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108B1 -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0108B1 KR101400108B1 KR1020130124288A KR20130124288A KR101400108B1 KR 101400108 B1 KR101400108 B1 KR 101400108B1 KR 1020130124288 A KR1020130124288 A KR 1020130124288A KR 20130124288 A KR20130124288 A KR 20130124288A KR 101400108 B1 KR101400108 B1 KR 1014001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cooker
- inner pot
- wate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밥솥이 자동으로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을 감지하고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밥물을 내솥에 정확히 공급하여 우수한 품질의 밥을 만들 수 있도록 된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솥과 내솥, 콘트롤부, 입력부, 표시부, 중량검지부 및 전열부를 갖춘 몸통과, 이 몸통의 상부에 힌지되어 착탈됨과 더불어 밥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를 갖춘 뚜껑를 포함하는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1000)은, 상기 몸통(1100)이, 상기 콘트롤부(1110)의 신호를 받아 외솥(118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솥(1170)을 밥솥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면 내솥(1170)의 상부림(RIM)에 가해졌던 잔류 압력을 소거시키게 되고, 상기 중량검지부(1150)를 작동시켜서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 데이터를 검지한 후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양을 산출하여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계산하여 상기 급수부(1210)를 통해 밥물을 공급받은 후 내솥(1170)을 전기밥솥의 뚜껑(1200)쪽으로 이동시켜 내솥(1170)의 림(RIM)을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에 압착시키도록 된 내솥승하강부(11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솥과 내솥, 콘트롤부, 입력부, 표시부, 중량검지부 및 전열부를 갖춘 몸통과, 이 몸통의 상부에 힌지되어 착탈됨과 더불어 밥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를 갖춘 뚜껑를 포함하는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1000)은, 상기 몸통(1100)이, 상기 콘트롤부(1110)의 신호를 받아 외솥(118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솥(1170)을 밥솥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면 내솥(1170)의 상부림(RIM)에 가해졌던 잔류 압력을 소거시키게 되고, 상기 중량검지부(1150)를 작동시켜서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 데이터를 검지한 후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양을 산출하여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계산하여 상기 급수부(1210)를 통해 밥물을 공급받은 후 내솥(1170)을 전기밥솥의 뚜껑(1200)쪽으로 이동시켜 내솥(1170)의 림(RIM)을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에 압착시키도록 된 내솥승하강부(11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밥솥이 자동으로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을 감지하고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밥물을 내솥에 정확히 공급하여 우수한 품질의 밥을 만들 수 있도록 된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양질의 밥을 만드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에 상응하는 정확한 밥물의 양을 결정하고 공급하는 일이다. 통상적으로 전기밥솥의 사용자는 쌀 계량컵을 이용하여 밥을 만들기 위한 쌀의 양을 정하여 내솥에 투입하고 내솥에 각인 되어있는 밥물 계량눈금을 이용하여 투입되어진 쌀의 분량에 해당되는 적당한 양의 밥물을 내솥에 투입한 후 취사를 시작한다.
이러한 전기밥솥의 일예가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 제10-131762호 "예약 취사용 계량 수조가 구비된 전기밭솥"이 공지되어 있는바, 예약취사 개시되는 시점에 밥물이 쌀에 혼합되게 투입되므로 쌀이 변색 또는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지어진 밥맛이 우수하도록 한 장점이 있으며, 쌀이 너무 오래 불려져서 죽과 같이 질은 상태가 되지 않고 최적의 밥 상태로 지어질 수 있게 한 장점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등록 제10-131762호의 전기밥솥은 내솥에 투입된 쌀의 중량 측정과 이에 상응하여 취사에 소요되는 밥물의 계산을 수작업으로 해야 하므로 취사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생활에 있어서 전기밥솥으로 밥을 만들때 쌀 계량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경우 밥물의 양은 전적으로 사용자의 경험을 기준하여 결정되어지며 만일 밥물 계산이 잘못 이루어질 경우 결과물로 설익은 밥 혹은 되거나 질은 밥 등 만족스럽지 못한 품질의 밥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을 전기밥솥에 구비 되어진 중량검지수단으로 계량하고 이에 상응하는 밥물 또한 중량검지수단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계량하면서 내솥에 투입하여 좋은 품질의 밥을 만들기 위한 기술이 특허 제10-0755463호 "로드셀이 장착된 전기압력밥솥"과 특허 제10-1220250호로 "밥솥"이 개시되어 있다.
