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293B1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293B1
KR101404293B1 KR1020130047513A KR20130047513A KR101404293B1 KR 101404293 B1 KR101404293 B1 KR 101404293B1 KR 1020130047513 A KR1020130047513 A KR 1020130047513A KR 20130047513 A KR20130047513 A KR 20130047513A KR 101404293 B1 KR101404293 B1 KR 10140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ine
fine grooves
grooves
golf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571A (ko
Inventor
유키 시마하라
Original Assignee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5Details of grooves or the like on the impac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헤드(2)는 페이스(4)를 갖는다. 페이스(4)는 복수의 스코어 라인 홈(8)과 복수의 미세 홈(10)을 갖는다. 상기 미세 홈(10)의 깊이는 0.03 ㎜ 미만이다. 상기 미세 홈(10)의 폭은 0.1 ㎜ 이상 0.3 ㎜ 이하이다. 상기 미세 홈(10)의 피치는 0.3 ㎜ 이상 0.8 ㎜ 이하이다. 상기 미세 홈(1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방향 연장부(d2)를 갖는다. 상기 제1 방향은, 힐측으로 갈수록 탑 블레이드측을 향하게 되는 방향이다. 상기 제2 방향은, 토우측으로 갈수록 탑 블레이드측을 향하게 되는 방향이다. 스코어 라인 홈(8)과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본원은 일본에서 2012년 4월 30일자로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12-10428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스코어 라인 홈을 갖는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골프 클럽 헤드에는 스코어 라인 홈이 형성되어 있다. 스코어 라인 홈은 백스핀량의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09-253250호에는, 페이스면에 작은 홈이 형성된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작은 홈은, 페이스면을 형성할 때의 절삭 자국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53575호에는, 미세 가공에 의해 페이스면에 형성된 오목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오목부의 깊이는 5 ㎛ 내지 10 ㎛이고, 이 오목부의 폭은 5 ㎛ 내지 20 ㎛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02633호에는, 페이스부에 작은 홈이 형성된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작은 홈은, 스코어 라인에 비해 작은 개구폭 및 깊이를 갖는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32168호(US2008/0125242, US2009/0312116, US2010/0261545)에는, 복수의 스코어 라인 홈과 복수의 가는 홈을 구비한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가는 홈과 상기 스코어 라인 홈 사이의 각도가, 스코어 라인 홈의 토우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40도 이상 70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88678호(US2010/0087270)에는, 토우측으로부터 힐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는 홈을 구비한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234748호(US2011/0269568)에는, 인접하는 스코어 라인 사이의 각 영역에, 스코어 라인과 평행하게 가는 홈이 형성된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234749호(US2011/0269567)에는, 복수의 스코어 라인, 제1 가는 홈 및 제2 가는 홈이 페이스면에 형성된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제1 가는 홈은 스코어 라인에 평행하다. 제2 가는 홈은 스코어 라인과 교차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3178호(US2008/0020859, US2009/0176597, US2011/0081985, US2011/0086725)에는, 밀링 가공에 의해 원형 절삭 자국이 형성된 페이스면과, S자형의 절삭 자국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72271호에는, 스코어 라인 홈보다 얕고 스코어 라인보다 폭이 좁은 다수의 작은 홈 라인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상기 작은 홈 라인이 상면측으로 돌출된 곡선인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우천시의 골프에서는, 페이스와 볼 사이에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임팩트가 행해진다. 물은 페이스와 볼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마찰의 감소로 인해 백스핀량이 감소될 수 있다. 여러 상황에서 우수한 백스핀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백스핀을 얻을 수 있는 골프 클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는 페이스를 구비한다. 이 페이스는 복수의 스코어 라인 홈과, 복수의 미세 홈, 그리고 랜드 에리어를 갖는다. 상기 미세 홈의 깊이는 0.03 ㎜ 미만이다. 상기 미세 홈의 폭은 0.1 ㎜ 이상 0.3 ㎜ 이하이다. 상기 미세 홈의 피치는 0.3 ㎜ 이상 0.8 ㎜ 이하이다. 상기 미세 홈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방향 연장부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상기 제1 방향은, 힐측으로 갈수록 탑 블레이드측을 향하게 되는 방향이다. 상기 제2 방향은, 토우측으로 갈수록 탑 블레이드측을 향하게 되는 방향이다. 상기 스코어 라인 홈과 상기 미세 홈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상기 스코어 라인 홈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사이의 각도의 절대값을 α라 하고, 상기 스코어 라인 홈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각도의 절대값을 β라 한다. 이때, α≤β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각도 α는 5도 이상 45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 β는 5도 이상 90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 홈은 상기 제1 방향 연장부와 상기 제2 방향 연장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각도 θ가 45도 이상 170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 홈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상기 제1 방향 연장부와 상기 제2 방향 연장부를 연결하는 라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스코어 라인 홈의 사이에 있는 부분의 면적을 Sa라 하고, 상기 미세 홈의 면적을 Sb라 한다. 바람직하게는, Sb/Sa는 0.14 이상 0.44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 홈은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를 이용하면, 우수한 백스핀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F2-F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세 홈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페이스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의 페이스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형태의 페이스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제5 실시형태의 페이스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제6 실시형태의 페이스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제7 실시형태의 페이스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미세 홈과 돌출부의 형성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F12-F1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미세 홈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미세 홈과 돌출부의 형성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비교예 2의 페이스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헤드(2)는, 소정의 라이각 및 리얼 로프트각으로 수평면 상에 놓여 있다. 도 2는 도 1의 선 F2-F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후술하는)미세 홈(10)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골프 클럽 헤드(2)는 소위 아이언 타입의 골프 클럽 헤드이다. 이 헤드를 아이언 헤드라고도 한다. 이 헤드는 오른손잡이 골퍼용이다. 골프 클럽 헤드(2)는 소위 웨지이다. 웨지의 리얼 로프트각은 대개 43도 이상 70도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는 어프로치 샷에 있어서 특히 효과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헤드(2)의 리얼 로프트각은 바람직하게는 43도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5도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8도 이상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도 이상이다.
헤드(2)는 페이스(4), 탑 블레이드(5), 호젤(6) 및 솔(7)을 갖는다. 페이스(4)에는 스코어 라인 홈(8)이 형성되어 있다. 골프 클럽 헤드(2)는 샤프트가 장착되는 샤프트 구멍(도시 생략)을 갖고 있다. 샤프트 구멍은 호젤(6)에 형성되어 있다.
헤드(2) 및 페이스(4)의 재질은 제한되지 않는다. 페이스(4)는 금속일 수도 있고, 비금속일 수도 있다. 금속의 예로는 철, 스테인리스강, 마레이징강, 순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을 들 수 있다. 철의 예로는 연철(탄소의 함유량이 0.3 wt% 미만인 저탄소강)을 들 수 있다. 비금속의 예로는 CFRP(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헤드(2)는 복수의 스코어 라인 홈(8)을 갖는다. 스코어 라인 홈(8)은, 그 길이가 가장 긴 최장 라인(8a)과, 최장 라인(8a)보다 짧은 비최장 라인(8b)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최장 라인(8b)의 길이는 탑 블레이드측으로 갈수록 짧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장 라인(8a)의 토우측 단부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직선 Lt1 상에 위치한다. 최장 라인(8a)의 힐측 단부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직선 Lh1 상에 위치한다.
페이스(4)는 랜드 에리어(LA)를 갖는다. 랜드 에리어(LA)는, 페이스(4)의 표면(페이스면)에 있어서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면 부분을 나타낸다. 샷 블라스트 처리(후술함)에 의해 형성된 매우 작은 요철을 무시하면, 랜드 에리어(LA)는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랜드 에리어(LA)는 평면이라고 간주한다.
