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794A - 생 쓰레기 파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 쓰레기 파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794A
KR20010062794A KR1020000083513A KR20000083513A KR20010062794A KR 20010062794 A KR20010062794 A KR 20010062794A KR 1020000083513 A KR1020000083513 A KR 1020000083513A KR 20000083513 A KR20000083513 A KR 20000083513A KR 20010062794 A KR20010062794 A KR 20010062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raw waste
inlet
waste
ca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와라신타로
Original Assignee
후지와라 신타로
가부시키 가이샤 엑시소고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와라 신타로, 가부시키 가이샤 엑시소고켄큐쇼 filed Critical 후지와라 신타로
Publication of KR2001006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7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Paper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반입구와 저장탱크와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생 쓰레기 반입구에서 저장탱크로 반송한다.

Description

생 쓰레기 파쇄장치 및 방법{garbage crush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종래의 생 쓰레기 파쇄장치는, 제 8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입부(4) 내부에 피드 피스톤(15)을 배설했었다. 반입구(1)에 투입된 생 쓰레기(16)는, 제 9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피드 피스톤(15)과 피드 밸브(14)와의 사이로 들어간다. 다음으로, 제 10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 밸브(14)가 개구되며, 피드 피스톤(15)에 의해 생 쓰레기(16)가 반입부(4) 내를 일정거리(A)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 11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 밸브(14)가 닫히며, 다음으로 반입구(1)로부터 투입된 생 쓰레기(17)가 피드 피스톤(15)과 피드 밸브(14)와의 사이로 들어간다. 그리고, 생 쓰레기(17)가 조금 전의 생 쓰레기(16)와 똑같이 일정거리(A) 이동한다. 이 때, 제 1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 쓰레기(16)는 생 쓰레기(17)를 반송부(4)의 내부로 거리 A만큼 밀어 넣는다. 이와 같은 공정의 반복으로, 제 1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입부(4)에 존재하는 생 쓰레기가 반입구(1)로부터 투입된 생 쓰레기에 밀려져 이동하여 저장탱크(2)로 보내졌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서는 반입구에 반입된 생 쓰레기를 순차적으로 보내 저장탱크 내로 반송했기 때문에, 저장탱크 내로 생 쓰레기를 반입하는 데에는시간을 요했다. 이 때문에, 반입구 및 반입부 내에 존재하는 생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반입구 주변을 떠돌아 다녀, 반입구의 설치장소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반입구로부터 장시간 생 쓰레기가 투입되지 않을 경우, 반입구 내에서 생 쓰레기의 부패가 시작되는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했었다. 이러한 반입부 내에서의 생 쓰레기 부패문제는, 반입구 내를 건조시킬 경우에는 잘 발생하지 않지만, 이 경우에는 반입구 내에서 생 쓰레기가 건조 및 부착되어 반입부를 막아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생 쓰레기의 부패 및 건조 문제는, 반입구와 생 쓰레기 저장탱크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발생하기 쉬우므로, 생 쓰레기와 반입부 내벽과의 마찰력 문제와 함께 반입부의 길이를 제한하는 문제점의 하나로 되어왔다.