인용된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쌀을 내솥에 투입하면 전기밥솥의 중량검지수단이 내솥에 투입된 쌀의 중량을 검지하고 이 쌀의 취사에 필요한 밥물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투입되어진 밥물의 양을 관측하면서 지시되어진 양의 밥물 투입을 완료한 후 뚜껑을 닫고 취사를 실시하게 된다.
인용된 발명에서 쌀과 밥물의 계량이 밥솥의 뚜껑을 닫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이유는 뚜껑을 닫을 경우 밥솥의 뚜껑에 설치된 밀폐수단이 내솥의 림에 압착되는 동시에 전기밥솥의 중량검지수단에도 압력을 전달하여 중량검지수단이 내솥에 투입되는 쌀과 밥물의 실중량을 검지할 수 없기 때문이며 이 또한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전기밥솥의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내솥에 투입된 쌀의 중량을 측정하고 취사에 필요한 밥물을 계산하고 공급하여 자동화된 취사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 전기밥솥의 제조를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 제10-131762호 " 예약 취사용 계량 수조가 구비된 전기밭솥"과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등록 제10-0755463호 "로드셀이 장착된 전기압력밥솥" 및 특허 제10-1220250호로 "밥솥".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밥솥의 내솥에 투입된 쌀의 중량 측정과 이에 상응하여 취사에 소요되는 밥물의 계산 및 급수되는 밥물의 계량을 전기밥솥의 뚜껑이 닫혀진 상태에도 이루어지게 하여 취사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함으로서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에 정확하게 상응하는 밥물을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투입되게 하여 항상 고품질의 밥을 만들 수 있도록 된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예약 취사시에도 쌀과 밥물을 미리 혼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예약 취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쌀의 불림 현상이나 쌀의 변색 변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밥의 품질 저하 등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된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은, 외솥과 내솥, 콘트롤부, 입력부, 표시부, 중량검지부 및 전열부를 갖춘 몸통과, 이 몸통의 상부에 밥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를 갖추되, 상기 몸통은, 상기 콘트롤부의 신호를 받아 외솥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솥을 밥솥 뚜껑에 설치된 밀폐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내솥의 상부림에 가해졌던 잔류 압력을 소거시키게 되고, 상기 중량검지부를 작동시켜서 내솥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 데이터를 검지한 후 내솥에 투입되어진 쌀의 양을 산출하여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계산하여 상기 급수부를 통해 밥물을 공급받은 후 내솥을 전기밥솥의 뚜껑쪽으로 이동시켜 내솥의 림을 뚜껑에 설치된 밀폐수단에 압착시키도록 된 내솥승하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솥승하강부는, 외솥의 내측수용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외부하우징과, 이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그 외주 표면 둘레에 원형으로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치차부가 형성되고, 그 내주 표면에는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나사부가 양각 혹은 음각으로 구성된 승하강매개링과, 이 승하강매개링의 내부에 체결되되, 그 외주 표면에는 상기 승하강매개링의 내주 표면에 각인되어져 있는 암나사부에 대응하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상단에는 승하강매개링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외부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하로 이송되도록 가이드가 돌출되어 구비된 승하강링과, 상기 승하강매개링에 치합되도록 외부하우징에 수용된 기어와, 이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축이 구비됨과 더불어 외솥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솥승하강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내솥승하강부의 구성은 내솥승하강을 유발할 수 있는 제어가능한 모든 승하강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는, 수도와 직접 연결된 수도관 연결 직수유로와, 이 직수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에 의해 작동하면서 수도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입수제어밸브인 제1밸브이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착탈식 물통이 결합되는 물통결합유로와, 이 물통결합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에 의해 작동하면서 물통의 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제2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에는 물통이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밥물수조 착탈감지센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직수유로에는 수압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에 의하면, 내솥승하강부에 의해 내솥이 승하강하여 전기밥솥이 자동으로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을 감지하고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밥물을 내솥에 정확히 공급하여 우수한 품질의 밥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에 의하면, 급수부가 수도관에 직접연결되는 직수유로를 사용하거나 밥물 저장용 물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내솥승하강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내솥승하강부의 요부 확대분해도,
도 5는 도 4의 외부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 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내솥승하강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내솥승하강부의 요부 확대분해도,
도 5는 도 4의 외부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 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내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1000)은 도 1과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통(1100)과, 이 몸통의 상부에 힌지되어 개폐되는 뚜껑(1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통(1100)은, 총체적인 기능을 관장하는 콘트롤부(1110)와, 이 콘트롤부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그 외표면 소정부에 취사동작의 제어를 입력하기 위한 키조작패널로 이루어진 입력부(1120)와, 전기밥솥의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부(1130)와, 상기 몸통(1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쌀과 물을 수용하도록 된 외솥(118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솥(117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내솥승하강부(1140)와, 이 내솥에 투입되는 쌀과 밥물의 양을 계량하는 중량검지부(1150)와, 이 내솥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코일 혹은 인덕션 히팅코일로 이루어져 상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열부(1160)를 포함한다.
