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761B1 -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761B1
KR101721761B1 KR1020150094609A KR20150094609A KR101721761B1 KR 101721761 B1 KR101721761 B1 KR 101721761B1 KR 1020150094609 A KR1020150094609 A KR 1020150094609A KR 20150094609 A KR20150094609 A KR 20150094609A KR 101721761 B1 KR101721761 B1 KR 10172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garbage
waste
storage tank
sliding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761B9 (ko
KR20170004355A (ko
Inventor
유지호
Original Assignee
유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호 filed Critical 유지호
Priority to KR102015009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7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761B1/ko
Publication of KR10172176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76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494Refuse receptacle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or extinguishin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16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2Volume determ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생활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쓰레기 수거전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활 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쓰레기 수거 시스템 설치를 위한 공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고 최대의 편리성을 가지며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은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단계와; 호출된 층에 엘리베이터가 도달한 후 슬라이딩 슈트와 도킹하는 단계와; 쓰레기 투입구의 투입구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와; 쓰레기 투입구로 쓰레기를 투입한 후 투입구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와; 차단 밸브를 개방하여 슬라이딩 슈트 내부에 있는 쓰레기를 엘리베이터의 쓰레기 저장조로 이송 및 저장하는 단계와; 차단 밸브를 폐쇄한 후 슬라이딩 슈트와 엘리베이터의 도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Elevator system for collectiing waste and method for collecting was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층의 공동주택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생활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 수거 시스템 설치를 위한 공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고 최대의 편리성을 가지며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주거생활 방식이 점차 현대화하여 발전함에 따라 대형 아파트 단지와 고층 아파트 및 주상 복합 아파트 등에서 배출하는 생활 쓰레기의 배출량과 비출 비용도 천문학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생활 쓰레기 배출방식은 아파트의 각 세대에서 발생되는 생활 쓰레기를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을 통해 사람이 운반하여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쓰레기 수거장에 분리 수거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쓰레기 배출방식은 가정에서 배출되는 일반 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를 아파트의 외부에 위치한 제한된 장소로 매번 운반하여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쓰레기의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로 인해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고층 아파트 또는 주상 복합 아파트 등에 자유 낙하식 연도를 설치하고 각층에 옥내 투입구를 설치하여, 옥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를 지하의 일정한 공간에 낙하시켜 저장하고, 지하에 쓰레기 자동 집하 설비를 진공 블로워 및 펌프를 이용하여 수거하는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지하에 자동 집하된 생활 쓰레기를 압축 및 파봉, 파쇄한 후 저장하고, 쓰레기 수거차량이 지하의 공간에 저장된 쓰레기를 수거하여 폐기장으로 이송한 후 폐기처분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 밖에 규모가 큰 대형화 주거단지의 경우에는 단지 내에 쓰레기를 집하하는 설비를 별도로 구축하고, 지하로 관로를 설치하여 주거단지 내까지 관로를 연결한 후 쓰레기 투입설비를 설치하여 주민들이 쓰레기 투입 후 일정량이 저장되면 집하장에서 흡입 블로워(송풍기)로 관로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쓰레기를 강제 이송시킨 후 집하하여 폐기장까지 이송하는 시스템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자동 집하 설비는 쓰레기의 처리를 위한 주거단지의 지하 공간 점유율이 과대하게 차지하게 되어 건축물 설계 및 공사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쓰레기의 파봉 및 파쇄를 위한 별도의 파봉 및 파쇄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 한편 저장된 쓰레기를 쓰레기 집하장까지 이송하기 위해 고가의 진공 이송 설비가 구축되어야 하기 때문에 쓰레기 처리를 위한 과다한 설비비가 요구되고,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잦은 고장으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함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72611호(2005.02.0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층의 공동주택에서 쓰레기 처리를 위한 설비구축을 최소화하여 쓰레기 처리시설 구축 및 처리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쓰레기 처리에 따른 지하 공간의 점유율을 최소화하여 건축물 설계 시 쓰레기 수거 시스템 설치를 위한 설계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의 세대별 각 층에 설치되는 쓰레기 투입구와; 상기 쓰레기 투입구와 연통되는 슬라이딩 슈트와; 건물의 세대별 각 층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 슈트를 통해 이동된 쓰레기가 저장되는 쓰레기 저장조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와;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각 층의 위치에서 호출하는 호출수단과; 상기 호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호출수단으로는, 각 층 세대별로 구비되어 있는 RF 리더기에 접촉하여 무선인식방식으로 호출할 수 있는 RF 카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 투입구에는 이를 개폐하기 위한 투입구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쓰레기 저장조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 밸브가 구비되되, 상기 투입구 도어와 차단 밸브는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입구 도어는 엘리베이터와 슬라이딩 슈트의 도킹 시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투입구 도어의 개방 시 차단 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밸브는 투입구 도어가 폐쇄된 이후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쓰레기 저장조에 저장된 쓰레기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레벨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벨센서를 통해 검출된 쓰레기의 양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엘리베이터를 지하의 쓰레기 배출장소로 이동시키고, 설정치 이하일 경우 대기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쓰레기 저장조 