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122B1 - 전선타래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전선타래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122B1
KR101708122B1 KR1020150124026A KR20150124026A KR101708122B1 KR 101708122 B1 KR101708122 B1 KR 101708122B1 KR 1020150124026 A KR1020150124026 A KR 1020150124026A KR 20150124026 A KR20150124026 A KR 20150124026A KR 101708122 B1 KR101708122 B1 KR 101708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main
fastening
wire
carri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엽
Original Assignee
안종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엽 filed Critical 안종엽
Priority to KR102015012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16Cans or receptacles, e.g. sliver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B65H75/36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a casing or container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전선을 감아서 만든 전선타래를 보관, 이동 및 인출시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여 배선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전선타래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이 끊어진 링 형상으로 상기 양단이 근접할 경우 축경되고, 상기 양단이 이격될 경우 확경되며, 내부로 전선타래가 삽입되어 내주면이 상기 전선타래의 외주면을 접촉 압박하여 고정하는 캐리어몸체와, 상기 전선타래의 좌우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캐리어몸체의 좌우측면에 각각 내경을 향해 돌출 형성된 측면리브와, 상기 캐리어몸체의 양단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몸체의 양단을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체결부와, 상기 캐리어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캐리어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타래로부터 풀려나온 전선이 삽입 고정되는 전선꽂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선타래용 캐리어{CARRIER FOR A SKEIN OF ELECTRIC WIRE}
본 발명은 전기,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전선을 감아서 만든 전선타래를 보관, 이동 및 인출시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여 배선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전선타래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전류가 흐르도록 도체로 쓰는 선으로, 전기, 전자기기의 내부 배선이나 기기간의 연결용 배선에 사용될 뿐 아니라 산업용기기, 컴퓨터, 제어기기, 공작기기와 수송수단인 자동차나 선박 및 항공기 등의 배선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전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첫 마디가 내경 또는 외경으로부터 시작되어 500 내지 1,000m 정도의 길이를 가진 롤 형태로 말린 전선타래로 제작되고, 외주면 및 측면을 덮도록 비닐이나 랩 등으로 포장한 후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전선타래로부터 전선을 풀어내어 사용하고자 할 경우 타래의 내경 또는 외경으로부터 첫 마디를 잡아당겨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타래는 외주면 및 측면이 비닐이나 랩 등에 의해 포장되어 있으므로 롤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내경으로부터 전선의 첫 마디를 잡아당겨 인출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전선타래는 전선이 약 500 내지 1,000m 정도로 감겨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1회의 배선작업으로 전선타래의 전선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고, 남은 전선이 풀리지 않도록 전선타래에 감거나 별도의 노끈 등으로 매듭을 지어 묶어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남은 전선은 전선타래로부터 느슨하게 풀리기 쉽고, 더욱이 작업자가 전선타래를 가지고 이동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보관 및 이동시에 전선타래를 포장한 비닐이나 랩 등이 찢겨 나가거나 파손되어 전선타래의 전선이 풀려나는 등 마지막까지 롤 형태를 유지하여 사용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전선을 감아서 만든 전선타래를 보관, 이동 및 인출시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여 배선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전선타래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선타래용 캐리어는, 양단이 끊어진 링 형상으로 상기 양단이 근접할 경우 축경되고, 상기 양단이 이격될 경우 확경되며, 내부로 전선타래가 삽입되어 내주면이 상기 전선타래의 외주면을 접촉 압박하여 고정하는 캐리어몸체와, 상기 전선타래의 좌우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캐리어몸체의 좌우측면에 각각 내경을 향해 돌출 형성된 측면리브와, 상기 캐리어몸체의 양단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몸체의 양단을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체결부와, 상기 캐리어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캐리어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타래로부터 풀려나온 전선이 삽입 고정되는 전선꽂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면리브는, 복수가 구비되어 각각이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리어몸체의 