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476A -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476A
KR20170081476A KR1020160000563A KR20160000563A KR20170081476A KR 20170081476 A KR20170081476 A KR 20170081476A KR 1020160000563 A KR1020160000563 A KR 1020160000563A KR 20160000563 A KR20160000563 A KR 20160000563A KR 20170081476 A KR20170081476 A KR 20170081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case
vehicle
axle system
pusher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호
Original Assignee
(주)한중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중특장 filed Critical (주)한중특장
Priority to KR102016000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1476A/ko
Publication of KR2017008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2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0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 F15B1/02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having accumulator charging devices
    • F15B1/033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having accumulator charging devices with electrical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을 운반하는 차량의 하중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는, 일측에 개방구가 구비된 케이스와, 케이스와 함께 외부와 차단되는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차량에 설치되는 압축공기 탱크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차량에 설치되는 푸셔 액슬 시스템의 승강용 액츄에이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와, 압축공기 탱크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푸셔 액슬 시스템의 하강용 액츄에이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와,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 및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를 제어하기 위해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 및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CONTROL BOX FOR PUSHER AXLE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을 운반하는 차량의 하중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화물을 전용으로 운반하는 트레일러 등의 특장차나 대형 화물차는 화물을 적재하게 되면 중량이 매우 많이 나가기 때문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운행할 때 도로나 교량을 파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반이 약한 도로나 교량의 경우에는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중량제한 표시를 하여 과적차량에 대하여서는 운행을 통제하고 있다.
대부분의 대형 화물운반용 차량은 중량제한 도로를 운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조 바퀴를 구비한다. 이러한 차량은 적재 중량이 통행제한 중량을 초과하게 되면 보조 바퀴를 하강하여 바퀴당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통행제한 중량 이하가 되도록한다.
이와 같이 차량에 설치되어 보조 바퀴를 승하강시키는 시스템을 푸셔 액슬 시스템이라고 한다. 통상적으로, 푸셔 액슬 시스템은 압축공기에 의해 부풀어서 부피가 확장되거나 또는 반대로 축소되는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보조 바퀴를 승하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공차시나 적재 하중이 통행제한 하중에 미치지 않을 때는 승강용 액츄에이터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보조 바퀴를 상승시켜 운행시 보조 바퀴가 지면에 접촉되지 않게 한다. 반면, 적재 하중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하강용 액츄에이터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차량 운행시 보조 바퀴가 지면을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푸셔 액슬 시스템을 이용하면, 공차시에는 지면에 접촉되는 바퀴의 수를 적게 함으로써 지면과의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차량 연비를 증대시키며, 마모되는 바퀴의 수를 적게 하여 바퀴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적차시에는 지면에 접촉되는 바퀴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동일한 축중 하중 하에서 적재 하중을 증대시킬 수 있고, 차량을 규정된 축중 하중하에서 운행할 수 있어 차량 및 도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은 보통 압축공기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와 전기 신호 발생을 위한 전장품이 각각 개별적으로 차체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푸셔 액슬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이 먼지나 오일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쉽고, 사용자가 관리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0762970호 (2007. 10. 02) 등록특허공보 제1382635호 (2014. 04. 07) 공개특허공보 제2010-0093889호 (2010. 08. 26)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밸브나 전장품 등의 구성 부품이 하나의 케이스 안에 배치되어 구성 부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는, 일측에 개방구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함께 외부와 차단되는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커버; 차량에 설치되는 압축공기 탱크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푸셔 액슬 시스템의 승강용 액츄에이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 상기 압축공기 탱크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푸셔 액슬 시스템의 하강용 액츄에이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 및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 및 상기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 및 상기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는,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를 밀폐할 때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를 실링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는, 상기 커버를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를 밀폐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록킹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는 상기 압축공기 탱크와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를 연결하도록 그 내측에 마련된 내부 유로를 단속하여 상기 압축공기 탱크에서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로의 압축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는 상기 압축공기 탱크와 연결되는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하강용 액츄에이터와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로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로 