또한, 생 쓰레기를 저장탱크 내로 밀어넣음으로써, 피드 피스톤과 반입부와의 사이의 밀봉재가 마모되어 반입구에 투입된 수분이 밀봉재와 반입부의 측벽과의 사이로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하여, 반입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생 쓰레기 저장탱크 내로 반입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발생했었다. 이 때문에, 피드 피스톤의 정비가 필요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반입구 및 반입부에 존재하는 생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반입구 주변을 떠도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반입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생 쓰레기 파쇄장치를 제공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8 도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9 도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10 도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11 도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12 도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제 13 도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반입구 2: 저장탱크 3: 반출구
4: 반입부 5: 반출부 6: 파쇄 절단기
7: 반입구 차단밸브 8: 교반 절단기 10: 반출구 차단밸브
11: 배기장치 12: 검출센서 13: 가압장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 쓰레기 파쇄장치는, 생 쓰레기를 반입하는 반입구와, 생 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 절단기와, 파쇄된 생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생 쓰레기를 반출하는 반출구를 구비하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는, 상기 반입구와 상기 저장탱크를 접속하는 반입부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반출부를 접속하는 반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반입부 및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를 배기시키는 배기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 쓰레기 파쇄장치는, 상기 반입부 차단밸브를 사용하여 상기 반입부를 차단하는 차단공정과, 상기 차단공정 후, 상기 반입부 차단밸브와 상기 저장탱크와의 사이의 상기 반입부와 상기 저장탱크를 배기시키는 배기공정과, 상기 배기공정 후, 상기 반입부 차단밸브가 개구되는 공정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반입구와 저장탱크와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생 쓰레기를 반입구로부터 저장탱크로 반송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입구로부터 저장탱크까지 일거에 생 쓰레기가 반송되며, 반입구로부터 장시간 생 쓰레기가 투입되지 않을 경우에도, 반입부 내에 생 쓰레기가 머물지 않는다. 따라서, 반입구 내에서의 생 쓰레기 부패와, 생 쓰레기가 건조되어 반입부 내벽에 부착되어 반입부를 막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입구와 저장탱크와의 거리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입구 주변의 대기도 저장탱크 내로 흡입되어, 반입구 주변의 생 쓰레기 악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드 피스톤과 반입부와의 사이의 밀봉재 마모에 따른 정비 회수를 억제시킬 수 있는 동시에, 액상의 생 쓰레기에 대해서도 아무런 문제없이 반입구로부터 저장탱크로 반입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검출센서 및 상황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센터에서 관리함으로써 반출차량을 효율적으로 회수에 순회시킬 수 있다. 또한, 생 쓰레기 파쇄장치의 이상시, 단시간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제 1 도 내지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 쓰레기 파쇄장치는, 생 쓰레기를 투입하는 제 1 반입구(1)와, 파쇄된 생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와, 파쇄된 생 쓰레기를 반출하는 반출구(3)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반입구(1)와 저장탱크(2)는 반입부(4)에 의해 접속되며, 저장탱크(2)와 반출구(3)는 반출부(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반입구(1)에는 반입문(9)이 배설되며, 반입부(4)에는 파쇄 절단기(6) 및 반입구 차단밸브(7)가 배설되어 있으며, 반출부(5)에는 반출부 차단밸브(10)가 배설되어 있다. 반입부(3)에 배설되는 반입구 차단밸브(7)는, 반입구(1)와 파쇄 절단기(6)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저장탱크(2) 내에는 파쇄 절단기(8)와 적어도 저장탱크(2)의 내부를 배기시키는 배기장치(11)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배기장치(11)는 반입부(4)에 배설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탱크(2)에 존재하는 생 쓰레기의 양을 검출하는 슬러리(slurrry)양 검출센서(12)를 저장탱크(2)에 배설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장탱크(2) 내부를 가압시키는 가압장치(13)를 저장탱크에 배설한다.
또한, 제 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입구(1)에서 반출구(3)까지를 하나로 패키징하여도 된다. 다시,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반입구(4)를 하나의 저장탱크에 접속시켜도 된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입구 차단밸브(7)를 사용하여 반입부(4)와 반입구(1)를 차단하며, 또한 반출구 차단밸브(10)를 사용하여 반출부(5)와 저장탱크(2)를 차단한다. 그리고, 반입부(4)와 저장탱크(2)의 내부를 배기장치(11)를 사용하여 배기하며, ―0.4 기압까지 감압한다.
또한, 이 압력은, 반입구(1)에 존재하는 생 쓰레기를 저장탱크(2)로까지 반송할 수 있는 동시에, 저장탱크(2) 내의 파쇄된 생 쓰레기가 배기장치(11) 내로 흡입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6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입구(1) 내에 생 쓰레기를 투입한다. 그리고, 제 7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입구 차단밸브(7)를 개구한다. 반입구 차단밸브(7)가 개구됨으로써, 반입구(1) 내에 존재하는 생 쓰레기가 반입구와 저장탱크와의 기압차에 의하여 저장탱크(2) 내로 반송된다.
