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56910A1 -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56910A1
WO2015056910A1 PCT/KR2014/009193 KR2014009193W WO2015056910A1 WO 2015056910 A1 WO2015056910 A1 WO 2015056910A1 KR 2014009193 W KR2014009193 W KR 2014009193W WO 2015056910 A1 WO2015056910 A1 WO 20150569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ice
inner pot
rice cooker
wat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91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데이빗
Original Assignee
홍데이빗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데이빗 filed Critical 홍데이빗
Priority to CN201480056849.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636485B/zh
Publication of WO20150569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569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rice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he electric rice cooker automatically detects the amount of rice put into the inner pot, determines the amount of rice required for cooking, and accurately supplies the determined rice to the inner pot to make excellent quality rice.
  • An automatic rice cooker is provided.
  •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making a good quality rice using an electric rice cooker is to determine and supply the correct amount of ric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rice put in the inner pot.
  • a user of an electric rice cooker decides the amount of rice to make rice using a rice measuring cup and puts it into an inner pot, and uses an inner pot of an appropriate amount of ric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rice put into the rice using a rice measuring scale stamped on the inner pot. After cooking, start cooking.
  • An example of such an electric rice cooker is a patent registration No. 10-131762 to the Korean Patent Office by the applicant of the "electric field cooker equipped with a measuring tank for reservation cooking" is known, the rice is mixed into the rice at the time of reservation cooking start This prevents the rice from discoloration or deterioration,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making the cooked rice taste good, and also has the advantage that rice is so long that it can be cooked in an optimal rice state without being quality like porridge. have.
  • the electric rice cooker of the above-described patent registration No. 10-131762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automation of the cooking process because the manual measurement of the weight of the rice put into the inner pot and correspondingly calculation of the rice required for cooking.
  • rice measuring cups are often not used when making rice with an electric rice cooker.
  • the amount of rice is determined solely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and if the rice is miscalculated, the result is unripe rice or quality.
  • the rice of unsatisfactory quality such as silver rice is made.
  • the amount of rice put into the inner pot is measured by the weight detecting means provided in the electric rice cooker, and the corresponding rice is also put into the inner pot while measuring in real time using the weight detecting means to make good quality rice.
  • Techniques for making are disclosed in Patent No. 10-0755463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with Load Cell” and Patent No. 10-1220250, “Rice Cooker”.
  • the weight detecting means of the electric rice cooker detects the weight of the rice put into the inner pot, calculates the amount of rice required for cooking the rice, and observes the amount of rice put on the display. After the indicated amount of rice is added, the lid is closed and cooking is performed.
  • the reason why the metering of the rice and the rice is done without closing the lid of the rice cooker is that when the lid is closed, the sealing means installed on the lid of the rice cooker is pressed against the rim of the inner pot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is also transmitted to the weight detecting means of the rice cooker.
  • the weight detection means cannot detect the actual weight of the rice and rice put into the inner pot.
  • This also measures the weight of the rice put into the inner pot with the lid of the rice cooker closed without user intervention and calculates the rice required for cook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eight of the rice put into the inner pot of the electric rice cooker and the corresponding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rice required for cooking and metering of the water to be watered the lid of the rice cooker
  • the rice By providing automatic operation of the cooking process by making it close, the rice automatically matches the amount of rice put into the inner pot automatically without user's intervention, and provides the automatic rice cooker which can always make high quality rice. Has its purpose.
  • the outer pot and the inner pot, the control unit, the input unit, the display unit, the weight detection unit and the body having a heating portion, and the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 the body when receiving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to move the inner pot detachably mounted in the outer pot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ealing means installed on the cooker lid to eliminate the residual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rim of the inner pot, Operate the weight detector to detect the weight data of the rice put into the inner pot, calculate the amount of rice put into the inner pot, calculate the amount of rice required for cooking, and receive the rice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the inner pot is an electric rice cooker Moved toward the lid of the inner pot lift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to compress the rim of the inner pot to the sealing means installed on the lid It is characterized by.
  • the inner pot lifting unit the outer housing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pot is fixed to the fastening means, and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outer housing, the tooth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pitch in a circular shape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elevating media ring which has a predetermined pitch of the screw portion having an embossed or intaglio, and is engaged in the elevating media r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stamp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ing media ring
  • a male and femal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 portion is formed, and an elevating ring having a guide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outer housing while preventing the elevating medium ring from rotating as the elevating medium ring rotates.
  • a gear accommodated in the outer housing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ifting mediating ring, and a rotating shaf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gear.
  • a driving means is installed inside the o
  • the inner pot lifting unit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pot lifting unit may be composed of all controllable lifting means that can cause the inner pot lifting.
  •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a first water flow passage connected to a water pip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nd a first valve that is an inlet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supply and shut off the tap water, or a removable bucket for storing w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econd valve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coupling flow path and the water flow path coupling flow path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of the water tank while operating by the control unit.