양단 중 어느 일단 외주면에 설치된 주동체결부 및 타단 외주면에 설치된 종동체결부와, 상기 주동체결부 및 종동체결부를 연결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볼트는,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주동체결부 및 종동체결부를 상호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동체결부는, 상기 조임볼트가 관통되는 주동삽입장공이 형성된 주동체결편과, 상기 주동체결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삽입장공에 연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가 관통삽입되는 주동관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체결부는, 상기 조임볼트가 관통되는 종동삽입장공이 형성된 종동체결편과, 상기 종동체결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삽입장공에 연통되도록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종동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조임볼트의 볼트몸체에 삽입되고, 상기 조임볼트의 볼트헤드와 상기 주동관통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지지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는, 상기 볼트헤드로부터 상기 볼트지지관의 길이보다 긴 위치로 상기 볼트몸체의 외주면 상에 환형의 핀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주동체결편 및 종동체결편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조임볼트의 핀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조임볼트가 상기 주동체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주동체결편에 접촉 걸림되는 스냅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타래용 캐리어는, 양단이 끊어진 링 형상의 캐리어몸체가 체결부의 작동에 따라 축경 및 확경되면서 내부로 삽입된 전선타래를 접촉 압박하여 고정하고, 측면리브를 통해 전선타래의 양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손잡이 및 전선꽂이를 통해 전선타래의 보관, 이동 및 전선의 인출시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여 배선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캐리어몸체를 축경 또는 확경시키는 체결부의 구성을 주동체결부, 종동체결부 및 조임볼트를 통해 이루어내고, 볼트지지관을 통해 조임볼트의 원활한 작동성을 확보하면서도 스냅링을 통해 조임볼트가 주동체결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선타래를 실제 촬영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타래용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5는 도 2의 실시예 중 체결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 내지 9는 도 2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전선타래의 보관, 전선의 인출 및 사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전선타래용 캐리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타래용 캐리어는, 도 2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몸체(100), 측면리브(200), 체결부(300), 손잡이(400) 및 전선꽂이(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300)는 주동체결부(310), 종동체결부(320) 및 조임볼트(330)를 포함할 수 있고, 볼트지지관(340) 및 스냅링(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동체결부(310)는 주동체결편(311) 및 주동관통부재(312)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체결부(320)는 종동체결편(321) 및 종동나사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몸체(100)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끊어진 링 형상으로 상기 양단이 근접할 경우 축경되고, 상기 양단이 이격될 경우 확경되며, 내부로 전선타래(10)가 삽입되어 내주면이 상기 전선타래(10)의 외주면을 접촉 압박하여 고정한다. 상기 캐리어몸체(100)는 장형의 판상으로 된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재질로, 예컨대 스틸,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장형의 판상체를 링 형상으로 제작하며, 이때 양단이 서로 이어지지 않고, 끊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양단이 근접하게 되면 전체적인 링 형상의 직경이 작아지고, 양단이 서로 이격되게 되면 링 형상의 직경이 커지는 것이다. 이러한 캐리어몸체(100)의 내부로 도 1에 도시된 전선타래(10)가 삽입되어 내주면이 상기 전선타래(10)의 외주면을 접촉 압박하여 고정한다. 전선타래(10)의 좌우측면은 후술하는 측면리브(200)를 통해 지지 고정된다.
측면리브(200)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타래(10)의 좌우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캐리어몸체(100)의 좌우측면에 각각 내경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측면리브(200)는 복수가 구비되어 각각이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캐리어몸체(100)가 링 형상으로 축경 또는 확경될 때, 각각의 측면리브(200)가 상호 이격된 상태가 됨으로써 서로 간에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캐리어몸체(100)의 축경 및 확경에따라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체결부(300)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몸체(100)의 양단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몸체(100)의 양단을 근접 또는 이격시킨다. 즉, 체결부(30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벨트와 클립방식의 체결구조일 수 있고, 고리와 고리홈의 체결구조일 수도 있다. 즉, 어떠한 체결방식이든 상기 캐리어몸체(100)의 양단을 서로 근접 또는 이격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좋다.
