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770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770B1
KR100217770B1 KR1019970034428A KR19970034428A KR100217770B1 KR 100217770 B1 KR100217770 B1 KR 100217770B1 KR 1019970034428 A KR1019970034428 A KR 1019970034428A KR 19970034428 A KR19970034428 A KR 19970034428A KR 100217770 B1 KR100217770 B1 KR 100217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ermentation
grinding
compress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359A (ko
Inventor
심호섭
Original Assignee
김지숙
대호환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숙, 대호환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지숙
Priority to KR1019970034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770B1/ko
Publication of KR19990011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면서 수분을 제거하고 발효하는 과정을 연속으로 행하여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퇴비화 하도록,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돌이나 유리 또는 금속조각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분쇄수단과,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수단과, 분쇄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인 고형물을 교반하면서 발효시켜 퇴비화하는 발효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분쇄수단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무조각이나 생선 등을 잘게 부수는 분쇄장치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교반하고 이물질을 침전시켜 걸러내는 희석교반장치로 이루어진다. 탈수수단은 고형물을 이송하면서 압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압축이송장치와, 탈리액과 희석액에 포함된 수분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원심분리장치를 포함한다. 발효수단은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면서 발효와 건조가 이루어져 퇴비화하는 발효실과, 발효실을 이동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이송시키는 이동교반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거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적인 분쇄 및 탈수와 발효과정을 행하여 퇴비화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수거한 다음 매립하거나 퇴비화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기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하는 처리는 햇빛을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발효시키는 자연건조방식과,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미생물의 활동이 활성화되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발효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발효되어 퇴비화된 음식물 쓰레기는 필요로 하는 농가로 공급되어 식물의 생장을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식을 사용하여 퇴비화처리를 행하면, 음식물 쓰레기에 수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중량과 부피가 크기 때문에 처리용량이 제한되고, 수분을 제거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면서 수분을 제거하고 발효하는 과정을 연속으로 행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은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돌이나 유리 또는 금속조각 등(이하 이물질이라 한다)을 걸러내는 분쇄단계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와, 분쇄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인 고형물(이하 고형물이라 한다)을 교반하면서 발효시켜 퇴비화하는 발효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은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분쇄수단과,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수단과, 분쇄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인 고형물을 교반하면서 발효시켜 퇴비화하는 발효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분쇄수단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무조각이나 생선 등의 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하나이상의 분쇄장치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교반하고 희석시키며 금속조각이나 유리조각 등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걸러내는 희석교반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분쇄장치는 원주면에 분쇄용 돌기 또는 날개가 형성된 한쌍의 분쇄로울러와, 상기한 분쇄로울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분쇄모터를 포함한다.
상기한 탈수수단은 고형물을 이송하면서 압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압축이송장치와, 상기한 압축이송장치에서 제거되는 수분인 탈리액(이하 탈리액이라 한다)과 상기한 희석교반장치에서 희석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상기한 압축이송장치로 이송되지 않는 미세한 고형물이 포함된 액체인 희석액(이하 희석액이라 한다)에 포함된 수분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원심분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발효수단은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면서 발효와 건조가 이루어져 퇴비화하는 발효실과, 상기한 발효실 안을 이동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이송시키는 이동교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은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한 분쇄수단의 분쇄장치를 통과하면서 잘게 분쇄되고, 상기한 희석교반장치를 통과하면서 금속이나 유리 등의 이물질이 걸러지고 희석 교반된 다음, 고형물은 상기한 탈수수단의 압축이송장치에 의하여 압축되면서 수분이 제거되고 미세한 고형물을 포함한 탈리액과 희석액은 상기한 원심분리장치에 의하여 수분이 대부분 제거되어 고형물만 상기한 발효수단으로 공급된다.
