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742B1 -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 및 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 및 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742B1
KR101407742B1 KR1020127017747A KR20127017747A KR101407742B1 KR 101407742 B1 KR101407742 B1 KR 101407742B1 KR 1020127017747 A KR1020127017747 A KR 1020127017747A KR 20127017747 A KR20127017747 A KR 20127017747A KR 101407742 B1 KR101407742 B1 KR 10140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ng
portions
detection
disposed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104A (ko
Inventor
게이이찌 야나이
겐지 마에따
세쯔 다꾸마
나오까 가와지리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88660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98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00912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8167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4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6Detachable covers for head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처에 형성한 오목부를 이용함으로써 검출부 사이의 피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하중 검지 장치의 공통화, 나아가서는 저비용화를 도모한다. 각 검출부가 각 검출부 배치 부위에 각각 배치되고, 1개 이상의 연결부가 연결부 배치 부위에 각각 배치되는 동시에, 홈부를 걸치는 제3 연결부가 상기 홈부 내에 배치되도록, 하중 검지 장치가 쿠션 부재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쿠션 부재에 형성된 홈부의 양측에 검출부가 배치되므로, 즉 홈부를 사이에 두고 검출부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홈부를 이용하여, 즉 제3 연결부를 홈부 내에 배치함으로써, 검출부 사이의 피치를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 및 시트 장치 {STRUCTURE FOR ATTACHING LOAD DETECTING DEVICE AND SHEET DEVICE}
본 발명은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 및 설치 방법 및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의 일형식으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의 도 2, 3, 4,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는, 착좌 센서(11)를 패드(3)의 표면에 배치하는 경우, 착좌 센서(11)(하중 검지 장치)의 감압부(11a)(검출부)를 홈부(5)의 후방측(도 2의 지면 우측)에 배치하고, 착좌 센서(11)의 접속부(11c)(연결부)를 경사부(10)(오목부)에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65396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에 따르면, 착좌 센서의 부분(접속부)(11c)을 경사부(10)에 배치함으로써, 착좌 센서의 접속부(11c)가 급각도로 절곡되는 상태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경사부(10)의 양측에 검출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 경사부(10)를 이용하여 검출부 사이의 피치를 조정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처에 형성한 오목부를 이용함으로써 검출부 사이의 피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하중 검지 장치의 공통화, 나아가서는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쿠션부의 쿠션 부재에, 하중을 검지하는 하중 검지 장치를 설치하는 설치 구조이며, 하중 검지 장치는 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와, 그들 검출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쿠션 부재는 각 검출부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검출부 배치 부위와, 1개 이상의 연결부가 각각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연결부 배치 부위와, 연결부 배치 부위 중 1개에만 형성된 오목부이며 양측에 검출부 배치 부위가 배치된 오목부를 갖고, 오목부는 쿠션부의 의장용 홈, 또는 쿠션부의 표피를 매달기 위한 매달기 홈이고, 상기 하중 검지 장치는,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둔 한쪽의 상기 검출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는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둔 다른 쪽의 상기 검출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는 다른 쪽의 검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1개만 형성된 상기 연결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다른 쪽의 검출부를 연결하는 단일의 상기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의 연결부가, 상기 쿠션 부재에 설치한 후의 상기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다른 쪽의 검출부의 피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쿠션 부재에 상기 하중 검지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삭제
또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일의 연결부를 오목부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했을 때에, 오목부를 사이에 두는 2개의 검출부의 피치가 규정값으로 되도록, 오목부의 내면을 따른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그 이면만이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부착되어 있다.