또는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통로 상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장치와,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화재가 감지된 경우 화재를 소화하도록 작동하는 소화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쓰레기 저장조 또는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통로 상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부패 및 악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에 구비되는 쓰레기 저장조는,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음식물쓰레기 카트리지와, 일반 쓰레기가 저장되는 일반쓰레기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는 엘리베이터 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가 쓰레기 양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엘리베이터를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된 엘리베이터를 도킹시킨 후 엘리베이터 내부의 쓰레기를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외부의 집하장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진공이송장치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방법은, (a)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단계와; (b)호출된 층에 엘리베이터가 도달한 후 슬라이딩 슈트와 도킹하는 단계와; (c)쓰레기 투입구의 투입구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와; (d)쓰레기 투입구로 쓰레기를 투입한 후 투입구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와; (e)차단 밸브를 개방하여 슬라이딩 슈트 내부에 있는 쓰레기를 엘리베이터의 쓰레기 저장조로 이송 및 저장하는 단계와; (f)차단 밸브를 폐쇄한 후 슬라이딩 슈트와 엘리베이터의 도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에서 엘리베이터의 호출은 RF 카드에 의한 무선인식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f)단계 후에는, 엘리베이터의 쓰레기 저장조 내에 저장된 쓰레기 양을 검출하여 쓰레기의 충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g)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g)단계에서 쓰레기의 양이 충만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엘리베이터를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단계로부터 쓰레기의 양이 충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엘리베이터를 다음 호출 시까지 대기 모드로 유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가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된 후에는 쓰레기 저장조 카트리지의 교체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가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된 후 엘리베이터 내부의 쓰레기가 진공흡입방식을 통해 외부의 집하장까지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일반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등의 생활 쓰레기의 처리를 위한 설비 구성이 간단한 규모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 처리를 위한 설비구축 및 운용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와 같이 가정에서 배출된 쓰레기를 쓰레기 집하장까지 이송하기 위한 고가의 진공이송설비를 구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설치비용 및 운영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각 아파트 세대별로 지하의 최소 공간을 활용하여 쓰레기 수거 및 처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 설계시 쓰레기 수거 시스템 설치를 위한 설계부담 및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넷째, 쓰레기의 저장기능 및 수거기능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 및 이송시 음식물 쓰레기가 파봉 및 파쇄되지 않은 포장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어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쓰레기 처리를 위한 설비구성이 간단한 규모로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쓰레기 처리시스템 설비의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 및 저장되는 엘리베이터의 쓰레기 저장조 주변에 별도의 냉동설비가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및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곱째, 쓰레기가 저장 및 이동되는 관로 상에 화재 자동감지장치 및 소화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쓰레기 배출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RF 카드 접촉만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여 쓰레기를 손쉽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홉째, 종래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진공 펌프나 블로워에 의해 이송부에서 처리부로 일반/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던 수평배관 대신에 아파트 세대별 라인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통해 일반/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아파트 단지의 지하 공간 점유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일반/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을 위한 진공 펌프나 블로워 장치의 설치가 배제됨으로써 집하장이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층수가 낮거나 단일형 건물에서도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고, 건축물 설계 시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설계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엘리베이터가 도킹되어 옥내의 쓰레기 투입구와 연통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옥내에 구비되는 쓰레기 투입구의 정면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구비된 쓰레기 저장조의 정면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슬라이딩 슈트와 도킹관의 도킹 전, 후의 모습을 비교 도시한 비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된 회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엘리베이터가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된 후 진공이송장치를 통해 쓰레기가 외부의 집하장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수거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엘리베이터가 도킹되어 옥내의 쓰레기 투입구와 연통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도 3은 옥내에 구비되는 쓰레기 투입구의 정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구비된 쓰레기 저장조의 정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슬라이딩 슈트와 도킹관의 도킹 전, 후의 모습을 비교 도시한 비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된 회로 구성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고층 아파트 또는 주상복합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에서 최소한의 설치공간을 활용하여 가정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의 효율적인 수거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건물의 세대별 라인 각 층에는 옥내에서 각종 쓰레기(본 실시 예에서는 가정에서 배출되는 일반 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함)의 배출이 필요할 경우 쓰레기(G)를 투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쓰레기 투입구(110)가 구비된다.
