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230Y1 - 케이블 넘버링 튜브 - Google Patents

케이블 넘버링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230Y1
KR200474230Y1 KR2020130000412U KR20130000412U KR200474230Y1 KR 200474230 Y1 KR200474230 Y1 KR 200474230Y1 KR 2020130000412 U KR2020130000412 U KR 2020130000412U KR 20130000412 U KR20130000412 U KR 20130000412U KR 200474230 Y1 KR200474230 Y1 KR 200474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le
terminal
numbering tub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444U (ko
Inventor
김석훈
김남철
김태춘
허성호
이준형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주)
Priority to KR2020130000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3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4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4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01B7/36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being a sleeve, ferrule, tag, clip, label or short length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4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to be fastened or secured by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e.g. by thermo-adhesion
    • G09F3/06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to be fastened or secured by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e.g. by thermo-adhesion by clamping a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1Sleeve shaped label, i.e. wrapped around a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20Identification of install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넘버링 튜브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을 감싸고, 외측에 상기 케이블의 정보가 표시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몸체부가 케이블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몸체부의 양측을 체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넘버링 튜브{CABLE NUMBERING TUBE}
본 고안은 케이블 넘버링 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넘버링 튜브를 케이블의 분리작업 및 압착단자의 절단작업 없이 교체하여 정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넘버링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넘버링 튜브는 단자대에 연결된 수많은 케이블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케이블 넘버링 튜브 외측에는 단자대의 위치나 TAG 번호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75507호(2008. 12. 16 등록, 발명의 명칭 : 온도감응변색 넘버링 튜브)가 있다.
종래의 케이블 넘버링 튜브는 케이블의 외측을 감싸도록 케이블에 끼워진다. 케이블의 단부에는 단자대와의 연결을 위한 압착단자가 결합되고, 케이블 넘버링 튜브는 케이블 넘버링 튜브보다 큰 폭을 갖는 압착단자에 의해 케이블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넘버링 튜브를 교체하고자 할 때 종래에는 압착단자를 케이블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압착단자의 분리 과정에서 케이블의 쇼트나 감전의 위험성이 존재할 뿐 아니라, 기기 운전 중에는 케이블 넘버링 튜브를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케이블 넘버링 튜브를 교체한 후 압착단자를 케이블에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접촉불량, 오결선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케이블의 분리작업 및 압착단자의 절단작업 없이 케이블 넘버링 튜브를 교체할 수 있는 케이블 넘버링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는; 케이블을 감싸고, 외측에 상기 케이블의 정보가 표시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케이블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양측을 체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돌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폭방향으로 복수개가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홀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는 상기 홀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홀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는 종래 기술과 달리 압착단자를 케이블로부터 분리하지 않으면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단자, 절연테이프 등 별도의 소모성 자재가 절약되고, 압착단자를 교체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접촉불량, 오결선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기기 운전중에도 케이블 넘버링 튜브를 교체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넘버링 튜브는 둘레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단자대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가 케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의 보관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의 돌기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가 케이블을 감싸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의 삽입부가 홀부를 통과하는 과정과 통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단자대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가 케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의 보관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의 돌기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가 케이블을 감싸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넘버링 튜브의 삽입부가 홀부를 통과하는 과정과 통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제어기기 케이스(200)는 각종 산업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기기와 단자대(210)를 보호하는 케이스이다. 제어기기(미도시)는 디지털 타입과 아날로그 타입으로 분류되는데, 기간산업 시설, 자동제어 설비, 공장 자동화 라인 등과 같은 산업용 설비의 시간 제어에서부터 산업용 모터의 수명 감시, 간판의 조명등 제어 등 다양한 용도로 폭 넓게 사용된다.
