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361B1 -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361B1
KR101198361B1 KR1020100008774A KR20100008774A KR101198361B1 KR 101198361 B1 KR101198361 B1 KR 101198361B1 KR 1020100008774 A KR1020100008774 A KR 1020100008774A KR 20100008774 A KR20100008774 A KR 20100008774A KR 101198361 B1 KR101198361 B1 KR 101198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tank
sand
inle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996A (ko
Inventor
장호인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장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인 filed Critical 장호인
Priority to KR102010000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3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Landscapes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는, 상부에 제1주물사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제1주물사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컴프레셔와 연결된 제1가압관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감압변에 연결된 감압관이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리필탱크와; 상기 리필탱크의 제1주물사유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제1팝업밸브와; 상부에 제2주물사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제2주물사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컴프레셔와 연결된 제2가압관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리필탱크보다 내부 용적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고, 리필탱크의 제1주물사배출구와 제2주물사유입구가 맞닿아 밀폐되어 리필탱크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탱크와; 상기 이송탱크의 제2주물사유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제2팝업밸브와; 상기 이송탱크의 제2주물사배출구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리필탱크와 이송탱크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에서 리필탱크와 이송탱크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면서 고압을 가해 길이가 긴 이송 라인을 따라 주물사가 원할히 이송되고, 특히 이송탱크로 주물사가 공급되는 과정에서도 이송탱크에는 항상 고압의 상태가 되어 이송탱크 내부로 유입된 주물사가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팝업밸브를 설치하여 대구경의 제1주물사유입구 및 제2주물사유입구를 원할하게 밀폐성이 보장되고, 배출관의 일측에 주물사의 진행방향과 대응되도록 다수의 보조이송노즐을 설치하고, 보조이송노즐 주변으로 보조이송커버를 설치한 다음 보조이송커버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해 주물사가 배출관을 따라 원할하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Sand moving apparatus for regenerating equipment of molding sand}
본 발명은, 주형과 분리되어 분쇄된 후 냉각된 주물사 표면의 약품 성분을 제거하고, 주물사의 표면적을 최소화시켜 재생한 다음 재생된 주물사를 샌드믹서 측으로 이송시키는,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형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주물사의 경우 성형성, 통기성, 적응성 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며,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많이 달라지게 되므로 입자를 고르게 분쇄 처리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천연적으로 채취한 것을 건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채취 과정에서 선별 공급 되므로 큰 문제가 없으나, 폐주물사 등을 이용코자 할 시에는 여러 가지 장치로 이루어진 주물사 재생설비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주물사 재생설비 중에서 중요한 장치 중 하나로 주물사를 재생 처리한 다음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가 있다.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는 표면 처리가 끝난 주물사를 샌드 믹서가 위치한 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와 관련된 기술로는, 회전드럼 내부에 유입되는 주물사를 미리 주입되어 형성된 주물사의 고정층과 마찰 접촉이 되도록 하여 부착물을 박리하여 재생한 다음 송풍기를 이용하여 바람을 불어 주물사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에 사용하는 회전드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0053호)에 공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송풍기를 이용하여 바람을 불어 주물사를 이송시키는데, 이송 라인의 길이가 긴 경우 주물사가 이송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바람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KR10-0570053(2000.07.25)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리필탱크와 이송탱크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에서 리필탱크와 이송탱크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면서 고압을 가해 길이가 긴 이송 라인을 따라 주물사가 원할히 이송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특히, 이송탱크로 주물사가 공급되는 과정에서도 이송탱크에는 항상 고압의 상태가 되어 이송탱크 내부로 유입된 주물사가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리필탱크와 이송탱크 사이가 차단된 상태에서 리필탱크에 주물사가 채워지는 동안 이송탱크에서는 주물사가 고압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고, 