페이스(4)의 일부에는, 표면 거칠기를 조정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러한 처리의 전형적인 예가 샷 블라스트 처리이다. 샷 블라스트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에리어와 샷 블라스트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에리어 사이의 경계선(k1)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토우측 경계선(k1t)과 힐측 경계선(k1h) 사이의 에리어에는, 샷 블라스트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측 경계선(k1t)과 힐측 경계선(k1h)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샷 블라스트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에리어에, 모든 스코어 라인 홈(8)이 형성된다. 토우측 경계선(k1t)보다 토우측에 위치하는 에리어에는, 샷 블라스트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다. 힐측 경계선(k1h)보다 힐측에 위치하는 에리어에는, 샷 블라스트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다. 토우측 경계선(k1t)과 힐측 경계선(k1h)은, 샷 블라스트 처리의 유무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샷 블라스트 처리는 표면 거칠기를 증대시킨다. 증대된 표면 거칠기에 의해, 볼의 백스핀량이 증대될 수 있다. 백스핀량의 증대로 인해, 낙하점 부근에서 볼을 정지시키기가 쉬워진다. 백스핀량의 증대로 인해, 겨냥 지점에 볼을 정지시키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백스핀량의 증대는, 특히 그린을 겨냥한 샷과 어프로치 샷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스코어 라인 홈(8)이 형성되기 전에, 페이스면을 연마할 수 있다. 스코어 라인 홈(8)이 형성되기 전의 헤드의 페이스면은, 페이스면을 연마함으로써 평활화될 수 있다. 이 페이스면의 연마는, 랜드 에리어(LA)를 평평하게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타구의 방향성이 향상될 수 있다.
스코어 라인 홈(8)이 형성되기 전에, 표면 거칠기를 조정하는 처리(전술한 샷 블라스트 처리 등)가 행해질 수 있다. 스코어 라인 홈(8)이 형성된 후에, 표면 거칠기를 조정하는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페이스(4)는 미세 홈(10)을 갖는다(도 1의 확대부, 도 2 및 도 3 참조). 본원에서, 미세 홈(10)은 스코어 라인 홈(8)과는 다른 홈이다. 미세 홈(10)의 폭 W2는 스코어 라인 홈(8)의 폭 W1보다 좁다. 미세 홈(10)은, 서로 이웃하는 스코어 라인 홈(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미세 홈(10)이 서로 이웃하는 스코어 라인 홈(8)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미세 홈(10)은 구불구불하게 연장된다. 미세 홈(10)은 지그재그로 구부러져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홈(10)은 탑 블레이드측에 있는 측면(10a)과, 솔측에 있는 측면(10b), 그리고 바닥면(10c)을 갖는다. 바닥면(10c)은 랜드 에리어(LA)에 평행한 평면이다. 바닥면(10c)은 없을 수도 있다. 미세 홈(10)의 단면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칭이 아닐 수도 있다. 측면(10a 및 10b)과 바닥면(10c)은 각각 평면이 아닐 수도 있다. 본원의 도면에서 돌출부(12)의 단면 형상은 원호 형상이지만, 실제로 돌출부(12)의 단면 형상은 원호 형상이 아닐 수도 있다. 특히, 미세 홈(10)이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볼록부(12)의 단면 형상은, 통상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형 잡힌 형상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페이스(4)는 돌출부(12)를 갖는다(도 1의 확대부, 도 2 및 도 3 참조). 돌출부(12)는 스트라이프 형태이다. 돌출부(12)는 미세 홈(10)을 따라 연장된다. 돌출부(12)는 지그재그로 구부러져 있다. 돌출부(12)는 랜드 에리어(LA)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물론, 돌출부(12)는 없을 수도 있다.
돌출부(12)는 미세 홈(10)에 인접해 있다. 랜드 에리어(LA)는 돌출부(12)와 미세 홈(10)의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다. 미세 홈(10)의 측면(10a)과 돌출부(12)의 외면은 연속해 있다.
돌출부(12)는 미세 홈(10)의 탑 블레이드(5)측과 솔(7)측에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12)는 미세 홈(10)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스코어 라인 홈(8)에 추가하여 미세 홈(10)을 형성함으로써, 백스핀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를 마련함으로써, 백스핀량이 증대될 수 있다.
돌출부(12)는 미세 홈(10)에 인접해 있다. 따라서, 돌출부(12)에 의해, 미세 홈(10)의 깊이(D2)가 커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생긴다. 미세 홈(10)과 돌출부(12)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백스핀량이 증대될 수 있다.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를 갖는다. 제1 방향 연장부(d1)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있다. 제2 방향 연장부(d2)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있다.
도 1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 연장부(d1)의 연장 방향[제1 방향(dr1)]은, 힐측으로 갈수록 탑 블레이드측을 향하게 되는 방향이다. 제1 방향(dr1)은 스코어 라인 홈(8)에 대해 경사져 있다.
도 1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 연장부(d2)의 연장 방향[제2 방향(dr2)]은, 토우측으로 갈수록 탑 블레이드측을 향하게 되는 방향이다. 제2 방향(dr2)은 스코어 라인 홈(8)에 대해 경사져 있다.
스코어 라인 홈(8)에 대한 제1 방향 연장부(d1) 및 제2 방향 연장부(d2)의 경사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모든 미세 홈(10)은, 서로 이웃하는 스코어 라인 홈(8)의 사이에 위치해 있다. 스코어 라인 홈(8)과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떤 미세 홈(10)도 다른 미세 홈(10)의 에지를 소실시키지 않는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의 미세 홈(10)을 보여준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와 전술한 헤드(2) 사이의 차이점은 미세 홈(10)의 수뿐이다. 도 4의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미세 홈(10)이, 이웃하는 2개의 스코어 라인 홈(8)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방향 연장부(d1)의 길이는 제2 방향 연장부(d2)의 길이와 같다.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떤 미세 홈(10)도 다른 미세 홈(10)의 에지를 소실시키지 않는다. 미세 홈(10) 사이의 간격은, 토우-힐 방향의 모든 위치에서 동일하다. 도 4의 실시형태에서,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로 구성된다.
미세 홈(10)은 도 4와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9에서는 하나의 선으로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의 미세 홈(10)을 보여준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와 전술한 헤드(2) 사이의 차이점은 미세 홈(10)뿐이다. 도 5의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미세 홈(10)이, 이웃하는 2개의 스코어 라인 홈(8)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방향 연장부(d1)의 길이 Ld1은 제2 방향 연장부(d2)의 길이 Ld2와 다르다.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길이 Ld1은 길이 Ld2보다 크다. 미세 홈(10) 사이의 간격은, 토우-힐 방향의 모든 위치에서 동일하다. 도 5의 실시형태에서,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로 구성된다.
도 6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의 미세 홈(10)을 보여준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와 전술한 헤드(2) 사이의 차이점은 미세 홈(10)뿐이다.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미세 홈(10)이, 이웃하는 2개의 스코어 라인 홈(8)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를 연결하는 라운드부(R)를 갖는다. 라운드부(R)는 둥그스름하다. 도 6의 실시형태는 라운드부(R)의 존재를 제외하고는 도 5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7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의 미세 홈(10)을 보여준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와 전술한 헤드(2) 사이의 차이점은 미세 홈(10)뿐이다. 도 7의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미세 홈(10)이, 이웃하는 2개의 스코어 라인 홈(8)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 제2 방향 연장부(d2) 및 제3 방향 연장부(d3)를 갖는다. 제3 방향 연장부(d3)는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를 연결한다. 제3 방향 연장부(d3)는 스코어 라인 홈(8)에 평행하다.
도 8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의 미세 홈(10)을 보여준다. 제6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와 전술한 헤드(2) 사이의 차이점은 미세 홈(10)뿐이다. 도 8의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미세 홈(10)이, 이웃하는 2개의 스코어 라인 홈(8)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미세 홈(10)은 파형이다.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 제2 방향 연장부(d2) 및 라운드부(R)를 갖는다. 미세 홈(10) 사이의 간격은, 토우-힐 방향의 모든 위치에서 동일하다.
