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62418호에 개시된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는 세대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반(70)측에, 상기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 조작시 특정 주파수 신호를 발신하는 RF송신부(74)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펌프(60)측에는, 상기 RF송신부(74)로부터 발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원격으로 감지하여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는 RF수신기(61)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RF수신기(61)는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따른 어댑터형 리모트 센서(62)를 갖추고, 상기 진공펌프(60)로부터 전원공급선(63)을 연결시키며, 어댑터형 리모트 센서(62)를 콘센트(64)에 연결하여, 어댑터형 리모트 센서(62)가 상기 RF송신부(74)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진공펌프(60)로의 전원 인가여부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을 아파트 등의 집합주택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데, 집합주택에서는 중앙 진공 포집기(50)를 운반차량의 진입이 용이하게 된 집합주택의 지하실, 주차장, 또는 별도의 설치공간에 설치하고, 이 중앙 진공 포집기(50)로부터 각 세대로 연장되는 하나의 진공 이송관(40)을 배관하고, 이 이송관(40)을 각 세대별 저류조(30)로 분기한 형태를 갖추게 된다.
위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향에 따르면, 상기 각 세대내에 구비되는 조작반(70)에 어떤 한 세대에서 상기 중앙 진공 포집기(50)의 사용을 위하여 상기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고 있는 중에는, 다른 세대에 상기 진공펌프(60)가 사용중임을 경고 내지 표시함과 아울러 해당 세대에서의 진공펌프(60) 구동조작을 단절시키는 경고부(76)를 구비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작반(70)상의 경고부(76)는 경고램프로 구성하거나 상태표시창(71)에 문자나 기호로 표시하고, 경고램프를 점등하거나 경고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각 세대내에 설치된 투입용 호퍼(10)에 음식물 쓰레기(찌꺼기)를 투입한 후, 조작반(70)에 구비된 구동 스위치(73)를 누르면 분쇄/탈수/건조기기(20)가 구동되면서 이에 인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감량, 감수 처리 되어 배출된다.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는 앞서 설명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0202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12194호와 같은 것의 사용을 배제하지는 않으나, 통상적으로 분쇄/탈수/건조기기는 원심회전력을 이용하거나 혹은 분쇄.압축하여 음식물 쓰레기 내의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열풍 또는 히터를 사용하여 80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음식물 쓰레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기를 병설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분쇄/탈수/건조기기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85%이상 제거하고, 60~70%이상 감량시키는 기기를 말한다.
다시, 상기와 같이 분쇄/탈수/건조기기(20)에서 분쇄,감량,감수되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세대별 저류조(30)에 축적된다. 세대별 저류조(30)에 수차례에 걸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는 저류조(30)에 구비된 수위센서(32)를 통하여 감지되어 그 신호가 상기 조작반(70)의 상태표시창(71)에 표시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비워야 할 시기를 알려준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를 누르면 진공펌프(60)에 전원이 인가되어 진공펌프(60)가 구동되어 중앙 진공 포집기(50)와 진공 이송관(40)에 진공력이 발생됨과 아울러 세대별 저류조(30)측 개폐밸브(31)가개방됨으로써 세대별 저류조(30)에 포집된 음식물 쓰레기가 종래의 진공 청소 방식에서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상기 진공 이송관(40)을 따라 중앙 진공 포집기(50)로 흡인되게 된다.