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622B1 -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622B1
KR101628622B1 KR1020150070343A KR20150070343A KR101628622B1 KR 101628622 B1 KR101628622 B1 KR 101628622B1 KR 1020150070343 A KR1020150070343 A KR 1020150070343A KR 20150070343 A KR20150070343 A KR 20150070343A KR 101628622 B1 KR101628622 B1 KR 10162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wire
pulley
load sensing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진
박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5007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817
    • B60N2/482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G01G19/1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B60N2002/4894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레스트(30)를 풀리(70)와 와이어(81,82)를 이용하여 승강시킴으로써 작동 소음이 감소하고, 힘의 이득이 발생하여 모터(100)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객을 하중감지센서가 감지하고, 감지정보에 따라 전자제어유니트가 모터(100)를 구동하여 헤드레스트(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headrest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및 모터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에는 시트백의 상단에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어 승객이 머리를 기댐으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는 추돌 사고시 관성에 의해 승객의 머리가 뒤로 젖혀질 때 이를 지지해줌으로써 승객의 목 부상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머리의 높이가 다르므로 헤드레스트는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은 주로 수동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근래 들어 고급 차종에서는 모터와 모터 콘트롤 스위치를 구비하여 승객이 모터 콘트롤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모터 구동력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는 모터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3)의 내부에 모터(5)가 설치되고, 모터(5)의 회전축에 스크류바(6)가 연결되어 있으며, 스크류바(6)에 승하강너트(7)가 체결되고, 승하강너트(7)는 고정구(7a)를 매개로 헤드레스트(1)에 연결된 가이드바(2)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5)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승하강너트(7)가 스크류바(6)에서 상승 및 하강토록 함으로써 승하강너트(7)에 고정구(7a)와 가이드바(2)를 매개로 연동되는 헤드레스트(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모터(5)의 작동은 제어수단(8)에 연결된 스위치를 승객이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7096호(2006.10.13.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는 스크류바(6)와 승하강너트(7)의 작동시 래틀노이즈가 발생하여 정숙성이 저하되고, 스크류바(6)를 회전시켜 승하강너트(7)를 승강시키는데 힘이 많이 필요하여 모터(5)의 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 구동력을 이용하는 것이기는 하나 여전히 승객이 모터 콘트롤 스위치를 조작하여야만 하므로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하여 정숙성이 향상되고, 헤드레스트 승강에 필요한 힘이 감소하여 모터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한편, 승객이 모터 콘트롤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 없이 전자동으로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스테이에 설치된 스테이홀더와, 상기 스테이홀더에 설치된 풀리와, 상기 풀리에 감겨진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풀리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헤드레스트를 승강시키는 모터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양측 스테이 하단에 결합되는 스테이홀더와, 스테이홀더에 설치된 풀리와, 시트백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착되고 전면 상부와 하단에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형성된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하방으로 관통하여 풀리에 감겨진후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된 제1와이어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방으로 관통하여 풀리에 감겨진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플레이트에 고정된 제2와이어와,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하는 모터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홀더에 하나의 풀리가 설치되고, 그 풀리의 외주면에 제1와이어홈과 제2와이어홈이 형성되며, 제1와이어홈에 상기 제1와이어가 감겨지고, 제2와이어홈에 상기 제2와이어가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스테이홀더에 제1풀리와 제2풀리가 설치되고, 제1풀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와이어홈에 제1와이어가 감겨지고, 제2풀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와이어홈에 제2와이어가 