도 9는 제7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의 미세 홈(10)을 보여준다. 제7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와 전술한 헤드(2) 사이의 차이점은 미세 홈(10)뿐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 연장부(d1)가 제2 방향 연장부(d2)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방향 연장부(d1)는 제2 방향 연장부(d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미세 홈(10)의 형성의 용이성 및 웨트 스핀(wet spin)의 관점에서,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는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코어 라인 홈의 형성 방법]
스코어 라인 홈(8)의 형성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스코어 라인 홈(8)의 형성 방법의 예로는, 단조, 프레스 가공, 주조 및 절삭 가공(조각) 등이 있다.
절삭 가공에서는, 커터를 이용하여 스코어 라인 홈(8)의 절삭 가공이 행해진다. 프레스 가공에서는, 스코어 라인 홈(8)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갖는 스코어 라인 홈 금형을 이용한다. 스코어 라인 홈 금형을 페이스에 밀어붙여, 스코어 라인 홈(8)을 형성한다. 프레스 가공에서의 스코어 라인 홈 금형을 당업자는 "스코어 라인 홈 각인"이라고도 한다.
스코어 라인 홈(8)의 단면 형상의 정확도의 관점에서, 절삭 가공이 바람직하다.
절삭 가공의 경우, 스코어 라인 홈(8)의 에지가 날카로워지기 쉽다. 이러한 에지는 볼을 손상시키기 쉽다. 이러한 관점에서, 절삭 가공 이후에, 에지를 라운딩하는 가공이 행해질 수 있다. 에지를 라운딩하는 가공의 예로는, 버프 및 샷 블라스트가 있다. 예를 들어, 버프는 와이어 브러시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절삭 가공 이후에 에지를 라운딩하는 가공이 행해지는 경우, 스코어 라인 홈의 단면 형상의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 이 단면 형상의 정확도의 관점에서, 에지는 절삭 가공에 의해 라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스코어 라인 홈(8)의 절삭 가공에 NC 가공기가 사용된다. NC는 수치 제어를 의미한다. 스코어 라인 홈(8)은 축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형성된다. 커터는 축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커터는 NC 가공기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이동한다. 설계된 깊이를 갖는 스코어 라인 홈(8)이 설계된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수치 제어는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이다.
스코어 라인 홈의 폭이 도 2에 양방향 화살표 W1로 나타내어져 있다. 스코어 라인 홈(8) 사이의 간격이 도 2에 양방향 화살표 S1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2에서는, 스코어 라인 홈(8)의 단면의 면적이 A1로 나타내어져 있다. 면적 A1은 해칭으로 나타내어진 영역의 면적이다.
홈 폭 W1 및 홈 간격 S1은, R&A(전영 골프 협회)에서 정한 골프 룰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이 측정 방법을 "30도 측정법"이라 한다. 이 30도 측정법에서는, 랜드 에리어(LA)에 대하여 30도의 각도를 갖는 접선과 홈의 접점(CP1 및 CP2)이 결정된다. 접점 CP1과 접점 CP2 사이의 거리가, 홈 폭 W1로서 정해진다(도 2 참조).
전술한 홈 깊이 D1은, 랜드 에리어(LA)의 연장선(La)과 홈 단면선의 최하점 사이의 거리이다(도 2 참조). 홈 면적 A1은, 연장선(La)과 홈의 프로파일(단면선)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이다.
스핀 성능의 관점에서, 홈 폭 W1은 바람직하게는 0.20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5 ㎜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 이상이다. 골프 룰의 관점과, 과대한 스핀량에 의해 야기되는 비거리의 감소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홈 폭 W1은 바람직하게는 0.889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85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0 ㎜ 이하이다.
홈 간격 S1은, 바람직하게는 골프 룰에 대한 적합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골프 룰에 대한 적합성의 관점에서, 상기 면적 A1을 홈 피치(홈 폭 W1+간격 S1)로 나눈 값이 0.003 평방인치/인치(0.0762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 룰에 대한 적합성의 관점에서, 홈 간격 S1은 홈 폭 W1의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 룰에 대한 적합성의 관점에서, 스코어 라인 홈(8)의 피치 Pt1가 2.0 ㎜ 이상 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홈(10)은 스코어 라인 홈(8)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 홈(10)의 절삭 가공은 NC 가공기(CNC 가공기)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이 절삭 가공에 의하면, 돌출부(12)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미세 홈(1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세 홈(10)은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다. 레이저는 가는 영역을 가열하기에 적합하다. 작은 폭 W2(도 3 참조)를 갖는 홈이, 레이저에 의해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폭 W2는 랜드 에리어(LA)의 연장선(La)과 페이스면 사이의 교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도 3 참조). 미세 홈(10)은 레이저에 의해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세 홈 및 돌출부의 형성 방법 1]
도 10은 돌출부(12)의 바람직한 형성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형성 방법에서는, 페이스면에 레이저(LS)가 조사된다. 페이스면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페이스면[랜드 에리어(LA)]에 레이저(LS)가 조사된다. 레이저 조사 각도(θL)가 90도이다. 레이저 조사 각도(θL)는, 페이스면[랜드 에리어(LA)]에 대한 레이저(LS)의 각도이다(도 10 참조).
레이저(LS)에 의해 가열된 부분이 고온에 도달한다. 이 고온에 도달한 부분은 용해될 수 있다. 이 용해된 부분은 유동할 수 있다. 이 유동에 의해, 유동체가 미세 홈(10)의 양측으로 이동된다. 돌출부(12)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레이저(LS)가 조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된 유동체의 온도가 낮아져, 유동체가 고화된다. 돌출부(12)는 이 고화에 의해 형성된다. 이 방법은 레이저(LS)를 이용하므로, 높은 위치 정확도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이저의 출력, 레이저의 이동 속도 및 레이저 조사 각도(θL) 등을 조정함으로써, 미세 홈(10)과 돌출부(12)는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에너지 효율의 관점에서, 레이저 조사 각도(θL)는 바람직하게는 80도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85도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도 이상이다.
레이저(LS)에 의한 미세 홈(10) 및/또는 돌출부(12)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미세 홈(10) 및 돌출부(12)가 마련되는 부분의 재질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질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는 연철(탄소의 함유량이 0.3 wt% 미만인 저탄소강),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합금 및 순티타늄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2 종류 이상의 레이저(LS)가 사용된다. 도 10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레이저(LS1) 및 제2 레이저(LS2)가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레이저(LS1)가 페이스면에 조사된 후, 제2 레이저(LS2)가 페이스면에 조사된다. 제1 레이저(LS1)의 조사 속도가 제2 레이저(LS2)의 조사 속도보다 느리다. 제1 레이저(LS1)의 전류가 제2 레이저(LS2)의 전류보다 크다. 제1 레이저(LS1)의 주파수가 제2 레이저(LS2)의 주파수보다 높다. 제1 레이저(LS1)에 의한 가열 온도가 제2 레이저(LS2)에 의한 가열 온도보다 높다.
도 10의 실시형태에 따른 미세 홈(10) 및 돌출부(12)의 형성 방법은, 제1 레이저(LS1)에 의해 초기 미세 홈(도시 생략)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제2 레이저(LS2)에 의해 상기 초기 미세 홈의 깊이 D2, 표면 거칠기, 형상, 및/또는 색을 조절하여 미세 홈(10)을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2 종류 이상의 레이저(LS)를 이용함으로써, 치수 정확도가 우수한 미세 홈(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20)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F12-F1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 헤드(20)에서, 돌출부(12)는 미세 홈(10)의 탑 블레이드(5)측에만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12)는 미세 홈(10)의 솔(7)측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점을 제외하고는, 헤드(20)는 헤드(2)와 동일하다.