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는 과립상으로 분쇄되어 건조된 것이므로 그것의 이송과정은 종래의 진공 청소 방식에 의한 건조 쓰레기의 이송과정과 같으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자연스럽게 이송되어 이송관(40)이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진공펌프(60)가 주파수 원격 제어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를 누르면 RF송신부(74)로부터 특정 주파수 신호가 발진되고, 이를 진공펌프(60)측의 RF수신기(61)가 수신하여 상기 진공펌프(60)에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진공펌프(60)가 구동되어 중앙 진공 포집기(50)와 진공 이송관(40)에 진공력이 발생됨과 아울러, 세대별 저류조(30)측 개폐밸브(31)가 개방됨으로써, 세대별 저류조(30)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가 진공 이송관(40)을 따라 중앙 진공 포집기(50)로 흡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60)의 구동을 무선 주파수에 의한 원격제어 방식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진공펌프(60)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배선공사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어떤 한 세대에서 상기 중앙 진공 포집기(50)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즉, 상기 진공펌프(60)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다른 세대의 조작반(70)측에 마련된 경고부(76)에 의하여 진공펌프(60)가 사용되고 있음이 표시됨과 아울러 해당 세대에서는 진공펌프(60)의 구동조작이 단절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를 누르더라도 개폐밸브(31)의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해당 세대의저류조(30)는 비울 수 없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처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시스템과 연계하여 구성한 것을 나타낸다. 도 1,2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세대내의 주방 등과 같은 일정 공간에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10)와, 이 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와, 이 분쇄/탈수/건조기기(20)의 취출구측에 가공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세대별 저류조(30)를 구비하고 있고, 개별 세대내의 다른 공간에는, 청소 쓰레기를 포집하여 일시 저장하는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와,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로부터 개별 세대내 단위 청소 구역으로 배관되는 흡입관(90) 및 이 흡입관(90) 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구(91), 그리고 이 흡입구(91)에 결합시켜 청소하는 청소대(1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향에 따라서,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와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는 하나의 진공 이송관(40)으로 연결되고, 세대별 저류조(30)와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측의 이송관(40)에는 각각 개폐밸브(31)(8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진공 이송관(40)을 지하실 등 별도의 공간으로 연장시킴과 아울러 연장된 단부를 분기관(41)(42)으로 분기시키면서 각 분기관(41)(42)에개폐밸브(43)(44)가 설치되고, 상기 분기관(41)(42)의 연장단부에 각각 음식물 쓰레기 저장용 중앙 진공 포집기(50)와 청소 쓰레기 저장용 중앙 진공 집진기(110)가 설치되며, 이들 중앙 진공 포집기(50) 및 중앙 진공 집진기(110)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0)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축적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32)가 구비되고,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에는 포집된 청소 쓰레기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82)가 구비된다.
그리고, 개별 세대내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70)이 구비되는데, 상기 조작반(70)에는, 적어도,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73)와,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측 수위센서(3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축적량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측 수위센서(82)로부터 입력되는 청소 쓰레기 포집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창(71)과, 상기 세대별 저류조(30)를 비우고자 할 경우 세대별 저류조(30)측 개폐밸브(31) 및 중앙 진공 포집기(50)측 개폐밸브(43)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와,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를 비우고자 할 경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측 개폐밸브(81) 및 중앙 진공 집진기(50)측 개폐밸브(44)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집진기 비우기 스위치(75)가 구비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진공펌프(60)는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나 집진기 비우기 스위치(75)중 하나를 누르면 