삭제
또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쿠션부의 쿠션 부재와, 쿠션 부재에 설치되어 하중을 검지하는 하중 검지 장치를 구비한 시트 장치이며, 하중 검지 장치는 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와, 그들 검출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쿠션 부재는 각 검출부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검출부 배치 부위와, 1개 이상의 연결부가 각각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연결부 배치 부위와, 연결부 배치 부위 중 1개에만 형성된 오목부이며 양측에 검출부 배치 부위가 배치된 오목부를 갖고, 오목부는 쿠션부의 의장용 홈, 또는 쿠션부의 표피를 매달기 위한 매달기 홈이고, 상기 하중 검지 장치는,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둔 한쪽의 상기 검출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는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둔 다른 쪽의 상기 검출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는 다른 쪽의 검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1개만 형성된 상기 연결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다른 쪽의 검출부를 연결하는 단일의 상기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의 연결부가, 상기 쿠션 부재에 설치한 후의 상기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다른 쪽의 검출부의 피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쿠션 부재에 상기 하중 검지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연결부는 그 이면만이 양면 테이프에 의해 오목부에 부착되어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하중 검지 장치는 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와, 그들 검출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쿠션 부재는 각 검출부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검출부 배치 부위와, 1개 이상의 연결부가 각각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연결부 배치 부위와, 연결부 배치 부위 중 1개에만 형성된 오목부이며 양측에 검출부 배치 부위가 배치된 오목부를 갖고 있다. 하중 검지 장치는, 오목부를 사이에 둔 한쪽의 검출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는 한쪽의 검출부와, 오목부를 사이에 둔 다른 쪽의 검출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는 다른 쪽의 검출부와, 오목부가 1개만 형성된 연결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고, 한쪽의 검출부와 다른 쪽의 검출부를 연결하는 단일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단일의 연결부가, 쿠션 부재에 설치한 후의 한쪽의 검출부와 다른 쪽의 검출부의 피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오목부 내에 배치되도록, 쿠션 부재에 상기 하중 검지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쿠션 부재에 형성된 오목부의 양측에 검출부가 배치되므로, 즉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검출부가 배치되므로, 오목부를 이용하여, 즉 단일의 연결부를 오목부 내에 배치함으로써, 검출부 사이의 피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사이즈(검출부 사이의 피치를 길게 한 것)의 하중 검지 장치를 1종류 준비하면, 검출부 사이의 피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시트 장치(쿠션 부재)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 검지 장치의 공통화, 나아가서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는 쿠션부의 의장용 홈, 또는 쿠션부의 표피를 매달기 위한 매달기 홈이다. 이에 의해, 이미 쿠션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홈을 오목부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검출부 사이 피치를 조정하는 전용의 오목부를 별도로 형성하는 일 없이, 즉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검출부 사이 피치를 조정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일의 연결부를 오목부의 내면을 따라서 형성했을 때에, 오목부를 사이에 두는 2개의 검출부의 피치가 규정값으로 되도록, 오목부의 내면을 따른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중 검지 장치를 쿠션 부재에 설치하면, 오목부를 사이에 두는 2개의 검출부의 피치는 규정값으로 되므로, 검지부를 정확하게 소정의 배치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그 이면만이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연결부가 양면 테이프의 접착에 의해 오목부에 확실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검출부의 감도를 확보하여, 착좌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를 갖는 시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연결부는 그 이면만이 양면 테이프에 의해 오목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연결부가 양면 테이프의 접착에 의해 오목부에 확실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검출부의 감도를 확보하여, 착좌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의 제1 실시 형태를 적용한 차량용 시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부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상면도이고, (b)는 2b-2b선을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c)는 2c-2c선을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시트의 쿠션부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4의 (a)는 하중 검지 장치의 상면도이고, (b)는 하중 검지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의 제2 실시 형태를 적용한 차량용 시트의 쿠션부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상면도이고, (b)는 쿠션부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고, (c)는 5c-5c선을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의 제3 실시 형태를 적용한 차량용 시트의 하중 검지 장치를 도시하는 상면도이고, (b)는 하중 검지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의 제4 실시 형태를 적용한 차량용 시트의 쿠션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1)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를 차량용 시트에 적용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그 차량용 시트(1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차량용 시트(10)의 쿠션부(11)(시트부)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상면도이고, 도 2의 (b)는 2b-2b선을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의 (c)는 2c-2c선을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쿠션 부재(13)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고, 도 4의 (a)는 하중 검지 장치(20)의 상면도이고, 도 4의 (b)는 하중 검지 장치(20)의 저면도이다.
차량용 시트(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부(11), 시트 백부(12) 및 하중 검지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쿠션부(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레탄 등으로 구성되는 쿠션 부재(13)와, 쿠션 부재(13)의 표면(상면)에 씌워진 천제(또는 비닐 레더나 피혁제 등)의 표피(14)를 구비하고 있다.