상기 콘트롤부(1110)는 내솥(1170)에 투입된 조리물의 종류나 그 상태 혹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밥물의 증감을 기억시켜 두는 메모리부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1200)에는 밥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1210)를 포함하되, 상기 급수부(1210)는, 수도와 직접 연결된 수도관 연결 직수유로(1211)와, 이 직수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1110)에 의해 작동하면서 수도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입수제어밸브인 제1밸브(1212)가 설치된다.
상기 직수유로(1211)에는 수압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수압의 유무를 전기밥솥 콘트롤부에 전달하여 밥물공급준비상태를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밸브(1212)는 그 원리나 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전기밥솥 콘트롤부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한 모든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1210)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착탈식 물통(1300)이 결합되는 물통결합유로(1213)와, 이 물통결합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1110)에 의해 작동하면서 물통의 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제2밸브(1214)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착탈식 물통(1300)의 밥물 배출부(1310)의 소정부에는 밥물통에 저수시킨 상태로 밥물통을 이동시킬때 밥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밥물누출방지밸브(13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120)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으로 취사명령이 실행되어지거나 콘트롤부(1110)의 메모리 모듈에 미리 입력 되어진 예약 취사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콘트롤부(1110)는 내솥승하강부(1140)를 작동시켜 내솥(1170)을 밥솥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멀어지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솥(1170)의 상부림(RIM)에 가해졌던 잔류 압력을 소거시킨다.
그리고 이때 상기 내솥(1170)이 뚜껑(1200)의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솥(1170)의 림에 가해졌던 잔류 압력이 소거된 후 상기 콘트롤부(1110)는 전기밥솥의 중량검지부(1150)를 작동시켜서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 데이터를 검지한 후 전송받아 전산처리하여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양을 산출하여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계산한다.
이후 상기 콘트롤부(1110)는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계산을 완료한 후 전기밥솥의 급수부(1210)에 구비된 제1밸브(1212) 또는 제2밸브(1214)를 작동시켜 내솥(1170)에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급수를 시작한다.
이때 상기 중량검지부(1150)는 투입되어진 밥물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검지하여 검지된 중량 데이터를 상기 콘트롤부(1110)로 전송하고 콘트롤부는 전송된 중량 데이터를 실시간 전산처리하여 급수된 밥물의 중량이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제1밸브(1212) 또는 제2밸브(1214)를 닫아서 급수를 종료한다.
한편, 급수가 완료된 후 상기 콘트롤부(1110)는 내솥승하강부(1140)를 작동시켜 내솥(1170)을 전기밥솥의 뚜껑(120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솥(1170)의 림(RIM)을 뚜껑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에 압착시켜 내솥(1170)의 림(RIM)이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분리되기 이전과 동일한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후 상기 내솥(1170)이 내솥승하강부(1140)의 작동에 의해 뚜껑의 밀폐수단(1220)에 압착되어진 상태로 복귀된 후 콘트롤부(1110)는 입력부(1120)로부터 실시간 혹은 예약 입력 되어진 취사 명령에 따라 전기밥솥의 전열부(1160)를 작동시켜 내솥(1170)에 투입된 쌀과 밥물을 가열시켜 취사 공정을 수행한다.