상기 쓰레기 투입구(110)에는 이를 개폐하는 투입구 도어(112)가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 도어(112)는 제어부(190)를 통해 개폐가 제어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 도어(112)는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일반 쓰레기 전용 투입구와, 음식물 쓰레기 전용 투입구 2개로 구비될 있다.
이와 같은 투입구 도어(112)는 엘리베이터(140)가 호출된 층에 도달되어 슬라이딩 슈트(120)와 도킹될 경우 자동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부(190)를 통해 제어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투입구(110)는 투입되는 쓰레기(G)의 양과 부피 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관경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쓰레기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G)가 하방으로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슬라이딩 슈트(sliding chute;12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슈트(120)는 쓰레기 투입구(110)가 위치한 실내로부터 엘리베이터(140)가 위치한 건물 벽을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는데, 상기 쓰레기 투입구(110)로부터 투입된 쓰레기가 엘리베이터(140) 내의 쓰레기 저장조(141)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설치된다.
한편, 건물 내부의 세대별 라인에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세대별 각 층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수거 및 저장하도록 하는 쓰레기 수거 전용 엘리베이터(140)가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건물의 세대별 라인에는 엘리베이터(14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통로(102)가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140)는 도시되지 않은 승강장치를 통해 세대별 라인 각 층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세대별 각 층에는 쓰레기의 배출이 필요할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140)를 호출할 수 있는 별도의 호출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수단은 버튼이나 스위치, 키 등의 다양한 장치 형태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무선호출방식으로 운용 가능한 RF(Radio Frequency) 카드(156)를 엘리베이터 호출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즉, 쓰레기의 배출이 필요할 경우, 각 층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RF 리더기에 RF 카드(156)를 갖다대면 자동으로 엘리베이터(140)의 호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호출된 엘리베이터(140)는 호출된 층에 자동으로 도달한 후 그 층의 쓰레기 투입구(110)와 연통된 슬라이딩 슈트(120)와 도킹하게 된다.
상기 RF 카드에 의한 호출방식은 엘리베이터(140)의 자동 호출 기능과 함께, 허가된 사용자만이 쓰레기 배출을 가능케 하고, 특히, 음식물 쓰레기의 종량제 배출 과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여러 편의성을 갖는다.
한편, 엘리베이터(140)의 내부에는 옥내의 쓰레기 투입구(110)와 연통된 슬라이딩 슈트(120)와 도킹된 이후 슬라이딩 슈트(120)의 내부 통로를 통해 쓰레기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저장될 수 있는 쓰레기 저장조(141)가 마련된다.
상기 쓰레기 저장조(141)는 도 4에 도시한 형태와 같이 내부에 쓰레기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가득 차게 될 경우 건물 지하의 배출장소(104)에서 작업자가 새로운 것으로 교체 장착 가능하도록 카트리지(cartridge) 형태로 설치된다.
즉, 일반 쓰레기가 저장되는 일반 쓰레기 전용 카트리지(141a)와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음식물 쓰레기 전용 카트리지(141b)가 독립적으로 교체 장착 가능하도록 엘리베이터(140) 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141a,141b)에는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쓰레기의 저장량을 각각 검출할 수 있도록 레벨센서(level sensor; 154)가 설치된다.