돌출부(12)가 미세 홈(10)의 탑 블레이드(5)측에만 마련되는 것은, 백스핀량의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임팩트 중에, 볼은 페이스(4) 상에서 움직인다. 이 움직임은, 볼의 미끄러짐 및/또는 구름에 의해 야기된다. 이 움직임은, 페이스(4)의 경사, 즉 로프트각에 의해 발생된다. 이 움직임의 방향은, 솔면(7)측으로부터 탑 블레이드(5)측을 향하는 방향이다. 돌출부(12)는 미세 홈(10)의 솔면(7)측에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페이스(4) 상에서 움직이는 볼은 미세 홈(10)에 들어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들어감으로써, 백스핀량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미세 홈(10)의 탑 블레이드(5)측에 마련된 돌출부(12)에 의하여, 물리적 걸림 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백스핀량은 증대될 수 있다.
[미세 홈 및 돌출부의 형성 방법 2]
도 14는 헤드(20)에 있어서 돌출부(12)의 바람직한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형성 방법에서는, 페이스면에 레이저(LS)가 조사된다. 페이스면이 수평면(h1)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상태에서, 페이스면[랜드 에리어(LA)]에 레이저(LS)가 조사된다. 상기 경사의 방향과 경사 각도(θf)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12)의 사양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형태에서는, 페이스(4)의 솔면(7)측이 탑 블레이드(5)측보다 위에 위치하게 되도록 페이스(4)가 경사져 있는 상태에서, 페이스(4)에 레이저(LS)가 조사된다. 레이저(LS)에 의해 가열된 부분이 고온에 도달한다. 이 고온에 도달한 부분은 용해될 수 있다. 이 용해된 부분은 유동할 수 있다. 이 유동은 중력에 의해 일어난다. 미세 홈(10)은 이 유동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이 유동에 의해, 돌출부(12)의 위치로 유동체가 이동된다. 돌출부(12)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레이저(LS)가 조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된 유동체의 온도가 낮아져, 유동체가 고화된다. 돌출부(12)는 이 고화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12)는 레이저(LS)에 의해 가열된 부분을 중력의 작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돌출부(12)는, 중력에 의해 탑 블레이드(5)측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중력의 작용에 의해, 솔면(7)측에의 돌출부(12)의 형성이 방지된다.
미세 홈(10) 및 돌출부(12)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과, 탑 블레이드(5)측에만 돌출부(12)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경사 각도(θf)는 바람직하게는 5도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도 이상이다. 경사 각도(θf)가 너무 크면, 유동체의 이동 속도가 너무 커서, 돌출부(12)의 형성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경사 각도(θf)가 너무 크면, 유동체의 이동 속도가 너무 커서, 돌출부(12)의 높이가 과도하게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경사 각도(θf)는 바람직하게는 45도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0도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도 이하이다. 그러나, 경사 각도(θf)는 페이스면의 재질, 레이저(LS)의 출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경사 각도(θf)가 마이너스로 설정된 경우, 돌출부(12)는 미세 홈(10)의 솔면(7)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경사 각도(θf)가 마이너스로 설정된 상태에서, 솔면(7)측(리딩 에지)은 탑 블레이드(5)의 아래에 위치해 있다.
또한, 경사 각도(θf)가 플러스로 설정된 상태에서 페이스면에 레이저(LS)를 조사하는 단계와, 경사 각도(θf)가 마이너스로 설정된 상태에서 페이스면에 레이저(LS)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 홈(10) 및 돌출부(12) 형성 방법도 채용될 수 있다.
에너지 효율의 관점에서, 레이저 조사 각도(θL)는 90도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2)에 레이저(LS)가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레이저 조사 각도(θL)는 90도 미만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레이저 조사 각도(θL)는 바람직하게는 45도 이상 90도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0도 이상 90도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도 이상 90도 이하이다. 레이저 조사 각도(θL)는, 레이저(LS)와, 이 레이저(LS)의 조사 위치보다도 솔면(7)측에 있는 랜드 에리어(LA) 사이의 각도이다. 따라서, 레이저 조사 각도(θL)를 90도 이하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돌출부(12)에는 레이저(LS)가 거의 조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돌출부(12)의 형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레이저(LS1) 및 제2 레이저(LS2)가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레이저(LS1)가 페이스면에 조사된 후, 제2 레이저(LS2)가 페이스면에 조사된다. 제1 레이저(LS1)의 조사 속도가 제2 레이저(LS2)의 조사 속도보다 느리다. 제1 레이저(LS1)의 전류가 제2 레이저(LS2)의 전류보다 크다. 제1 레이저(LS1)의 주파수가 제2 레이저(LS2)의 주파수보다 높다. 제1 레이저(LS1)에 의한 가열 온도가 제2 레이저(LS2)에 의한 가열 온도보다 높다.
도 14의 실시형태에 따른 미세 홈(10) 및 돌출부(12)의 형성 방법은, 제1 레이저(LS1)에 의해 중력을 이용하여 초기 미세 홈(도시 생략)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제2 레이저(LS2)에 의해 상기 초기 미세 홈의 깊이 D2, 표면 거칠기, 형상, 및/또는 색을 조절하여 미세 홈(14)을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2 종류 이상의 레이저(LS)를 이용함으로써, 치수 정확도가 우수한 미세 홈(10)을 형성할 수 있다. 중력을 이용함으로써, 돌출부(12)는 미세 홈(10)의 일측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실시형태의 개요]
도 4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가 교대로 연속 배치되어 있다. 미세 홈(10)의 토우측 단부는 직선 Lt1에 도달해 있다(도 1 참조). 미세 홈(10)의 힐측 단부는 직선 Lh1에 도달해 있다(도 1 참조). 미세 홈(10) 각각은, 직선 Lt1 상의 위치로부터 직선 Lh1 상의 위치까지 연속해 있다. 각도 α는 각도 β와 같다. 길이 Ld1은 길이 Ld2와 같다.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로 구성된다. 스코어 라인 홈(8)과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제1 방향 연장부(d1)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방향 연장부(d2)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가 교대로 연속 배치되어 있다. 미세 홈(10)의 토우측 단부는 직선 Lt1에 도달해 있다(도 1 참조). 미세 홈(10)의 힐측 단부는 직선 Lh1에 도달해 있다(도 1 참조). 미세 홈(10) 각각은, 직선 Lt1 상의 위치로부터 직선 Lh1 상의 위치까지 연속해 있다. 각도 α는 각도 β보다 작다. 길이 Ld1은 길이 Ld2보다 크다.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로 구성된다. 스코어 라인 홈(8)과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제1 방향 연장부(d1)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방향 연장부(d2)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가 라운드부(R)를 사이에 두고서 교대로 연속 배치되어 있다. 미세 홈(10)의 토우측 단부는 직선 Lt1에 도달해 있다(도 1 참조). 미세 홈(10)의 힐측 단부는 직선 Lh1에 도달해 있다(도 1 참조). 미세 홈(10) 각각은, 직선 Lt1 상의 위치로부터 직선 Lh1 상의 위치까지 연속해 있다. 각도 α는 각도 β보다 작다. 길이 Ld1은 길이 Ld2보다 크다.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 제2 방향 연장부(d2) 및 라운드부(R)로 구성된다. 스코어 라인 홈(8)과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제1 방향 연장부(d1)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방향 연장부(d2)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7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가 제3 방향 연장부(d3)를 사이에 두고서 교대로 연속 배치되어 있다. 미세 홈(10)의 토우측 단부는 직선 Lt1에 도달해 있다(도 1 참조). 미세 홈(10)의 힐측 단부는 직선 Lh1에 도달해 있다(도 1 참조). 미세 홈(10) 각각은, 직선 Lt1 상의 위치로부터 직선 Lh1 상의 위치까지 연속해 있다. 각도 α는 각도 β와 같다. 길이 Ld1은 길이 Ld2와 같다.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 제2 방향 연장부(d2) 및 제3 방향 연장부(d3)로 구성된다. 제3 방향 연장부(d3)는 스코어 라인 홈(8)에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스코어 라인 홈(8)과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제1 방향 연장부(d1)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방향 연장부(d2)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방향 연장부(d3)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8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가 라운드부(R)를 사이에 두고서 교대로 연속 배치되어 있다. 미세 홈(10)의 토우측 단부는 직선 Lt1에 도달해 있다(도 1 참조). 미세 홈(10)의 힐측 단부는 직선 Lh1에 도달해 있다(도 1 참조). 미세 홈(10) 각각은, 직선 Lt1 상의 위치로부터 직선 Lh1 상의 위치까지 연속해 있다. 스코어 라인 홈(8)과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제1 방향은 직선을 거의 따르는 방향이지만, 제1 방향은 ±5도의 공차(허용범위)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방향은 직선을 거의 따르는 방향이지만, 제2 방향은 ±5도의 공차(허용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파형 곡선으로만 형성된 미세 홈(10)도,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범위를 갖는 경우, 각도 α , 각도 β 및 각도 θ는 상기 범위의 중간값에 의해 결정된다.