즉,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1000)은, 취사개시를 소망하는 시간이 도래하면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시켜 내솥(1170)을 중량검지 가능위치로 하향 이동시켜 중량검지부(1150)의 작동을 활성화한 후, 이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의 쌀의 취사에 소요되는 밥물의 무게를 계산하고, 상기 급수부(1210)을 작동시켜 급수를 시작하며 상기 중량검지부(1150)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투입되어지는 밥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필요한 밥물의 투입이 완료된 후, 상기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시켜 내솥(1170)을 상향이동시켜 내솥(1170)의 상부림을 밀폐수단(1220)에 압착시킨 후, 취사를 시작하게 된다.
상기 콘트롤부(1110)는 구동되어 취사완료시 자동보온모드로 전환시키는 밥솥구동모듈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1000)은, 상기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을 검지하여 검지된 쌀의 중량에 필요한 밥물의 중량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항상 풍미가 좋은 취사를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뚜껑(1200)에는 물통(1300)이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밥물수조 착탈감지센서(1230)가 더 설치되고, 이 밥물수조 착탈감지센서(1230)의 신호가 콘트롤부(1110)에 보내지면 제2밸브(1214)의 작동 및 정지 신호를 콘트롤부(1110)에서 받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인 내솥승하강부(1140)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내솥승하강부(1140)는, 상기 외솥(1180)의 내솥수용부(1181)상부에 안착되어 도시되지 않은 나사못 또는 레버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외부하우징(1141)과, 이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승하강매개링(1142)과, 이 승하강매개링의 내부에 체결되는 승하강링(1143)과,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에 치합되는 기어(1144)와, 이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축(1145a)이 구비된 서보모터인 구동수단(114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하우징(1141)은, 상기 승하강림(1143)이 끼워지는 승하강림수용부(1141a)과, 이 승하강림의 상부에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림의 돌출된 후술하는 가이드(1143b)가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홈(1141b)과, 상기 승하강림수용부의 축방향 반대쪽으로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이 끼워지도록 일정길이 형성된 매개링수용부(1141c)와, 이 매개링수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기어(1144)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된 기어수용부(1141d)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홈(1141b)은 외솥(1180)의 내솥수용부(1181)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141e는 상기 외부하우징(1141)을 외통내솥수용부(1181)에 안착시켜 체결하기 위해 나사못이 끼워지는 체결구멍이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은, 그 외주 표면 둘레에 원형으로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치차부(1142a)가 구성되어져 있고, 그 내주 표면에는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나사부(1142b)가 양각 혹은 음각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링(1143)은, 그 외주 표면에는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의 내주 표면에 각인되어져 있는 암나사부(1142b)에 대응하는 숫나사부(1143a)가 형성되고, 외주면 상단에 혹은 측면 소정 부위에 승하강매개링(1142)이 회전할 때 같이 따라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가이드홈(1141b)에 끼워져 상하로 이송되도록 가이드(1143b)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는 기어(1144)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지고 이때 그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1142b)가 상기 가이드(1143b)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승하강링(1143)의 수직상승 혹은 수직하강 이동을 일으키고 승하강링(1143)의 상단부에 안착되어지는 내솥(1170)의 승하강을 유발한다.
물론 상기 구동수단(1145)는 전기밥솥의 제어부인 콘트롤부(1110)에 의하여 구동되어지고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회전량은 내솥(1170)의 승하강의 거리 만큼 미리 정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작동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000)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밥물 물통(1300)에 물을 담아 전기밥솥(1000)의 뚜껑(1200)에 장착하여 밥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수도관을 상기 직수유로(1211)에 연결하면 밥물공급준비완료하는 단계(S1)와, 상기 전기밥솥(1000)의 콘트롤부(1110)로 키조작패널인 입력부(1120)에 의하여 입력되어진 실시간 혹은 예약취사명령입력을 확인하는 단계(S2)와, 