주입된 압축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상기 분배기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배기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는, 상기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의 분배기에서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로 유동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와 상기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의 분배기를 압축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라인에 연결되도록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에 결합되도록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압력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는 차랑용 푸셔 액슬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이 케이스와 커버에 의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는 하나의 설치 공간에 설치된다. 따라서 푸셔 액슬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압축공기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등의 공압 제어 부품과 전기 신호 발생을 위한 스위치 등의 전장품이 차체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따로 설치되는 종래 기술에 비해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을 먼지나 수분 등의 오염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는 각종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이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하나의 설치 공간에 설치되므로, 차량에 설치가 쉽고, 고장 수리나 부품 교체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를 커버가 개방된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를 커버가 개방된 상태로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100)는 화물을 운반하는 차량(10)의 하중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20)을 제어하기 위해 차량(10)에 설치된다.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20)은 차량(10)의 하중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차량(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조 바퀴(21)와, 압축공기 탱크(22)와, 승강용 액츄에이터(23) 및 하강용 액츄에이터(2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100)는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커버(115)와, 푸셔 액슬 시스템(20)의 제어를 위해 케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각종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100)는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도록 차량(10)의 적재함(15) 외측면 등 차량(1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콘트롤박스(100)에 설치되는 스위치(140) 등의 부품을 조작함으로써, 보조 바퀴(21)를 하강시켜 노면에 접촉시키거나 보조 바퀴(21)를 상승시켜 노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푸셔 액슬 시스템(20)을 제어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내측에 각종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을 수용할 수 있는 설치 공간(111)이 마련된다.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개방구(112)가 구비된다. 개방구(112)가 구비된 케이스(110)의 일측 단부에는 가압부(113)가 돌출 구비된다. 가압부(113)는 설치 공간(111)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케이스(110)의 측면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마련되며, 이들 관통구멍에 각종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에 연결되는 연결 라인(L) 또는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관통구멍을 통해 물이나 이물질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연결 라인(L)이 삽입된 관통구멍에는 각종 실링재나 커플러가 결합되어 틈새를 막을 수 있다.
커버(115)는 케이스(110)의 개방구(1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에 결합된다. 커버(115)는 힌지 기구(118)에 의해 케이스(110)에 결합된다. 힌지 기구(1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115)는 케이스(110)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케이스(110)의 개방구(112)를 개폐한다. 커버(115)의 케이스(110)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실링부재(116)가 구비된다. 실링부재(116)는 케이스(110)의 가압부(1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커버(115)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스(110)의 개방구(112)를 밀폐할 때 실링부재(116)가 케이스(110)와 커버(115)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케이스(110)와 커버(115) 사이를 실링한다. 커버(115)가 케이스(110)의 개방구(112)를 밀폐할 때 케이스(110)의 가압부(113)가 실링부재(116)에 압착됨으로써 케이스(110)와 커버(115)의 사이로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케이스(110)와 커버(115) 사이를 밀폐하기 위해 도면에는 커버(115)에 실링부재(116)가 구비되고 케이스(110)에 이에 대응하는 가압부(113)가 마련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실링부재(116)가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커버(115)는 케이스(110)에 밀착되어 케이스(110)의 개방구(112)를 밀폐한 상태에서 록킹기구(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록킹기구(120)는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걸림부(121)와,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후크부(122)를 포함한다. 커버(115)가 케이스(110)를 덮은 후, 후크부(122)가 걸림부(121)에 걸림으로써 커버(115)는 케이스(110)를 덮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록킹기구(120)의 구조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커버(115)를 닫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10)의 설치 공간(111)에는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와,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와, 레귤레이터(136) 등의 공압 제어 부품과 스위치(140) 등의 전장품이 설치된다.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는 차량(10)에 설치되는 푸셔 액슬 시스템(2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23)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승강용 액츄에이터(23)는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팽창할 수 있는 에어백 구조로 이루어진다. 승강용 액츄에이터(23)는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팽창하여 푸셔 액슬 시스템(20)의 보조 바퀴(21)를 상승시켜 노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는 연결 라인(L)을 통해 푸셔 액슬 시스템(20)의 압축공기 탱크(22) 및 승강용 액츄에이터(23)와 압축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26)를 구비한다.