상기한 발효수단의 발효실에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은 상기한 이동교반장치가 교반하면서 서서히 이동시키고 발효가 이루어져 퇴비화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연속하여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처리용량이 크게 증대되고, 탈수수단에 의하여 다량으로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 다음 발효를 행하므로 퇴비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4도에 대응하는 평면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A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이송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이송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실과 이동교반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B-B 단면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의 일실시예는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돌이나 유리 또는 금속조각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분쇄단계(S1)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S2)와, 분쇄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발효시켜 퇴비화하는 발효단계(S3)로 이루어진다.
또 제2도∼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은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무조각이나 생선 등의 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하나이상의 분쇄장치(10)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교반하고 희석시키며 돌이나 유리 또는 금속조각 등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걸러내는 회석교반장치(40)를 포함하는 분쇄수단과, 분쇄되고 이물질이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중의 고형물을 연속으로 이송하면서 압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압축이송장치(50)와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리액(압축이송장치에서 제거되는 수분)과 희석액(희석교반장치에서 희석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중 압축이송장치로 이송되는 고형물이 걸러지고 남은 미세한 고형물이 포함된 액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원심분리장치(70)를 포함하는 탈수수단과, 분쇄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인 고형물이 이송되면서 발효와 건조가 이루어져 퇴비화하는 발효실(80)과 상기한 발효실(80) 안을 이동하면서 퇴비화하는 고형물을 교반하고 이송시키는 이동교반장치(90)를 포함하는 발효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분쇄수단의 분쇄장치(10)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를 단계적으로 배치하여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중으로 분쇄하는 것이 분쇄가 고르게 이루어지며, 분쇄효율도 높고 분쇄가 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분쇄수단의 분쇄장치(10)에는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되는 투입호퍼(102)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량씩 연속으로 공급하는 버킷컨베이어(108)가 연결된다.
상기한 투입호퍼(102)에는 수거되어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돌이나 뼈 또는 유리나 금속조각을 스크린에 진동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걸러내는 진동스크린(104)이 설치된다.
상기한 투입호퍼(102)로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수거차량(100)을 통하여 직접 공급하거나 쓰레기봉투로 수거하여 봉투를 제거하는 파대장치(106)를 통과하여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파대장치(106)에서는 쓰레기봉투(예를 들면 비닐봉투 등)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대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비닐 및 고형물을 분리한다.
상기한 분쇄장치(10)의 일실시예는 제3도~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에 유입구(13)가 형성되고 아래쪽에 배출구(14)가 형성되는 통형상의 몸체(12)와, 상기한 몸체(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면에 복수의 분쇄돌기(22)가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한쌍의 분쇄로울러(20),(21)와, 상기한 몸체(12) 바깥쪽에 설치되고 상기한 분쇄로울러(20),(21)를 회전시키기 위한 분쇄모터(16)를 포함한다.
상기한 분쇄장치(10)의 위쪽에는 상기한 버킷컨베이어(108)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서 상기한 몸체(12)의 유입구(13)로 공급하는 공급호퍼(110)가 설치된다.
상기한 한쌍의 분쇄로울러(20),(21)에 형성되는 분쇄돌기(22)는 소정의 간격(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자 하는 크기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몸체(12)에는 상기한 분쇄로울러(20),(21)에 형성된 분쇄돌기(22)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정돌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이 분쇄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한 분쇄돌기(22)와 몸체(12) 사이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하나의 분쇄로울러(20)는 상기한 몸체(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3)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한 회전축(23)에는 상기한 분쇄모터(16)의 축(17)에 설치된 구동풀리(18)와 벨트(19)를 통하여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24)를 설치하며, 상기한 하나의 분쇄로울러(20)와 다른 하나의 분쇄로울러(21)는 서로 기어(26)를 통하여 맞물려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한다.