감겨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양측변은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홀더의 배면에 가이드브라켓의 양측변을 감싸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이홀더의 양측부에 원통형의 스테이고정부가 형성되고, 스테이고정부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탄성편이 형성되며, 탄성편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고정부로 삽입되는 스테이의 하단 측면에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와, 승객 착석시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하중을 감지하여 하중감지신호를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하는 하중감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중감지수단은 시트의 쿠션에 설치되며, 전자제어유니트는 하중감지센서로부터 하중감지신호가 발생되면 헤드레스트 사용모드로 판단하여 헤드레스트를 사용상태에 해당되는 설정높이로 상승시키고, 하중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비사용모드로 판단하여 헤드레스트를 비사용상태에 해당되는 설정높이로 하강시키도록 상기 모터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와, 승객 착석시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하중을 감지하여 하중감지신호를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하는 하중감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중감지수단은 시트의 시트백에 설치되되 다수의 하중감지센서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는 각각의 하중감지센서마다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가장 강한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하중감지센서에 해당되는 설정높이로 헤드레스트가 이동하도록 상기 모터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구동력을 와이어와 풀리를 매개로 헤드레스트에 전달함으로써 작동시 래틀노이즈와 같은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동시 정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풀리(움직 도르래 ; movable pulley) 작용에 의해 힘의 이득이 발생하므로 헤드레스트 승강에 필요한 힘의 크기가 감소됨으로써 보다 작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를 이용하므로 모터 위치 설정이 자유로워지며, 이에 따라 시트백 내부 공간의 레이아웃 자유도 및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정밀한 나선을 가공해야만 하는 스크류바와 승하강너트에 비해 풀리와 와이어의 부품 비용이 저렴하여 장치 구성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제1실시예의 풀리 설치 상태도.
도 4는 스테이와 스테이홀더의 결합부 단면도.
도 5는 와이어홀더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의 풀리 설치 상태도.
도 8은 승객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하중감지수단 및 전자제어유니트의 설치 상태도.
도 9는 승객의 착석 여부 및 신장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수단 및 전자제어유니트의 설치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의 구성도이다.
시트백의 내부 골격을 형성하는 시트백프레임(10)의 상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파이프(20)가 설치된다.
승객의 머리를 지지해주는 헤드레스트(30)의 하단에는 한 쌍의 원형 바(bar)인 스테이(40)가 구비된다.
스테이(40)는 가이드파이프(20)의 상방에서 삽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다.
양측 스테이(40)의 하단에는 스테이홀더(50)가 장착되어 양측 스테이(40)를 연결한다.
시트백프레임(10)의 상단 중앙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재인 가이드브라켓(60)이 장착된다. 가이드브라켓(60)은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스테이홀더(50)와 결합되어 스테이홀더(50)의 상하 방향 이동시 그 경로를 안내한다.
스테이홀더(50) 및 스테이(40)의 상하 방향 이동시 경로 안내는 상기 가이드파이프(20)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스테이홀더(50)에는 하나의 풀리(70)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홀더(50)는 풀리설치홀(51)(풀리설치홀(51)의 전후방향(도면의 상하방향) 폭은 그 내부에 설치되는 풀리(70)의 두께에 따라 증감 형성될 수 있다.)이 형성된 바디(52)와, 바디(52)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스테이(40)의 하단이 끼워지는 원통형의 스테이고정부(53)와, 바디(52)의 배면에 돌출 절곡 형성되어 가이드브라켓(60)의 양단을 잡아 줄 수 있도록 된 가이드돌기(54)를 포함한다.
풀리설치홀(51)의 내부에 풀리(70)가 고정축(70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풀리(70)의 외주면에는 제1와이어홈(70a)과 제2와이어홈(70b)이 형성된다.
양측 스테이고정부(53)의 내부로 양측 스테이(40)의 하단이 삽입되어 스테이(40)의 하단에 스테이홀더(50)가 설치된다.
도 4와 같이 스테이고정부(53)에는 원통형상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탄성편(53a)이 형성되고, 탄성편(53a)의 내측 단부에는 걸림돌기(53b)가 돌출 형성된다. 스테이(40)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53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걸림홈(4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테이고정부(53)의 내부로 스테이(40)의 하단을 삽입하였을 때 상기 걸림돌기(53b)가 걸림홈(40a)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스테이(40)와 스테이홀더(50)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킨다.