언제나 구동하게 되어 있으며, 개폐밸브(43)(44)의 선택적 작동에 의하여음식물 쓰레기와 청소 쓰레기가 구분되어 진공 이송관(50)을 따라 중앙 진공 포집기(50) 또는 중앙 진공 집진기(80)로 포집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50)의 구동을 무선 주파수 신호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반(70)측에 상기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 또는 상기 집진기 비우기 스위치(75)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진공펌프(60)의 구동을 원격제어하기 위하여 주파수 신호를 발신하는 RF송신부(74)를 구비하며, 상기 진공펌프(60)측에는, 상기 RF송신부(74)로부터 발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원격으로 감지하여 진공펌프(60)를 구동제어하는 RF수신기(6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의 구동도 무선 주파수 신호에 의한 원격제어 방식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대(100)에 RF송신기(101)를 장착하고,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측에는 상기 청소대(100)의 RF송신기(101)로부터 발생되는 주파수 신호를 원격으로 감지하여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RF수신기(83)를 구비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향에 따라서, 각 세대내에 구비되는 조작반(70)에는 어떤 한 세대에서 상기 중앙 진공 포집기(50) 또는 중앙 진공 집진기(110)의 사용을 위하여 상기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고 있는 중에는, 다른 세대에 상기 진공펌프(60)가 사용중임을 경고함과 아울러 해당 세대에서의 진공펌프(60) 구동조작을 단절시키는 경고부(76)를 구비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을 아파트 등의집합주택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데, 집합주택에서는 중앙 진공 포집기(50)와 중앙 진공 집진기(110)를 운반차량의 진입이 용이하게 된 집합주택의 지하실, 주차장, 또는 별도의 설치공간에 설치하고, 중앙 진공 포집기(50) 및 중앙 진공 집진기(80)로부터 각 세대로 연장되는 하나의 진공 이송관(40)을 배관하며, 이 이송관(40)을 각 세대내부로 분기한 후, 각 세대내에서 다시 세대별 저류조(30)와 세대별 진공 집진기(80)로 분기한 형태를 갖추게 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각 세대내에 설치된 투입용 호퍼(10)에 음식물 쓰레기(찌꺼기)를 투입한 후, 조작반(70)에 구비된 구동 스위치(73)를 누르면 분쇄/탈수/건조기기(20)가 구동되면서 이에 인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감량, 감수 처리 되어 배출되며, 분쇄/탈수/건조기기(20)에서 분쇄,감량,감수되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세대별 저류조(30)에 축적된다. 세대별 저류조(30)에 수차례에 걸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는 저류조(30)에 구비된 수위센서(32)를 통하여 감지되어 그 신호가 상기 조작반(70)의 상태표시창(71)에 표시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비워야 할 시기를 알려준다. 이에 사용자가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를 누르면 진공펌프(60)가 구동됨과 아울러 세대별 저류조(30)측 개폐밸브(31) 및 중앙 진공 포집기(50)측 개폐밸브(43)가 개방되어 세대별 저류조(30)에 포집된 음식물 쓰레기가 중앙 진공 포집기(50)로 진공이송된다. 이러한 구동을 무선 주파수 신호에 의한 원격 제어 방식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를 누르면RF송신부(74)로부터 특정 주파수 신호가 발진되고, 이를 진공펌프(60)측의 RF수신기(61)가 수신하여 상기 진공펌프(60)에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진공펌프(60)가 구동되고, 진공펌프(60)의 구동에 따라 중앙 진공 포집기(50)와 진공 이송관(40)에 진공력이 발생된다. 이와 동시에, 세대별 저류조(30)측 개폐밸브(31)가 개방됨과 아울러 중앙 진공 포집기(50)측 개폐밸브(43)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는 진공 이송관(40) 및 분기관(41)을 통하여 이송되어 중앙 진공 포집기(50)로 흡인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측 개폐밸브(81)와 중앙 진공 집진기(110)측 개폐밸브(44)는 닫혀 있으므로 청소 쓰레기는 이송되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만이 이송처리된다.
다음, 세대내 단위 청소구역에 청소를 수행하고자 세대내 단위 청소 구역에 설치된 흡입구(91)에 청소대(100)를 꽂고 RF송신기(101)를 누름에 따라 특정 주파수 신호가 발진되고, RF송신기(101)로부터 발진되는 주파수 신호를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에 구비된 RF수신기(83)에서 수신하여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에 전원이 연결되고, 이에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의 집진모터가 구동되어 단위 청소구역으로 배관된 흡입관(90)내에 진공압이 발생하여 청소대(100)로부터 청소 쓰레기가 흡입되어져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에 포집된다.