또 상기한 다른 하나의 분쇄로울러(21)는 제4도에서 보아서 위아래로 상기한 몸체(12)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끄럼블럭(2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5)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한 미끄럼블럭(27)에는 스프링(28)이 설치되고 상기한 몸체(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막대(29)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다른 하나의 분쇄로울러(21)를 미끄럼블럭(27)을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쉽게 분쇄되지 않는 금속조각이나 뼈 등의 이물질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공급될 때에 상기한 한쌍의 분쇄로울러(20),(21)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금속조각이나 뼈 등의 강도가 큰 이물질이 투입되면, 상기한 분쇄로울러(20),(21)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한 다른 하나의 분쇄로울러(21)의 회전축(25)이 지지되는 미끄럼블럭(27)이 제4도에서 보아서 위쪽으로 미끄럼이동을 하여 분쇄로울러(20),(21)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고, 강도가 큰 이물질은 분쇄되지 않고 통과하게 된다. 이물질이 통과하면 상기한 분쇄로울러(21)에 작용하던 과도한 힘이 제거되므로 상기한 다른 하나의 분쇄로울러(21)는 상기한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4도에서 보아서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하나의 분쇄로울러(2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한 한쌍의 분쇄로울러(20),(21)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26)는 분리와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분쇄장치(10)이 다른 실시예는 제5도∼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분할하여 뾰족하고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된 복수의 분쇄날개(32)가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한쌍의 분쇄로울러(30),(31)로 이루어지고, 분쇄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한 분쇄날개(32)와 몸체(12) 사이로 배출되지 않도록 몸체(12)에는 상기한 분쇄로울러(30),(31)에 형성된 분쇄돌기(32)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정날개(35)를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분쇄장치(10)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제4도에 나타낸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분쇄수단의 희석교반장치(40)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분쇄장치(10) 몸체(12)의 배출구(14)에 연결되는 통형상의 몸체(42)와, 상기한 몸체(42)에 설치되는 모터(44)와, 상기한 모터(44)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45)과, 상기한 몸체(42)의 안에 위치하는 상기한 회전축(45)에 설치되고 분쇄되어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희석 교반시키는 교반날개(4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교반날개(46)는 비닐이나 끈 등의 이물질이 감기지 않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희석교반장치(40)는 상기한 분쇄장치(10)에서 분쇄되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물을 첨가하여 소정의 농도로 희석시키고,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돌이나 유리 또는 금속조각 등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분리한다.
또 상기한 희석교반장치(40)에서는 상기한 모터(44)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교반날개(46)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 비중이 작은 음식물 쓰레기는 위쪽으로 떠오르고, 비중이 큰 돌이나 유리 또는 금속조각 등의 이물질은 가라앉은 채로 있게 되므로 분리가 행해진다.
상기한 탈수수단의 압축이송장치(50)의 일실시예는 제3도 및 제7도~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의 몸체(52)와, 상기한 몸체(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면에 나선형상으로 압축날개(57)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면서 이송하는 이송로울러(56)와, 회전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상기한 이송로울러(56)를 회전시키는 모터(58)를 포함한다.
상기한 희석교반장치(40)와 탈수수단인 압축이송장치(50) 사이에는 상기한 분쇄수단인 분쇄장치(10)와 희석교반장치(40)에서 분쇄되어 이물질이 걸러지고 희석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큰 덩어리(대략 10mm이상의 크기인 덩어리)의 고형물만 걸러서 이송하는 대략 10mm정도 간격의 바스크린이 설치된 이송컨베이어(112)가 설치된다.
상기한 압축이송장치(50)의 몸체(52)에는 상기한 분쇄수단의 희석교반장치(40)를 통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중의 고형물이 상기한 이송컨베이어(112)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입구(53)를 윗부분 한쪽에 형성하고, 상기한 유입구(53) 반대쪽의 옆면에는 상기한 이송로울러(56)에 의하여 압축되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인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구(54)를 형성한다.
또 상기한 압축이송장치(50)의 배출구(54)로부터 배출되는 고형물을 상기한 발효수단의 발효실(80)로 이송하기 위한 벨트컨베이어(85)를 연결 설치한다.