솔레노이드 밸브(126)는 그 내부에 압축공기 탱크(22)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승강용 액츄에이터(23) 쪽으로 안내할 수 있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며, 그 내부 유로를 단속함으로써 압축공기 탱크(22)에서 승강용 액츄에이터(23)의 압축공기 유동을 제어한다.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의 솔레노이드 밸브(126)는 압축공기 탱크(22)의 압축공기를 승강용 액츄에이터(23)에 공급하여 승강용 액츄에이터(2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승강용 액츄에이터(23)가 초기 상태로 복원될 때 승강용 액츄에이터(23) 내의 압축공기가 솔레노이드 밸브(126)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는 연결 라인(L)를 통해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와도 압축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는 차량(10)에 설치되는 푸셔 액슬 시스템(20)의 하강용 액츄에이터(2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강용 액츄에이터(24)는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팽창할 수 있는 에어백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강용 액츄에이터(24)는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팽창하여 푸셔 액슬 시스템(20)의 보조 바퀴(21)를 하강시켜 노면에 닿게 한다.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는 연결 라인(L)을 통해 푸셔 액슬 시스템(20)의 압축공기 탱크(22) 및 하강용 액츄에이터(24)와 압축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는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129)와, 배기용 솔레노이드 밸브(130)와, 분배기(131)를 구비한다.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129)는 분배기(13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배기용 솔레노이드 밸브(130)는 분배기(131)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다.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129)는 연결 라인(L)을 통해 압축공기 탱크(22)와 압축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압축공기 탱크(22)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분배기(131)로 주입시킨다. 배기용 솔레노이드 밸브(130)는 분배기(131) 내의 압축공기를 배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기용 솔레노이드 밸브(130)에는 소음기(132)가 결합되어 배기용 솔레노이드 밸브(130)를 통해 압축공기가 배기될 때 발생하는 배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분배기(131)는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129)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하강용 액츄에이터(24)와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로 분배한다. 즉,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129)를 통해 분배기(131)로 주입되는 압축공기 중 일부는 하강용 액츄에이터(24)에 공급되어 하강용 액츄에이터(24)를 작동시키고, 분배기(131)로 주입되는 압축공기 중 다른 일부는 연결 라인(L)을 통해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에 공급된다.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의 분배기(131)와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는 두 개의 연결 라인(L)을 통해 압축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와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를 연결하는 두 개의 연결 라인(L) 중 하나는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에서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로 유동하는 압축공기의 통로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는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에서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로 유동하는 압축공기의 통로를 형성한다.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와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를 연결하는 두 개의 연결 라인(L) 각각에는 체크밸브(134)(135)가 연결되어 각 연결 라인(L)에서 압축공기의 반대 방향으로의 유동을 차단한다.
또한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와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를 연결하는 두 개의 연결 라인(L) 중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에서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로 압축공기를 가이드하는 연결 라인(L)의 중간에는 레귤레이터(136)가 연결된다. 레귤레이터(136)는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의 분배기(131)에서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로 유동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정한다. 레귤레이터(136)에는 압력 게이지(138)가 결합된다. 압력 게이지(138)는 사용자가 커버(115)를 개방할 때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그 눈금이 케이스(110)의 개방구(112)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140)는 사용자가 커버(115)를 개방할 때 케이스(110)의 개방구(112)를 통해 노출되도록 케이스(110)의 설치 공간(111)에 설치된다. 스위치(140)는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 및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를 제어할 수 있도록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 및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스위치(140)를 조작하여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 또는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를 작동시킴으로써 푸셔 액슬 시스템(20)의 보조 바퀴(2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이 밖에,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 체크밸브(134)(135), 레귤레이터(136), 압력 게이지(138), 스위치(140) 이외에 푸셔 액슬 시스템(20)을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이 케이스(110)와 커버(11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케이스(110)와 커버(115) 사이의 외부와 차단되는 하나의 설치 공간(1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100)는 차랑용 푸셔 액슬 시스템(20)을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이 케이스(110)와 커버(115)에 의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는 하나의 설치 공간(111)에 설치된다. 따라서 푸셔 액슬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압축공기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등의 공압 제어 부품과 전기 신호 발생을 위한 스위치 등의 전장품이 차체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따로 설치되는 종래 기술에 비해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을 먼지나 수분 등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각종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이 케이스(110)와 커버(115) 사이에 마련되는 하나의 설치 공간(111)에 설치되므로, 설치가 쉽고, 고장 수리나 부품 교체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각종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이 케이스(110)의 내측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일부 부품이 커버(115)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푸셔 액슬 시스템(2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23)와 하강용 액츄에이터(24)를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5)와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128)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설치 공간(111)에 설치되는 공압 제어 부품과 전장품의 종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차량 15: 적재함