쿠션 부재(13)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도 2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쿠션 부재(13) 내이며 홈부(13a)의 하방에는 금속제의 선재로 홈부(13a)의 대략 전체 폭에 걸치는 고정 부재(13b)가 매설되어 있다. 고정 부재(13b)는 고정구(13c)를 통해 표피(14)를 고정한다. 홈부(13a)는 표피(14)를 매달기 위해 형성된 홈(매달기 홈)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 부재(13)는, 그 상면에, 각 검출부(30)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검출부 배치 부위(13d)와, 1개 이상의 연결부(40)가 각각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연결부 배치 부위(13e)를 갖고 있다.
검출부 배치 부위(13d)는 제1 검출부(31)가 배치되어야 할 부위인 제1 검출부 배치 부위(13d1)와, 제2 검출부(32)가 배치되어야 할 부위인 제2 검출부 배치 부위(13d2)와, 제3 검출부(33)가 배치되어야 할 부위인 제3 검출부 배치 부위(13d3)와, 제4 검출부(34)가 배치되어야 할 부위인 제4 검출부 배치 부위(13d4)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 배치 부위(13e)는 제1 연결부(41)가 배치되어야 할 부위인 제1 연결부 배치 부위(13e1)와, 제2 연결부(42)가 배치되어야 할 부위인 제2 연결부 배치 부위(13e2)와, 제3 연결부(43)가 배치되어야 할 부위인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3)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내지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1 내지 13e3) 중 적어도 1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3)]에 오목부인 홈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13a)의 양측[홈부(13a)를 사이에 둔 양측]에, 제1 검출부 배치 부위(13d1) 및(/또는) 제2 검출부 배치 부위(13d2)와, 제3 검출부 배치 부위(13d3) 및(/또는) 제4 검출부 배치 부위(13d4)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홈부(13a)의 양측이라 함은, 피치 사이를 조정하고 싶은 검출부(30)[예를 들어, 제1 검출부(31)와 제3 검출부(33)]의 피치 방향을 따른 양측의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홈부(13a)의 형상을 그대로 이용하여 오목부로 해도 좋지만, 홈부(13a)에 추가 가공하여 보다 폭이 넓은 오목부를 더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하중 검지 장치(20)는 쿠션 부재(13)와 표피(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중 검지 장치(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형상(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멤브레인 스위치(21)와 커넥터(22)를 구비하고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21)는 검출부(30), 연결부(40) 및 출력부(21a)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부(30)는 쿠션 부재(13)의 상면에 배치되어 쿠션 부재(13)에 가해지는 하중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다. 검출부(30)는 상면이 표피(14)의 하면에 접촉하여 내면 중앙에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필름과, 하면이 쿠션 부재(13)의 상면에 접촉하여 내면 중앙에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 및 하부 필름 사이에 외주연을 따라서 개재 장착되어 있는 이격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중 정보는 절대적인 하중값이 아니라, 소정 하중보다 작은 하중이 가해져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 즉 오프 상태(양 접점이 이격 상태)를 나타내는 한편, 큰 하중이 가해져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 즉 온 상태(양 접점이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부(30)는 복수(4개) 설치되어 있다. 검출부(30)는 제1 내지 제4 검출부(31 내지 34)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40)는 그들 검출부(31 내지 34)를 연결하는 것으로,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40)는 제1 검출부(31)와 제2 검출부(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 제3 검출부(33)와 제4 검출부(34)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2),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연결부(43)는 제1 검출부(31) 및/또는 제2 검출부(32)와, 제3 검출부(33) 및/또는 제4 검출부(34)를 연결하는 것이다. 제3 연결부(43)는 홈부(13a)(오목부) 내에 배치되는(부착되는) 부분(43a)을 갖고 있다.