  • the li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ce water tank detachable detection sensor is further installed for detecting that the bucket is seated.
  • the direct flow pat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pressure.
  • the inner po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inner pot lifting unit, the electric rice cooker automatically detects the amount of rice put into the inner pot, determines the amount of rice required for cooking and determines the determined rice It is effective to make rice of high quality by supplying it correctly to inner pot.
  • the automatic rice feed electric rice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use the water supply can be used by using a direct flow passag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pipe or to use a water storage tank.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rice feed electric ric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rice feed electric ric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ner pot lifting portion of the automatic rice feed electric ric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nlarged explod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inner pot lifting portion of the automatic rice feed electric ric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housing of FIG. 4;
  •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5;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n automatic rice feeder ric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rice feed electric ric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utomatic rice feed electric rice cook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nd 6, the body 1100, the lid 1200 is hi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00 It includes.
  • the body 1100 includes an input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1110 for managing overall functions, and a key operation panel for inputting control of the cooking operation to the outer surface predetermined portion for inputting a command to the control unit ( 1120, the display unit 1130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rice cooker, and the inner pot (1170) detachably mounted in the interior of the outer pot (1180) to accommodate the rice and water mounted inside the body (1100)
  • the control unit 1110 may be provided with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rice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he state or the user's preference.
  • the lid 1200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1210 for supplying water,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1210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connection direct water passage 1211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nd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control unit.
  • a first valve 1212 which is an inlet control valve adapted to supply and shut off tap water while being operated by 1110, is installed.
  • the direct water flow passage 1211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water pressure to transmit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pressure to the rice cooker control unit to determine a state of preparing rice water.
  • the first valve 1212 is not limited to the principle or structure thereof and may be configured as all valves as long as they can be controlled by the rice cooker control unit.
  • the water supply unit 1210 is a bucket coupling passage 1213 to which the removable bucket 1300 for storing water is coupled, and is installed in the bucket coupling passage and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110, the water in the bucket
  • the second valve 1214 can be installed to supply and shut off.
  •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rice discharge unit 1310 of the detachable bucket 13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ice leakage prevention valve 1320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rice when moving the rice reservoir in a state stored in the rice bucket. .
  • the control unit when a cooking command is executed by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or a touch screen (not shown) provided in the input unit 1120, or when the reserved cooking time pre-inputted in the memory module of the controller 1110 arrives, the control unit ( 1110 operates the inner pot lowering unit 1140 to move the inner pot 1170 in a lower direction away from the sealing means 1220 installed in the cooker lid 1200, and the remaining residue was applied to the upper rim of the inner pot 1170. Relieve the pressure.
  • the control unit 1110 is a weight detecting unit 1150 of the electric rice cooker. By operating the) to detect the weight data of the rice put into the inner pot (1170) and then transmitted and comput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rice put into the inner pot (1170) to calculate the amount of rice required for cooking.
  • control unit 1110 completes the calculation of the rice required for cooking and operates the first valve 1212 or the second valve 1214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1210 of the rice cooker to the inner pot 1170. Start watering the rice needed for cooking.
  • the weight detection unit 1150 detects the weight of the introduced rice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detected weight data to the control unit 1110, and the control unit computerized the transmitted weight data in real time to cook the weight of the water supplied rice.
  • the first valve 1212 or the second valve 1214 is closed to terminate the water supply.
  • control unit 1110 operates the inner pot lifting unit 1140 to move the inner pot 1170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lid 1200 of the rice cooker (RIM) of the inner pot 1170.
  • RIM rice cooker
  • the inner pot 1170 is returned to the state in which the lid is sealed to the sealing means 1220 by the operation of the inner pot lifting unit 1140, and then the control unit 1110 is a cooking command that is input in real time or in a reserved manner from the input unit 1120.
  • the control unit 1110 is a cooking command that is input in real time or in a reserved manner from the input unit 1120.
  • the rice auto-supply electric rice cooker 1000 when the desired time for the start of cooking arrives by driving the inner pot lifting unit 1140 to move the inner pot 1170 downward to the 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weight
  • the water supply unit 1210 Start the water supply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input rice to be transmitted in real time by the weight detection unit 1150, and after the required input of the rice is completed, the inner pot lifting unit 1140 by driving the inner pot (1170) ) By pressing the upper rim of the inner pot 1170 to the sealing means 1220, and starts cooking.
  • the control unit 1110 is driven to include a rice cooker drive module for switching to the automatic warming mode when cooking is completed.
  • the automatic rice feed electric rice cook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weight of the rice put into the inner pot (117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weight of the rice required for the weight of the detected rice and to inject Enables savory cooking.
  • the lid 1200, the rice tank detachment detection sensor 1230 is installed to detect that the bucket 1300 is seated, the signal of the rice tank detachment detection sensor 1230 is sent to the control unit 1110 The operation and stop signals of the ground second valve 1214 are received by the controller 1110.