시트백프레임(10)의 일측 사이드부에는 모터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
모터어셈블리(100)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휠을 구비하고, 상기 휠에 와이어가 감겨지며, 와이어의 양단이 각각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일측 와이어가 인출되면 타측 와이어가 인입되고, 타측 와이어가 인출되면 일측 와이어가 인입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모터어셈블리(100) 설치 상태에서 상방으로 인출되는 와이어를 제1와이어(81), 하방으로 인출되는 와이어를 제2와이어(82)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60)의 상부 일측과 하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상부플레이트(61)와 하부플레이트(6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와이어(81)는 상부플레이트(61)를 하방으로 관통하여 풀리(70)의 제1와이어홈(70a)에 감겨진 뒤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플레이트(61)에 고정된다.
상기 제2와이어(82)는 하부플레이트(62)를 상방으로 관통하여 풀리(70)의 제2와이어홈(70b)에 감겨진 뒤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플레이트(62)에 고정된다.
제1와이어(81)의 모터어셈블리(100)측 인출구로부터 상부플레이트(61)의 사이와 제2와이어(82)의 모터어셈블리(100)측 인출구로부터 하부플레이트(62)의 사이에는 각각 와이어커버(83)가 구비되어, 제1와이어(81)와 제2와이어(82)를 보호하고 그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상부플레이트(61)와 하부플레이트(62)에서 와이어가 고정되거나 관통하는 부분에는 와이어홀더(90)가 설치되어 와이어를 잡아줌으로써 와이어 작동시 와이어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준다.
와이어홀더(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신장 블록의 상부 일측에 수평으로 가이드링(91)이 형성된 것으로, 가이드링(91)의 후방 일측은 개구되어 있어 와이어를 가이드링(91)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설치 상태에서 가이드링(91)이 와이어의 횡방향 유동을 잡아줌으로써 와이어의 작동 및 이를 매개로 한 풀리(7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가이드링(91)이 직각으로 절곡된 사각링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와이어를 수용하여 횡방향 유동을 억제해 줄 수 있으면 되고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모터어셈블리(100)가 정회전하면 제1와이어(81)는 모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감겨지고 제2와이어(82)는 모터어셈블리(100)의 외부로 풀린다. 따라서, 제1와이어(81)의 당김 작용에 의해 풀리(7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와이어(82)는 이와 같은 이동을 허용한다.
풀리(70)가 상향 이동함으로써 풀리(70)가 장착된 스테이홀더(50)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스테이홀더(50)에 하단이 연결된 양측 스테이(40)가 상승함으로써 헤드레스트(30)의 높이가 증가된다.
반대로 모터어셈블리(100)가 역회전하면 제1와이어(81)는 풀리고 제2와이어(82)가 감겨진다. 따라서, 제2와이어(82)의 당김 작용에 의해 풀리(70)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와이어(81)는 이와 같은 이동을 허용한다.
풀리(70)가 하향 이동함으로써 스테이홀더(50)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스테이홀더(50)와 함께 양측 스테이(40)가 하강함으로써 헤드레스트(30)의 높이가 감소된다.
상기와 같이 모터어셈블리(100)의 회전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제1와이어(81)와 제2와이어(82)로 풀리(7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헤드레스트(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테이홀더(50)가 승하강 할 때 스테이홀더(50)의 가이드돌기(54)가 가이드브라켓(60)의 양측 단부를 감싸고 있으므로 스테이홀더(50)의 상하 이동 경로는 가이드브라켓(60)의 양변을 따라 직선으로 안내되어 그 상하 이동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모터어셈블리(100)의 작동 제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시트백프레임(10), 가이드파이프(20), 헤드레스트(30), 스테이(40), 스테이홀더(50), 가이드브라켓(60), 모터어셈블리(100), 제1와이어(81)와 제2와이어(82) 및 와이어커버(83,84), 와이어홀더(90) 등 대부분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차별되는 구성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2개의 풀리(71,72)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테이홀더(50)의 스테이설치홀(51)에 제1풀리(71)와 제2풀리(72)가 각각의 고정축(71b)(72b)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풀리(71)와 제2풀리(72)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를 감을 수 있도록 각각 제1와이어홈(71a)과 제2와이어홈(72a)이 형성된다.