이러한 레벨센서(154)는 각 카트리지(141a,141b) 내부에 들어 있는 쓰레기의 양을 실시간 검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90)로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190)에서는 상기 레벨센서(154)로부터 전송되는 쓰레기 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엘리베이터(140)가 이동하도록 제어하거나 대기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90)에서는 엘리베이터(140) 내부에 구비된 2개의 카트리지(141a,141b) 중 어느 한쪽 카트리지의 쓰레기 양이 설정 수위 이상으로 충만하다고 판단된 경우, 엘리베이터 승강장치를 구동하여 엘리베이터(140)를 건물 지하의 쓰레기 배출장소(104)로 이동시키게 되고, 반대로, 카트리지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쓰레기의 양이 설정 수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현 위치에서 대기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140) 내부에 구비된 쓰레기 저장조(141)의 상부 측에는 상기 엘리베이터(140)가 호출된 층에 도달된 후 슬라이딩 슈트(120)와의 도킹을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슈트(120)와 쓰레기 저장조(141)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14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48)는 쓰레기 저장조(141)의 상부 측과 연통된 제1연결관(142)과, 상기 제1연결관(14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연결관(142)과 연통되는 제2연결관(14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관(143)의 내부에는 그 외면에 고정된 액츄에이터(144)의 구동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슬라이딩 슈트(120)의 하단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는 도킹관(145)이 구비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140)가 호출된 층에 도달된 후 도킹작업시,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연결관(143)의 외면에 고정된 액츄에이터(144)가 제어부(19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통해 구동되어 도킹관(145)을 전방 측으로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슬라이딩 슈트(120)의 하단과 연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엘리베이터(140)의 도킹이 이루어지면, 쓰레기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가 슬라이딩 슈트(120), 도킹관(145), 제2연결관(143) 및 제1연결관(1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엘리베이터(140) 내부의 쓰레기 저장조(141)로 이송 및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관(142)의 내측에는 쓰레기 저장조(141)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슬라이딩 슈트(12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밸브(146)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 밸브(146)는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제1연결관(142)과 제2연결관(143)의 연결 통로를 차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차단 밸브(146)는 투입구 도어(112)가 개방된 경우에는 닫힘 상태로 유지되어 쓰레기 저장조(141)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게 되고, 쓰레기의 투입이 완료된 후 상기 투입구 도어(112)가 닫히게 될 때 차단 밸브(146)의 개방이 이루어져 쓰레기 저장조(141) 내부로 쓰레기가 원활히 투입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140) 내부에는 쓰레기 저장조(141)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쓰레기(특히,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고, 저장된 쓰레기로부터의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동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장치(150)는 증발기(151), 응축기(152) 및 압축기(153)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데, 이러한 냉동장치(150)의 구성 요소들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하지 않는다.
이 경우, 냉동장치(150)는 엘리베이터(140)의 내부 공간뿐 아니라, 엘리베이터(140)가 이동되는 건물 내부의 이동 통로 상에도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140) 내부에는 유사시 쓰레기 저장조(141) 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센서(118)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140) 내부에는 상기 화재감지센서(118)로부터 쓰레기 저장조(141) 내에 화재발생이 감지된 경우, 이를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장치(164)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소화장치(164)는 엘리베이터(140) 내부의 각 쓰레기 카트리지(141a,141b)별로 독립적인 소화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각 카트리지(141a,141b)에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140)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제어부(190)를 통해 해당 카트리지의 소화기를 즉각적으로 가동시켜 화재를 소화함으로써 엘리베이터(140) 내에서의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재감지센서(118) 및 소화장치(164)는 위와 같은 엘리베이터(140)의 내부 장소에만 국한되지 않고, 엘리베이터(140)가 상하 이동되는 이동 통로 부분에 설치하여, 엘리베이터(140)의 이동 통로(102) 상에서 발생하는 화재에도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40)의 쓰레기 저장조(141) 내부에 쓰레기가 가득 차게 될 경우, 엘리베이터(140)는 지하의 배출장소(104)로 이동되어 쓰레기의 배출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140)가 지하의 배출장소(104)에 도달된 후, 엘리베이터(140) 내부의 쓰레기의 배출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140) 내부에 구비된 쓰레기 저장조(141)는 착탈이 용이한 카트리지 형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쓰레기 저장조(141)는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음식물쓰레기 카트리지(141b)와, 일반 쓰레기가 저장되는 일반쓰레기 카트리지(141a)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카트리지(141a,141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에 쓰레기가 가득 차게 되는 경우, 그 카트리지를 분리하고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 형태의 쓰레기 저장조를 구비함에 따라, 일반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분리 수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카트리지에 쓰레기가 가득 찰 경우 그 카트리지를 엘리베이터(140)로부터 분리하는 간단한 과정으로 통해 쓰레기의 배출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쓰레기 배출장소(104) 주변의 환경도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분리된 카트리지는 수거차량을 통해 쓰레기 집하장으로 간편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정에서 쓰레기를 배출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실내에 구비되어 있는 RF 리더기에 RF 카드(156)를 접촉하게 된다.(S202)