예약취사명령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예약신호등록설정하는 단계(S3)와, 등록설정된 예약신호의 취사시간이 도래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S4)와, 취사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하고 중량검지부(1150)를 구동하여 쌀중량을 검지하여 밥물을콘트롤부(1110)에서 계산하는 단계(S5)와, 상기 급수부(1210)의 장착유무 혹은 직수유로(1211)의 수압유무를 검지한 후 사용 가능한 밥물 공급 수단을 결정하여 상기 급수부(1210)의 제1밸브(1212) 또는 제2밸브(1214)를 개폐하도록 신호를 보내고 중량검지부(1150)를 구동하여 급수량을 검지하는 단계(S6)와,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7)와,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하고 밥솥 구동모듈을 동작하도록 콘트롤부(1110)에서 취사개시가 이루어지는 단계(S8)와, 취사시간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9)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직수유로(1211)에는 도시되지 않은 수압감지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수도관의 연결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을 전기밥솥 콘트롤부(1110)에 전송하여 제1밸브(1212)의 제어를 통해서 유입되는 밥물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7)에서 급수가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급수부(1210) 또는 중량검지부(1150)의 이상신호를 판단하도록 하여 급수부의 구동을 재차 실시하거나 또는 종료가 되도록 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쌀중량을 검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기밥솥(1000)의 콘트롤부(1110)는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시켜 내솥(1170)을 하향이동시켜 내솥(1170)을 전기밥솥 뚜껑(1200)부위에 구비되어져 있는 수증기누출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중량검지부(1150)에 내솥(1170)의 중량만이 부하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전기밥솥의 콘트롤부(1110)는 전기밥솥의 내솥(1170)의 중량에 따라 영점조절이 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영점조절을 수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작에 의해 전기밥솥의 콘트롤부(1110)는 내솥(1170)에 투입되어져 있는 쌀의 중량을검지하고 이의 취사에 소요되는 밥물의 중량을 계산한다. 상기 콘트롤부(1110)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밥물의 양을 증감하여 기억시켜 두는 메모리장치와 조리물의 종류와 그 상태에 따라, 예를 들면 젖었거나 마른 상태 등, 이에 따라 밥물의 중량을 가감시킬 수 있는 선택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밥물의 중량이 결정된 후 전기밥솥 콘트롤부(1110)는 밥물 급수부(1210)를 구동시켜 제1밸브(1212) 또는 제2밸브(1214)를 열어 내솥(1170)으로 밥물 인입을 시작하고 중량검지부(1150)는 실시간의 검지된 중량정보를 전기밥솥 콘트롤부(1110)로 전송한다. 계산된 중량의 밥물이 투입된 후 전기밥솥 콘트롤부(1110)는 제1밸브(1212) 또는 제2밸브(1214)에 폐쇄신호를 보내 밥물의 공급을 종료시킨다.
이후 상기 전기밥솥(1000)의 콘트롤부(1110)는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시켜 내솥(1170)을 상향이동시켜서 수증기 밀폐수단(1220)에 내솥(1170)의 상부림(1171)을 압착시켜 취사준비를 완료시키고 이후 상기 전열부(1160)를 구동시켜 취사를 완료시킨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 전기밥솥 1100 : 몸통
1110 : 콘트롤부 1120 : 입력부
1130 : 표시부 1140 : 내솥승하강부
1141 : 외부하우징 1142 : 승하강매개링
1143 : 승하강링 1144 : 기어
1145 : 구동수단 1145a : 회전축
1150 : 중량검지부 1160 : 전열부
1170 : 내솥 1171 : 상부림
1180 : 외솥 1200 : 뚜껑
1210 : 급수부 1211 : 직수유로
1212 : 제1밸브 1213 : 물통결합유로
1214 : 제2밸브 1220 : 밀폐수단
1230 : 밥물수조 착탈감지센서 1300 : 물통
1310 : 밥물통 밥물배출부 1320 : 밥물누출방지밸브
1110 : 콘트롤부 1120 : 입력부
1130 : 표시부 1140 : 내솥승하강부
1141 : 외부하우징 1142 : 승하강매개링
1143 : 승하강링 1144 : 기어
1145 : 구동수단 1145a : 회전축
1150 : 중량검지부 1160 : 전열부
1170 : 내솥 1171 : 상부림
1180 : 외솥 1200 : 뚜껑
1210 : 급수부 1211 : 직수유로
1212 : 제1밸브 1213 : 물통결합유로
1214 : 제2밸브 1220 : 밀폐수단
1230 : 밥물수조 착탈감지센서 1300 : 물통
1310 : 밥물통 밥물배출부 1320 : 밥물누출방지밸브
Claims (5)
- 외솥과 내솥, 콘트롤부, 입력부, 표시부, 중량검지부 및 전열부를 갖춘 몸통과, 이 몸통의 상부에 힌지되어 착탈됨과 더불어 밥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를 갖춘 뚜껑를 포함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몸통(1100)은, 상기 콘트롤부(1110)의 신호를 받아 외솥(118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솥(1170)을 밥솥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내솥의 상부림에 가해졌던 잔류 압력이 소거 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중량검지부(1150)를 작동시켜서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 데이터를 검지한 후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양을 산출하여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콘트롤부(1110)에서 계산하여 상기 급수부(1210)를 통해 밥물을 공급받은 후 