이송탱크 내부의 주물사가 줄어들 경우 제1가압관과 감압관을 이용하여 리필탱크 내부의 압력을 이송탱크 내부의 압력과 동일하게 만들어주면서 리필탱크와 이송탱크 사이를 개방하여 이송탱크 내부의 주물사는 대부분 일정한 압력을 받으면서 이송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팝업밸브를 설치하여 대구경의 제1주물사유입구 및 제2주물사유입구를 원할하게 밀폐성을 보장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배출관의 일측에 주물사의 진행방향과 대응되도록 다수의 보조이송노즐을 설치하고, 보조이송노즐 주변으로 보조이송커버를 설치한 다음 보조이송커버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해 주물사가 배출관을 따라 원할하게 이송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는, 상부에 제1주물사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제1주물사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컴프레셔와 연결된 제1가압관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감압변에 연결된 감압관이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리필탱크와; 상기 리필탱크의 제1주물사유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제1팝업밸브와; 상부에 제2주물사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제2주물사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컴프레셔와 연결된 제2가압관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리필탱크보다 내부 용적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고, 리필탱크의 제1주물사배출구와 제2주물사유입구가 맞닿아 밀폐되어 리필탱크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탱크와; 상기 이송탱크의 제2주물사유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제2팝업밸브와; 상기 이송탱크의 제2주물사배출구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팝업밸브는, 리필탱크 내부 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제1실린더장치와; 상기 제1실린더장치 끝단에 연결되어 상, 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우레탄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승시 제1주물사유입구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제1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팝업밸브는, 이송탱크 내부 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제2실린더장치와; 상기 제2실린더장치 끝단에 연결되어 상, 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우레탄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승시 제2주물사유입구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제2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관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진행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보조이송노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이송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배출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이 외부의 컴프레셔와 연결된 보조이송커버;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필탱크의 제1주물사유입구 상부에 외부 호퍼와 연결되는 보조플랜지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플랜지의 상단과 외부 호퍼의 연결지점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리필탱크와 이송탱크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에서 리필탱크와 이송탱크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면서 고압을 가해 길이가 긴 이송 라인을 따라 주물사가 원할히 이송된다.
특히, 이송탱크로 주물사가 공급되는 과정에서도 이송탱크에는 항상 고압의 상태가 되어 이송탱크 내부로 유입된 주물사가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필탱크와 이송탱크 사이가 차단된 상태에서 리필탱크에 주물사가 채워지는 동안 이송탱크에서는 주물사가 고압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고, 이송탱크 내부의 주물사가 줄어들 경우 제1가압관과 감압관을 이용하여 리필탱크 내부의 압력을 이송탱크 내부의 압력과 동일하게 만들어주면서 리필탱크와 이송탱크 사이를 개방하여 이송탱크 내부의 주물사는 대부분 일정한 압력을 받으면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팝업밸브를 설치하여 대구경의 제1주물사유입구 및 제2주물사유입구를 원할하게 밀폐성이 보장된다.
아울러, 배출관의 일측에 주물사의 진행방향과 대응되도록 다수의 보조이송노즐을 설치하고, 보조이송노즐 주변으로 보조이송커버를 설치한 다음 보조이송커버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해 주물사가 배출관을 따라 원할하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를 나타낸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리필탱크(100), 제1팝업밸브(200), 이송탱크(300), 제2팝업밸브(400),배출관(50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리필탱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제1주물사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제1주물사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컴프레셔(131)와 연결된 제1가압관(130)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감압변(141)에 연결된 감압관(140)이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가압관(130)은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내부 압력을 높이도록 되어 있으며, 감압관(140)은 감압변(141)과 연결되어 리필탱크(100) 내부 압력을 낮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1팝업밸브(200)는 상기 리필탱크(100)의 제1주물사유입구(110)에 설치되어 있다.