다만, 상기 체결부(300)의 구체적이고 특징적인 구조로서,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동체결부(310), 종동체결부(320) 및 조임볼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캐리어몸체(100)의 양단 중 어느 일단 외주면에 설치된 주동체결부(310) 및 종동체결부(320)와, 상기 주동체결부(310) 및 종동체결부(320)를 연결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330)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볼트(330)는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주동체결부(310) 및 종동체결부(320)를 상호 근접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동체결부(310)는 상기 조임볼트(330)가 관통되는 주동삽입장공(311a)이 형성된 주동체결편(311)과, 상기 주동체결편(3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삽입장공(311a)에 연통되도록 관통공(312a)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330)가 관통삽입되는 주동관통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체결부(320)는 상기 조임볼트(330)가 관통되는 종동삽입장공(321a)이 형성된 종동체결편(321)과, 상기 종동체결편(32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삽입장공(321a)에 연통되도록 나사공(322a)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330)가 나사결합되는 종동나사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조임볼트(330)가 주동체결편(311)의 주동삽입장공(311a)을 통해 주동관통부재(312)를 관통하여 종동체결편(321)의 종동삽입장공(321a)을 통해 종동나사부재(322)에 볼트 결합됨으로써, 조임볼트(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주동체결부(310) 및 종동체결부(320)를 서로 이격 또는 근접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부(300)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볼트(330)의 볼트몸체(332)에 삽입되고, 상기 조임볼트(330)의 볼트헤드(331)와 상기 주동관통부재(312)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지지관(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볼트지지관(340)을 통해 볼트지지관(340)의 길이만큼 조임볼트(330)의 볼트헤드(331)가 주동체결부(310)로부터 돌출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조임볼트(330)의 볼트헤드(331)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330)는 상기 볼트헤드(331)로부터 상기 볼트지지관(340)의 길이보다 긴 위치로 상기 볼트몸체(332)의 외주면 상에 환형의 핀홈(333)이 함몰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주동체결편(311) 및 종동체결편(32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조임볼트(330)의 핀홈(333)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조임볼트(330)가 상기 주동체결부(3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주동체결편(311)에 접촉 걸림되는 스냅링(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임볼트(330)의 핀홈(333) 및 스냅링(350)에 의해 조임볼트(330)가 종동나사부재(322)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스냅링(350)이 주동체결부(310)에 접촉 걸림됨으로써 조임볼트(330)가 주동체결부(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손잡이(400)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몸체(10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사용자는 손잡이(400)를 파지하여 전선타래(10)가 삽입 고정된 캐리어몸체(10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전선꽂이(500)는 도 2 내지 5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몸체(10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타래(10)로부터 풀려나온 전선(11)이 삽입 고정된다. 이러한 전선꽂이(500)를 통해 전선타래(10)로부터 풀린 전선(11)을 고정시켜 더이상 전선(11)이 자유롭게 풀리지 않도록 하여 전선(11)이 꼬이지 않고, 전선타래(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타래용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선타래의 보관, 전선의 인출 및 사용과정을 설명하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00)의 조임볼트(330)를 해제하여 놓거나, 조임볼트(300)가 체결된 상태라도 최대한 캐리어몸체(100)의 양단을 이격시켜 장착하고자 하는 전선타래(10)를 삽입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타래(10)의 외주면이 캐리어몸체(100)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전선타래(10)의 좌우측면이 측면리브(200)에 의해 지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캐리어몸체(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전선타래(10)를 압박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부(300)의 조임볼트(330)를 체결시키면서 주동체결부(310)와 종동체결부(320)가 서로 근접하도록 최대한 조여준다.
이렇게 캐리어몸체(10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전선타래(10)는 캐리어몸체(100)에 의해 외부로부터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손잡이(400)를 통해 쉽게 운반할 수 있으며, 보관도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타래(10)로부터 전선(11)을 인출하여 사용할 경우, 전선타래(10)의 내주면으로부터 전선(11)을 풀어내면서 사용하면 된다.
다음으로, 전선(11)을 충분히 사용하였지만, 전선타래(10)가 많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계속적인 보관, 이동 및 사용이 필요하고, 이때 전선타래(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인출된 전선(11)을 고정시켜야 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꽂이(500)를 통해 전선타래(10)로부터 풀린 전선(11)을 고정시켜 더이상 전선(11)이 자유롭게 풀리지 않도록 하여 전선(11)이 꼬이지 않고, 전선타래(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타래용 캐리어는, 양단이 끊어진 링 형상의 캐리어몸체(100)가 체결부(300)의 작동에 따라 축경 및 확경되면서 내부로 삽입된 전선타래(10)를 접촉 압박하여 고정하고, 측면리브(200)를 통해 전선타래(10)의 양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손잡이(400) 및 전선꽂이(500)를 통해 전선타래(10)의 보관, 이동 및 전선(11)의 인출시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전선(11)의 꼬임을 방지하여 배선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캐리어몸체(100)를 축경 또는 확경시키는 체결부(300)의 구성을 주동체결부(310), 종동체결부(320) 및 조임볼트(330)를 통해 이루어내고, 볼트지지관(340)을 통해 조임볼트(330)의 원활한 작동성을 확보하면서도 스냅링(350)을 통해 조임볼트(330)가 주동체결부(31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전선타래 11 : 전선