20: 푸셔 액슬 시스템 21: 보조 바퀴
22: 압축공기 탱크 23: 승강용 액츄에이터
24: 하강용 액츄에이터 100: 콘트롤박스
110: 케이스 111: 설치 공간
112: 개방구 113: 가압부
115: 커버 116: 실링부재
118: 힌지 기구 120: 록킹기구
121: 걸림부 122: 후크부
125: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 128: 솔레노이드 밸브
129: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 130: 배기용 솔레노이드 밸브
131: 분배기 132: 소음기
134, 135: 체크밸브 136: 레귤레이터
138: 압력 게이지 140: 스위치

Claims (5)

  1. 일측에 개방구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함께 외부와 차단되는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커버;
    차량에 설치되는 압축공기 탱크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푸셔 액슬 시스템의 승강용 액츄에이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
    상기 압축공기 탱크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푸셔 액슬 시스템의 하강용 액츄에이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 및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 및 상기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 및 상기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를 밀폐할 때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를 실링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를 밀폐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록킹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는 상기 압축공기 탱크와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를 연결하도록 그 내측에 마련된 내부 유로를 단속하여 상기 압축공기 탱크에서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로의 압축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는 상기 압축공기 탱크와 연결되는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주입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하강용 액츄에이터와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로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로 주입된 압축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상기 분배기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배기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의 분배기에서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로 유동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 공급기와 상기 하강용 압축공기 공급기의 분배기를 압축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라인에 연결되도록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에 결합되도록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압력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KR1020160000563A 2016-01-04 2016-01-04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KR20170081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63A KR20170081476A (ko) 2016-01-04 2016-01-04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63A KR20170081476A (ko) 2016-01-04 2016-01-04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76A true KR20170081476A (ko) 2017-07-12

Family

ID=5935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63A KR20170081476A (ko) 2016-01-04 2016-01-04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14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145B1 (ko) * 2019-08-30 2020-09-15 김중원 차량 현가장치
CN112556363A (zh) * 2020-12-08 2021-03-26 萍乡宝海锌营养科技有限公司 一种硫酸锌生产用烘干干燥炉
KR20230009243A (ko) 2021-07-08 2023-01-17 김다솔 친환경적 스파우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145B1 (ko) * 2019-08-30 2020-09-15 김중원 차량 현가장치
CN112556363A (zh) * 2020-12-08 2021-03-26 萍乡宝海锌营养科技有限公司 一种硫酸锌生产用烘干干燥炉
CN112556363B (zh) * 2020-12-08 2022-09-23 萍乡宝海锌营养科技有限公司 一种硫酸锌生产用烘干干燥炉
KR20230009243A (ko) 2021-07-08 2023-01-17 김다솔 친환경적 스파우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742B1 (ko)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81476A (ko)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US6644632B1 (en) Air spring device for load-carrying vehicles
JP2005052831A (ja) 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
KR100752132B1 (ko) 탱크로리용 급유밸브
CN111417535A (zh) 用于机动车的氢气-导出系统
KR101413256B1 (ko)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
US20200361270A1 (en) Lift axle device
US20170129700A1 (en) Overflow blocking apparatus for tank lorry
KR20210004531A (ko)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KR101784157B1 (ko) 차량 리프트
US3016623A (en) Transport vehicle
US1801749A (en) Shut-off valve and control for tank trucks
US3164358A (en) Safety flow valve
KR200207584Y1 (ko) 화물차의 에어 스프링용 안전장치
JP3805635B2 (ja) タンクローリ
CN101754914B (zh) 集装箱用工作台系统及罐状集装箱
KR101609698B1 (ko) 탱크로리용 밸브
KR100461371B1 (ko) 자동차 에어서스펜션의 에어리킹 방지구조
KR100652862B1 (ko)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KR200295244Y1 (ko) 화차의 제동장치용 다이아프램식 응하중 밸브
CN215097555U (zh) 一种液化气体铁路压力罐车顶部加排系统及压力罐车
CN214728113U (zh) 门窗密封装置和车辆
JP3256065B2 (ja) タンクローリ
JP3871827B2 (ja) タンクローリの底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