제1팝업밸브(200)의 역할은 리필탱크(100)의 제1주물사유입구(11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주물사를 대량으로 이송하기 위한 설비는 제1주물사유입구(110)의 크기가 15 cm 이상되는 매우 큰 규모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종래의 밸브 종류는 제1주물사유입구(110)를 개폐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장치(210)와 제1패킹(220)으로 제1팝업밸브(200)를 구성하여 제1주물사유입구(110)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키도록 하였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제1실린더장치(210)는 리필탱크(100) 내부 공간에 고정되어 있고, 제1실린더장치(210)의 로드에 제1패킹(220)이 연결되어 제1실린더장치(210)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부로 이동시 제1패킹(220)은 제1주물사유입구(110)를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필탱크(100)의 선단 플랜지에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설치하여 고정시키고, 플랜지로부터 하향되게 다수 개의 고정부재(211)를 설치한 후 고정부재(211) 하단에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2)를 설치하여 제1실린더장치(210)의 실린더암을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2)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패킹(220)은 우레탄 고무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이송탱크(300)는 상부에 제2주물사유입구(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제2주물사배출구(3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탱크(300)는 리필탱크(100)의 제1주물사배출구(120)와 제2주물사유입구(310)가 맞닿아 밀폐되어 리필탱크(100)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탱크(300)는 리필탱크(100)와 달리 감압을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며, 컴프레셔(331)와 연결된 제2가압관(330)만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취한다.
이송탱크(300)는 리필탱크(100)보다 용적량이 더 크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2팝업밸브(400)는 상기 이송탱크(300)의 제2주물사유입구(310)에 설치되어 있다.
제2팝업밸브(400)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팝업밸브(200)와 마찬가지로 제2실린더장치(410)와 제2패킹(42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팝업밸브(200)와 마찬가지로 제2패킹(420)이 제2실린더장치(410)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2주물사유입구(310)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배출관(500)은 상기 이송탱크(300)의 제2주물사배출구(320)에 설치되어 있다.
배출관(500)은 제2주물사유입구(310)로 유입된 후 제2가압관(330)에 의한 가압에 의해 제2주물사배출구(320)와 연결되어 주물사가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배출관(500)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주물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500)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진행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보조이송노즐(510)을 설치하고, 보조이송노즐(510)이 설치되어 있는 배출관(5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이 외부의 컴프레셔와 연결된 보조이송커버(52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의 컴프레셔에 의한 공기가 보조이송노즐(510)을 통해 공급됨에 따라 배출관(500)을 따라 이송되는 주물사를 가압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주물사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리필탱크(100) 상부에 외부 호퍼가 연결되는 구조인데, 리필탱크(100)와 이송탱크(300) 내부를 제1팝업밸브(200) 및 제2팝업밸브(400)로 개폐시키는 것 외에 호퍼에서 리필탱크(1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성도 있다.
이는, 리필탱크(100)를 교체 및 보수하거나, 특히, 제1실린더장치(210)를 보수할 때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리필탱크(100)의 제1주물사유입구(110) 상부에 외부 호퍼와 연결되는 보조플랜지(600)를 더 설치하고, 보조플랜지(600)의 상단과 외부 호퍼의 연결지점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61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610)는 판 형상으로 구성하고, 개폐도어(61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개폐도어실린더장치(620)를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플랜지(600) 외측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는 추가적으로 리필탱크(100)와 이송탱크(300) 하부에 레벨센서를 설치하고, 제1실린더장치(210)와 제2실린더장치(410) 및 레벨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장치를 구비하여 레벨센서에 의한 주물사의 수위를 판단하여 제1실린더장치(210) 및 제2실린더장치(410)를 작동시켜 제1팝업밸브(200) 및 제2팝업밸브(4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컨트롤장치는 컴프레셔(131, 331)들과 연결하여 제1가압관(130), 제2가압관(330) 및 감압관(140)을 통해 리필탱크(100) 및 이송탱크(3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리필탱크(100)와 이송탱크(300)는 도 7과 같이 하나의 일체형 탱크 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 장치의 주요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필탱크(100) 내부로 주물사가 유입되는 과정은 별도의 가압이나 감압 없이 상부의 제1팝업밸브(200)를 개방하고, 하부의 제2팝업밸브(400)를 차단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즉, 중력에 의해 외부 호퍼에 채워져 있는 주물사가 제1주물사유입구(110)를 통해 리필탱크(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런 다음 리필탱크(100) 내부의 주물사를 이송탱크(300) 내부 및 배출관(500)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이송탱크(300) 내부에서 배출관(500) 측으로 이송을 위해 제2가압관(330)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공급될 때 상부 리필탱크(100) 내부의 압력이 이송탱크(300) 내부보다 낮을 경우 배출관(500)을 통한 주물사의 이송이 난이해진다.