출력부(21a)는 검출부(30)에서 검출된 하중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출력부(21a)에는 출력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22)는 출력부(21a)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21a)는 제2 연결부(42)에 접속된 접속부(21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멤브레인 스위치(21)의 이면에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23)(사선으로 나타냄)가 부착되어 있다. 양면 테이프(23)는 검출부(30)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지 않고, 주로 연결부(40)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부(40)가 양면 테이프(23)의 접착에 의해 홈부(13a)(오목부)에 확실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검출부(30)의 감도를 확보하여, 착좌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하중 검지 장치(20)는 쿠션 부재(13)의 상면의 소정 위치에 부착하여 고정된다. 즉, 제1 내지 제4 검출부(31 내지 34)는 제1 내지 제4 검출부 배치 부위(13d1 내지 13d4)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연결부(41 내지 43)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1 내지 13e3)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홈부(13a)(오목부)를 걸치는 제3 연결부(43)는 상기 홈부(13a) 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13a)에 있어서 제3 연결부(43)의 부분(43a)은 상기 홈부(13a)의 내면을 따라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홈부(13a)는 제3 연결부(43)를 홈부(13a)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했을 때에, 홈부(13a)를 사이에 두는 2개의 검출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검출부(31)와 제3 검출부(33)[또는 제4 검출부(34)], 제2 검출부(32)와 제4 검출부(34)[또는 제3 검출부(33)]}의 피치(설치 후)가 규정값 L로 되도록, 홈부(13a)의 내면을 따른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21)가 절곡되지 않고 평판 상태인 경우[도 4의 (a) 참조], 부분(43a)을 사이에 두는 2개의 검출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검출부(31)와 제3 검출부(33)[또는 제4 검출부(34)], 제2 검출부(32)와 제4 검출부(34)[또는 제3 검출부(33)]}의 피치(설치 전)는 길이 P이다. 이 길이 P는 규정값 L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규정값 L은 쿠션 부재(13)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하게 검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되도록 설정된 값이다.
다음에, 하중 검지 장치(20)를 쿠션 부재(13)에 설치하는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검출부(30) 중 어느 하나를, 그 검출부(30)에 대응하는 검출부 배치 부위(13d)에 위치 정렬한다. 그것을 기점으로 그 검출부(3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40)를 대응하는 연결부 배치 부위(13e)에 그 검출부(30)측으로부터 부착한다. 이때, 홈부(13a)를 형성한 연결부 배치 부위(13e)[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3)]에 연결부(40)[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연결부(43)]가 배치될 때에, 홈부(13a)를 걸치는 연결부(40)는 상기 홈부(13a) 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검출부(31)[또는 제2 검출부(32)]를 제1 검출부 배치 부위(13d1)[또는 제2 검출부 배치 부위(13d2)]에 위치 정렬한다. 그것을 기점으로 제1 검출부(3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부(41)를 제1 연결부 배치 부위(13e1)에 그 제1 검출부(31)측[또는 제2 검출부(32)측]으로부터 부착한다. 또한, 제3 연결부(43), 제2 연결부(42)의 순서대로, 대응하는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3), 제2 연결부 배치 부위(13e2)에 제1 검출부(31)측으로부터 부착한다.
이때, 홈부(13a)를 형성한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3)에 제3 연결부(43)를 부착할 때에, 홈부(13a)를 걸치는 제3 연결부(43) 중 부분(43a)은 상기 홈부(13a)의 내면을 따라서 부착된다.
부착되기 전의 검출부 사이 피치 P는, 부착 후의 검출부 사이 피치의 규정값 L보다 길다. 따라서, 검출부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검출부 사이의 연결부를 배치함으로써, 검출부 사이의 피치를 P보다 짧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피치 P보다 짧은 검출부 사이 피치의 규정값 L로 되도록 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는, 하중 검지 장치(20)는 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30)와, 그들 검출부(30)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연결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쿠션 부재(13)는 각 검출부(30)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검출부 배치 부위(13d)와, 1개 이상의 연결부(40)가 각각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연결부 배치 부위(13e)와, 연결부 배치 부위(13e)의 적어도 1개에 형성된 오목부이며 양측에 검출부 배치 부위(13d1, 13d3)가 배치된 홈부(13a)(오목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 검출부(30)가 각 검출부 배치 부위(13d)에 각각 배치되고, 1개 이상의 연결부(40)가 연결부 배치 부위(13e)에 각각 배치되는 동시에, 홈부(13a)를 걸치는 제3 연결부(43)가 상기 홈부(13a) 내에 배치되도록, 하중 검지 장치(20)가 쿠션 부재(13)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쿠션 부재(13)에 형성된 홈부(13a)의 양측에 검출부(31, 33)(또는 32, 34)가 배치되므로, 즉 홈부(13a)를 사이에 두고 검출부(31, 33)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홈부(13a)를 이용하여, 즉 제3 연결부(43)를 홈부(13a) 내에 배치함으로써, 검출부(31, 33) 사이의 피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사이즈(검출부 사이의 피치를 길게 한 것)의 하중 검지 장치(20)를 1종류 준비하면, 검출부 사이의 피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시트 