이와 같이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에 수차례에 걸쳐 포집된 청소 쓰레기는,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에 구비된 수위센서(82)를 통하여 감지되어 그 신호가 상기 조작반(70)의 상태표시창(71)에 표시됨으로써 청소 쓰레기를 비워야 할 시기를 알려준다. 이에 사용자가 집진기 비우기 스위치(75)를 누르면 진공펌프(60)가 구동됨과 아울러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측 개폐밸브(81)와 중앙 진공 집진기(110)측 개폐밸브(44)가 개방되어 세대별 저류조(30)에 포집된 청소 쓰레기가 중앙 진공 집진기(110)로 진공이송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구동을 무선 주파수 신호에 의한 원격 제어 방식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집진기 비우기 스위치(75)를 누르면 RF송신부(74)로부터 특정 주파수 신호가 발진되고, 이를 진공펌프(60)측의 RF수신기(61)가 수신하여 진공펌프(60)에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진공펌프(60)가 구동되어 중앙 진공 집진기(110)와 진공 이송관(40)에 진공력이 발생됨과 아울러,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측 개폐밸브(81)와 중앙 진공 집진기(110)측 개폐밸브(44)가 개방됨으로써,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에 포집된 청소 쓰레기가 진공 이송관(40)을 따라 이송되어 중앙 진공 집진기(110)로 흡인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과 청소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어떤 한 세대에서 상기 중앙 진공 포집기(50) 또는 중앙 진공 집진기(110)의 사용을 위하여 상기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고 있는 중에는, 다른 세대의 조작반(70)에 설치된 경고부(76)에 의하여 상기 진공펌프(60)가 이미 사용되고 있음이 표시되고, 아울러 해당 세대에서는 진공펌프(60)의 구동조작이 단절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나 집진기 비우기 스위치(75)를 누르더라도 이의 신호가 진공펌프(60)나 개폐밸브(31,81)로 인가되지 않으므로, 이때에는 해당 세대의 저류조(30) 및 세대별 진공 집진기(80)를 비울 수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그 발생 원천인 각 세대내에서 분리, 감량, 감수처리한 다음 진공 이송방식에 의하여 최종 집하장으로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물 이송방식이나 압축공기 이송방식에서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그대로 이송시키는데서 오는 환경 오염과 관로 막힘 등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집하장에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 감량, 감수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그대로 자원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특정 용도로 쉽게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진공이송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진공 청소 시스템과 쉽게 연계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 본 발명에 의하여 해당 진공 청소 시스템도 개별세대에 포집된 청소 쓰레기를 일괄적으로 수거 가능한 중앙 집중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드는 잇점이 있고, 음식물 쓰레기와 청소 쓰레기를 일일이 비우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개별 세대내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용 호퍼(10)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10)의 하부에는 호퍼(10)로부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탈수 및 건조시켜서 배출하는 분쇄/탈수/건조기기(20)를 설치하며,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의 취출구에는 가공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세대별 저류조(30)를 설치하고, 이 세대별 저류조(30)로부터 진공 이송관(40)을 배관하며, 이 진공 이송관(40)의 끝에는 상기 세대별 저류조(30)들에 축적된 분쇄 및 건조 음식물 쓰레기를 집합 저류하는 대용량의 중앙 진공 포집기(50)를 설치하고, 이 중앙 진공 포집기(50)에는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0)를 갖추며, 상기 세대별 저류조(30)로부터 중앙 진공 포집기(50)로의 음식물 쓰레기 이송을 단속하도록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측 이송관(40)에 개폐밸브(31)를 설치하여, 개별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를 거쳐 분쇄 및 건조된 후 진공 이송관(40)을 통하여 중앙 진공 포집기(50)로 진공이송되어 집합저류되도록 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축적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32)를 구비하고,
    개별 세대내에는, 적어도, 상기 수위센서(3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축적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창(71)과, 상기 세대별 저류조(30)를 비우고자 할 경우 상기 개폐밸브(31)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가 갖추어진 조작반(7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진공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축적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32)를 구비하고, 개별 세대내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70)을 구비하되,