도 9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는 서로 간격을 두고서 토우-힐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각도 α는 각도 β와 같다. 길이 Ld1은 길이 Ld2와 같다.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로 구성된다. 스코어 라인 홈(8)과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제1 방향 연장부(d1)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방향 연장부(d2)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1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가 교대로 연속 배치되어 있다. 미세 홈(10)의 토우측 단부는 직선 Lt1에 도달해 있다. 미세 홈(10)의 힐측 단부는 직선 Lh1에 도달해 있다. 미세 홈(10) 각각은, 직선 Lt1 상의 위치로부터 직선 Lh1 상의 위치까지 연속해 있다. 각도 α는 각도 β와 같다. 길이 Ld1은 길이 Ld2와 같다. 미세 홈(10)은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로 구성된다. 스코어 라인 홈(8)과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제1 방향 연장부(d1)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방향 연장부(d2)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미세 홈의 깊이 D2]
백스핀량의 증대의 관점에서, 미세 홈(10)의 깊이 D2는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015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2 ㎜ 이상이다. 깊이 D2가 너무 크면, 백스핀량의 불균일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깊이 D2는 바람직하게는 0.03 ㎜ 미만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025 ㎜ 미만이다.
[미세 홈의 폭 W2]
백스핀량의 증대의 관점에서, 미세 홈(10)의 폭 W2는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15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다. 폭 W2가 너무 크면, 미세 홈(10)을 형성하기 위한 에리어가 감소된다. 따라서, 미세 홈(10)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폭 W2는 바람직하게는 0.3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5 ㎜ 이하이다.
[미세 홈의 피치 Pt2]
미세 홈(10)의 피치가 도 2에 양방향 화살표 Pt2로 나타내어져 있다. 피치 Pt2가 너무 작으면, 미세 홈(10)의 걸림 효과가 오히려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피치 Pt2는 바람직하게는 폭 W2의 1.5배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폭 W2의 2배 이상이다. 미세 홈(10)의 수가 너무 적으면, 백스핀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피치 Pt2는 바람직하게는 폭 W2의 5배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폭 W2의 4배 이하이다.
미세 홈(10)의 피치 Pt2가 너무 작으면, 미세 홈(10)의 걸림 효과가 오히려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피치 Pt2는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이다. 미세 홈(10)의 수가 너무 적으면, 백스핀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피치 Pt2는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7 ㎜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 ㎜ 이하이다.
[돌출부의 높이 H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2)의 높이가 도 3에 양방향 화살표 H1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높이 H1은 랜드 에리어(LA)로부터의 높이이다. 이 높이 H1은 랜드 에리어(LA)의 법선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백스핀량의 증대의 관점에서, 돌출부(12)의 높이 H1은 바람직하게는 0.001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003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05 ㎜ 이상이다. 표면 거칠기에 관한 룰의 관점에서, 상기 높이 H1은 바람직하게는 0.02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15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 ㎜ 이하이다.
[제1 방향]
제1 방향 연장부(d1)는, 힐측으로 갈수록 탑 블레이드측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방향 연장부(d1)는, 페이스를 오픈하고서 스윙할 때의 스윙 궤도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다. 제1 방향 연장부(d1)는, 페이스를 오픈하고서 타구할 때의 백스핀을 증대시킬 수 있다. 페이스를 오픈하고서 타구하는 상황의 전형적인 예가, 볼을 높이 띄워서 그린 상에 볼을 정지시키는 것을 의도로 한 어프로치 샷이다. 페이스를 오픈하고서 타구하는 상황에서는, 백스핀이 증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방향 연장부(d1)는 이러한 백스핀의 증대에 기여한다. 페이스를 오픈하였을 때의 백스핀 증가 효과를, 본원에서는 스핀 증가 효과 X라고도 한다.
[제2 방향]
제2 방향 연장부(d2)는, 토우측으로 갈수록 탑 블레이드측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2 방향 연장부(d2)는, 페이스를 클로즈하고서 스윙할 때의 스윙 궤도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다. 제2 방향 연장부(d2)는, 페이스를 클로즈하고서 타구할 때의 백스핀을 증대시킬 수 있다. 페이스를 클로즈하였을 때의 백스핀 증가 효과를, 본원에서는 스핀 증가 효과 Y라고도 한다.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를 마련함으로써 웨트 스핀이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후술하는 실시예의 평가 결과는, 이러한 웨트 스핀의 향상을 보여준다.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이 추측된다. 페이스면과 볼 사이에 얇은 수막이 생성되어, 웨트 스핀이 감소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물이 미세 홈(10)에 흘러 들어가, 수막의 형성이 억제된다. 또한, 미세 홈(10)은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물은 미세 홈(10)에 흘러 들어가기 쉽다. 이는, 제1 방향 연장부(d1) 또는 제2 방향 연장부(d2)가 헤드의 가속 방향에 가까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세 홈(10) 내에서의 물의 흐름에 의해, 물은 국소부에 집합되기 쉽다. 국소부는, 예를 들어 제1 방향 연장부(d1)와 제2 방향 연장부(d2)가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 있다. 물은 집합 위치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제1 방향 연장부(d1) 및 제2 방향 연장부(d2)에 의해, 물의 배출이 촉진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기초하여, 수막 억제 효과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수막 억제 효과에 의해, 웨트 스핀이 증대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스코어 라인 홈(8)의 연장 방향,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다르므로, 상기 수막 억제 효과는 더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각도 α 및 각도 β]
α<β로 설정되므로, 스핀 증가 효과 X는 스핀 증가 효과 Y보다도 상대적으로 크기 쉽다. 따라서, 페이스를 오픈하였을 때, 백스핀은 효과적으로 증대되고, 페이스를 클로즈하였을 때, 백스핀의 과도한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스를 오픈하였을 때에는, 런이 줄어들고, 볼은 낙하 지점 부근에서 멈추기 쉽다. 한편, 페이스를 클로즈하였을 때에는, 적당한 런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어프로치 샷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스핀 증가 효과 X 및 수막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각도 α는 바람직하게는 5도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이다. 상기 스핀 증가 효과 X의 관점에서, 각도 α는 바람직하게는 45도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0도 이하이다.
상기 스핀 증가 효과 Y 및 수막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각도 β는 바람직하게는 5도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도 이상이다. 상기 스핀 증가 효과 Y의 관점에서, 각도 β는 바람직하게는 90도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80도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도 이하이다.
상기 수막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각도차(β-α)는 바람직하게는 5도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도 이상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도 이상이다. 각도 α 및 각도 β의 바람직한 값을 고려하면, 각도차(β-α)는 바람직하게는 60도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0도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도 이하이다.