이에 따라, 리필탱크(100) 내부에 주물사가 공급된 후, 제1팝업밸브(200)가 차단됨과 동시에 제1가압관(130)을 통해 고압 공기가 공급되어 리필탱크(100) 내부 압력이 높아지며, 동시에 이송탱크(300) 측도 마찬가지로 제2가압관(330)을 통해 가압이 이루어져 이송탱크(300) 내부 압력도 높아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팝업밸브(400)가 개방되게 되면, 리필탱크(100) 내부의 주물사는 이송탱크(300)로 유입되면서 제2가압관(330)에 의한 가압에 의해 배출관(500)으로 즉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리필탱크(100) 내부의 주물사가 이송탱크(300) 내부로 이송이 끝나게 되면, 제2팝업밸브(400)가 제2주물사유입구(310)를 차단하고, 다시 제1팝업밸브(200)가 제1주물사유입구(110)를 개방시켜, 주물사가 리필탱크(10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제1가압관(130)을 통한 가압이 중지되며, 감압변(141)을 통한 감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1팝업밸브(200)는 리필탱크(100) 내부로 주물사를 유입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개폐되며, 제1팝업밸브(200)가 제1주물사유입구(11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2팝업밸브(400)는 제2주물사유입구(310)를 차단하고, 제1팝업밸브(200)가 제1주물사유입구(110)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제2팝업밸브(400)는 제2주물사유입구(310)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2가압관(330)은 컴프레셔(331)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2팝업밸브(400)가 제2주물사유입구(310)를 개방시키게 되면 이송탱크(300) 내부 압력의 저하가 발생될 수 있는데, 제1가압관(130)은 이러한 압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팝업밸브(400)가 제2주물사유입구(310)를 개방시키기 전에 리필탱크(100) 내부 압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감압관(140)은 제2팝업밸브(400)가 제2주물사유입구(310)를 차단한 다음 제1팝업밸브(200)가 제1주물사유입구(110)를 개방하기 전 리필탱크(100) 내부 압력을 저감시켜 주물사가 제1주물사유입구(110)를 통해 원할하게 리필탱크(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도와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용적이 큰 이송탱크(300)에서 배출관(500)을 통해 주물사가 배출되는 동안 리필탱크(100) 내부로 주물사가 유입되면서 이송탱크(300)로 주물사를 공급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압력의 저하 없이 지속적으로 주물사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리필탱크 110 : 제1주물사유입구
120 : 제1주물사배출구 130 : 제1가압관
131 : 컴프레셔 140 : 감압관
141 : 감압변 200 : 제1팝업밸브
210 : 제1실린더장치 211 : 고정부재
212 : 실린더고정플레이트 220 : 제1패킹
300 : 이송탱크 310 : 제2주물사유입구
320 : 제2주물사배출구 330 : 제2가압관
331 : 컴프레셔 400 : 제2팝업밸브
410 : 제2실린더장치 420 : 제2패킹
500 : 배출관 510 : 보조이송노즐
520 : 보조이송커버 600 : 보조플랜지
610 : 개폐도어 6 20 : 개폐도어실린더장치

Claims (5)

  1.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제1주물사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제1주물사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고, 컴프레셔(131)와 연결된 제1가압관(130)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감압변에 연결된 감압관(140)이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리필탱크(100)와;
    상기 리필탱크(100)의 제1주물사유입구(110)에 설치되어 있는 제1팝업밸브와;
    상부에 제2주물사유입구(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제2주물사배출구(320)가 형성되어 있고, 컴프레셔(331)와 연결된 제2가압관(330)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리필탱크(100)보다 내부 용적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고, 리필탱크(100)의 제1주물사배출구(120)와 제2주물사유입구(310)가 맞닿아 밀폐되어 리필탱크(100)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탱크(300)와;
    상기 이송탱크(300)의 제2주물사유입구(310)에 설치되어 있는 제2팝업밸브(400)와;
    상기 이송탱크(300)의 제2주물사배출구(320)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팝업밸브는, 리필탱크(100) 내부 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제1실린더장치(210)와;