    상기 조작반(70)에는, 적어도,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73)와, 상기 수위센서(3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축적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창(71)와, 상기 세대별 저류조(30)를 비우고자 할 경우 상기 개폐밸브(31)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60)를 무선 주파수에 의한 원격 제어 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작반(70)에 상기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 조작시 특정 주파수 신호를 발신하는 RF송신부(74)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펌프(60)측에는, 상기 RF송신부(74)로부터 발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원격으로 감지하여 진공펌프(60)를 구동제어하는 RF수신기(8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5. 개별 세대내의 일정 공간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10)와, 이 호퍼(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와, 이 분쇄/탈수/건조기기(20)의 취출구측에 가공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세대별 저류조(30)를 구비하되,
    개별 세대내의 다른 공간에, 청소 쓰레기를 포집하여 일시 저장하는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와,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로부터 개별 세대내 단위 청소 구역으로 배관되는 흡입관(90) 및 이 흡입관(90) 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구(91), 그리고 이 흡입구(91)에 결합시켜 청소하는 청소대(100)를 구비하여,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와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를 하나의 진공 이송관(40)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개폐밸브(31)(81)를 설치하고, 상기 하나의 진공 이송관(40)을 별도의 공간으로 연장시킴과 아울러 연장된 단부를 분기관(41)(42)으로 분기시키면서 각 분기관(41)(42)에 개폐밸브(43)(44)를 설치하고, 상기분기관(41)(42)의 연장단부에 각각 대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저장용 중앙 진공 포집기(50)와 대용량의 청소 쓰레기 저장용 중앙 진공 집진기(110)를 설치하며, 상기 중앙 진공 포집기(50) 및 중앙 진공 집진기(110)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축적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32)를 구비하고,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에는 포집된 청소 쓰레기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82)를 구비하며,
    개별 세대내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70)을 구비하되,
    상기 조작반(70)에는, 적어도,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73)와, 상기 세대별 저류조(30)측 수위센서(3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축적량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측 수위센서(82)로부터 입력되는 청소 쓰레기 포집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창(71)과, 상기 세대별 저류조(30)를 비우고자 할 경우 세대별 저류조(30)측 개폐밸브(31) 및 중앙 진공 포집기(50)측 개폐밸브(43)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와,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를 비우고자 할 경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측 개폐밸브(81) 및 중앙 진공 집진기(110)측 개폐밸브(44)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집진기 비우기 스위치(7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반(70)측에는 상기 저류조 비우기 스위치(72)나 상기 집진기 비우기 스위치(75) 조작시 상기 진공펌프(60)의 구동을 원격제어하기 위하여 주파수 신호를 발신하는 RF송신부(74)를 구비하며,
    상기 진공펌프(60)측에는, 상기 RF송신부(74)로부터 발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원격으로 감지하여 진공펌프(60)를 구동제어하는 RF수신기(6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청소대(100)에 장착되는 RF송신기(101)와, 상기 청소대(100)의 RF송신기(101)로부터 발생되는 주파수 신호를 원격으로 감지하여 상기 세대별 진공 집진기(80)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RF수신기(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9. 제2항, 제3항, 제4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대내에 구비되는 조작반(70)에는 어떤 한 세대에서 상기 중앙 진공 포집기(50) 또는 중앙 진공 집진기(110)의 사용을 위하여 상기 진공펌프(60)를 구동시키고 있는 중에는, 다른 세대에 상기 진공펌프(60)가 사용중임을 경고함과 아울러 해당 세대에서의 진공펌프(60) 구동조작을 단절시키는 경고부(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탈수/건조기기(20)는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85%이상 제거하고, 부피를 65%이상 감량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KR10-2001-0071251A 2001-11-16 2001-11-16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KR100472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251A KR100472611B1 (ko) 2001-11-16 2001-11-16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251A KR100472611B1 (ko) 2001-11-16 2001-11-16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276U Division KR200269427Y1 (ko) 2001-11-16 2001-11-16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880A true KR20030039880A (ko) 2003-05-22
KR100472611B1 KR100472611B1 (ko) 2005-03-08

Family

ID=2956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251A KR100472611B1 (ko) 2001-11-16 2001-11-16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61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139B1 (ko) * 2006-04-18 2007-04-20 주식회사 동호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설비