[길이 Ld1 및 길이 Ld2]
Ld1≥Ld2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Ld1>Ld2로 설정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스핀 증가 효과 X는 스핀 증가 효과 Y보다도 상대적으로 크기 쉽다. 따라서, 페이스를 오픈하였을 때, 백스핀은 효과적으로 증대되고, 페이스를 클로즈하였을 때, 백스핀의 과도한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스를 오픈하였을 때에는, 런이 줄어들고, 볼은 낙하 지점 부근에서 멈추기 쉽다. 한편, 페이스를 클로즈하였을 때에는, 적당한 런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다양한 샷이 가능해지고, 어프로치 샷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스핀 증가 효과 X와 상기 스핀 증가 효과 Y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어프로치의 정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비(Ld1/Ld2)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각도 θ]
상기 스핀 증가 효과 X, 상기 스핀 증가 효과 Y 및 상기 수막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의 각도 θ는 바람직하게는 45도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60도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도 이상이다. 각도 α 및 각도 β의 바람직한 값을 고려하면, 각도 θ는 바람직하게는 170도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60도 이하이다.
스코어 라인 홈(8)과 미세 홈(10)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 스코어 라인 홈(8)의 에지는 미세 홈(10)에 의해 소실된다. 따라서, 스코어 라인 홈(8)의 에지에 기인하는 백스핀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스코어 라인 홈(8)과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으므로, 백스핀은 증가될 수 있다.
미세 홈(10)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 미세 홈(10)의 에지는 다른 미세 홈(10)에 의해 소실된다. 따라서, 미세 홈(10)의 에지에 기인하는 백스핀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미세 홈(10)은 서로 교차하지 않으므로, 백스핀은 증가될 수 있다.
라운드부(R)를 마련함으로써, 미세 홈(10)의 연장 방향은 다양한 스윙 궤도에 대해 수직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스윙 궤도에서의 백스핀 증가가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라운드부(R)는 다양한 페이스 오픈 각도에 맞춰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페이스 오픈 각도에서의 백스핀 증가가 가능해진다. 라운드부(R)는, 미세 홈(10)에 흘러 들어온 물을 저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운드부(R)는 수막 억제 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면적 Sa]
본원에서는, 면적 Sa가 정의되어 있다. 복수의 스코어 라인 홈(8)의 사이에 있는 부분의 면적이 Sa이다. 면적 Sa는, 페이스면의 평면도에서의 면적이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면적 Sa는 이하의 선 (a) 내지 (f)로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이다. 스코어 라인 홈(8)의 점유 면적과 미세 홈(10)의 점유 면적(면적 Sb)은 면적 Sa에 포함된다.
(a) 직선 Lt1
(b) 직선 Lh1
(c) 탑 블레이드측에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는 스코어 라인 홈(8)[비최장 라인(8b)]
(d) 솔측에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는 스코어 라인 홈(8)[최장 라인(8a)]
(e) 서로 인접하는 비최장 라인(8b)의 힐측 단부(8bh)를 서로 연결하는 직선(도시 생략)
(f) 솔측에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는 비최장 라인(8b)의 힐측 단부(8bh)를 탑 블레이드측에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는 최장 라인(8a)의 힐측 단부에 연결하는 직선
[면적 Sb]
본원에서는, 면적 Sb가 정의되어 있다. 미세 홈(10)의 면적(총 면적)이 Sb이다. 면적 Sb는, 페이스면의 평면도에서의 면적이다. 돌출부(12)가 마련되는 경우, 돌출부(12)의 점유 면적은 면적 Sb에 포함된다.
돌출부(12)의 폭이 도 3에 양방향 화살표 W3로 나타내어져 있다. 특히, 웨트 스핀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W3/W2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Sb/Sa의 적정화의 관점에서, W3/W2는 바람직하게는 0.7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이다.
미세 홈(10)에 의한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 Sb/Sa는 바람직하게는 0.14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17 이상이다. Sb/Sa가 과도하게 큰 경우, 임팩트시에 볼과 페이스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감소된다. 이 접촉 면적이 너무 작으면, 스핀량이 감소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Sb/Sa는 바람직하게는 0.44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35 이하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원의 도면에서는, 미세 홈(10)의 폭이 비교적 좁게 그려져 있다. 이들 도면에서, 면적 Sb는 실제보다 작다.
각도 θ, 각도 α, 각도 β, 면적 Sa 및 면적 Sb는 페이스면[랜드 에리어(LA)]의 정면도에서의 값이다. 각도 θ, 각도 α 및 각도 β는 랜드 에리어(LA)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판단된다.
Sb/Sa를 바람직한 값으로 설정하는 관점에서, 이웃하는 스코어 라인 홈(8)의 사이에 마련되는 미세 홈(10)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이다. Sb/Sa를 바람직한 값으로 설정하는 관점에서, 이웃하는 스코어 라인 홈(8)의 사이에 마련되는 미세 홈(10)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8개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개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개 이하이다.
골프 룰의 관점에서, 스코어 라인의 홈 깊이 D1(㎜)은 바람직하게는 0.508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48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60 ㎜ 이하이다. 스코어 라인의 홈 깊이 D1이 너무 작으면, 이 홈의 횡단면의 면적 A1이 줄어들어, 스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코어 라인의 홈 깊이 D1은 바람직하게는 0.100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00 ㎜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0 ㎜ 이상이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밝힌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두 종류의 테스트를 행하였다. 테스트 1에서는, 실시예 A 내지 G를 평가하였다. 테스트 2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및 2를 평가하였다.
[테스트 1]
실시예 A 내지 G와 기준 클럽을 이용하여, 테스트 1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A]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클리블랜드 CG16 단조 웨지"(상표명)의 헤드(스코어 라인 홈 형성 이전)를 준비했다. 이 헤드에, CNC 가공기를 이용하여 스코어 라인 홈을 형성했다. 이어서, 레이저 가공기에 의해, 미세 홈과 돌출부를 형성했다. 레이저의 종류는 YAG 레이저였다. 헤드의 리얼 로프트각은 58도로 설정하였다. 이 헤드에 그립 및 샤프트를 장착하여 테스트용 클럽을 얻었다. 그립은, Golf Pride Company에서 제조한 Tour Velvet Rubber였다. 샤프트는, True Temper Sports, Inc.에서 제조한 Dynamic Gold였다.
도 10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미세 홈(10)과 돌출부(12)를 형성하였다. 레이저 가공에는 두 종류의 레이저를 사용하였다. 제1 레이저가 페이스면에 조사된 후, 제2 레이저가 페이스면에 조사되었다. 돌출부의 형성은, 제1 레이저에 의해 달성되었다. 미세 홈의 색과 깊이 D2는 제2 레이저에 의해 조정되었다. 레이저의 사양은 이하와 같다.
[제1 레이저]
- 조사 속도(㎜/sec): 300
- 전류(A): 20
- 주파수(kHz): 10
[제2 레이저]
- 조사 속도(㎜/sec): 500
- 전류(A): 15
- 주파수(kHz): 5
조사 속도는,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의 이동 속도이다. 이 조사 속도가 느릴수록, 단위 면적당 조사 에너지가 커지고, 온도가 높아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레이저의 조사 속도를 제2 레이저의 조사 속도보다 느리게 설정하였다.
실시예 A의 헤드를 전술한 바와 같이 얻었다. 실시예 A의 미세 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이었다. 5개의 미세 홈을, 이웃하는 스코어 라인 홈의 사이에 형성하였다. 길이 Ld1 및 길이 Ld2를 1 ㎜로 설정하였다. 이 헤드의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1에 나타내어져 있다. 미세 홈과 돌출부에 대한 형상 측정에는, Alicona Imaging GmbH에서 제조한 "INFINITE FOCUS optical 3D Measurement Device G4F"(상표명)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B 내지 G]
표 1에 나타내어진 사양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A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실시예 B 내지 G의 헤드 및 클럽을 얻었다. 실시예 B, C, D, E 및 G의 미세 홈은, 도 5의 미세 홈과 유사한 형태이다. 실시예 F의 미세 홈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형태이다. 이러한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1에 나타내어져 있다.