  • the inner pot lifting unit 1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inner pot receiving portion 1181 of the outer pot 1180 and the outer housing 1141 which is fix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or a lever (not shown) and the outer housing
  •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or a lever (not shown) and the outer housing
  • a elevating mediating ring 1142 provided in the interior thereof, an elevating ring 1143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elevating mediating ring, a gear 1144 engaged with the elevating mediating ring 1142, and
  • a driving means 1145 which is a servomotor having a rotating shaft 1145a is provid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gear.
  • the outer housing 1141, the elevating accommodation portion 1141a into which the elevating rim 1143 is fitted, is formed to 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rim, and a guide 1143b to be described below protruding from the elevating rim is provided.
  • a gear accommodating part 1141d is provid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part and to rotatably receive the gear 1144.
  • the guide groove 1141b may be formed on the inner pot accommodating part 1181 of the outer pot 1180.
  • Reference numeral 1141e denotes a fastening hole into which a screw is inserted to seat the outer housing 1141 to the outer cylinder inner pot accommodating portion 1181.
  • the lifting mediation ring 1142 has a gear portion 1142a having a predetermined pitch circularly around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threaded portion 1142b having a predetermined pitch is embossed or engraved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consists of.
  • the elevating ring 1143 has a male screw portion 1143a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portion 1142b impri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vating medium ring 114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the guide 1143b is provided to protrude upward and downwar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41b while preventing the lifting mediation ring 1142 to rotate alo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ide.
  • the raising and lowering medial ring 1142 is rotated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gear 1144, and the screw 1114b formed therein is the lift is constrained by the guide 1143b It causes the vertical rise or fall of the falling ring (1143) and causes the lowering of the inner pot (1170) that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ing (1143).
  • the driving means 1145 is driven by the control unit 1110, which is a control unit of the electric rice cooker and rotat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amount of rotation is configured in advance by the distance of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inner pot 1170.
  •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rice-powered ric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puts water in the rice bucket 1300, mounted on the lid 1200 of the electric rice cooker 1000 to supply rice or water pipes
  • the step of preparing the rice supply is completed (S1), and the real-time or reserved cooking command inputted by the input unit 1120, which is a key operation panel, to the control unit 1110 of the electric rice cooker 1000.
  • the direct flow passage 121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not shown, and the water pressure generated by the connection of the water pipes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rice cooker control unit 1110 through the control of the first valve 1212. You can control the flow of water.
  • step S7 of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if the water supply is not completed, an abnormal signal of the water supply unit 1210 or the weight detection unit 1150 is determined so that the water supply unit is driven again or terminated. It further includes (S10).
  • the control unit 1110 of the rice cooker 1000 drives the inner pot lifting unit 1140 to move the inner pot 1170 downward to the inner pot 1170 to the electric rice cooker lid 1200 Separated from the steam leakage sealing means 1220 provided in the so that the weight detection unit 1150 only the weight of the inner pot (1170) can be detected as a load.
  • the control unit 1110 of the rice cooker is adjusted to zero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inner pot 1170 of the rice cooker or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zero control.
  • control unit 1110 of the electric rice cooker detects the weight of the rice put into the inner pot 1170 and calculates the weight of the rice required for cooking thereof.
  • the control unit 1110 increases or decreases the amount of the rice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stores the amount of the rice according to the type and state of the food, such as a wet or dry state. It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selection key.
  • the rice cooker control unit 1110 drives the rice water supply unit 1210 to open the first valve 1212 or the second valve 1214 to start the rice inlet to the inner pot 1170, and the weight The detector 1150 transmits the detected weight information in real time to the rice cooker controller 1110. After the rice of the calculated weight is input, the rice cooker control unit 1110 sends a closing signal to the first valve 1212 or the second valve 1214 to terminate the supply of rice.
  • control unit 1110 of the electric rice cooker 1000 drives the inner pot lifting unit 1140 to move the inner pot 1170 upward to compress the upper rim 1171 of the inner pot 1170 to the water vapor sealing means 1220. To complete the cooking preparation and then drive the heat transfer unit 1160 to complete the co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밥솥이 자동으로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을 감지하고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밥물을 내솥에 정확히 공급하여 우수한 품질의 밥을 만들 수 있도록 된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1000)은, 상기 몸통(1100)이, 콘트롤부(1110)의 신호를 받아 외솥(118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솥(1170)을 밥솥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면 내솥(1170)의 상부림(RIM)에 가해졌던 잔류 압력을 소거시키게 되고, 중량검지부(1150)를 작동시켜서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 데이터를 검지한 후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양을 산출하여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계산하여 상기 급수부(1210)를 통해 밥물을 공급받은 후 내솥(1170)을 전기밥솥의 뚜껑(1200)쪽으로 이동시켜 내솥(1170)의 림(RIM)을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에 압착시키도록 된 내솥승하강부(11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밥솥이 자동으로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을 감지하고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밥물을 내솥에 정확히 공급하여 우수한 품질의 밥을 만들 수 있도록 된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양질의 밥을 만드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에 상응하는 정확한 밥물의 양을 결정하고 공급하는 일이다. 통상적으로 전기밥솥의 사용자는 쌀 계량컵을 이용하여 밥을 만들기 위한 쌀의 양을 정하여 내솥에 투입하고 내솥에 각인 되어있는 밥물 계량눈금을 이용하여 투입되어진 쌀의 분량에 해당되는 적당한 양의 밥물을 내솥에 투입한 후 취사를 시작한다.