모터어셈블리(100)의 상방으로 인출된 제1와이어(81)는 가이드브라켓(60)의 상부플레이트(61)를 관통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풀리(71)의 제1와이어홈(71a)에 감겨지고,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플레이트(61)에 고정된다.
모터어셈블리(100)의 하방으로 인출된 제2와이어(82)는 가이드브라켓(60)의 하부플레이트(62)를 관통 후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풀리(72)의 제2와이어홈(72a)에 감겨지고,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플레이트(62)에 고정된다.
모터어셈블리(100)가 정회전하면 제1와이어(81)는 모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감겨지고 제2와이어(82)는 모터어셈블리(100)의 외부로 풀린다. 따라서, 제1와이어(81)의 당김 작용에 의해 제1풀리(71)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와이어(82)는 이와 같은 이동을 허용한다.
제1풀리(71)가 상향 이동함으로써 제1풀리(71)가 장착된 스테이홀더(50)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스테이홀더(50)에 하단이 연결된 양측 스테이(40)가 상승함으로써 헤드레스트(30)의 높이가 증가된다.
반대로 모터어셈블리(100)가 역회전하면 제1와이어(81)는 풀리고 제2와이어(82)가 감겨진다. 따라서, 제2와이어(82)의 당김 작용에 의해 제2풀리(72)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와이어(81)는 이와 같은 이동을 허용한다.
제2풀리(72)가 하향 이동함으로써 스테이홀더(50)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스테이홀더(50)와 함께 양측 스테이(40)가 하강함으로써 헤드레스트(30)의 높이가 감소된다.
상기와 같이 모터어셈블리(100)의 회전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제1와이어(81)와 제2와이어(82)로 제1풀리(71)와 제2풀리(72)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헤드레스트(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과 도 9에는 상기 모터어셈블리(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니트와 승객의 착석 여부 및 신장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수단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감지수단(200)는 시트의 쿠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중감지수단(200)의 감지신호는 전자제어유니트(300)로 전달되고, 전자제어유니트(300)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어셈블리(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시트 쿠션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중감지수단(200)는 1개 또는 다수개의 하중감지센서를 포함한다. 하중감지센서는 쿠션의 상부 면적에 넓고 고르게 배치된다.
승객이 시트에 착석하면 하중감지수단(200)(더 자세히는 하중감지센서)가 승객의 하중에 반응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전자제어유니트(300)는 사용자모드로 작동한다. 사용자모드에서 전자제어유니트(300)는 모터어셈블리(100)를 정회전시켜 미리 설정된 높이로 헤드레스트(30)를 상승시킨다.
반면,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전자제어유니트(300)는 비사용자모드로 작동한다. 비사용자모드에서 전자제어유니트(300)는 모터어셈블리(100)를 역회전시켜 미리 설정된 높이로 헤드레스트(30)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승객이 시트에 착석하면 헤드레스트(30)가 자동으로 사용 높이로 상승하고, 승객이 하차하면 헤드레스트(30)가 자동으로 원 위치로 복귀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감지수단(200)가 시트백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중감지수단(200)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중감지수단(2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하중감지센서(210)는 상하방향 1열로 배치된다.
각각의 하중감지센서(210)는 전자제어유니트(300)에 독립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전자제어유니트(300)는 하중이 감지된 하중감지센서(210)의 위치(높이)를 인지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니트(300)에는 각각의 하중감지센서(210)에 대응하는 헤드레스트(30)의 높이값이 설정되어 있다.