이때, 상기 RF 리더기에서는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허가된 사용자일 경우 엘리베이터(140)를 호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140)가 호출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엘리베이터(140)는 호출된 층에 도달된다.(S204)
그리고, 엘리베이터(140)가 호출된 층에 도달된 다음에는 그 층에 구비된 슬라이딩 슈트(120)와의 도킹이 이루어진다.(S206)
이때, 엘리베이터(140)의 도킹은, 엘리베이터(140)의 제2연결관(143)에 고정된 액츄에이터(144)의 구동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액츄에이터(144)를 통해 제2연결관(143) 내부에 있는 도킹관(145)을 전방 측으로 밀어 슬라이딩 슈트(120)의 하단 부분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도킹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슬라이딩 슈트(120)와 엘리베이터(140)의 도킹이 완료된 다음에는, 제어부(19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옥내의 쓰레기 투입구(110)를 막고 있던 투입구 도어(112)를 개방시키게 된다.(S208)
이와 같이, 투입구 도어(112)가 개방되어 쓰레기 투입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개방된 쓰레기 투입구(110)를 통해 쓰레기(일반 쓰레기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실내에 구비된 투입구 닫힘 버튼(116)을 눌러 투입구 도어(112)를 닫게 된다.(S210,S212)
이 경우, 투입구 도어(112)의 개방으로 인해 쓰레기 투입구(110)가 개방된 상태로 되면, 엘리베이터(140)의 쓰레기 저장조(141)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쓰레기 투입구(110)로 역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투입구 도어(11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140) 측의 차단 밸브(146)가 닫힘 상태로 유지되어 엘리베이터(14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슬라이딩 슈트(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쓰레기 투입이 완료되어 투입구 도어(112)가 닫히게 되면, 이어서 엘리베이터(140) 측 차단 밸브(146)가 개방됨으로써, 슬라이딩 슈트(120) 내부로 투입된 쓰레기는 도킹관(145), 제2연결관(143), 제1연결관(142) 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엘리베이터(140) 내부의 쓰레기 저장조(141) 내부로 이송 및 저장되고, 이렇게 쓰레기의 이송 및 저장이 완료된 후에는 개방되었던 차단 밸브(146)가 닫히게 된다.(S214)
이와 같이, 차단 밸브(146)가 닫힌 후에는 엘리베이터(140)의 제2연결관(143)에 구비된 액츄에이터(144)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슬라이딩 슈트(120)와 연결되어 있던 도킹관(145)을 후방 측으로 후퇴시켜 슬라이딩 슈트(12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슬라이딩 슈트(120)와 엘리베이터(140)의 도킹을 해제하게 된다.(S216)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140)의 도킹이 해제된 이후, 제어부(190)에서는 레벨센서(154)로부터 검출된 쓰레기 양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140)를 지하의 배출장소(104)로 이동시킬지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90)에서는 레벨센서(154)를 통해 검출된 쓰레기 저장조(141) 내의 쓰레기의 양이 설정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엘리베이터(140)를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시켜 쓰레기 배출작업을 수행토록 하고, 쓰레기 저장조(141) 내부의 쓰레기의 양이 설정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140)를 다음 호출 시까지 대기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제어한다.(S218)
엘리베이터(140) 내부에 쓰레기가 가득 찬 경우, 엘리베이터(140)는 지하의 배출장소(104)로 이동된 후, 작업자를 통해 엘리베이터(140) 내부의 쓰레기 배출작업이 실시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140) 내부의 쓰레기 저장조(141)는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한 카트리지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쓰레기가 가득 찬 카트리지를 엘리베이터(140)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 장착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쓰레기의 배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140)로부터 분리된 카트리지는 이후에 카트리지 수거차량을 이용하여 외부의 집하장으로 이송하여 처리된다.
한편, 엘리베이터(140) 내부의 쓰레기 배출작업은 전술된 실시 예 형태와 같은 카트리지의 교체방식 이외에도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의 배출방법을 보여주는 것으로, 진공이송장치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의 쓰레기가 외부 집하장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건물 지하의 쓰레기 배출장소(104)로 엘리베이터(140)가 이동된 후, 엘리베이터(140) 내부의 쓰레기를 진공이송장치(200)에 도킹시킨 후, 이송관로 내부에 조성된 진공력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외부의 집하장(185)까지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쓰레기 진공이송장치(200)에는 지하의 배출장소(104)에 도달된 엘리베이터(140)가 도킹되며, 상기 엘리베이터(140) 내부의 쓰레기가 저장되는 쓰레기 저장슈트(171)가 구비된다.
상기 쓰레기 저장슈트(171)는 외부의 쓰레기 집하장(185)까지 연결되어 있는 쓰레기 이송관로(181) 측과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 저장슈트(171)의 상부 측에는 엘리베이터(140)의 쓰레기 저장조(141) 내부에 저장된 쓰레기를 쓰레기 저장슈트(171) 측으로 안내하면서 원활한 쓰레기 배출을 돕는 가이드 슈트(172)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슈트(172)와 쓰레기 저장슈트(171)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쓰레기 저장슈트(171) 내부로의 쓰레기 유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게이트 밸브(17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140)의 쓰레기 저장조(141) 하단에는 하향으로 길게 연장된 통로 형상을 갖는 연결슈트(17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슈트(173)의 하단 부분에는 쓰레기 저장조(141) 내부의 쓰레기 배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게이트 밸브(174)가 설치된다.