장치(쿠션 부재)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 검지 장치(20)의 공통화, 나아가서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홈부(13a)(오목부)는 쿠션부(11)의 표피(14)를 매달기 위한 매달기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매달기 홈 이외에, 쿠션 부재(13)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다른 홈(오목부), 예를 들어 의장용 홈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쿠션 부재(13)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홈을 오목부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검출부 사이 피치를 조정하는 전용의 오목부를 별도로 설치하는 일 없이, 즉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검출부 사이 피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부(43)를 홈부(13a)(오목부)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했을 때에, 홈부(13a)(오목부)를 사이에 두는 2개의 검출부(31, 33)(또는 32, 34)의 피치가 규정값 L로 되도록, 홈부(13a)(오목부)의 내면을 따른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중 검지 장치(20)를 쿠션 부재(13)에 설치하면, 홈부(13a)(오목부)를 사이에 두는 2개의 검출부(31, 33)(또는 32, 34)의 피치는 규정값 L로 되므로, 검지부(40)를 정확하게 소정의 배치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를 갖는 쿠션 부재(13)[쿠션부(1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를 갖는 차량용 시트(10)(시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개 이상의 연결부(40)가 연결부 배치 부위(13e)에 각각 배치되는 공정에 있어서, 홈부(13a)(오목부)를 형성한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3)에 제3 연결부(43)가 배치될 때에, 홈부(13a)(오목부)를 걸치는 제3 연결부(43)가 상기 홈부(13a)(오목부)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쿠션 부재(13)에 형성된 홈부(13a)(오목부)의 양측에 검출부(31, 33)(또는 32, 34)가 배치되므로, 즉 홈부(13a)(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검출부(31, 33)(또는 32, 34)가 배치된다. 따라서, 홈부(13a)(오목부)를 이용하여, 즉 제3 연결부(43)를 홈부(13a)(오목부) 내에 배치함으로써, 검출부(31, 33)(또는 32, 34) 사이의 피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사이즈(검출부 사이의 피치를 길게 한 것)의 하중 검지 장치를 1종류 준비하면, 검출부 사이의 피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시트 장치(쿠션 부재)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 검지 장치의 공통화, 나아가서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홈부(13a)를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오목부」로서 사용(공용)하도록 하였지만,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13f)를 홈부(13a)와는 별도로 형성하여 그 오목부(13f)를 전용의 「오목부」로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쿠션 부재(13)의 상면에는, 상술한 제1 내지 제4 검출부 배치 부위(13d1 내지 13d4) 및 제1 내지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1 내지 13e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1 내지 13e3) 중 적어도 1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3)]에 오목부(1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3f)의 양측[오목부(13f)를 사이에 둔 양측]에, 제1 검출부 배치 부위(13d1) 및(/또는) 제2 검출부 배치 부위(13d2)와, 제3 검출부 배치 부위(13d3) 및(/또는) 제4 검출부 배치 부위(13d4)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오목부(13f)의 길이 방향(피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오목부에 배치되는 연결부(40)[제3 연결부(43)]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그 폭은 하중 검지 장치(20)의 부착 작업성, 착좌했을 때의 위화감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 이상으로 광폭으로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중 검지 장치(20)는 쿠션 부재(13)의 상면의 소정 위치에 부착하여 고정된다. 즉, 제1 내지 제4 검출부(31 내지 34)는 제1 내지 제4 검출부 배치 부위(13d1 내지 13d4)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연결부(41 내지 43)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 배치 부위(13e1 내지 13e3)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13f)를 걸치는 제3 연결부(43)는 상기 오목부(13f) 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3f)에 있어서 제3 연결부(43)의 부분(43a)은 상기 오목부(13f)의 내면을 따라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3f)는 제3 연결부(43)를 오목부(13f)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했을 때에, 오목부(13f)를 사이에 두는 2개의 검출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검출부(31)와 제3 검출부(33)[또는 제4 검출부(34)], 제2 검출부(32)와 제4 검출부(34)[또는 제3 검출부(33)]}의 피치(설치 후)가 규정값 L로 되도록, 오목부(13f)의 내면을 따른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용의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로서 이용할 수 있는 기설의 홈이 없는 경우라도, 쿠션 부재(13)에 형성된 오목부(13f)의 양측에 검출부(31, 33)(또는 32, 34)가 배치되므로, 즉 오목부(13f)를 사이에 두고 검출부(31, 33)가 배치된다. 따라서, 쿠션 부재(13)에 오목부(13f)를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하고, 오목부(13f)를 이용하여, 즉 제3 연결부(43)를 홈부(13a) 내에 배치함으로써, 검출부(31, 33) 사이의 피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사이즈(검출부 사이의 피치를 길게 한 것)의 하중 검지 장치(20)를 1종류 준비하면, 검출부 사이의 피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시트 장치(쿠션 부재)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 검지 장치(20)의 공통화, 나아가서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3) 제3 실시 형태