이러한 전기밥솥의 일예가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 제10-131762호 "예약 취사용 계량 수조가 구비된 전기밭솥"이 공지되어 있는바, 예약취사 개시되는 시점에 밥물이 쌀에 혼합되게 투입되므로 쌀이 변색 또는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지어진 밥맛이 우수하도록 한 장점이 있으며, 쌀이 너무 오래 불려져서 죽과 같이 질은 상태가 되지 않고 최적의 밥 상태로 지어질 수 있게 한 장점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등록 제10-131762호의 전기밥솥은 내솥에 투입된 쌀의 중량 측정과 이에 상응하여 취사에 소요되는 밥물의 계산을 수작업으로 해야 하므로 취사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생활에 있어서 전기밥솥으로 밥을 만들때 쌀 계량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경우 밥물의 양은 전적으로 사용자의 경험을 기준하여 결정되어지며 만일 밥물 계산이 잘못 이루어질 경우 결과물로 설익은 밥 혹은 되거나 질은 밥 등 만족스럽지 못한 품질의 밥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을 전기밥솥에 구비 되어진 중량검지수단으로 계량하고 이에 상응하는 밥물 또한 중량검지수단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계량하면서 내솥에 투입하여 좋은 품질의 밥을 만들기 위한 기술이 특허 제10-0755463호 "로드셀이 장착된 전기압력밥솥"과 특허 제10-1220250호로 "밥솥"이 개시되어 있다.
인용된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쌀을 내솥에 투입하면 전기밥솥의 중량검지수단이 내솥에 투입된 쌀의 중량을 검지하고 이 쌀의 취사에 필요한 밥물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투입되어진 밥물의 양을 관측하면서 지시되어진 양의 밥물 투입을 완료한 후 뚜껑을 닫고 취사를 실시하게 된다.
인용된 발명에서 쌀과 밥물의 계량이 밥솥의 뚜껑을 닫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이유는 뚜껑을 닫을 경우 밥솥의 뚜껑에 설치된 밀폐수단이 내솥의 림에 압착되는 동시에 전기밥솥의 중량검지수단에도 압력을 전달하여 중량검지수단이 내솥에 투입되는 쌀과 밥물의 실중량을 검지할 수 없기 때문이며 이 또한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전기밥솥의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내솥에 투입된 쌀의 중량을 측정하고 취사에 필요한 밥물을 계산하고 공급하여 자동화된 취사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 전기밥솥의 제조를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밥솥의 내솥에 투입된 쌀의 중량 측정과 이에 상응하여 취사에 소요되는 밥물의 계산 및 급수되는 밥물의 계량을 전기밥솥의 뚜껑이 닫혀진 상태에도 이루어지게 하여 취사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함으로서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에 정확하게 상응하는 밥물을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투입되게 하여 항상 고품질의 밥을 만들 수 있도록 된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예약 취사시에도 쌀과 밥물을 미리 혼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예약 취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쌀의 불림 현상이나 쌀의 변색 변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밥의 품질 저하 등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된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은, 외솥과 내솥, 콘트롤부, 입력부, 표시부, 중량검지부 및 전열부를 갖춘 몸통과, 이 몸통의 상부에 밥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를 갖추되, 상기 몸통은, 상기 콘트롤부의 신호를 받아 외솥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솥을 밥솥 뚜껑에 설치된 밀폐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내솥의 상부림에 가해졌던 잔류 압력을 소거시키게 되고, 상기 중량검지부를 작동시켜서 내솥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 데이터를 검지한 후 내솥에 투입되어진 쌀의 양을 산출하여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계산하여 상기 급수부를 통해 밥물을 공급받은 후 내솥을 전기밥솥의 뚜껑쪽으로 이동시켜 내솥의 림을 뚜껑에 설치된 밀폐수단에 압착시키도록 된 내솥승하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솥승하강부는, 외솥의 내측수용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외부하우징과, 이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그 외주 표면 둘레에 원형으로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치차부가 형성되고, 그 내주 표면에는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나사부가 양각 혹은 음각으로 구성된 승하강매개링과, 이 승하강매개링의 내부에 체결되되, 그 외주 표면에는 상기 승하강매개링의 내주 표면에 각인되어져 있는 암나사부에 대응하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상단에는 승하강매개링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외부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하로 이송되도록 가이드가 돌출되어 구비된 승하강링과, 상기 승하강매개링에 치합되도록 외부하우징에 수용된 기어와, 이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축이 구비됨과 더불어 외솥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솥승하강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내솥승하강부의 구성은 내솥승하강을 유발할 수 있는 제어가능한 모든 승하강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는, 수도와 직접 연결된 수도관 연결 직수유로와, 이 직수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에 의해 작동하면서 수도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입수제어밸브인 제1밸브이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착탈식 물통이 결합되는 물통결합유로와, 이 물통결합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에 의해 작동하면서 물통의 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제2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에는 물통이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밥물수조 착탈감지센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직수유로에는 수압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에 의하면, 내솥승하강부에 의해 내솥이 승하강하여 전기밥솥이 자동으로 내솥에 투입된 쌀의 양을 감지하고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밥물을 내솥에 정확히 공급하여 우수한 품질의 밥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에 의하면, 급수부가 수도관에 직접연결되는 직수유로를 사용하거나 밥물 저장용 물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내솥승하강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내솥승하강부의 요부 확대분해도,