바람직하게는, 반입구(1) 등에 센서류를 설치하고, 반입문(9)이 반입구(1)를 닫음으로써, 자동적으로 반입구 차단밸브(7)가 개구된다.
또한, 생 쓰레기 반송시에, 반입부(4) 내부에 배설되는 파쇄 절단기(6)를 사용하여 생 쓰레기를 파쇄해도 된다.
저장탱크(2) 내부로 반송된 생 쓰레기는, 교반 절단기(8)를 사용하여 파쇄한다. 또한, 교반 절단기(8)에 의해 저장탱크 내에 존재하는 생 쓰레기가 교반되어, 고상과 액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 가압장치(13)를 사용하여 저장탱크(2)의 내부를 가압해도 된다. 저장탱크 내를 가압함으로써, 저장탱크 내에 축적된 생 쓰레기의 부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2)에 축적된 생 쓰레기의 양은, 생 쓰레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설치된 검출센서(12)와 생 쓰레기 표면과의 거리로부터 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생 쓰레기의 저장량 데이타는, 정기적으로, 생 쓰레기 파쇄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센터로 보내진다.
관리센터에는, 반입구 차단밸브, 파쇄 절단기 및 배기장치 등에 설치된 이동상황을 검출하는, 도시되지 않은 상황센터로부터의 데이타가 정기적으로 보내진다. 또한, 각 상황센서는, 고장 등, 특정 데이타를 검지하면, 곧바로 검지한 데이타를 관리센터로 송신한다.
저장탱크(2) 내로 반송된 생 쓰레기는, 반출부(5)를 통하여 반출구(3)로부터 반출차량 등에 의해 반출된다. 이 때, 도시되지 않은 카드에 기록된 차량정보 등을 도시되지 않은 카드 판독기가 판독함으로써 반출구(3)가 개구된다. 이 때, 가압장치(13)를 사용해 저장탱크(2) 내부를 가압하여 반출구(3)에서 밀어내어도 된다.
또한, 생 쓰레기 배출량은, 반출부 또는 반출구에 설치된 상황센서 또는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어, 차량정보와 함께 센터로 보내진다.
반입구와 저장탱크와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생 쓰레기를 반입구로부터 저장탱크로 반송한다.

Claims (5)

  1. 생 쓰레기 반입구로부터 투입된 생 쓰레기를 파쇄 절단기로 파쇄해 액상화하며, 이 액상화한 생 쓰레기를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 쓰레기 반입구와 상기 파쇄 절단기와의 사이에 반입구 차단밸브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를 배기하는 배기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반입구 차단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배기장치로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를 미리 배기시키며, 상기 생 쓰레기 반입구로부터의 생 쓰레기 투입 시에, 상기 반입구 차단밸브를 열며, 이로써, 상기 파쇄 절단기로 파쇄되어 액상화한 생 쓰레기를 상기 저장탱크로 강제반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한 생 쓰레기를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저장탱크 내를 가압시키는 가압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반출구로부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한 생 쓰레기를 반출할 때에,
    상기 가압장치로 상기 저장탱크 내를 가압시키며, 이로써,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한 생 쓰레기를 외부로 강제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생 쓰레기의 양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적어도, 상기 반입구 차단밸브, 상기 파쇄 절단기 및 상기 배기장치의 이동상황을 검출하는 상황센서와,
    상기 검출센서 및 상기 상황센서의 검출결과를 원격의 관리센터장치에 알려주는 통신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 쓰레기 파쇄장치.
  4. 생 쓰레기 반입구로부터 투입된 생 쓰레기를 파쇄 절단기로 파쇄해 액상화하며, 이 액상화한 생 쓰레기를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생 쓰레기 파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 쓰레기 반입구와 상기 파쇄 절단기와의 사이에 설치한 반입구 차단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를 배기시키며, 상기 생 쓰레기 반입구로부터의 생 쓰레기 투입 시에 상기 반입구 차단밸브를 열며, 이로써, 상기 파쇄 절단기로 파쇄되어 액상화한 생 쓰레기를 상기 저장탱크로 강제반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 쓰레기 파쇄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에 설치된 반출구로부터 이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한 생 쓰레기를 반출 할 때에, 이 저장탱크 내를 가압시키며, 이로써, 이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한 생 쓰레기를 외부로 강제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 쓰레기 파쇄방법.