KR100942544B1 (ko) * 2008-02-05 2010-02-12 한솔이엠이(주) 복합형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KR101054499B1 (ko) * 2008-09-30 2011-08-09 (주)유로파 쓰레기 자동 집하시스템
KR101234084B1 (ko) * 2012-11-08 2013-02-19 이춘우 양압에 의해 건축물 내의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
WO2014025170A1 (ko) * 2012-08-06 2014-02-13 주식회사 칼라카나 양압에 의해 건축물 내의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
KR20160001616A (ko) * 2013-09-06 2016-01-06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IT202000006895A1 (it) * 2020-04-02 2021-10-02 Francesco Paolo Fiorente Elettrodomestico per l’autocompostaggio
IT202100008333A1 (it) * 2021-04-02 2022-10-02 Francesco Paolo Fiorente Compostiera domicilia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67B1 (ko) 2004-05-29 2006-06-08 학교법인조선대학교 펌프를 구비하는 유기성 폐기물 파쇄기
KR101743814B1 (ko) 2015-02-11 2017-06-05 이승봉 관람용 조립식 휴대용 테이블
KR101721761B1 (ko) 2015-07-02 2017-03-30 유지호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KR102033658B1 (ko) * 2019-04-22 2019-10-17 이남혁 공동주택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220157846A (ko) 2021-05-21 2022-11-29 주식회사 아성티에스 공동 이용시설의 음식물류 폐기물의 분쇄, 탈수, 부숙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7303A (ja) * 1992-09-30 1994-04-19 Hitachi Ltd 住棟用ごみ処理システム
JPH081136A (ja) * 1994-06-24 1996-01-09 Hitachi Ltd 住宅用生ゴミ・排水処理システム
KR100232836B1 (ko) * 1997-12-22 1999-12-01 박민식 압축공기에 의한 중앙집중식 음식쓰레기 자동포집시스템
KR200217929Y1 (ko) * 2000-06-29 2001-03-15 김승일 공동주택 음식물 처리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139B1 (ko) * 2006-04-18 2007-04-20 주식회사 동호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설비
KR100942544B1 (ko) * 2008-02-05 2010-02-12 한솔이엠이(주) 복합형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KR101054499B1 (ko) * 2008-09-30 2011-08-09 (주)유로파 쓰레기 자동 집하시스템
WO2014025170A1 (ko) * 2012-08-06 2014-02-13 주식회사 칼라카나 양압에 의해 건축물 내의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
KR101234084B1 (ko) * 2012-11-08 2013-02-19 이춘우 양압에 의해 건축물 내의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
KR20160001616A (ko) * 2013-09-06 2016-01-06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KR20160003550A (ko) * 2013-09-06 2016-01-11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처리기
IT202000006895A1 (it) * 2020-04-02 2021-10-02 Francesco Paolo Fiorente Elettrodomestico per l’autocompostaggio
EP3889123A1 (en) * 2020-04-02 2021-10-06 Francesco Paolo Fiorente Home composter
IT202100008333A1 (it) * 2021-04-02 2022-10-02 Francesco Paolo Fiorente Compostiera domicili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2611B1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611B1 (ko)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KR101677750B1 (ko) 다단처리방식의 대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241501B1 (ko)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공동처리시스템
CN210546973U (zh) 一种厨余预处理回收装置
US5400443A (en) Waste processing toilet
KR101844863B1 (ko)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0873970B1 (ko) 싱크대와 연결된 이송관로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싱크대배출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CN211100750U (zh) 一种小区垃圾综合处理系统
KR200269427Y1 (ko)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KR101668558B1 (ko) 생활폐기물자동집하시설의 음식물류폐기물 투입장치
CN111229798A (zh) 一种智能厨余物处理回收装置
CN111604356A (zh) 家用餐厨垃圾自降解环保智能处理设备及方法
KR100192561B1 (ko) 유기성 폐기물 관로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30039876A (ko)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
EP1472163B1 (en) Method for processing kitchen waste
CN215796136U (zh) 一种分类垃圾自动回收系统
KR101044727B1 (ko)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CN211140409U (zh) 一种一站式社区生活垃圾分类回收房
KR102033658B1 (ko) 공동주택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050012084A (ko) 집단 주거형 건물의 음식물 쓰레기 일괄 수집 및 처리 장치
KR20150134662A (ko)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99421B1 (ko) 음식물 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176558Y1 (ko) 가정음식물 찌꺼기 자원화 자동처리장치
KR19990030372A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JP2006256789A (ja) 家屋内廃棄処理物の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