내솥(1170)을 전기밥솥의 뚜껑(1200)쪽으로 이동시켜 내솥(1170)의 상부림을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에 압착시키도록 된 내솥승하강부(11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내솥승하강부(1140)는, 상기 외솥(1180)의 내솥수용부(1181)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외부하우징(1141)과, 이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그 외주 표면 둘레에 원형으로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치차부(1142a)가 형성되고, 그 내주 표면에는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나사부(1142b)가 양각 혹은 음각으로 구성된 승하강매개링(1142)과, 이 승하강매개링의 내부에 체결되되, 그 외주 표면에는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의 내주 표면에 각인되어져 있는 나사부(1142b)에 대응하는 나사부(1143a)가 형성되고, 외주면 상단에는 승하강매개링(1142)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외부하우징 또는 외솥의 내측수용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141a)에 끼워져 상하로 이송되도록 가이드(1143b)가 돌출되어 구비된 승하강링(1143)과,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에 치합되는 기어(1144)와, 이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축(1145a)이 구비됨과 더불어 외솥(118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1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1210)는, 수도와 직접 연결된 수도관 연결 직수유로(1211)와, 이 직수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1110)에 의해 작동하면서 수도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입수제어밸브인 제1밸브(1212)이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착탈식 물통(1300)이 결합되는 물통결합유로(1213)와, 이 물통결합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1110)에 의해 작동하면서 물통의 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제2밸브(12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200)에는 물통(1300)이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밥물수조 착탈감지센서(123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유로(1211)에는 수압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4288A KR101400108B1 (ko) | 2013-10-18 | 2013-10-18 |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
PCT/KR2014/009193 WO2015056910A1 (ko) | 2013-10-18 | 2014-09-30 |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
CN201480056849.9A CN105636485B (zh) | 2013-10-18 | 2014-09-30 | 用于自动地供应煮饭用水的电饭锅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4288A KR101400108B1 (ko) | 2013-10-18 | 2013-10-18 |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0108B1 true KR101400108B1 (ko) | 2014-05-28 |
Family
ID=5089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4288A KR101400108B1 (ko) | 2013-10-18 | 2013-10-18 |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0108B1 (ko) |
CN (1) | CN105636485B (ko) |
WO (1) | WO2015056910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65857A (zh) * | 2015-05-04 | 2015-08-26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启动饭煲的方法及装置 |
CN109691885A (zh) * | 2017-10-24 | 2019-04-30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烹饪器具及其防溢出控制方法和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19409A (zh) * | 2016-07-12 | 2016-09-07 | 邹凯明 | 一种可升降内胆的汤煲 |
CN107960871A (zh) * | 2016-10-20 | 2018-04-27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烹饪设备 |
CN107960842A (zh) * | 2016-10-20 | 2018-04-27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烹饪设备 |
CN106490990A (zh) * | 2016-12-07 | 2017-03-15 | 杭州点厨科技有限公司 | 自动加水的智能电饭煲 |
CN106821014A (zh) * | 2016-12-29 | 2017-06-13 | 常熟南师大发展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智能电饭煲 |
CN106821013A (zh) * | 2016-12-29 | 2017-06-13 | 常熟南师大发展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智能电饭煲 |
CN106691207A (zh) * | 2017-03-06 | 2017-05-24 |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 烹饪器具 |
CN106724761A (zh) * | 2017-04-05 | 2017-05-31 | 广东辉骏科技集团有限公司 | 一种具有自动加水功能的电饭煲 |
CN107440480B (zh) * | 2017-09-04 | 2022-09-16 | 浙江爱仕达生活电器有限公司 | 一种分体式自动加水电饭煲 |