제어기기 케이스(200)는 주로 제작이 용이한 철로 만들어지고 사각형의 형태를 한다. 물론,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형태는 사각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모양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어기기 케이스(200)에는 케이블(220)이 통과하는 케이블 삽입부(201)가 양측면에 형성된다. 외부의 케이블(220)은 케이블 삽입부(201)를 통해 제어기기 케이스(200) 내부에 삽입된다.
단자대(210)는 단자고정부(211), 단자볼트(212), 단자표시부(213)를 구비한다.
단자표시부(213)는 단자대(210) 중심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들어온 케이블(220)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도록 케이블(220)의 정보가 표시된다. 단자표시부(213)는 숫자, 로마자, 알바벳 등 여러가지로 표시 가능하다.
단자고정부(211)는 단자표시부(213)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된다. 단자고정부(211)의 내부에는 단자볼트(212)가 들어갈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케이블(220)은 외측에 케이블 넘버링 튜브(100)가 감싸지고, 케이블(220) 단부에 압착단자(221)가 연결된다. 케이블(220)은 케이블 삽입부(201)를 통해 제어기기 케이스(200)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작업자는 단자표시부(213)를 확인하여 압착단자(221)와 연결하고자 하는 단자고정부(211)를 결합한다.
단자볼트(212)는 단자고정부(211)의 홀에 체결된다. 압착단자(221)는 단자볼트(212)에 의해 단자고정부(211)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단자볼트(212)는 사용하지 않을 때 단자고정부(211)에 체결된 채로 보관되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케이블 넘버링 튜브(100)는 몸체부(110)와 고정부(120)를 포함하고, 절연내역이 우수한 PVC 계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10)는 케이블(220)의 외측을 감싼다. 몸체부(110) 외측에는 케이블(220)의 단자대(210) 위치, TAG 번호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의 양측에 구비되고, 몸체부(110)가 케이블(220)을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몸체부(110)의 양측을 연결한다. 즉, 몸체부(110)는 고정부(120)에 의해 케이블(220)을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고정부(120)는 돌기부(121)와 홀부(126)를 포함한다.
돌기부(121)는 몸체부(110) 일측(도4기준 우측)에 형성되며, 폭방향(A)으로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된다.
돌기부(121)는 몸체부(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 돌기부(121)는 본드 등의 접착제에 의해 몸체부(110)에 부착될 수 있고, 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부(126)는 몸체부(110) 타측(도4 기준 좌측)에 형성되며, 폭방향(A)으로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된다. 이때, 홀부(126)는 홀부(126)에 삽입될 돌기부(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홀부(126)는 송곳과 같은 뾰쪽한 것으로 뚫어도 되고, 펀칭기를 이용하여 뚫을 수 있다.
돌기부(121)와 홀부(126)는 결합하여 몸체부(110)에 위치고정된다.(도7참조) 돌기부(121)와 홀부(126)가 결합된 케이블 넘버링 튜브(100)는 중공의 원기둥이 된 상태로 권취부재(300)에 말려 보관된다. 따라서, 몸체부(110)는 케이블(220)의 정보가 표시될 분량(量)에 따라 필요한 만큼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돌기부(121)는 삽입부(122)와 연결부(123)를 포함하고, 삽입부(122)와 연결부(123)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연결부(123)는 사각기둥으로 형성되고, 길이는 몸체부(110)의 두께에 따라 정해진다. 연결부(123)는 몸체부(110)와 수직으로 형성된다.
삽입부(122)는 화살표 모양으로 형성된다. 삽입부(122)는 홀부(126)에 삽입될 때 뾰족한 끝이 먼저 삽입되어 매끄럽게 들어간다. 삽입부(122)의 크기는 홀부(126) 보다 크게 제작되어, 삽입부(122)가 홀부(126)에 삽입되고 난 후 빠지지 않는다.
삽입부(122)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므로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삽입부(122)가 홀부(126)에 삽입될 때, 손으로 삽입부(122)의 양쪽을 누르면 삽입부(122)의 크기는 홀부(126)보다 작게 되어 홀부(126)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삽입부(122)가 홀부(126)를 통과한 후에 삽입부(122)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삽입부(122)는 본래의 형태로 돌아오게 된다. 이에 따라 삽입부(122)는 홀부(126)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홀부(126)는 제1홀부(127), 제2홀부(128), 제3홀부(129)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홀부(127)는 몸체부(110)의 우측에 폭방향(A)으로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된다.
케이블(220)의 굵기에 따라 몸체부(110)의 내측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미 설치된 제1홀부(127)와 평행하게 제2홀부(128), 제3홀부(129) 등을 폭방향(A)으로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즉, 제1홀부(127), 제2홀부(128), 제3홀부(129)는 길이방향(B)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케이블 넘버링 튜브 110 : 몸체부
120 : 고정부 121 : 돌기부
122 : 삽입부 123 : 연결부
126 : 홀부 127 : 제1홀부
128 : 제2홀부 129 : 제3홀부
200 : 제어기기 케이스 201 : 케이블 삽입부
210 : 단자대 211: 단자고정부
212 : 단자볼트 213 : 단자표시부
220 : 케이블 221 : 압착단자
300 : 권취부재 A : 폭방향
B : 길이방향