또한, 엘리베이터(140)가 쓰레기 저장슈트(171)와 도킹될 경우, 쓰레기 저장조(141)의 연결슈트(173) 하단 부분은 가이드 슈트(172)의 상단 부분에 인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쓰레기 저장슈트(171)에는 내부의 쓰레기 양을 검출할 수 있는 레벨센서(176)가 설치되어, 쓰레기 저장슈트(171) 내부의 쓰레기 저장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한편, 쓰레기 저장슈트(171)의 하부 측은 외부의 쓰레기 집하장(185)까지 연결되어 있는 쓰레기 이송관로(181)와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 이송관로(181)와 연결되는 쓰레기 저장슈트(171)의 하단 부분에는 상기 쓰레기 저장슈트(171) 내부의 쓰레기가 충만한 경우 개방되어 쓰레기를 이송관로(181)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밸브(182)가 구비된다.
아울러, 쓰레기 이송관로(181)의 일측에는 쓰레기의 이송이 필요할 경우 개방되는 섹션밸브(18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쓰레기 이송관로(181)의 일측 끝단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184)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쓰레기 이송관로(181)의 일측에는 관로의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관로 점검구(187)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진공이송장치(200)에 의한 엘리베이터 쓰레기 수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 각 층에서 쓰레기 배출로 인해 엘리베이터(140) 내의 쓰레기가 충만될 경우, 엘리베이터(140)는 건물 지하의 쓰레기 배출장소(104)로 이동된 후, 진공이송장치(200)에 구비된 쓰레기 저장슈트(171)와 도킹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140)의 도킹이 완료되면, 쓰레기 저장슈트(171) 측 게이트 밸브(175)가 개방되고, 이어서 엘리베이터(140)의 연결슈트(173) 측 게이트 밸브(174)가 개방되어, 엘리베이터(140)에 저장된 쓰레기는 개방된 통로를 통해 자유낙하 하여 쓰레기 저장슈트(171) 내부로 떨어져 저장된다.
그 후, 엘리베이터(140) 내부의 쓰레기 배출작업이 모두 완료된 다음에는, 엘리베이터(140)의 연결슈트(173) 측에 구비된 게이트 밸브(174)가 닫히게 되고, 엘리베이터(140)는 설정된 지정 위치로 상승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140)가 도킹 해제 후 상승된 후에는 쓰레기 저장슈트(171) 측에 구비된 게이트 밸브(175)는 닫혀 외부 공간으로 악취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140)에서 배출된 쓰레기를 저장하고 있는 쓰레기 저장슈트(171)에서는 레벨센서(176)를 통해 내부의 쓰레기 저장량이 실시간 검출된다.
그리고, 제어부(190)에서는 레벨센서(176)로부터 검출된 쓰레기 양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만일 쓰레기 저장슈트(171) 내부의 쓰레기가 충만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쓰레기 이송관로(181)에 쓰레기 이송에 적합한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진공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는, 상기와 같은 레벨센서(176)에 의한 쓰레기 양 검출방법 이외에도 기설정된 주기적인 쓰레기 배출시간이 도래할 경우, 진공장치가 작동되어 쓰레기 이송관로(181) 내에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쓰레기 이송관로(181)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면, 쓰레기 이송관로(181)에 구비된 섹션밸브(183)를 개방한 후, 쓰레기 저장슈트(171) 하단의 배출밸브(182)를 개방하게 되면, 쓰레기 이송관로(181) 내부에 조성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쓰레기 저장슈트(171) 내의 쓰레기가 자동으로 배출되어 쓰레기 이송관로(181)를 통해 외부의 쓰레기 집하장(185)까지 이송된다. 이때, 쓰레기 이송관로(181) 끝단에 구비된 공기 흡입구(184)는 쓰레기를 원활하게 이송하는 하는 데에 필요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40)의 쓰레기 배출작업이 이루어지는 지하 쓰레기 배출장소(104)에 상기와 같은 구조의 쓰레기 진공이송장치(200)를 배설하게 되면,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쓰레기 배출작업이나 쓰레기 수거차량에 의한 이송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엘리베이터(140) 내부에 충만된 쓰레기를 쓰레기 이송관로(181) 내부로 배출하여 외부의 쓰레기 집하장(185)까지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2 : 통로 104 : 지하 배출장소
110 : 투입구 112 : 투입구 도어
120 : 슬라이딩 슈트 140 : 엘리베이터
141 : 쓰레기 저장조
141a : 일반쓰레기 카트리지
141b : 음식물 쓰레기 카트리지
142 : 제1연결관 143 : 제2연결관
144 : 액츄에이터 145 : 도킹관
148 : 연결부 154,176 : 레벨센서 150 : 냉동장치
151 : 증발기 152 : 응축기
153 : 압축기 164 : 소화장치
171 : 쓰레기 저장슈트 172 : 가이드 슈트
173 : 연결슈트 174,175 : 게이트 밸브
181 : 쓰레기 이송관로 182 : 배출밸브
183 : 섹션밸브 184 : 공기 흡입구
187 : 관로점검구 200 : 진공이송장치

Claims (20)

  1. 건물의 세대별 각 층에 설치되는 쓰레기 투입구(110);
    상기 쓰레기 투입구(1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세대별 각 층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슈트(120);
    건물의 세대별 각 층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 슈트(120)를 통해 이동된 쓰레기가 저장되는 쓰레기 저장조(141)가 구비된 엘리베이터(140);
    상기 엘리베이터(140)를 상기 각 층의 위치에서 호출하는 호출수단;