상기한 몸체(52)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몸체(32)의 내통(51)은 쥐어짜지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미세한 수분배출구멍(61)이 형성되며, 외통(59)은 충분한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며, 외부에는 상기한 수분배출구멍(61)을 통하여 배출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수분배출구(60)가 형성된다.
상기한 이송로울러(56)와 이중으로 구성된 상기한 몸체(52) 내통(51)의 내면사이에 형성되는 압축공간(55)은 상기한 유입구(53)쪽에서 배출구(54)쪽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압축되면서 수분이 제거되는 음식물 쓰레기인 고형물의 압축률을 점진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몸체(52) 내통(51)의 지름을 상기한 유입구(53)에서 배출구(54)쪽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한다.
상기한 이송로울러(56)의 끝부분은 상기한 몸체(52) 내통(51)의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한 이송로울러(56)의 끝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는 통과구멍(65)이 다수 형성된다.
또 상기한 몸체(52) 내통(51)의 끝부분에는 실린더(62)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힘이 가해지는 원뿔형상의 압축부재(6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이송로울러(56)에 의하여 압축이송되어 상기한 통과구멍(61)을 통하여 상기한 몸체(52) 내통(51)의 끝부분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한 압축부재(63)에 의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다시 압축되어 수분을 배출하도록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는 압축실(67)이 형성되고, 상기한 이송로울러(56)에 의하여 이송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크게 되면 상기한 실린더(62)가 후진하여 상기한 압축부재(63)를 상기한 몸체(52) 내통(51)의 끝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고, 상기한 압축실(67)에서 압축되어 수분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한 배출구(54)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54)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면 다시 실린더(62)가 전진하여 상기한 몸체(52) 내통(51)의 끝부분을 상기한 압축부재(63)가 막는 과정을 반복하여,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모터(58)의 회전력을 상기한 이송로울러(56)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은 상기한 모터(58)의 측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켓(64)과, 상기한 이송로울러(56)의 측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켓(66)과, 상기한 구동스프로켓(64)과 종동스프로켓(66)을 연결하는 체인(68)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모터(58)의 회전력을 상기한 이송로울러(56)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은 풀리와 벨트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탈수수단의 압축이송장치(150)의 다른 실시예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통형상의 몸체(152)와, 상기한 몸체(1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면에 나선형상으로 압축날개(157)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면서 이송하는 이송로울러(156)와, 회전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상기한 이송로울러(156)를 회전시키는 모터(58)를 포함한다.
상기한 몸체(152)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몸체(152)의 내통(151)은 쥐어짜지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미세한 수분배출구멍(161)이 형성되며, 외통(159)은 충분한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며, 외부에는 상기한 수분배출구멍(161)을 통하여 배출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수분배출구(60)가 형성된다.
또 상기한 이송로울러(156)의 축을 상기한 유입구(53)로부터 배출구(54)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몸체(152) 내통(151)은 균일한 지름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몸체(152) 내통(151)의 내면과 이송로울러(156)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공간(155)은 상기한 유입구(53)쪽에서 배출구(54)쪽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압축되면서 수분이 제거되는 음식물 쓰레기인 고형물의 압축률을 점진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송로울러(156)의 끝부분은 상기한 몸체(152) 내통(151)의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한 이송로울러(155)의 끝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는 통과구멍(165)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이외에는 상기한 압축이송장치(150)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압축이송장치(50)의 일실시예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희석교반장치(40)와 원심분리장치(70) 사이에는 상기한 이송컨베이어(112)를 통하여 상기한 압축이송장치(50)로 이송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입자(대략 10mm이하 크기의 입자)가 포함된 희석액을 교반하여 펌프(128)를 통하여 상기한 원심분리장치(70)로 공급하는 저류교반장치(120)가 설치된다.
즉 상기한 희석교반장치(40)에 연결된 이송컨베이어(112)의 아래쪽에 연결되는 희석액관(114)을 상기한 저류교반장치(120)에 연결한다.