Claims (6)

  1. 케이블을 감싸고, 외측에 상기 케이블의 정보가 표시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케이블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양측을 체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돌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폭방향으로 복수개가 각각 배열되며,
    상기 홀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넘버링 튜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홀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넘버링 튜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홀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홀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넘버링 튜브.
KR2020130000412U 2013-01-16 2013-01-16 케이블 넘버링 튜브 KR200474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412U KR200474230Y1 (ko) 2013-01-16 2013-01-16 케이블 넘버링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412U KR200474230Y1 (ko) 2013-01-16 2013-01-16 케이블 넘버링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44U KR20140004444U (ko) 2014-07-24
KR200474230Y1 true KR200474230Y1 (ko) 2014-08-29

Family

ID=5200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412U KR200474230Y1 (ko) 2013-01-16 2013-01-16 케이블 넘버링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389U (ko) 2016-03-22 2017-10-10 이형구 목재 도마
KR20190069200A (ko) 2017-12-11 2019-06-19 이준혁 다기능 도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862A (ja) * 1997-03-27 1998-10-09 Yazaki Corp フラットハーネスのデータ表示構造
KR200218124Y1 (ko) 2000-10-25 2001-03-15 김상수 배선용 클램프
JP2002335621A (ja) * 2001-05-11 2002-11-22 Matsumoto Kogyo:Kk ネームプレ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862A (ja) * 1997-03-27 1998-10-09 Yazaki Corp フラットハーネスのデータ表示構造
KR200218124Y1 (ko) 2000-10-25 2001-03-15 김상수 배선용 클램프
JP2002335621A (ja) * 2001-05-11 2002-11-22 Matsumoto Kogyo:Kk ネームプレ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44U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387B1 (en) Reusable cable tie
JP4847935B2 (ja) ケーブル保護チェーンの破損検知システムおよび破損検知方法
JP6052105B2 (ja) プロテクタ
KR200474230Y1 (ko) 케이블 넘버링 튜브
EP2782789B1 (en) Wire harness with clip and protect tube
US9601909B2 (en) Protective enclosure for a wire harness
CN201197060Y (zh) 过线圈
JP5798757B2 (ja) 外装部品付電線および該外装部品付電線を有するワイヤハーネス
JP6059101B2 (ja) 絶縁キャップ
CN210270315U (zh) Odf工作端子隔离装置
KR101409471B1 (ko) 원주 측정기
JP3194639U (ja) スリットチューブ
CN203165832U (zh) 高压熔断器
CN207625228U (zh) 一种线束套管
US20160064833A1 (en) Splice for gathering ends of electric wire bundle
JP5607133B2 (ja) 線状物の固定構造
KR20200053165A (ko) 기능성 양방향 케이블 타이
JP2013258903A (ja) 導電性部材保護カバー
JP6090049B2 (ja) 電子機器ユニット
JP5693283B2 (ja) 外装部品付電線および該外装部品付電線を有するワイヤハーネス
JP2014207815A (ja) 電線挿入補助具及び電線接続方法
JP6239422B2 (ja) コネクタ首下部の保護構造及び保護方法
KR200482053Y1 (ko) 이동식 콘센트의 포장 구조
KR101454376B1 (ko) 커팅이 가능한 부싱
KR20220001799U (ko) 케이블 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