    상기 호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140)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슈트(120)는 상기 쓰레기 투입구(110)가 위치한 실내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140)가 위치한 건물 벽을 관통하여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쓰레기 저장조(141)의 상부 측에는 상기 엘리베이터(140)가 호출된 층의 슬라이딩 슈트(120)와 쓰레기 저장조(141)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가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쓰레기 저장조(141)의 상부 측과 연통된 제1연결관(142)과, 상기 제1연결관(142)과 연통되는 제2연결관(14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관(143)의 내부에는 그 외면에 고정된 액츄에이터(144)의 구동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슈트(120)의 하단과 연결 또는 분리되는 도킹관(14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수단은 무선인식방식의 RF(Radio Frequency)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투입구(110)를 개폐하는 투입구 도어(112)와;
    상기 쓰레기 저장조(141)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 밸브(146);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 도어(112)와 차단 밸브(146)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도어(112)는 상기 엘리베이터(140)와 슬라이딩 슈트(120)의 도킹 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도어(112)의 개방 시 상기 차단 밸브(146)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밸브(146)는 상기 투입구 도어(112)가 폐쇄된 후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저장조(141)에 저장된 쓰레기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레벨센서(15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센서(154)를 통해 검출된 쓰레기의 양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엘리베이터(140)를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시키고, 설정치 이하일 경우 대기 모드로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저장조(141)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140)가 이동하는 통로 상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장치; 및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화재가 감지된 경우 화재를 소화하도록 작동하는 소화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저장조(141)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140)가 이동하는 통로 상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부패 및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냉동장치(15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저장조(141)는,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음식물쓰레기 카트리지(141b)와;
    일반 쓰레기가 저장되는 일반쓰레기 카트리지(141a);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141a,141b)는 상기 엘리베이터(140) 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카트리지(141a,141b) 중 어느 하나가 쓰레기 양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엘리베이터(140)를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된 엘리베이터(140) 내에 저장된 쓰레기를 진공흡입하여 외부의 집하장까지 이송시키는 진공이송장치(2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으로,
    (a) 엘리베이터(140)를 호출하는 단계;
    (b) 호출된 층에 엘리베이터(140)가 도달되면 제어부(190)를 통해 액츄에이터(144)를 구동하여 제2연결관(143)의 내부에 구비된 도킹관(145)을 슬라이딩 전진 이동시켜 슬라이딩 슈트(120)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도킹하는 단계;
    (c) 쓰레기 투입구(110)의 투입구 도어(112)를 개방하여, 상기 쓰레기 투입구(110)와 슬라이딩 슈트(120)와 도킹관(145) 및 제2연결관(143)으로 이어지는 쓰레기 이동통로를 확보하는 단계;
    (d) 쓰레기 투입구(110)로 쓰레기를 투입하여 슬라이딩 슈트(120)와 도킹관(145) 및 제2연결관(143)으로 이어지는 쓰레기 이동통로를 따라 쓰레기가 이동되도록 한 후 투입구 도어(112)를 폐쇄하는 단계;
    (e) 제1연결관(142)에 설치된 차단 밸브(146)를 개방하여 쓰레기가 상기 제1연결관(142)을 통해 엘리베이터(140)의 쓰레기 저장조(141) 내부로 이송 및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
    (f) 차단 밸브(146)를 폐쇄한 후 제어부(190)를 통해 액츄에이터(144)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도킹관(145)을 슬라이딩 후진 이동시켜 슬라이딩 슈트(120)의 하단으로부터 분리하여 엘리베이터(140)와의 도킹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엘리베이터(140)의 호출은 RF(Radio Frequency) 카드에 의한 무선인식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 후, 상기 엘리베이터(140)의 쓰레기 저장조(141) 내에 저장된 쓰레기 양을 검출하여 쓰레기의 충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g);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에서 쓰레기의 양이 충만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엘리베이터(140)를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로부터 쓰레기의 양이 충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엘리베이터(140)를 다음 호출 시까지 대기 모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140)가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된 후 쓰레기 저장조(141)의 교체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140)가 지하의 배출장소로 이동된 후 엘리베이터(140) 내부의 쓰레기가 진공흡입방식을 통해 외부의 집하장까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KR1020150094609A 2015-07-02 2015-07-02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KR10172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09A KR101721761B1 (ko) 2015-07-02 2015-07-02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09A KR101721761B1 (ko) 2015-07-02 2015-07-02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55A KR20170004355A (ko) 2017-01-11