전자제어유니트(300)에는 다수의 하중감지센서(210)중 가장 강한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하중감지센서(210)에 해당하는 헤드레스트 높이값으로 헤드레스트(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승객의 신장에 따라 시트백에서 강하게 압박되는 위치의 높이가 차이 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승객이 착석하면 승객의 신장에 따라 상하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하중감지센서(210)에서 각각의 감지신호가 발생되고, 전자제어유니트(300)는 그 중 가장 강한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하중감지센서(210)에 해당되는 헤드레스트 높이값으로 헤드레스트(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현재의 헤드레스트(30) 위치가 최강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하중감지센서에 해당되는 헤드레스트 높이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모터어셈블리(100)를 정방향 회전시켜서 헤드레스트(30)를 해당 높이로 상승시키고, 현재 헤드레스트(30) 위치가 최강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하중감지센서에 해당되는 헤드레스트 높이값보다 높을 경우에는 모터어셈블리(1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헤드레스트(30)를 해당 높이로 하강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승객이 착석하면 승객의 신장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승객은 별도의 모터 콘트롤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승객 착석시, 대부분 번거로움으로 인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자신의 신장에 맞추어 정확히 조절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상기와 같이 승객의 신장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자동 조절되므로 항상 헤드레스트가 승객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있게 되므로, 불시에 사고가 발생할 때도 헤드레스트가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00)는 시트백 내부의 공간 중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며, 그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레스트(30)의 승강작동이 풀리(70,71,72)와 제1 및 제2와이어(81,82)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들의 작동시 에는 종래의 스크류바와 승하강너트 작동시 발생되는 래틀노이즈에 비해 부드럽고 작은 크기의 소음이 발생하므로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작동시 작동 소음에 의한 불쾌감이 감소되고, 차량 정숙성이 향상된다.
상기 풀리(70,71,72)들은 움직 도르래(movable pulley)이므로 2배의 힘의 이득이 발생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승강에 필요한 힘의 크기가 감소됨으로써 모터를 작은 용량의 것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치 구성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류바와 승하강너트는 상호 작동을 위해 정밀한 나선을 가공해야 하므로 부품비용이 비싸 장치 구성 비용이 증가되었으나, 이에 비해 본 발명의 풀리와 와이어는 상대적으로 부품 비용이 저렴하여 장치 구성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모터 작동력의 전달이 와이어(81,82)를 매개로 이루어지므로 모터어셈블리(100)의 위치 설정이 자유로워진다. 따라서, 시트백 내부 공간의 레이아웃 설정이 자유로우며, 이에 시트백 내부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 착석시 승객의 하중(체중)을 감지하여 헤드레스트가 사용모드와 비사용모드로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승객의 신장을 감지하여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시트백프레임 20 : 가이드파이프
30 : 헤드레스트 40 : 스테이
50 : 스테이홀더 60 : 가이드브라켓
61 : 상부플레이트 62 : 하부플레이트
70 : 풀리 70a : 제1와이어홈
70b : 제2와이어홈 70c : 고정축
71 : 제1풀리 71a : 제1와이어홈
71b : 고정축 72 : 제2풀리
72a : 제2와이어홈 72b : 고정축
81 : 제1와이어 82 : 제2와이어
83,84 : 와이어커버 90 : 와이어홀더
91 : 가이드링 100 : 모터어셈블리
200 : 하중감지수단 210 : 하중감지센서
300 : 전자제어유니트

Claims (7)

  1. 헤드레스트의 양측 스테이 하단 사이에 결합되는 스테이홀더와;
    상기 스테이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풀리와;
    시트백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착되고, 전면 상부와 하단에 각각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형성된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하방으로 관통하여 풀리에 감겨진 후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된 제1와이어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방으로 관통하여 풀리에 감겨진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플레이트에 고정된 제2와이어와;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하는 모터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홀더에 하나의 풀리가 설치되고, 그 풀리의 외주면에 제1와이어홈과 제2와이어홈이 형성되며, 제1와이어홈에 상기 제1와이어가 감겨지고, 제2와이어홈에 상기 제2와이어가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홀더에 제1풀리와 제2풀리가 설치되고, 제1풀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와이어홈에 제1와이어가 감겨지고, 제2풀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와이어홈에 제2와이어가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양측변은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홀더의 배면에 가이드브라켓의 양측변을 감싸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홀더의 양측부에 원통형의 스테이고정부가 형성되고, 스테이고정부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탄성편이 형성되며, 탄성편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고정부로 삽입되는 스테이의 하단 측면에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와, 승객 착석시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하중을 감지하여 