KR1020000083513A 1999-12-28 2000-12-28 생 쓰레기 파쇄장치 및 방법 KR200100627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254799A JP3147229B1 (ja) 1999-12-28 1999-12-28 生ごみ液状化貯蔵装置および方法
JP372547/1999 1999-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794A true KR20010062794A (ko) 2001-07-07

Family

ID=1850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513A KR20010062794A (ko) 1999-12-28 2000-12-28 생 쓰레기 파쇄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10005069A1 (ko)
EP (1) EP1114783B1 (ko)
JP (1) JP3147229B1 (ko)
KR (1) KR20010062794A (ko)
DE (1) DE6000214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3941B2 (en) * 2000-10-02 2006-01-10 Ski Skoot, Inc. Snap-on ski attachment kit for kick scooter
US7163209B2 (en) * 2000-10-02 2007-01-16 Kennth Moscaret Snap-on ski attachment with brake for kick scooter
JP2004299870A (ja) * 2003-03-31 2004-10-28 Shin Meiwa Ind Co Ltd ゴミ投入装置並びにゴミ収集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WO2006019985A2 (en) * 2004-07-26 2006-02-23 Castronovo Charles A Feeding mechanism auto-adjusting to load for use in automatic high-security destruction of a mixed load, and other feeding systems
US8091902B2 (en) * 2008-06-18 2012-01-10 Kalliopi Giannatos Ice skateboard
FI127098B (fi) * 2016-01-07 2017-11-15 Maricap Oy Menetelmä, laitteisto ja järjestelmä jäte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3987A (en) 1980-12-12 1984-01-03 Powers Lewis R Garbage conveying system
SE9401529L (sv) 1994-05-04 1995-11-05 Centralsug Svs Ab Vakuumackumulator ansluten till en sugledning och anordning för avvattning och borttransport av sopor medelst vakuum
TW328920B (en) 1996-11-28 1998-04-01 Ind Tech Res Inst Polishing fluid circuit delivery method and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47229B1 (ja) 2001-03-19
DE60002149D1 (de) 2003-05-22
EP1114783A2 (en) 2001-07-11
US6478243B2 (en) 2002-11-12
US20010006198A1 (en) 2001-07-05
EP1114783A3 (en) 2001-09-12
US20010005069A1 (en) 2001-06-28
DE60002149T2 (de) 2003-12-18
JP2001187602A (ja) 2001-07-10
EP1114783B1 (en) 200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5601C (en)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and moving solid waste
KR20010062794A (ko) 생 쓰레기 파쇄장치 및 방법
CN108639632B (zh) 垃圾卸料场
EP0690120B1 (en) Slag handling system and method
KR101668558B1 (ko) 생활폐기물자동집하시설의 음식물류폐기물 투입장치
KR20030039880A (ko)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KR930017631A (ko)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232836B1 (ko) 압축공기에 의한 중앙집중식 음식쓰레기 자동포집시스템
KR20080066900A (ko) 공동 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413256B1 (ko)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
WO2017130084A1 (en) Perfected composting machine
PL341588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disposing wastes
KR100273467B1 (ko) 사전 압축식 재활용쓰레기 수거차량
WO2008066360A1 (en) Processing system of food wastes
JP4455792B2 (ja) 不均質廃棄物を投棄して貯蔵する方法と装置
KR200485264Y1 (ko) 압축 및 덤핑식 쓰레기 수거차량
KR20090124676A (ko) 다단 건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US8192259B2 (en) Ventilation system of sludge receiving facility
KR101049766B1 (ko)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중계시스템
KR200217929Y1 (ko) 공동주택 음식물 처리 장치
EP1395504A1 (en) Waste treatment apparatus
FI128474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BIODEGRADABLE WASTE
KR20090012787U (ko) 음식물쓰레기 분쇄건조장치를 이용한 공기압 이송시스템
KR101346815B1 (ko) 음식물류 폐기물 및 슬러지 처리시스템
JP2004043040A (ja) 廃棄物貯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