    상기 제1실린더장치(210) 끝단에 연결되어 상, 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우레탄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승시 제1주물사유입구(110)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제1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팝업밸브(400)는, 이송탱크(300) 내부 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제2실린더장치(410)와;
    상기 제2실린더장치(410) 끝단에 연결되어 상, 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우레탄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승시 제2주물사유입구(310)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제2패킹(4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500)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진행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보조이송노즐(5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이송노즐(510)이 설치되어 있는 배출관(5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이 외부의 컴프레셔와 연결된 보조이송커버(52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탱크(100)의 제1주물사유입구(110) 상부에 외부 호퍼와 연결되는 보조플랜지(600)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플랜지(600)의 상단과 외부 호퍼의 연결지점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61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KR1020100008774A 2010-01-29 2010-01-29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KR101198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774A KR101198361B1 (ko) 2010-01-29 2010-01-29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774A KR101198361B1 (ko) 2010-01-29 2010-01-29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96A KR20110088996A (ko) 2011-08-04
KR101198361B1 true KR101198361B1 (ko) 2012-11-09

Family

ID=4492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774A KR101198361B1 (ko) 2010-01-29 2010-01-29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7168A (zh) * 2018-07-20 2018-10-12 河南省矿发起重机有限公司 一种铸造模具砂土循环再利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650A (ja) 2002-04-15 2003-10-28 Toyo Tire & Rubber Co Ltd 表面処理砂の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650A (ja) 2002-04-15 2003-10-28 Toyo Tire & Rubber Co Ltd 表面処理砂の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96A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23010A1 (ja) プラスチック成形材料の減圧乾燥装置
CN102410377B (zh) 粉粒体材料的排出装置以及具备其的粉粒体材料的输送系统
CN102388152B (zh) 用于将配料供应至鼓风炉的方法
CN103341460B (zh) 复合轮毂轴承自动清洗机
KR101198361B1 (ko)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US20170291779A1 (en) Dust control in pneumatic particulate handling applications
CN105774842A (zh) 轨道交通加砂装置及加砂方法
KR20120123038A (ko) 주형 조형기에 있어서의 샌드탱크의 급배기 장치 및 급배기 방법
KR100823999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200432619Y1 (ko) 내구성과 밀폐성이 강화된 스윙밸브 및 분리형 호퍼를 갖는공기압 이송장치
CN204977035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混凝土搅拌装置
KR101740674B1 (ko) 쿨링타워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CN107418630B (zh) 生物质加压输送装置
KR20140038132A (ko) 고압 집진설비의 비산재 배출 장치 및 방법
US20160319529A1 (en) Vacuum toilet with centrifugal separator
KR20200043798A (ko) 사출성형기의건조및가스빼기시스템
JPS58145334A (ja) 鋳物砂吹込み装置
CN209531115U (zh) 一种带清扫机构的破碎机
KR101280002B1 (ko) 에어 블라스터
CN103331226B (zh) 一种闭路循环的自动清理供粉装置
CN203494685U (zh) 一种闭路循环的自动清理供粉装置
TW202102306A (zh) 用於處理散料之設備、配套工件組與方法
JP4111781B2 (ja) 粉粒体の分離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フィルター機構
KR200475546Y1 (ko)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CN209427730U (zh) 回用除尘灰发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