도 5는 도 4의 외부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 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내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1000)은 도 1과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통(1100)과, 이 몸통의 상부에 힌지되어 개폐되는 뚜껑(1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통(1100)은, 총체적인 기능을 관장하는 콘트롤부(1110)와, 이 콘트롤부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그 외표면 소정부에 취사동작의 제어를 입력하기 위한 키조작패널로 이루어진 입력부(1120)와, 전기밥솥의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부(1130)와, 상기 몸통(1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쌀과 물을 수용하도록 된 외솥(118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솥(117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내솥승하강부(1140)와, 이 내솥에 투입되는 쌀과 밥물의 양을 계량하는 중량검지부(1150)와, 이 내솥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코일 혹은 인덕션 히팅코일로 이루어져 상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열부(1160)를 포함한다.
상기 콘트롤부(1110)는 내솥(1170)에 투입된 조리물의 종류나 그 상태 혹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밥물의 증감을 기억시켜 두는 메모리부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1200)에는 밥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1210)를 포함하되, 상기 급수부(1210)는, 수도와 직접 연결된 수도관 연결 직수유로(1211)와, 이 직수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1110)에 의해 작동하면서 수도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입수제어밸브인 제1밸브(1212)가 설치된다.
상기 직수유로(1211)에는 수압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수압의 유무를 전기밥솥 콘트롤부에 전달하여 밥물공급준비상태를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밸브(1212)는 그 원리나 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전기밥솥 콘트롤부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한 모든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1210)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착탈식 물통(1300)이 결합되는 물통결합유로(1213)와, 이 물통결합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1110)에 의해 작동하면서 물통의 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제2밸브(1214)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착탈식 물통(1300)의 밥물 배출부(1310)의 소정부에는 밥물통에 저수시킨 상태로 밥물통을 이동시킬때 밥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밥물누출방지밸브(13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120)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으로 취사명령이 실행되어지거나 콘트롤부(1110)의 메모리 모듈에 미리 입력 되어진 예약 취사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콘트롤부(1110)는 내솥승하강부(1140)를 작동시켜 내솥(1170)을 밥솥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멀어지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솥(1170)의 상부림(RIM)에 가해졌던 잔류 압력을 소거시킨다.
그리고 이때 상기 내솥(1170)이 뚜껑(1200)의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솥(1170)의 림에 가해졌던 잔류 압력이 소거된 후 상기 콘트롤부(1110)는 전기밥솥의 중량검지부(1150)를 작동시켜서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 데이터를 검지한 후 전송받아 전산처리하여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양을 산출하여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계산한다.
이후 상기 콘트롤부(1110)는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계산을 완료한 후 전기밥솥의 급수부(1210)에 구비된 제1밸브(1212) 또는 제2밸브(1214)를 작동시켜 내솥(1170)에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급수를 시작한다.
이때 상기 중량검지부(1150)는 투입되어진 밥물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검지하여 검지된 중량 데이터를 상기 콘트롤부(1110)로 전송하고 콘트롤부는 전송된 중량 데이터를 실시간 전산처리하여 급수된 밥물의 중량이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제1밸브(1212) 또는 제2밸브(1214)를 닫아서 급수를 종료한다.
한편, 급수가 완료된 후 상기 콘트롤부(1110)는 내솥승하강부(1140)를 작동시켜 내솥(1170)을 전기밥솥의 뚜껑(120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솥(1170)의 림(RIM)을 뚜껑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에 압착시켜 내솥(1170)의 림(RIM)이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분리되기 이전과 동일한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후 상기 내솥(1170)이 내솥승하강부(1140)의 작동에 의해 뚜껑의 밀폐수단(1220)에 압착되어진 상태로 복귀된 후 콘트롤부(1110)는 입력부(1120)로부터 실시간 혹은 예약 입력 되어진 취사 명령에 따라 전기밥솥의 전열부(1160)를 작동시켜 내솥(1170)에 투입된 쌀과 밥물을 가열시켜 취사 공정을 수행한다.