이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하중 검지 장치(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T」의 종선의 도중에 「T」의 횡선과 동일한 횡선을 1개 이상 평행하게 설치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제3 실시 형태는, 하중 검지 장치(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하중 검지 장치(120)는 필름 형상(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멤브레인 스위치(121)와 커넥터(122)를 구비하고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121)는 검출부(130), 연결부(140) 및 출력부(121a)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부(130)는 상술한 검출부(3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부(130)는 복수(4개) 설치되어 있다. 검출부(130)는 제1 내지 제4 검출부(131 내지 134)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140)는 상술한 연결부(4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140)는 제1 검출부(131)와 제2 검출부(1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141), 제2 검출부(132)와 제3 검출부(133)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142), 제3 검출부(133)와 제4 검출부(134)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143)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142)는 홈부(13a)(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부분(부착되는 부분)(142a)을 갖고 있다.
출력부(121a)는 상술한 출력부(21a)와 마찬가지로, 검출부(30)에서 검출된 하중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커넥터(122)는 출력부(121a)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121a)는 제4 검출부(134)에 접속된 접속부(121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멤브레인 스위치(121)의 이면에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123)(사선으로 나타냄)가 부착되어 있다. 양면 테이프(123)는 검출부(130)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지 않고, 주로 연결부(140)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다.
하중 검지 장치(20)는 쿠션 부재(13)의 상면의 소정 위치에 부착하여 고정된다. 즉, 제1 내지 제4 검출부(131 내지 134)는 쿠션 부재(13)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검출부 배치 부위(도시 생략)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연결부(141 내지 143)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 배치 부위(도시 생략)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홈부(13a)(오목부)를 걸치는 제2 연결부(142)는 상기 홈부(13a) 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홈부(13a)에 있어서 제2 연결부(142)의 부분(142a)은 상기 홈부(13a)의 내면을 따라서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홈부(13a)는 제2 연결부(142)를 홈부(13a)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했을 때에, 홈부(13a)를 사이에 두는 2개의 검출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검출부(132)와 제3 검출부(133)]의 피치(설치 후)가 규정값 L로 되도록, 홈부(13a)의 내면을 따른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21)가 절곡되지 않고 평판 상태인 경우[도 6의 (a) 참조], 부분(142a)을 사이에 두는 2개의 검출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검출부(132)와 제3 검출부(133)]의 피치(설치 전)는 길이 P이다. 이 길이 P는 규정값 L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4) 제4 실시 형태
이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는 연결부 배치 부위(13e)의 적어도 1개에 형성된 오목부이며 양측에 검출부 배치 부위(13d)가 배치된 오목부를, 관통 구멍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의 오목부(13f) 대신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 부재(13)에 상하 방향(도 7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3g)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의해, 먼저 검출부(30)를 배치 부위(13d)에 설치하고, 그 후 관통 구멍(13g)에 연결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연결부(43)]의 남은 부분을 배치(수납)시킴으로써, 연결부의 남은 부분이 쿠션 부재(13)의 표면으로부터 뜨지 않고 검지부(30)를 소정의 배치 부위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의 형상을 규정하지 않아도 되므로(오목부의 가공 정밀도를 비교적 낮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단순한 구조이고 또한 저비용으로 검지부(30)를 정확하게 소정의 배치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부(30, 130)는 쿠션 부재(13)의 상면이 아니라, 하면에 설치하는 동시에, 오목부(13a, 13f)도 하면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검출부(30)는 하중 정보로서 절대 하중을 검출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하중 검지 장치(20)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멤브레인 스위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검출부가 압전 소자로 구성되고, 그 검출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것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처에 형성한 오목부를 이용함으로써 검출부 사이의 피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하중 검지 장치의 공통화, 나아가서는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데 적합하다.
