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471B1 - 원주 측정기 - Google Patents

원주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471B1
KR101409471B1 KR1020130004257A KR20130004257A KR101409471B1 KR 101409471 B1 KR101409471 B1 KR 101409471B1 KR 1020130004257 A KR1020130004257 A KR 1020130004257A KR 20130004257 A KR20130004257 A KR 20130004257A KR 101409471 B1 KR101409471 B1 KR 10140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handle
tape measure
circumferenc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3000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25Measuring of circumference; Measuring length of ring-shaped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56Tape end arrangements, e.g. end-hoo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23Winding mechanisms
    • G01B2003/103Winding mechanisms operated by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주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 이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리브, 이 제 1리브와 소정 유격되도록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초기 상태에 제 1리브와 단부끼리 접하는 제 2리브, 및 이 제 1리브와 제 2리브 사이로 삽입된 피측정물의 둘레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지그에 줄자를 설치하여 와이어 하네스와 같은 피측정물이 지그에 삽입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줄자로 감싸지면서 둘레 길이를 측정할 수 있어 피측정물을 삽입하여 보호하는 보호재의 굵기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주 측정기{CIRCUMFERENCE MEASUREMENT JIG}
본 발명은 원주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그에 줄자를 설치하여 와이어 하네스와 같은 피측정물이 지그에 삽입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줄자로 감싸지면서 둘레길이를 측정할 수 있어 피측정물을 삽입하여 보호하는 보호재의 굵기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원주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를 세트화한 것을 지칭한다. 또한, 자동차의 각 전장품은 전력 구동력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 하네스는 차종이 변경되면 변경된 차종의 사양에 맞는 와이어링을 새롭게 제작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설계도면을 보면서 길이를 측정하여 수작업으로 와이어링을 제작해 왔다.
기존의 와이어 하네스는 그 전체 외주면이 보호용 튜브에 의해 보호된다.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6256호(등록일 : 2006.05.08.)인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가 제안되었다.
기존의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는 눈으로 보며 경험치로 정해지는 와이어 하네스의 굵기에 따라 선별 후 해당 와이어 하네스를 삽입하는데, 규격 불합격시 와이어 하네스로부터 탈거해야 함에 따라,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그에 줄자를 설치하여 와이어 하네스와 같은 피측정물이 지그에 삽입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줄자로 감싸지게 하여 원주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측정된 피측정물의 원주값에 따라 피측정물을 삽입하여 보호하는 보호재의 굵기를 쉽게 선택하고자 하는 원주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주 측정기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리브, 상기 제 1리브와 소정 유격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초기 상태에 상기 제 1리브와 단부끼리 접하는 제 2리브, 및 상기 제 1리브와 상기 제 2리브 사이로 삽입된 피측정물의 둘레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리브와 상기 제 2리브는 상기 손잡이에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 1리브의 외측면을 따라 배열되는 줄자,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줄자를 당기는 외력 여부에 따라 상기 줄자를 감거나 푸는 권취릴, 및 상기 제 1리브와 상기 제 2리브 사이를 통과하는 피측정물을 상기 줄자로 자연적으로 감싸기 위해 상기 줄자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줄자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리부재, 및 상기 제 2리브에 구비되어 상기 고리부재에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주 측정기는 지그에 줄자를 설치하여 와이어 하네스와 같은 피측정물이 지그에 삽입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줄자로 감싸지게 하여 원주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측정된 피측정물의 원주값에 따라 피측정물을 삽입하여 보호하는 보호재의 굵기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측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측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측정기로 와이어 하네스의 원주를 측정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측정값에 따라 선택된 보호재로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주 측정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측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측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측정기로 와이어 하네스의 원주를 측정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측정값에 따라 선택된 보호재로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측정기(10)는 와이어 하네스 등의 피측정물(2)에 대한 원주를 용이하게 측정하는 것으로서, 편의상 와이어 하네스의 원주를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원주 측정기(10)는 손잡이(20), 제 1리브(30), 제 2리브(40), 및 측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손잡이(20)는 원주 측정기(1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는 기능을 한다. 