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424B1 - 시트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424B1
KR101406424B1 KR1020080064467A KR20080064467A KR101406424B1 KR 101406424 B1 KR101406424 B1 KR 101406424B1 KR 1020080064467 A KR1020080064467 A KR 1020080064467A KR 20080064467 A KR20080064467 A KR 20080064467A KR 101406424 B1 KR101406424 B1 KR 101406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eat
side cover
seat side
pump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350A (ko
Inventor
정택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4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28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preventing unauthorised access to the controlling member or its movement to a comman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사이드 커버의 외측에 설치된 레버를 작동시켜 시트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시트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시트 사이드 커버의 측면에 밀착되어 형성되고, 레버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레버는 시트 사이드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레버의 미작동시에는 레버를 시트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승하차시 운전자와의 접촉으로 인해 레버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레버, 시트, 펌핑 수단, 시트 사이드 커버, 자동차

Description

시트 조절 장치{SEAT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시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의 돌출로 인해 운전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시트의 높낮이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의 시트에는 운전자의 체격이나 운전 습관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시트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 조절 장치는 차량의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에 필요한 최적의 신체조건으로 승차감을 향상시켜 안전 운행에 기여하고 있다.
종래 시트 조절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조절 장치의 레버(20)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시켜 시트부(1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트 조절 장치는 레버(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시트부(10)와 간섭되어 스크래치 발생 및 표피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부(10)로부터 소정 거리(d)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하차시 시트부(10)와 레버(20) 사이에 운전자의 옷이 끼어 옷이 찢어지거나 시트부(10)의 부품 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SUV 및 RV 차종과 같이 차체가 높게 설계된 경우에는 운전자가 하차시 운전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가 레버(20)를 눌러 운전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레버가 하강되어 시트의 높낮이가 변경되고, 이로 인해 승차시 시트부(10)의 높낮이를 빈번하게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버가 시트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운전자와의 접촉으로 인해 레버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 사이드 커버의 외측에 설치된 레버를 작동시켜 시트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시트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시트 사이드 커버의 측면에 밀착되어 형성되고, 레버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레버는 시트 사이드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는 시트 사이드 커버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시트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배치된 레버의 외측에는 레버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시트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배치된 레버의 외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할수록 시트 사이드 커버를 향해 기울어진 반구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레버의 미작동시에는 레버를 시트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승하차시 운전자와의 접촉으로 인해 레버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를 작동시 레버를 시트부에서 멀어지도록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레버의 동작시 주변 부품과의 간섭으로 인해 주변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가 시트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가 상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C-C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가 하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D-D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100)는 시트부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시트 사이드 커버(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트 조절 장치(100)는 레버의 작동으로 인해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시트 조절 장치(100)의 레버를 당겨 레버를 상승시키면 시트의 높이는 상승되고, 레버를 아래로 밀면 시트의 높이는 하강된다.
여기서, 레버의 미작동시 시트 조절 장치(100)의 레버는 시트 사이드 커버(200)와 밀착되어 있으며, 레버를 당기거나 미는 경우 레버는 시트 사이드 커버(20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레버는 시트 사이드 커버(200)와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의 미작동 시에는 레버가 시트 사이드 커버(200)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승하차시 레버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레버의 작동시에는 레버가 시트 사이드 커버(200) 및 시트 쿠션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갭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사이드 커버(200) 및 시트 쿠션와의 간섭으로 인한 시트부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트 조절 장치(100)의 레버(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300)의 내측에 마련된 펌핑 수단(120)과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110)는 시트 사이드 커버(200)의 관통 구멍을 통해 시트 사이드 커버(2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시트 사이드 커버(200)의 외측에 연장 형성된 레버(110)는 시트 사이드 커버(200)와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프레임(300)과 시트 사이드 커버(200) 사이에는 브라켓(130)이 마련되며, 이러한 브라켓(130)은 시트 사이더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된 레버(11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브라켓(130)은 시트 프레임(300)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시트 사이드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된 레버(110)의 외측에는 레버(110)의 표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라켓(130)에 는 레버(110)에 형성된 돌출부(11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부(112)가 수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는 홀(132)이 형성된다. 여기서, 홀(132)은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할수록 시트 사이드 커버(200)를 향해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예컨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레버(110)가 미작동시에는 돌출부(112)는 브라켓(130)에 형성된 홀(132)의 중심에 위치되며, 레버(110)가 작동되면 돌출부(112)는 홀(132)의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됨으로써, 레버(110)가 시트 사이드 커버(200)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300)의 내측에 마련된 펌핑 수단(120)에는 펌핑 수단(120)을 작동시키기 위한 펌핑 수단 작동 리브(122)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펌핑 수단 작동 리브(122)는 펌핑 수단(1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레버 작동 리브(114) 및 레버(110)와 연결되어 있다.
레버 작동 리브(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 수단 작동 리브(122)와 맞물려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레버(110)를 동작시키면 레버 작동 리브(114)는 펌핑 수단 작동 리브(112)를 작동시켜 펌핑 수단(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10)를 당겨 레버(100)를 상승시키면 브라켓(130)에 형성된 홀(132)에 삽입된 돌기부(112)는 브라켓(130)에 형성된 홀(132)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고, 레버(110)는 시트 사이드 커버(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레버(110)와 시트 사이드 커버(200)는 소정 간격 이격되고, 레버(110)는 시트 사이드 커버(200)와 간섭없이 작동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10)가 이동되면 레버(110)에 연결된 레버 작동 리브(114)는 레버 작동 리브(114)에 맞물린 펌핑 수단 작동 리브(122)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펌핑 수단 작동 리브(122)에 연결된 펌핑 수단(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펌핑 수단(120)에 의해 시트 프레임(300)의 높이를 상승시켜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10)를 아래로 밀어 레버(110)를 하강시키면 브라켓(130)에 형성된 홀(132)에 삽입된 돌기부(112)는 브라켓(130)에 형성된 홀(13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고, 레버(110)는 시트 사이드 커버(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레버(110)와 시트 사이드 커버(200)는 소정 간격 이격되고, 레버(110)는 시트 사이드 커버(200)와 간섭없이 작동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10)가 이동되면 레버 작동 리브(114)는 펌핑 수단 작동 리브(122)를 하부로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펌핑 수단 작동 리브(122)에 연결된 펌핑 수단(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펌핑 수단(120)에 의해 시트 프레임(300)의 높이를 하강시켜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는 레버의 미작동시에는 레버를 시트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승하차시 운전자와의 접촉으로 인해 레버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를 작동시 레버를 시트부에서 멀어지도록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레버의 동작시 주변 부품과의 간섭으로 인해 주변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시트 조절 장치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가 시트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가 상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C-C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가 하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D-D 단면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레버 112: 돌출부
114: 레버 작동 리브 120: 펌핑 수단
122: 펌핑 수단 리브 130: 브라켓
132: 홀 200: 시트 사이드 커버