100 : 캐리어몸체
200 : 측면리브
300 : 체결부
310 : 종동체결부
311 : 주동체결편 311a : 주동삽입장공
312 : 주동관통부재 312a : 관통공
320 : 주동체결부
321 : 종동체결편 321a : 종동삽입장공
322 : 종동나사부재 322a : 나사공
330 : 조임볼트 331 : 볼트헤드
332 : 볼트몸체 333 : 핀홈
340 : 볼트지지관
350 : 스냅링
400 : 손잡이
500 : 전선꽂이

Claims (6)

  1. 양단이 끊어진 링 형상으로 상기 양단이 근접할 경우 축경되고, 상기 양단이 이격될 경우 확경되며, 내부로 전선타래가 삽입되어 내주면이 상기 전선타래의 외주면을 접촉 압박하여 고정하는 캐리어몸체와,
    상기 전선타래의 좌우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캐리어몸체의 좌우측면에 각각 내경을 향해 돌출 형성된 측면리브와,
    상기 캐리어몸체의 양단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몸체의 양단을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체결부와,
    상기 캐리어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캐리어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타래로부터 풀려나온 전선이 삽입 고정되는 전선꽂이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리브는,
    복수가 구비되어 각각이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타래용 캐리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리어몸체의 양단 중 어느 일단 외주면에 설치된 주동체결부 및 타단 외주면에 설치된 종동체결부와,
    상기 주동체결부 및 종동체결부를 연결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볼트는,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주동체결부 및 종동체결부를 상호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타래용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체결부는,
    상기 조임볼트가 관통되는 주동삽입장공이 형성된 주동체결편과,
    상기 주동체결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삽입장공에 연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가 관통삽입되는 주동관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체결부는,
    상기 조임볼트가 관통되는 종동삽입장공이 형성된 종동체결편과,
    상기 종동체결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삽입장공에 연통되도록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종동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타래용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조임볼트의 볼트몸체에 삽입되고, 상기 조임볼트의 볼트헤드와 상기 주동관통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지지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타래용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볼트는,
    상기 볼트헤드로부터 상기 볼트지지관의 길이보다 긴 위치로 상기 볼트몸체의 외주면 상에 환형의 핀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주동체결편 및 종동체결편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조임볼트의 핀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조임볼트가 상기 주동체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주동체결편에 접촉 걸림되는 스냅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타래용 캐리어.
KR1020150124026A 2015-09-02 2015-09-02 전선타래용 캐리어 KR101708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26A KR101708122B1 (ko) 2015-09-02 2015-09-02 전선타래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26A KR101708122B1 (ko) 2015-09-02 2015-09-02 전선타래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122B1 true KR101708122B1 (ko) 2017-02-17

Family

ID=5826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026A KR101708122B1 (ko) 2015-09-02 2015-09-02 전선타래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569A (ko) 2020-04-03 2021-10-14 유병남 전선롤 운반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0790A (en) * 1991-07-23 1992-09-29 Forgette Sidney M Theft guard for cable reels
KR200345656Y1 (ko) * 2003-12-16 2004-03-24 정찬영 전선 권취용 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0790A (en) * 1991-07-23 1992-09-29 Forgette Sidney M Theft guard for cable reels
KR200345656Y1 (ko) * 2003-12-16 2004-03-24 정찬영 전선 권취용 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569A (ko) 2020-04-03 2021-10-14 유병남 전선롤 운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2697A (en) Rope termination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US8251212B2 (en) Small hand carried barrel-shaped case for the storage and dispensing of spools of electrical wire
US3626495A (en) Tangle free wire holder
JP5843697B2 (ja) 電線挟持体
JP2020515229A (ja) デュアルホイールワイヤー固定装置
KR101708122B1 (ko) 전선타래용 캐리어
CN105008095A (zh) 可折弯的保持装置
US2929161A (en) Identification and retaining member for cables and the like
US2987267A (en) Transfer tail anchoring device
US6176729B1 (en) Cord-to-cord restraining device
US4195401A (en) Conductor unwrapping bit
KR100602743B1 (ko) 케이블의 매설관 인입기구
GB2574056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electrical sleeving
KR101409471B1 (ko) 원주 측정기
US20240051721A1 (en) Cable tie
KR20200087058A (ko) 전선 가이드장치
CN216785298U (zh) 线束卷绕装置和线束处理系统
KR200477491Y1 (ko) 전선 풀림 장치
US3105654A (en) Coiled cable dispenser
JP4583342B2 (ja) 線状部材の着脱用先端工具及び線状部材の巻き付け方法
KR200395497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JP6529351B2 (ja) ケーブルの特定方法
JP2006115668A (ja) ケーブルのシースずれ止め装置及びケーブルのシースずれ止め方法
EP0184884A1 (en) A surplus cord holder
JPH03473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