즉,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1000)은, 취사개시를 소망하는 시간이 도래하면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시켜 내솥(1170)을 중량검지 가능위치로 하향 이동시켜 중량검지부(1150)의 작동을 활성화한 후, 이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의 쌀의 취사에 소요되는 밥물의 무게를 계산하고, 상기 급수부(1210)을 작동시켜 급수를 시작하며 상기 중량검지부(1150)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투입되어지는 밥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필요한 밥물의 투입이 완료된 후, 상기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시켜 내솥(1170)을 상향이동시켜 내솥(1170)의 상부림을 밀폐수단(1220)에 압착시킨 후, 취사를 시작하게 된다.
상기 콘트롤부(1110)는 구동되어 취사완료시 자동보온모드로 전환시키는 밥솥구동모듈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1000)은, 상기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을 검지하여 검지된 쌀의 중량에 필요한 밥물의 중량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항상 풍미가 좋은 취사를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뚜껑(1200)에는 물통(1300)이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밥물수조 착탈감지센서(1230)가 더 설치되고, 이 밥물수조 착탈감지센서(1230)의 신호가 콘트롤부(1110)에 보내지면 제2밸브(1214)의 작동 및 정지 신호를 콘트롤부(1110)에서 받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인 내솥승하강부(1140)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내솥승하강부(1140)는, 상기 외솥(1180)의 내솥수용부(1181)상부에 안착되어 도시되지 않은 나사못 또는 레버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외부하우징(1141)과, 이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승하강매개링(1142)과, 이 승하강매개링의 내부에 체결되는 승하강링(1143)과,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에 치합되는 기어(1144)와, 이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축(1145a)이 구비된 서보모터인 구동수단(114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하우징(1141)은, 상기 승하강림(1143)이 끼워지는 승하강림수용부(1141a)과, 이 승하강림의 상부에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림의 돌출된 후술하는 가이드(1143b)가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홈(1141b)과, 상기 승하강림수용부의 축방향 반대쪽으로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이 끼워지도록 일정길이 형성된 매개링수용부(1141c)와, 이 매개링수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기어(1144)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된 기어수용부(1141d)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홈(1141b)은 외솥(1180)의 내솥수용부(1181)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141e는 상기 외부하우징(1141)을 외통내솥수용부(1181)에 안착시켜 체결하기 위해 나사못이 끼워지는 체결구멍이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은, 그 외주 표면 둘레에 원형으로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치차부(1142a)가 구성되어져 있고, 그 내주 표면에는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나사부(1142b)가 양각 혹은 음각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링(1143)은, 그 외주 표면에는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의 내주 표면에 각인되어져 있는 암나사부(1142b)에 대응하는 숫나사부(1143a)가 형성되고, 외주면 상단에 혹은 측면 소정 부위에 승하강매개링(1142)이 회전할 때 같이 따라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가이드홈(1141b)에 끼워져 상하로 이송되도록 가이드(1143b)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는 기어(1144)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지고 이때 그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1142b)가 상기 가이드(1143b)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승하강링(1143)의 수직상승 혹은 수직하강 이동을 일으키고 승하강링(1143)의 상단부에 안착되어지는 내솥(1170)의 승하강을 유발한다.
물론 상기 구동수단(1145)는 전기밥솥의 제어부인 콘트롤부(1110)에 의하여 구동되어지고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회전량은 내솥(1170)의 승하강의 거리 만큼 미리 정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의 작동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000)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밥물 물통(1300)에 물을 담아 전기밥솥(1000)의 뚜껑(1200)에 장착하여 밥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수도관을 상기 직수유로(1211)에 연결하면 밥물공급준비완료하는 단계(S1)와, 상기 전기밥솥(1000)의 콘트롤부(1110)로 키조작패널인 입력부(1120)에 의하여 입력되어진 실시간 혹은 예약취사명령입력을 확인하는 단계(S2)와, 예약취사명령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예약신호등록설정하는 단계(S3)와, 등록설정된 예약신호의 취사시간이 도래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S4)와, 취사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하고 중량검지부(1150)를 구동하여 쌀중량을 검지하여 밥물을콘트롤부(1110)에서 계산하는 단계(S5)와, 상기 급수부(1210)의 장착유무 혹은 직수유로(1211)의 수압유무를 검지한 후 사용 가능한 밥물 공급 수단을 결정하여 상기 급수부(1210)의 제1밸브(1212) 또는 제2밸브(1214)를 개폐하도록 신호를 보내고 중량검지부(1150)를 구동하여 급수량을 검지하는 단계(S6)와,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7)와,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하고 밥솥 구동모듈을 동작하도록 콘트롤부(1110)에서 취사개시가 이루어지는 단계(S8)와, 취사시간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9)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직수유로(1211)에는 도시되지 않은 