손잡이(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리브(30)는 손잡이(20)의 일측에 구비된다. 편의상, 제 1리브(30)는 손잡이(2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제 1리브(30)는 손잡이(20)에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2리브(40)는 제 1리브(30)와 소정 유격되도록 손잡이(20)의 일측에 구비된다. 그래서, 손잡이(20)는 상부 일측에 제 1리브(30)를 구비하고, 상부 타측에 제 2리브(40)를 구비한다. 물론, 제 2리브(40)는 손잡이(20)에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는 초기에 단부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서로 벌어질 수 있는 굵기로 형성된다. 특히,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는 외력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을 갖는다.
그래서,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는 단부끼리 접한 초기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벌어진 후, 외력 제거됨에 따라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피측정물(2)을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의 접한 부위에서 손잡이(20)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는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피측정물(2)이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 사이를 통해 내부로 삽입시,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피측정물(2)이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 사이에 위치할 때, 자연적으로 둘레 길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측정부(50)가 구비된다.
측정부(50)는 줄자(52), 권취릴(54), 및 고정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줄자(52)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요성을 갖고, 눈금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줄자(52)는 제 1리브(30)의 외측면을 따라 배열된다. 여기서, '외측면'은 제 2리브(40)를 향하는 제 1리브(30)의 내측면에 반대되는 둘레면이다.
아울러, 권취릴(54)은 줄자(52)의 일측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손잡이(20)에 구비된다. 그리고, 권취릴(54)은 내부에 탄성부재(55)를 구비한다. 탄성부재(55)는 일측이 손잡이(20)에 연결되고, 타측이 권취릴(54)에 연결된다. 이때, 탄성부재(55)는 토션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가 벌어질 때, 줄자(52)는 당겨지는 외력을 받음으로써 권취릴(54)로부터 풀리게 된다. 탄성부재(55)는 탄성 복원력이 작용 받게 된다.
반대로,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가 초기 상태로 복귀시, 줄자(52)는 탄성부재(5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권취릴(54)에 감겨지게 된다.
특히, 줄자(52)는 풀려지면서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 사이로 삽입되는 피측정물(2)을 감싸게 되고, 줄자(52)가 감겨지면서 피측정물(2)의 둘레면에 밀착된다.
또한, 고정부(56)는 줄자(52)의 타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줄자(52)는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 사이를 통과하는 피측정물(2)을 자연적으로 감싸면서 피측정물(2)의 둘레면에 밀착된다.
이 후, 제 1리브(30)와 제 2리브(40)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면서 접촉함에 따라, 줄자(52)는 원 궤적을 이룸으로써 피측정물(2)의 원주(L1)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줄자(52)는 제 2리브(40)의 외측면에 접하여 배열된 상태로 타측이 제 1리브(30)에 연결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권취릴(54)은 손잡이(20)의 둘레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손잡이(20)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손잡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부(56)는 고리부재(57), 및 후크(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리부재(57)는 줄자(52)에 분리 가능하거나 또는 일체로 구비되며, 다양한 걸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크(59)는 제 2리브(40)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거나 또는 일체로 구비되어 고리부재(57)를 이탈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측정기(10)는 미사용시 후크(59)를 고리부재(57)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탄성부재(55)에 가해지는 탄성 복원력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래서, 탄성부재(55)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피측정물(2)의 원주(L1)를 측정한 후 이에 맞는 원주(L2)의 보호재(4)를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보호재(4)는 튜브나 프로텍터 등이다. 이때, 피측정물(2)의 원주(L1)는 보호재(4)의 원주(L2)와 동일하거나, 보호재(4)의 원주(L2)보다 소정 작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원주 측정기 20: 손잡이
30: 제 1리브 40: 제 2리브
50: 측정부 52: 줄자
54: 권취릴 55: 탄성부재
56: 고정부 57: 고리부재
59: 후크