10 : 차량용 시트
11 : 쿠션부
12 : 시트 백부
13 : 쿠션 부재
13a : 홈부(오목부)
13b : 고정 부재
13c : 고정구
13d : 검출부 배치 부위
13e : 연결부 배치 부위
13f : 오목부
13g : 관통 구멍
14 : 표피
20 : 하중 검지 장치
21, 121 : 멤브레인 스위치
21a, 121a : 출력부
22, 122 : 커넥터
30 : 검출부
31 내지 34 : 제1 내지 제4 검출부
40 : 연결부
41 내지 43 : 제1 내지 제3 연결부

Claims (7)

  1. 차량용 시트의 쿠션부의 쿠션 부재에, 하중을 검지하는 하중 검지 장치를 설치하는 설치 구조이며,
    상기 하중 검지 장치는 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와, 그들 검출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 부재는 상기 각 검출부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검출부 배치 부위와, 상기 1개 이상의 연결부가 각각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연결부 배치 부위와, 상기 연결부 배치 부위 중 1개에만 형성된 오목부이며 양측에 상기 검출부 배치 부위가 배치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쿠션부의 의장용 홈, 또는 상기 쿠션부의 표피를 매달기 위한 매달기 홈이고,
    상기 하중 검지 장치는,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둔 한쪽의 상기 검출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는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둔 다른 쪽의 상기 검출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는 다른 쪽의 검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1개만 형성된 상기 연결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다른 쪽의 검출부를 연결하는 단일의 상기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의 연결부가, 상기 쿠션 부재에 설치한 후의 상기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다른 쪽의 검출부의 피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쿠션 부재에 상기 하중 검지 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연결부를 상기 오목부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했을 때에,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상기 검출부의 피치가 규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오목부의 내면을 따른 길이가 설정되어 있는,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그 이면만이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부착되어 있는,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
  4. 차량용 시트의 쿠션부의 쿠션 부재와,
    상기 쿠션 부재에 설치되어 하중을 검지하는 하중 검지 장치를 구비한 시트 장치이며,
    상기 하중 검지 장치는 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와, 그들 검출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 부재는 상기 각 검출부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검출부 배치 부위와, 상기 1개 이상의 연결부가 각각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연결부 배치 부위와, 상기 연결부 배치 부위 중 1개에만 형성된 오목부이며 양측에 상기 검출부 배치 부위가 배치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쿠션부의 의장용 홈, 또는 상기 쿠션부의 표피를 매달기 위한 매달기 홈이고,
    상기 하중 검지 장치는,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둔 한쪽의 상기 검출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는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둔 다른 쪽의 상기 검출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는 다른 쪽의 검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1개만 형성된 상기 연결부 배치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다른 쪽의 검출부를 연결하는 단일의 상기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의 연결부가, 상기 쿠션 부재에 설치한 후의 상기 한쪽의 검출부와 상기 다른 쪽의 검출부의 피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쿠션 부재에 상기 하중 검지 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시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그 이면만이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부착되어 있는, 시트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27017747A 2009-12-21 2010-12-14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 및 시트 장치 KR101407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88660 2009-12-21
JP2009288660A JP5509836B2 (ja) 2009-12-21 2009-12-21 荷重検知装置の取付構造、その荷重検知装置を備えたクッション部材およびシート装置
JP2010100912A JP5488167B2 (ja) 2010-04-26 2010-04-26 荷重検知装置の取付構造
JPJP-P-2010-100912 2010-04-26
PCT/JP2010/072470 WO2011078012A1 (ja) 2009-12-21 2010-12-14 荷重検知装置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ならびにシー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104A KR20120094104A (ko) 2012-08-23
KR101407742B1 true KR101407742B1 (ko) 2014-06-16

Family

ID=441955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184A KR101374089B1 (ko) 2009-12-21 2010-12-14 하중 검지장치의 설치구조