[기준 클럽]
모든 미세 홈이 스코어 라인 홈과 평행하게 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A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기준 클럽을 확보하였다.
[테스트 1에서의 백스핀의 평가 방법]
0 내지 9의 핸디캡을 갖는 10명의 골퍼가 테스터로서 평가를 행하였다.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SRIXON Z-STAR2"(상표명)을 볼로 사용하였다. 타구 지점 및 목표 지점을 정하고, 페어웨이에 놓인 볼을 테스터가 하프 샷으로 타격하였다. 타구 지점과 목표 지점에 위치한 컵 사이의 거리를 30 야드로 설정하였다. 타구 직후의 백스핀량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에는 ISG A/S 덴마크에서 제조한 "TrackMan"(상표명)을 사용하였다. 각 테스터는, 세 가지 페이스 상태 각각에서, 각 클럽마다 10회 타구하였다. 상기한 세 가지 페이스 상태는 스퀘어 페이스, 오픈 페이스 및 클로즈 페이스이다. 스퀘어 페이스에서는, 페이스를 목표를 향하게 하고서 샷을 실시하였다. 오픈 페이스에서는, 페이스를 약 30도 오픈하고서 샷을 실시하였다. 클로즈 페이스에서는, 페이스를 약 10도 클로즈하고서 샷을 실시하였다. 모든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기준 클럽과 비교하였을 때의 백스핀의 차가, "스퀘어 페이스에서의 백스핀", "오픈 페이스에서의 백스핀" 및 "클로즈 페이스에서의 백스핀"의 각 섹션에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값들은 반올림되어 있다.
테스트 1은, 스핀 증가 효과 X가 스핀 증가 효과 Y보다도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테스트 1의 결과는, 페이스를 오픈 또는 클로즈함으로써 다양한 백스핀이 얻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컨트롤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13037738499-pat00001
[테스트 2]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및 2를 이용하여, 테스트 2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표 2에 나타내어진 사양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A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헤드 및 클럽을 얻었다. 이러한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2에 나타내어져 있다.
[비교예 1]
미세 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A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비교예 1의 헤드 및 클럽을 얻었다. 이러한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2에 나타내어져 있다.
[비교예 2]
실시예 1을 변경하였다. 비교예 2의 양태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스코어 라인 홈(8)에 인접한 미세 홈(10)의 제1 방향 연장부(d1) 및 제2 방향 연장부(d2)가 연장되어, 미세 홈(10)이 스코어 라인 홈(8)에 교차하였다. 전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비교예 2의 헤드 및 클럽을 얻었다. 이러한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2에 나타내어져 있다.
[실시예 4 내지 8]
표 3에 나타내어진 사양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A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실시예 4 내지 8의 헤드 및 클럽을 얻었다. 이러한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3에 나타내어져 있다.
[실타 드라이 스핀의 평가 방법]
0 내지 9의 핸디캡을 갖는 10명의 골퍼가 테스터로서 평가를 행하였다.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SRIXON Z-STAR2"(상표명)을 볼로 사용하였다. 타구 지점 및 목표 지점을 정하고, 페어웨이에 놓인 볼을 테스터가 하프 샷으로 타격하였다. 타구 지점과 목표 지점에 위치한 컵 사이의 거리를 30 야드로 설정하였다. 페이스를 약 30도 오픈하고서 샷을 실시하였다. 타구 직후의 백스핀량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에는 ISG A/S 덴마크에서 제조한 "TrackMan"(상표명)을 사용하였다. 각 테스터는 각 클럽마다 10회 타구하였다. 데이터의 평균값이, 이하의 표 2의 "실타 드라이 스핀"의 섹션에 나타내어져 있다.
[실타 웨트 스핀의 평가 방법]
페이스면에 젖은 종이를 부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타 드라이 스핀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실타 웨트 스핀을 계측하였다. 데이터의 평균값이, 이하의 표 2의 "실타 웨트 스핀"의 섹션에 나타내어져 있다.
젖은 종이로서,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에서 제조한 "Sontara"(상표명)를 사용하였다. 젖은 종이의 두께는 1 ㎜ 이하이고, 젖은 종이의 재질은 목재 펄프 및 폴리에스테르이다. 이 종이에 슬릿을 형성한 후, 물에 적셔서 상기 젖은 종이로 사용하였다. 이 젖은 종이를 사용함으로써, 페이스면에 균일한 수막이 존재하는 것과 동등한 조건이 정확하게 재현될 수 있다. 이 젖은 종이에 의해, 러프의 조건이 정확하게 재현될 수 있다.
[M/C 드라이 스핀의 평가 방법]
스윙 로봇을 사용하였다. 스윙 궤적에 대해 페이스가 30도 오픈되도록, 로봇에 클럽을 세팅하였다. 스윙 로봇은 각 클럽마다 10회 타구하였다. 전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실타 드라이 스핀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로봇에서의 드라이 스핀의 데이터를 얻었다. 데이터의 평균값이, 이하의 표 2의 "M/C 드라이 스핀"의 섹션에 나타내어져 있다.
[M/C 웨트 스핀의 평가 방법]
스윙 로봇을 사용하였다. 페이스에 젖은 종이를 부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M/C 드라이 스핀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M/C 웨트 스핀을 계측하였다. 데이터의 평균값이, 이하의 표 2의 "M/C 웨트 스핀"의 섹션에 나타내어져 있다.
Figure 112013037738499-pat00002
Figure 112013037738499-pat00003
표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웨트 스핀과 드라이 스핀간의 차가 작다. 실시예에서는, 웨트 스핀의 표준 편차가 작다. 웨트 스핀에서의 불균일은 특히 아이언 샷에서 일어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웨트 스핀에서의 불균일은, 예를 들어 러프에서의 샷에서 플라이어를 발생시켜, 큰 미스샷으로 이어지기 쉽다. 예를 들어, 러프에서의 어프로치의 정확도는, 웨트 스핀에서의 불균일에 의해 저하된다. 이러한 불균일은, 스코어 메이킹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러한 웨트 스핀에서의 불균일은 본 실시예에 의해 억제된다. 이러한 억제는 스코어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2를 비교해 보면, 실시예 1의 백스핀은 비교예 2의 백스핀보다 크다. 실시예 1에서는 스코어 라인 홈과 미세 홈이 서로 교차하지 않으므로, 실시예 1은 우수한 백스핀 성능을 갖는다.