Claims (4)

  1. 시트 사이드 커버의 외측에 설치된 레버를 작동시켜 시트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시트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시트 사이드 커버의 측면에 밀착되어 형성되고, 레버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레버는 시트 사이드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는 시트 사이드 커버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시트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배치된 레버의 외측에는 레버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시트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이 마련되며,
    상기 시트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배치된 레버의 외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는 홀이 형성되는 시트 조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은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할수록 시트 사이드 커버를 향해 기울어진 반구 형상인 시트 조절 장치.
KR1020080064467A 2008-07-03 2008-07-03 시트 조절 장치 KR101406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67A KR101406424B1 (ko) 2008-07-03 2008-07-03 시트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67A KR101406424B1 (ko) 2008-07-03 2008-07-03 시트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50A KR20100004350A (ko) 2010-01-13
KR101406424B1 true KR101406424B1 (ko) 2014-06-16

Family

ID=4181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467A KR101406424B1 (ko) 2008-07-03 2008-07-03 시트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4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377A (ja) * 2001-06-11 2002-12-17 T S Tec Kk 操作レバー
KR200380992Y1 (ko) * 2005-01-24 2005-04-08 (주)티에프에스 운전석 시트 높낮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377A (ja) * 2001-06-11 2002-12-17 T S Tec Kk 操作レバー
KR200380992Y1 (ko) * 2005-01-24 2005-04-08 (주)티에프에스 운전석 시트 높낮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50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130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304673B1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유동 및 소음방지용 지지봉가이드
US8936270B2 (en) Disposition structure for curtain airbag system
CN105818780A (zh) 安全带装置用固定器
JP5895708B2 (ja) ピラートリム構造
JP5050690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406424B1 (ko) 시트 조절 장치
JP3146520U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部品
JP2007131083A (ja) 車両用ドア
JP2007106233A (ja) アームレスト構造
CN101045440B (zh) 遮蔽膜、门及遮蔽膜的安装方法
JP3840350B2 (ja) 車輌用開口部の遮蔽装置
KR101628622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JP6233108B2 (ja) 車両用ドア緩衝構造
JP2003312254A (ja) 自動車のドアガラス昇降装置
KR20180034965A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라스용 캐리어장치
KR100387792B1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지지구조
JP2007167110A (ja) 車両用シート
JP3591471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101666534B1 (ko) 자동차 센터 필러 어퍼에 구비되는 가니쉬와 놉 간의 마찰소음 방지장치
KR100520202B1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가이드
JP2012001208A (ja) 自動車用安全ベルト装置
JP2016107681A (ja) 車両吸出し音の低減装置
JP381065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装置
KR101240723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마찰감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