하중감지신호를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하는 하중감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중감지수단은 시트의 쿠션에 설치되며, 전자제어유니트는 하중감지센서로부터 하중감지신호가 발생되면 헤드레스트 사용모드로 판단하여 헤드레스트를 사용상태에 해당되는 설정높이로 상승시키고, 하중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비사용모드로 판단하여 헤드레스트를 비사용상태에 해당되는 설정높이로 하강시키도록 상기 모터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와, 승객 착석시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하중을 감지하여 하중감지신호를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하는 하중감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중감지수단은 시트의 시트백에 설치되되 다수의 하중감지센서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는 각각의 하중감지센서마다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가장 강한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하중감지센서에 해당되는 설정높이로 헤드레스트가 이동하도록 상기 모터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KR1020150070343A 2015-05-20 2015-05-20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KR101628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43A KR101628622B1 (ko) 2015-05-20 2015-05-20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43A KR101628622B1 (ko) 2015-05-20 2015-05-20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622B1 true KR101628622B1 (ko) 2016-06-08

Family

ID=5619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343A KR101628622B1 (ko) 2015-05-20 2015-05-20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6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159A (ko) 2016-11-11 2018-05-21 광명산업(주)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원버튼 헤드레스트
CN109008400A (zh) * 2018-09-19 2018-12-18 常州携手智能家居有限公司 电动沙发的头靠腰托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4740A (ja) * 1993-12-28 1995-07-25 Ikeda Bussan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0201770A (ja) * 1999-01-14 2000-07-25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シ―トバック
KR100774419B1 (ko) * 2006-10-10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시트용 헤드레스트 높이 제어장치
KR20100002109U (ko) * 2008-08-19 2010-03-02 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의 탈부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4740A (ja) * 1993-12-28 1995-07-25 Ikeda Bussan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0201770A (ja) * 1999-01-14 2000-07-25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シ―トバック
KR100774419B1 (ko) * 2006-10-10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시트용 헤드레스트 높이 제어장치
KR20100002109U (ko) * 2008-08-19 2010-03-02 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의 탈부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159A (ko) 2016-11-11 2018-05-21 광명산업(주)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원버튼 헤드레스트
CN109008400A (zh) * 2018-09-19 2018-12-18 常州携手智能家居有限公司 电动沙发的头靠腰托机构
CN109008400B (zh) * 2018-09-19 2023-11-28 常州携手智能家居有限公司 电动沙发的头靠腰托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5079B2 (en) Vehicle head restraint with electromagnetic latch release
KR20100019390A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JP2017136898A (ja) 車両用シート制御装置
US20170259715A1 (en) Headrest for vehicle
JP6658187B2 (ja) 車両用シートの退避動作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10144311B2 (en) Vehicle seat having a drive for backrest and head-restraint adjustment
KR20130070027A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유동 및 소음방지용 지지봉가이드
JP6286538B2 (ja) 乗り物用シート
KR101628622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KR101326491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볼스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17966A (ko) 헤드레스트의 자동조절장치
US10703246B2 (en) Vehicle comprising a deformable feet support device
JP659924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10893810B (zh) 具有同步控制的头枕和安全带支架的车辆座椅
US11794612B2 (en)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2013237407A (ja) シート位置制御装置
KR20120119281A (ko)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JP2016203692A (ja) 車室内構造
KR100833319B1 (ko) 헤드레스트 전후이동장치
JP4345431B2 (ja) アームレスト付きシート
KR101071285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JP463581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2309253B1 (ko) 이중 기어를 이용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KR20180128768A (ko) 위치조정 시스템을 가진 헤드레스트 구조체 및 이를 갖는 좌석 시트
JP4413654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