수압감지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수도관의 연결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을 전기밥솥 콘트롤부(1110)에 전송하여 제1밸브(1212)의 제어를 통해서 유입되는 밥물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7)에서 급수가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급수부(1210) 또는 중량검지부(1150)의 이상신호를 판단하도록 하여 급수부의 구동을 재차 실시하거나 또는 종료가 되도록 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쌀중량을 검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기밥솥(1000)의 콘트롤부(1110)는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시켜 내솥(1170)을 하향이동시켜 내솥(1170)을 전기밥솥 뚜껑(1200)부위에 구비되어져 있는 수증기누출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중량검지부(1150)에 내솥(1170)의 중량만이 부하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전기밥솥의 콘트롤부(1110)는 전기밥솥의 내솥(1170)의 중량에 따라 영점조절이 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영점조절을 수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작에 의해 전기밥솥의 콘트롤부(1110)는 내솥(1170)에 투입되어져 있는 쌀의 중량을검지하고 이의 취사에 소요되는 밥물의 중량을 계산한다. 상기 콘트롤부(1110)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밥물의 양을 증감하여 기억시켜 두는 메모리장치와 조리물의 종류와 그 상태에 따라, 예를 들면 젖었거나 마른 상태 등, 이에 따라 밥물의 중량을 가감시킬 수 있는 선택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밥물의 중량이 결정된 후 전기밥솥 콘트롤부(1110)는 밥물 급수부(1210)를 구동시켜 제1밸브(1212) 또는 제2밸브(1214)를 열어 내솥(1170)으로 밥물 인입을 시작하고 중량검지부(1150)는 실시간의 검지된 중량정보를 전기밥솥 콘트롤부(1110)로 전송한다. 계산된 중량의 밥물이 투입된 후 전기밥솥 콘트롤부(1110)는 제1밸브(1212) 또는 제2밸브(1214)에 폐쇄신호를 보내 밥물의 공급을 종료시킨다.
이후 상기 전기밥솥(1000)의 콘트롤부(1110)는 내솥승하강부(1140)를 구동시켜 내솥(1170)을 상향이동시켜서 수증기 밀폐수단(1220)에 내솥(1170)의 상부림(1171)을 압착시켜 취사준비를 완료시키고 이후 상기 전열부(1160)를 구동시켜 취사를 완료시킨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4)

  1. 외솥과 내솥, 콘트롤부, 입력부, 표시부, 중량검지부 및 전열부를 갖춘 몸통과, 이 몸통의 상부에 힌지되어 착탈됨과 더불어 밥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를 갖춘 뚜껑를 포함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몸통(1100)은, 상기 콘트롤부(1110)의 신호를 받아 외솥(118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솥(1170)을 밥솥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내솥의 상부림에 가해졌던 잔류 압력이 소거 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중량검지부(1150)를 작동시켜서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중량 데이터를 검지한 후 내솥(1170)에 투입되어진 쌀의 양을 산출하여 취사에 필요한 밥물의 양을 콘트롤부(1110)에서 계산하여 상기 급수부(1210)를 통해 밥물을 공급받은 후 내솥(1170)을 전기밥솥의 뚜껑(1200)쪽으로 이동시켜 내솥(1170)의 상부림을 뚜껑(1200)에 설치된 밀폐수단(1220)에 압착시키도록 된 내솥승하강부(11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내솥승하강부(1140)는, 상기 외솥(1180)의 내솥수용부(1181)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외부하우징(1141)과, 이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그 외주 표면 둘레에 원형으로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치차부(1142a)가 형성되고, 그 내주 표면에는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나사부(1142b)가 양각 혹은 음각으로 구성된 승하강매개링(1142)과, 이 승하강매개링의 내부에 체결되되, 그 외주 표면에는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의 내주 표면에 각인되어져 있는 나사부(1142b)에 대응하는 나사부(1143a)가 형성되고, 외주면 상단에는 승하강매개링(1142)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외부하우징 또는 외솥의 내측수용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141a)에 끼워져 상하로 이송되도록 가이드(1143b)가 돌출되어 구비된 승하강링(1143)과, 상기 승하강매개링(1142)에 치합되는 기어(1144)와, 이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축(1145a)이 구비됨과 더불어 외솥(118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1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1210)는, 수도와 직접 연결된 수도관 연결 직수유로(1211)와, 이 직수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1110)에 의해 작동하면서 수도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입수제어밸브인 제1밸브(1212)이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착탈식 물통(1300)이 결합되는 물통결합유로(1213)와, 이 물통결합유로에 설치되어 콘트롤부(1110)에 의해 작동하면서 물통의 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된 제2밸브(12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200)에는 물통(1300)이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밥물수조 착탈감지센서(123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유로(1211)에는 수압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PCT/KR2014/009193 2013-10-18 2014-09-30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WO201505691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56849.9A CN105636485B (zh) 2013-10-18 2014-09-30 用于自动地供应煮饭用水的电饭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288 2013-10-18
KR1020130124288A KR101400108B1 (ko) 2013-10-18 2013-10-18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6910A1 true WO2015056910A1 (ko) 2015-04-23

Family