KR1020127017747A KR101407742B1 (ko) 2009-12-21 2010-12-14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 및 시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184A KR101374089B1 (ko) 2009-12-21 2010-12-14 하중 검지장치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2517926B1 (ko)
KR (2) KR101374089B1 (ko)
CN (2) CN102666194B (ko)
BR (2) BR112012018816B1 (ko)
WO (2) WO20110780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8594B2 (ja) * 2011-04-28 2015-02-1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EP2921081B1 (en) 2012-11-16 2019-05-22 TS Tech Co., Ltd. Vehicle seat
JP6024528B2 (ja) 2013-03-08 2016-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乗員着座検知用荷重検出装置の取付け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396A (ja) 2000-08-31 2002-03-05 Daihatsu Motor Co Ltd 車両の着座センサー配置構造
JP2003291708A (ja) * 2002-04-04 2003-10-15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05233845A (ja) 2004-02-20 2005-09-02 Denso Corp フィルムセンサおよびセンサセルの配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249A (ja) * 1994-06-07 1995-12-19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吊込み構造
FR2815901B1 (fr) * 2000-10-31 2003-08-08 Faurecia Sieges Automobile Element rembourre pour vehicu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4356243B2 (ja) * 2001-01-12 2009-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乗員着座センサの取付け構造
JP2003212019A (ja) * 2002-01-22 2003-07-30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4430381B2 (ja) * 2003-11-20 2010-03-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検知装置
FR2870488B1 (fr) * 2004-05-21 2006-08-25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composant souple fixe sur une matelassure du siege, sous la coiffe de garnissage
FR2870798B1 (fr) * 2004-05-27 2006-11-03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mportant une nappe souple adaptee sur une matelassure du siege, sous la coiffe de garnissage
EP1712403A1 (en) * 2005-04-12 2006-10-18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 ENGINEERING S.A. Method for fitting a seat sensor into a seat cushion
CN101556197A (zh) * 2009-04-16 2009-10-14 舒少龙 用于确定车辆座椅占用状况的传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396A (ja) 2000-08-31 2002-03-05 Daihatsu Motor Co Ltd 車両の着座センサー配置構造
JP2003291708A (ja) * 2002-04-04 2003-10-15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05233845A (ja) 2004-02-20 2005-09-02 Denso Corp フィルムセンサおよびセンサセルの配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8012A1 (ja) 2011-06-30
BR112012018816B1 (pt) 2021-07-27
WO2011078013A1 (ja) 2011-06-30
KR20120094063A (ko) 2012-08-23
EP2517927B1 (en) 2017-03-08
CN102652074A (zh) 2012-08-29
BR112012018816A2 (pt) 2021-02-17
BR112012015132A2 (pt) 2016-06-21
EP2517927A1 (en) 2012-10-31
CN102666194B (zh) 2015-03-18
EP2517926B1 (en) 2021-01-20
BR112012015132B1 (pt) 2019-07-09
KR20120094104A (ko) 2012-08-23
EP2517927A4 (en) 2015-02-25
KR101374089B1 (ko) 2014-03-13
CN102652074B (zh) 2015-02-18
CN102666194A (zh) 2012-09-12
EP2517926A1 (en) 2012-10-31
EP2517926A4 (en)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02076A1 (ja) 乗物用シート
WO2015037586A1 (ja) 座席装置
JP4221041B2 (ja) 荷重検出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WO2013080369A1 (ja) 荷重検知装置
JP2008134225A (ja) 車両のシート用乗員荷重検出装置
KR101407742B1 (ko) 하중 검지 장치의 설치 구조 및 시트 장치
JP2008134226A (ja) 車両のシート用乗員荷重センサのノイズシールド構造
CN110871715A (zh) 就座传感器
AU2003250104A1 (en) Capacitive pressure sensor
JP5488167B2 (ja) 荷重検知装置の取付構造
JP5992291B2 (ja) 生体情報検出装置
US6559392B1 (en) Weight-sensing support assembly for automotive seat cushion frame
JP6024528B2 (ja) 乗員着座検知用荷重検出装置の取付け構造
US20150061347A1 (en) Vehicle seat
JP5003430B2 (ja) 車両用シート荷重検出装置
JP5890161B2 (ja) 座席装置
EP3238983B1 (en) Seating detection device
WO1998014096A1 (en) Human body sensor for seat
JP5509836B2 (ja) 荷重検知装置の取付構造、その荷重検知装置を備えたクッション部材およびシート装置
JP2017081504A (ja) 車両用シート
JP2014222195A (ja) 体重検知センサ及び車両用シート装置
JP4281536B2 (ja) 荷重センサおよび荷重センサの配設治具
JP6011190B2 (ja) 着座センサの配置構造
EP0955203B1 (en) Load sensing mounting for a vehicle seat
JP2005049274A (ja) シート上荷重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