CN110161919B (zh) * | 2019-05-30 | 2022-02-01 | 九阳股份有限公司 | 一种烹饪设备和烹饪设备的煮饭方法 |
CN114305073A (zh) * | 2021-12-10 | 2022-04-12 | 福满门家居工贸江苏有限公司 | 一种防溢出的自动加水电饭锅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8884A (ja) * | 1995-10-06 | 1997-04-15 | Toshiba Corp | 炊飯器 |
JP2005021464A (ja) | 2003-07-04 | 2005-01-27 | Hitachi Hometec Ltd | 炊飯器 |
JP2005342075A (ja) * | 2004-06-01 | 2005-12-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炊飯器 |
KR20130012635A (ko) * | 2011-07-26 | 2013-02-05 | 홍 데이빗 | 예약 취사용 계량 수조가 구비된 전기밥솥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12420A (ja) * | 1991-04-10 | 1992-11-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加熱調理器 |
JP4012157B2 (ja) * | 2004-02-05 | 2007-11-2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炊飯器 |
KR100755463B1 (ko) * | 2006-08-25 | 2007-09-04 |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 로드셀이 장착된 전기압력밥솥 |
KR100777117B1 (ko) * | 2006-10-11 | 2007-11-29 | 주식회사 바퍼텍 | 무인 자동 취사장치 |
CN201987285U (zh) * | 2011-04-22 | 2011-09-28 | 熊维鑫 | 全自动蒸饭煲 |
KR101069515B1 (ko) * | 2011-05-03 | 2011-09-30 | 이근영 | 면 조리용 압력솥 |
-
2013
- 2013-10-18 KR KR1020130124288A patent/KR1014001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9-30 CN CN201480056849.9A patent/CN10563648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9-30 WO PCT/KR2014/009193 patent/WO201505691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8884A (ja) * | 1995-10-06 | 1997-04-15 | Toshiba Corp | 炊飯器 |
JP2005021464A (ja) | 2003-07-04 | 2005-01-27 | Hitachi Hometec Ltd | 炊飯器 |
JP2005342075A (ja) * | 2004-06-01 | 2005-12-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炊飯器 |
KR20130012635A (ko) * | 2011-07-26 | 2013-02-05 | 홍 데이빗 | 예약 취사용 계량 수조가 구비된 전기밥솥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65857A (zh) * | 2015-05-04 | 2015-08-26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启动饭煲的方法及装置 |
EP3091694A3 (en) * | 2015-05-04 | 2017-01-11 | Xiaomi Inc. | Method and device for starting rice cooker |
RU2636374C2 (ru) * | 2015-05-04 | 2017-11-22 | Сяоми Инк.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уска рисоварки |
CN109691885A (zh) * | 2017-10-24 | 2019-04-30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烹饪器具及其防溢出控制方法和装置 |
CN109691885B (zh) * | 2017-10-24 | 2021-01-19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烹饪器具及其防溢出控制方法和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636485A (zh) | 2016-06-01 |
CN105636485B (zh) | 2017-08-11 |
WO2015056910A1 (ko) | 2015-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0108B1 (ko) |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 |
EP3051988B1 (en) | Apparatus for frothing milk | |
CA2967743C (en) | Device for processing liquids through steam | |
US10258188B2 (en) |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drinking water | |
EP2700338B1 (en) | Coffee machine | |
US8636174B1 (en) | On-demand temperature controlled water dispenser and method | |
JPH11262449A (ja) | 業務用炊飯装置 | |
JP2008018122A (ja) | 製パン機能付き炊飯器 | |
CN104161462B (zh) | 用于饮品制作机的防烫伤装置及饮品冲泡和保温方法 | |
CN106419500A (zh) | 一种全自动煮饭机器人 | |
KR20180119263A (ko) | 카트리지 교체가 편리한 음료 메이커 | |
CN108113487A (zh) |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和其控制装置 | |
KR20080000250U (ko) | 라면조리기 | |
JP2012135412A (ja) | 茹で機 | |
JP2004033479A (ja) | 全自動炊飯装置の米供給手段とこれを用いた全自動炊飯装置 | |
JP2004041286A (ja) | 電気餅つき機 | |
JP7187829B2 (ja) | 加熱調理器 | |
KR101317262B1 (ko) | 예약 취사용 계량 수조가 구비된 전기밥솥 | |
KR101272672B1 (ko) | 포트 장착형 정수기 | |
JP6919402B2 (ja) | 飲料製造装置 | |
JP2020000810A (ja) | 洗米炊飯装置 | |
JP4214956B2 (ja) | 炊飯器 | |
JP2003093227A (ja) | 炊飯機 | |
JP6775336B2 (ja) | 炊飯器 | |
JP2922829B2 (ja) | 精米機能を有する洗米炊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