또 상기한 저류교반장치(120)에는 상기한 압축이송장치(50)에서 쥐어짜여져서 배출되는 수분인 탈리액이 배출되는 수분배출구(60)와 연결된 탈리액판(116)이 연결된다.
상기한 저류교반장치(120)는 통형상의 몸체(122)와, 상기한 몸체(122)에 설치되는 모터(124)와, 상기한 모터(124)에 의하여 회전하는 교반날개(126)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상기한 압축이송장치(50)로부터 배출되는 탈리액과 상기한 희석교반장치(40)와 이송컨베이어(112)로부터 배출되는 희석액을 임시로 저장 및 교반한다.
상기한 원심분리장치(70)에서는 상기한 저류교반장치(120)에서 교반되어 공급되는 탈리액과 희석액에 포함된 작은 고형물과 수분을 원심력에 의하여 분리하고, 분리된 작은 고형물은 상기한 벨트컨베이어(85)로 배출하며, 분리된 수분인 분리액은 하수처리장 또는 폐수처리장으로 배출하여 연계 처리한다.
상기한 발효수단의 발효실(80) 및 이동교반장치(90)는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6-12344호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발효수단의 발효실(80)은 제3도 및 제10도∼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한 발효실(80)의 바닥에는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열풍관(82)과 수증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증기관(84)을 설치한다.
상기한 열풍관(82)에는 열풍공급장치(81)가 연결되고, 상기한 증기관(84)에는 증기공급장치(83)가 연결되며, 상기한 증기 및 열풍은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잘 이루어지는 온도 예를 들면 대략 70~80℃정도로 공급하는 것이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발효실(80)의 배출쪽에는 발효가 이루어진 퇴비를 배출시키기 위한 퇴비배출용 컨베이어(86)가 설치되고, 상기한 퇴비배출용 컨베이어(86)의 끝에는 퇴비저장실(88)이 형성되며, 상기한 발효실(80)의 윗부분에는 내부를 보온시키기 위한 지붕(89)이 설치된다.
또 상기한 발효실(80)의 유입쪽에는 상기한 탈수수단의 압축이송장치(50)와 원심분리장치(70)를 통과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진 고형물이 공급되는 상기한 벨트컨베이어(85)가 연결되고, 상기한 벨트컨베이어(85)의 끝부분에는 고형물이 원활하게 상기한 발효실(80)로 유입되도록 안내판(8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동교반장치(90)는 판형상의 이동부재(91)와, 상기한 이동부재(91)에 설치되어 상기한 이동부재(91)를 상기한 발효실(8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주행장치(92)와, 상기한 이동부재(91)에 설치되어 상기한 발효실(80)의 고형물을 교반 및 이동시키는 교반장치(93)로 구성된다.
상기한 주행장치(92)는 이동부재(91)에 설치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주행모터(94)와, 상기한 주행모터(9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95)과, 상기한 회전축(95)에 설치되는 주행바퀴(96)로 구성된다.
또 상기한 교반장치(93)는 상기한 이동부재(91)에 설치되는 교반모터(97)와, 복수의 날개가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교반모터(97)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98)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은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한 분쇄수단의 분쇄장치(10)를 통과하면서 잘게 분쇄되고, 상기한 희석교반장치(40)를 통과하면서 금속이나 유리 등의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상기한 탈수수단의 압축이송장치(50)에 의하여 압축되면서 수분이 제거되거나 상기한 원심분리장치(70)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되어 고형물만 상기한 발효수단으로 공급된다.