표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Sb/Sa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특히 웨트 스핀에서의 불균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이점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스코어 라인 홈을 포함하는 모든 골프 클럽 헤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이언 타입 골프 클럽 헤드, 우드 타입 골프 클럽 헤드, 유틸리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하이브리드 타입 골프 클럽 헤드 및 퍼터 타입 골프 클럽 헤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6)

  1. 페이스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로서,
    상기 페이스는 복수의 스코어 라인 홈과, 복수의 미세 홈, 그리고 랜드 에리어를 갖고,
    상기 미세 홈의 깊이가 0.03 ㎜ 미만이며,
    상기 미세 홈의 폭이 0.1 ㎜ 이상 0.3 ㎜ 이하이고,
    상기 미세 홈의 피치가 0.3 ㎜ 이상 0.8 ㎜ 이하이며,
    상기 미세 홈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방향 연장부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방향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1 방향은, 힐측으로 갈수록 탑 블레이드측을 향하게 되는 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토우측으로 갈수록 탑 블레이드측을 향하게 되는 방향이고, 그리고
    상기 스코어 라인 홈과 상기 미세 홈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라인 홈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사이의 각도의 절대값을 α라 하고, 상기 스코어 라인 홈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각도의 절대값을 β라 할 때, α≤β로 설정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각도 α는 5도 이상 45도 이하이고, 각도 β는 5도 이상 90도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은 상기 제1 방향 연장부와 상기 제2 방향 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각도 θ가 45도 이상 170도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연장부와 상기 제2 방향 연장부를 연결하는 라운드부를 더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코어 라인 홈의 사이에 있는 부분의 면적을 Sa라 하고, 상기 미세 홈의 면적을 Sb라 할 때, Sb/Sa가 0.14 이상 0.44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은 레이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 에리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이 돌출부는 상기 미세 홈을 따라 연장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미세 홈에 인접해 있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미세 홈의 탑 블레이드측과 솔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미세 홈의 탑 블레이드측에만 마련되어 있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을 W3라 하고, 상기 미세 홈의 폭을 W2라 할 때, W3/W2가 0.1 이상 0.7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β는 상기 각도 α보다 큰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연장부의 길이를 Ld1이라 하고, 상기 제2 방향 연장부의 길이를 Ld2라 할 때, 상기 길이 Ld1은 상기 길이 Ld2보다 큰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6. 제15항에 있어서, Ld1/Ld2가 1.2 이상 11.5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KR1020130047513A 2012-04-30 2013-04-29 골프 클럽 헤드 KR101404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4280 2012-04-30
JP2012104280A JP5937417B2 (ja) 2012-04-30 2012-04-30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571A KR20130122571A (ko) 2013-11-07
KR101404293B1 true KR101404293B1 (ko) 2014-06-05

Family

ID=4945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513A KR101404293B1 (ko) 2012-04-30 2013-04-29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49692B2 (ko)
JP (1) JP5937417B2 (ko)
KR (1) KR101404293B1 (ko)
CN (1) CN1033722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3612B2 (en) * 2009-08-06 2011-12-27 Nike, Inc.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one or more face channels
JP6362319B2 (ja) * 2013-11-08 2018-07-25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449565B2 (ja) * 2014-06-20 2019-01-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6981954B2 (ja) * 2014-06-20 2021-12-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6277B2 (ja) * 2014-07-09 2018-09-05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130025B2 (en) 2014-10-24 2021-09-28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s with energy storage features
JP2016106904A (ja) * 2014-12-08 2016-06-2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861865B1 (en) * 2014-12-24 2018-01-0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Hollow golf club head with step-down crown and shroud forming second cavity
JP2016221099A (ja) * 2015-06-02 2016-12-28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製造方法、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設計方法
TWI538715B (zh) * 2015-06-12 2016-06-21 The club head of the golf club head
GB2556839B (en) 2015-09-11 2021-03-17 Karsten Mfg Corp Golf club head having surface features that influence golf ball spin
US9844709B2 (en) * 2015-09-24 2017-12-19 Acushnet Company Golf club striking surface
JP6447453B2 (ja) * 2015-10-19 2019-01-09 株式会社遠藤製作所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7080378A (ja) * 2015-10-28 2017-05-18 ブレア・エム・フィリップ パターヘッドの溝パターン
US9849358B2 (en) 2016-01-13 2017-12-26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20170203182A1 (en) * 2016-01-20 2017-07-20 John R. Spelman Golf putter with training device
US11161020B2 (en) 2016-12-19 2021-11-02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Localized milled golf club face
JP7016869B2 (ja) 2016-12-19 2022-02-07 カーステン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局所的にフライス加工されたゴルフクラブフェース
US10857430B2 (en) 2016-12-19 2020-12-08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Localized milled golf club face
JP6871798B2 (ja) * 2017-04-26 2021-05-12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701557B2 (en) 2017-08-10 2023-07-18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s
US10874915B2 (en) 2017-08-10 2020-12-2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s
JP7034671B2 (ja) * 2017-11-07 2022-03-14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804105B2 (ja) * 2018-06-26 2020-12-23 株式会社遠藤製作所 微小突条の形成方法及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683771B2 (ja) * 2018-08-08 2020-04-22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740295B2 (ja) * 2018-08-08 2020-08-12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20089413A (ja) * 2018-12-03 2020-06-11 ヨネックス株式会社 ゴルフ用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用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6770600B2 (ja) * 2019-01-29 2020-10-14 美津濃株式会社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ヘッ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8277A (en) 1998-07-13 2000-04-11 Raymond; David Golf club head having upwardly directed and opposing, oblique score lines
KR20080013754A (ko) * 2006-08-07 2008-02-13 브리지스톤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골프 클럽 헤드
KR20080049603A (ko) * 2006-11-30 2008-06-04 브리지스톤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골프 클럽 헤드
JP2010088678A (ja) 2008-10-08 2010-04-2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088A (en) * 1993-01-19 1995-08-01 Igarashi; Lawrence Y. Method of making a golf club that provides enhanced backspin and reduced sidespin
JP3000921B2 (ja) * 1996-03-25 2000-01-17 株式会社遠藤製作所 ゴルフクラ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53575A (ja) 2000-11-20 2002-05-28 Mizuno Corp フェース面上に極細加工を施したゴルフクラブ
US7758449B2 (en) * 2003-12-12 2010-07-20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having a grooved and textured face
US20060025233A1 (en) * 2004-08-02 2006-02-02 Ming-Chuan Lin Striking surface of golf club heads
JP2007202633A (ja) * 2006-01-31 2007-08-16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7319344A (ja) * 2006-05-31 2007-12-13 Maruman Kk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5170992B2 (ja) 2006-07-24 2013-03-27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452283B2 (en) * 2006-09-18 2008-11-18 Callaway Golf Company Putterhead with dual milled face pattern
JP2008079969A (ja) * 2006-09-28 2008-04-10 Sri Sports Ltd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917415B2 (ja) * 2006-11-28 2012-04-18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287401B2 (en) * 2006-11-28 2012-10-16 Bridgestone Sports Co., Ltd. Putter head
JP4917414B2 (ja) 2006-11-28 2012-04-18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979450B2 (ja) 2007-04-28 2012-07-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USD570934S1 (en) * 2007-05-01 2008-06-10 Bridgestone Sports Co., Ltd. Putter head
JP5060408B2 (ja) * 2008-06-05 2012-10-3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161692B2 (ja) * 2008-08-01 2013-03-1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5485779B2 (ja) * 2010-04-30 2014-05-07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485780B2 (ja) 2010-04-30 2014-05-07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337324B2 (en) * 2010-05-18 2012-12-25 Nike, Inc.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with high contact area groove configurations
US8827832B2 (en) * 2011-04-12 2014-09-09 Cobra Golf Incorporated Golf club heads with enlarged grooves
US8684861B2 (en) * 2011-08-23 2014-04-01 Sri Sports Limited Golf club head
JP5227448B2 (ja) * 2011-09-13 2013-07-0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5950624B2 (ja) * 2012-02-29 2016-07-1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858361B2 (en) * 2013-01-18 2014-10-14 Dunlop Sports Co. Ltd. Golf club head with textured striking f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8277A (en) 1998-07-13 2000-04-11 Raymond; David Golf club head having upwardly directed and opposing, oblique score lines
KR20080013754A (ko) * 2006-08-07 2008-02-13 브리지스톤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골프 클럽 헤드
KR20080049603A (ko) * 2006-11-30 2008-06-04 브리지스톤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골프 클럽 헤드
JP2010088678A (ja) 2008-10-08 2010-04-2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49692B2 (en) 2015-10-06
JP2013230280A (ja) 2013-11-14
US20130288820A1 (en) 2013-10-31
KR20130122571A (ko) 2013-11-07
CN103372292A (zh) 2013-10-30
JP5937417B2 (ja) 2016-06-22
CN103372292B (zh)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293B1 (ko) 골프 클럽 헤드
KR101444011B1 (ko) 골프 클럽 헤드
JP517258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737931B2 (ja) ゴルフクラブ打撃表面
US8727908B2 (en) Golf club head
JP5219482B2 (ja) ゴルフパター用ヘッド及びゴルフパター
US8579723B2 (en) Golf club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819756B2 (en) Golf club head
JP5060408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949820B (zh) 高尔夫球杆组
JP5592065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0035704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5129221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12507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993630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180126230A1 (en) Golf club
JP6871798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