ID=5089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9193 WO2015056910A1 (ko) 2013-10-18 2014-09-30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00108B1 (ko)
CN (1) CN105636485B (ko)
WO (1) WO20150569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1014A (zh) * 2016-12-29 2017-06-13 常熟南师大发展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电饭煲
CN106821013A (zh) * 2016-12-29 2017-06-13 常熟南师大发展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电饭煲
CN107440480A (zh) * 2017-09-04 2017-12-08 浙江爱仕达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分体式自动加水电饭煲
CN110161919A (zh) * 2019-05-30 2019-08-2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设备和烹饪设备的煮饭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5857B (zh) * 2015-05-04 2018-0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启动饭煲的方法及装置
CN105919409A (zh) * 2016-07-12 2016-09-07 邹凯明 一种可升降内胆的汤煲
CN107960871A (zh) * 2016-10-20 2018-04-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
CN107960842A (zh) * 2016-10-20 2018-04-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
CN106490990A (zh) * 2016-12-07 2017-03-15 杭州点厨科技有限公司 自动加水的智能电饭煲
CN106691207A (zh) * 2017-03-06 2017-05-24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6724761A (zh) * 2017-04-05 2017-05-31 广东辉骏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加水功能的电饭煲
CN109691885B (zh) * 2017-10-24 2021-01-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防溢出控制方法和装置
CN114305073A (zh) * 2021-12-10 2022-04-12 福满门家居工贸江苏有限公司 一种防溢出的自动加水电饭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8884A (ja) * 1995-10-06 1997-04-15 Toshiba Corp 炊飯器
JP2005021464A (ja) * 2003-07-04 2005-01-27 Hitachi Hometec Ltd 炊飯器
JP2005342075A (ja) * 2004-06-01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KR20130012635A (ko) * 2011-07-26 2013-02-05 홍 데이빗 예약 취사용 계량 수조가 구비된 전기밥솥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2420A (ja) * 1991-04-10 1992-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4012157B2 (ja) * 2004-02-05 2007-11-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炊飯器
KR100755463B1 (ko) * 2006-08-25 2007-09-04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로드셀이 장착된 전기압력밥솥
KR100777117B1 (ko) * 2006-10-11 2007-11-29 주식회사 바퍼텍 무인 자동 취사장치
CN201987285U (zh) * 2011-04-22 2011-09-28 熊维鑫 全自动蒸饭煲
KR101069515B1 (ko) * 2011-05-03 2011-09-30 이근영 면 조리용 압력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8884A (ja) * 1995-10-06 1997-04-15 Toshiba Corp 炊飯器
JP2005021464A (ja) * 2003-07-04 2005-01-27 Hitachi Hometec Ltd 炊飯器
JP2005342075A (ja) * 2004-06-01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KR20130012635A (ko) * 2011-07-26 2013-02-05 홍 데이빗 예약 취사용 계량 수조가 구비된 전기밥솥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1014A (zh) * 2016-12-29 2017-06-13 常熟南师大发展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电饭煲
CN106821013A (zh) * 2016-12-29 2017-06-13 常熟南师大发展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电饭煲
CN107440480A (zh) * 2017-09-04 2017-12-08 浙江爱仕达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分体式自动加水电饭煲
CN107440480B (zh) * 2017-09-04 2022-09-16 浙江爱仕达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分体式自动加水电饭煲
CN110161919A (zh) * 2019-05-30 2019-08-2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设备和烹饪设备的煮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36485A (zh) 2016-06-01
CN105636485B (zh) 2017-08-11
KR101400108B1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56910A1 (ko)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CN201147204Y (zh) 一种自动泡茶机
WO2014092309A1 (ko) 즉석 조리 시스템
AU4117600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preparing food
CN211582720U (zh) 蒸汽烹饪装置
CN206745184U (zh) 电水壶
CN211383045U (zh) 一种腹膜透析设备及透析液袋组件
CN209733491U (zh) 分体式压力烹饪器具
CN207411385U (zh) 一种全自动馒头制作系统
CN108684752A (zh) 一种家用和面机
CN104546468A (zh) 中药熬制器
CN108713974A (zh) 一种全自动智能饮水机装置
CN208677070U (zh) 一种茶叶冲泡机
CN210540915U (zh) 一种自动加水的烹饪器具
CN207301828U (zh) 一种ph值自动控制仪
CN210493697U (zh) 多功能锅
KR101272672B1 (ko) 포트 장착형 정수기
CN211212629U (zh) 基于物联网的会说话的电水壶
CN201391992Y (zh) 分量贮水式电热水器
CN216393794U (zh) 烹饪器具
CN219069993U (zh) 料理机
KR101333541B1 (ko) 무인 자동 취사장치
CN219289281U (zh) 料理机
CN219878691U (zh) 一种能精准控制药液熬煮量的中药壶
CN213251867U (zh) 可快速加热灌肠液的灌肠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547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8.07.2016)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547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