Claims (4)

  1.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리브;
    상기 제 1리브와 소정 유격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초기 상태에 상기 제 1리브와 단부끼리 접하는 제 2리브; 및
    상기 제 1리브와 상기 제 2리브 사이로 삽입된 피측정물의 둘레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 1리브의 외측면을 따라 배열되는 줄자;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줄자를 당기는 외력 여부에 따라 상기 줄자를 감거나 푸는 권취릴; 및
    상기 제 1리브와 상기 제 2리브 사이를 통과하는 피측정물을 상기 줄자로 자연적으로 감싸기 위해 상기 줄자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줄자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리부재; 및
    상기 제 2리브에 구비되어 상기 고리부재에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권취릴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권취릴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릴을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 측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리브와 상기 제 2리브는 상기 손잡이에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 측정기.
  3. 삭제
  4. 삭제
KR1020130004257A 2013-01-15 2013-01-15 원주 측정기 KR10140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257A KR101409471B1 (ko) 2013-01-15 2013-01-15 원주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257A KR101409471B1 (ko) 2013-01-15 2013-01-15 원주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471B1 true KR101409471B1 (ko) 2014-06-18

Family

ID=5113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257A KR101409471B1 (ko) 2013-01-15 2013-01-15 원주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4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7822A (zh) * 2020-04-17 2020-07-28 杭州窜层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卡紧且便于读数的钢筋用测径器
CN117629088A (zh) * 2024-01-26 2024-03-01 国家海洋局珠海海洋环境监测中心站 一种便携式树木直径激光自动测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1404A (ja) * 1990-09-11 1994-10-07 Centre Technic Cuir Chaussure Maroquinerie 物体の長さおよび周長を測定する装置
KR101010184B1 (ko) * 2009-12-11 2011-01-21 박세범 휴대용 측정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1404A (ja) * 1990-09-11 1994-10-07 Centre Technic Cuir Chaussure Maroquinerie 物体の長さおよび周長を測定する装置
KR101010184B1 (ko) * 2009-12-11 2011-01-21 박세범 휴대용 측정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7822A (zh) * 2020-04-17 2020-07-28 杭州窜层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卡紧且便于读数的钢筋用测径器
CN117629088A (zh) * 2024-01-26 2024-03-01 国家海洋局珠海海洋环境监测中心站 一种便携式树木直径激光自动测量装置
CN117629088B (zh) * 2024-01-26 2024-04-12 国家海洋局海口海洋环境监测中心站 一种便携式树木直径激光自动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471B1 (ko) 원주 측정기
JP2000166061A (ja) ワイヤハーネスの取付構造
US201400209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 flat cord
US9257807B2 (en) Tool for installing wires in a wire harness conduit
US8191207B1 (en) Cord protectiv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JP2007221918A (ja) 保護具
KR200474230Y1 (ko) 케이블 넘버링 튜브
JP6723507B2 (ja) ゴムモールド部品
JP6741990B2 (ja) 充電ケーブルホルダ
JP6402396B1 (ja) 配線巻取具およびそれを用いる携帯型電子機器ならびに紐体の巻取具
US20200161021A1 (en) Electric wire bundling member and wire harness
KR101708122B1 (ko) 전선타래용 캐리어
KR20190000538A (ko) 착탈형 밴드 케이블
KR200410932Y1 (ko) 케이블타이
CN104582525A (zh) 卷发形成方法
JP201606267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5109722A (ja) ワイヤハーネス取付方法
JP5737131B2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190012573A (ko) 와이어 하네스 정렬용 밴드
WO2013190724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外装体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保護構造
WO2012137798A1 (ja) ワイヤハーネス用固定具、ワイヤハーネス、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方法
US20180233257A1 (en) Wire harness prot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braided cover-equipped wire harness
JP3213853U (ja) 電線収納器
JP6892791B2 (ja) コネクタ保護具
JP2010130812A (ja) 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