상기한 발효수단의 발효실(80)에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은 상기한 이동교반장치(90)가 교반하면서 서서히 이동시키고 발효가 이루어져 퇴비화되어 배출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연속하여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계속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처리용량이 크게 증대되고, 탈수수단에 의하여 다량으로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 다음 발효를 행하므로 퇴비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Claims (6)

  1.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무조각이나 생선 등의 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하나이상의 분쇄장치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교반하고 희석시키며 돌이나 유리 또는 금속조각 등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걸러내는 희석교반장치를 포함하는 분쇄수단과, 분쇄되고 이물질이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중의 고형물을 연속으로 이송하면서 압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압측이송장치와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리액과 희석액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원심분리장치를 포함하는 탈수수단과, 분쇄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인 고형물이 이송되면서 발효와 건조가 이루어져 퇴비화하는 발효실과 상기한 발효실 안을 이동하면서 퇴비화하는 고형물을 교반하고 이송시키는 이동교반장치를 포함하는 발효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쇄수단의 분쇄장치는 2개를 단계적으로 배치하고, 위쪽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아래쪽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면에 복수의 분쇄돌기가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한쌍의 분쇄로울러와 상기한 몸체 바깥쪽에 설치되고 상기한 분쇄로울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분쇄모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탈수수단의 압축이송장치는 내통은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미세한 수분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외통은 충분한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며 수분배출구가 형성되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면에 나선형상으로 압축날개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면서 이송하는 이송로울러와, 회전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상기한 이송로울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 내통의 끝부분에는 실린더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힘이 가해지는 원뿔형상의 압축부재가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탈수수단의 압축이송장치는 내통은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미세한 수분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외통은 충분한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며 수분배출구가 형성되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단으로 이루어지며 원주면에 나선형상으로 압축날개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면서 이송하는 이송로울러와, 회전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상기한 이송로울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희석교반장치와 원심분리장치 사이에는 상기한 압축이송장치로 이송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 입자가 포함된 희석액과 상기한 압축이송장치에서 제거되어 배출되는 탈리액을 교반하여 펌프를 통하여 상기한 원심분리장치로 공급하는 저류교반장치가 더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9970034428A 1997-07-23 1997-07-23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KR100217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428A KR100217770B1 (ko) 1997-07-23 1997-07-23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428A KR100217770B1 (ko) 1997-07-23 1997-07-23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359A KR19990011359A (ko) 1999-02-18
KR100217770B1 true KR100217770B1 (ko) 1999-09-01

Family

ID=1951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428A KR100217770B1 (ko) 1997-07-23 1997-07-23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57A (ko) 2015-05-29 2016-12-07 최미순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47B1 (ko) * 2001-06-01 2004-04-17 디아이(주)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030073724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창진 음식물과 가축분뇨 발효장치 및 그 방법
CN115594531B (zh) * 2022-10-09 2023-10-20 安徽国祯环卫科技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分类堆肥处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57A (ko) 2015-05-29 2016-12-07 최미순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359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583B2 (en) Process of treating organic waste for anaerobic digestion
US6045070A (en) Materials size reduction systems and process
KR101696689B1 (ko) 복합 회전형 건습식 혐기소화조 시스템
TW201325749A (zh) 分離方法及裝置
KR100825212B1 (ko) 동식물성 부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2018009516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20104072A (ja) 発酵処理装置
KR10021777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CN115493362A (zh) 一种适用于多种物料干燥的多功能干燥设备
CN215049639U (zh) 用于污泥制肥的连续性脱水系统及其干燥装置
RU2580221C1 (ru) Устройство утилизации отходов животноводства
CN114472463B (zh) 一种利用水泥窑协同处置厨余垃圾的系统及其处理方法
KR0144585B1 (ko) 음식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10042766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와 갈탄 제조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갈탄의 제조방법
KR19990001561A (ko)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100305867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CN114368895A (zh) 一种污水淤泥无害化回收系统
KR101751489B1 (ko) 음식물 쓰레기 다중 처리 장치
KR2003005413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11098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3584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건조,발효장치
CN206337140U (zh) 一种高效污泥干燥处理装置
KR100306127B1 (ko) 음식쓰레기처리장치
CN206666350U (zh) 干化污泥的组合装置
KR19990037738A (ko) 진공건조처리시스템및그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7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81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