KR101721761B1 true KR101721761B1 (ko) 2017-03-30
KR101721761B9 KR101721761B9 (ko) 2022-06-16

Family

ID=5783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609A KR101721761B1 (ko) 2015-07-02 2015-07-02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7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4514B (zh) * 2017-04-12 2018-09-11 浙江师范大学 一种垃圾电梯
CN109319360B (zh) * 2018-11-13 2021-12-31 江苏嘉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楼宇垃圾处理系统
CN111298968B (zh) * 2020-02-26 2021-06-08 西南大学 一种制衣车间垃圾分选系统
KR102290074B1 (ko) * 2020-03-30 2021-08-17 이남혁 옥내설치용 통합 쓰레기 배출장치
CN112537565B (zh) * 2020-12-16 2021-08-24 中国地质大学(北京) 基于物联网的生活垃圾分类收运系统、装置及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083B1 (ko) * 2008-11-28 2009-09-15 정근수 쓰레기 자동 집하 시설에 적용되는 쓰레기 투입 유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201A (ja) * 1983-02-14 1984-08-27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ビルの排出ごみ輸送装置
JPH04121905U (ja) * 1991-04-16 1992-10-3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ゴミ投入室
KR100472611B1 (ko) 2001-11-16 2005-03-08 함용승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KR100986882B1 (ko) * 2008-06-25 2010-10-08 황규상 악취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쓰레기투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083B1 (ko) * 2008-11-28 2009-09-15 정근수 쓰레기 자동 집하 시설에 적용되는 쓰레기 투입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761B9 (ko) 2022-06-16
KR20170004355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761B1 (ko)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KR100757174B1 (ko)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및 그 가동 방법
KR101893783B1 (ko)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CA2770253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connection with a refuse chute
KR200430166Y1 (ko) 관로 막힘 위치 탐지와 막힘 쓰레기의 제거가 가능한쓰레기 자동 집하 장치
KR101041046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안정적 운전을 위한 보호 시스템
SG1922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an air flow in a refuse chute
KR20160051318A (ko) 각 세대별 투입설비가 포함되며 진공압과 송풍압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쓰레기 처리시스템
US202101726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irflow and contamination in loading stations and chutes of transport systems
KR100811836B1 (ko) 공기 이송방식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100884812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US20090000019A1 (en) Waste transport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with low water or water free waste disposal devices
KR101044727B1 (ko)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KR20090000523A (ko) 진공이송방식과 송풍기이송방식을 혼합한 쓰레기 수거시스템
US20120233758A1 (en) On-demand waste transport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with low water or water free waste disposal devices
KR101054499B1 (ko) 쓰레기 자동 집하시스템
KR200401857Y1 (ko) 공기 이송방식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101869014B1 (ko) 응축수 자동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KR101064876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KR101973897B1 (ko) 엘리베이터의 먼지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062212B1 (ko) 쓰레기 투입장치
KR100939967B1 (ko) 건축물용 생활폐기물 흡인 이송 시스템의 생활폐기물의용적제한형 투입구용 플랩장치
KR101942996B1 (ko) 응축수 자동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KR20080040208A (ko) 압력 응동형 압력보상밸브를 갖는 고층 건축물의 쓰레기회수 설비
KR101942988B1 (ko) 응축수 자동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