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125B1 -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125B1
KR101399125B1 KR1020130066726A KR20130066726A KR101399125B1 KR 101399125 B1 KR101399125 B1 KR 101399125B1 KR 1020130066726 A KR1020130066726 A KR 1020130066726A KR 20130066726 A KR20130066726 A KR 20130066726A KR 101399125 B1 KR101399125 B1 KR 101399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pper frame
seat
walk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영
Original Assignee
정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영 filed Critical 정민영
Priority to KR102013006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전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보호자의 도움을 받지 않고 걷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쉽게 타거나 내릴 수 있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C자 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입구부가 형성되고, 내측 둘레에 시트가 구비되는 상부프레임과; C자 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입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높이조절프레임 및 한 쌍의 이동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보조기 {A walking frame}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전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사용자)가 보호자의 도움을 받지 않고 걷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안전사고를 당한 환자나 수술을 한 환자의 경우 보행이 불가하므로 오랜 기간 침대에 누워 생활하게 된다.
침상생활 후 어느 정도 회복이 되면 일상 생활로 복귀하기 위해 재활 훈련을 실시하는데, 이때 벽면에 설치된 안전바를 잡고 보행 연습을 하거나 보행보조기구를 이용하여 보행 연습을 하게 된다.
하지만, 보행 연습 시 보호자가 동반되어야 하므로 보호자가 없을 경우에는 보행 연습이 불가하며, 성인환자의 경우 몸무게가 많이 나가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보호자가 환자를 들어 옮기는 것이 힘들고, 환자를 수발하는 중에 보호자 또한 부상을 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32840호에는 보행보조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지주(1)의 상부에 등판(2)과 하부에 설치된 일륜차(6)가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타이어유지프레임(7)과, 지주(1)에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축심과 중심이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된 시트(9)와, 타이어유지프레임(7)의 일단이 고정되어 전후에 차륜(10)이 붙어있는 평면 "U"자 형상의 후드프레임(5)과, 이 후드프레임(5)의 일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이 지주(1) 상부에 설치된 걸림판(13)과 걸거나 벗겨지는 "U"자 형상의 사이드프레임(11)과, 중간부를 상기 사이드프레임(11)에 회전가능 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단을 상기 후드프레임(5)에 붙이고 떼기를 할 수 있도록 고정되게 한 손잡이(17)와 손잡이프레임(18)이 설치된 손잡이지지프레임(14)으로 구성되어, 보행장애자나 다리 및 허리가 약한 고령자가 정상에 가까운 상태로 보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시트와 주변 프레임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체를 완벽히 지지하지 못하고, 일륜차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동시 안정성이 저하되며, 손잡이를 상하로 회전시켜 개방시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 다리가 불편한 환자 또는 고령자가 손잡이에 걸려 부상을 입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284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혼자서 탑승하여 보행 연습을 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회복단계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체 둘레를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형 스토퍼를 구비하여 하나의 동작으로 지면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C자 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입구부가 형성되고, 내측 둘레에 시트가 구비되는 상부프레임과; C자 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입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높이조절프레임 및 한 쌍의 이동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은 전방 입구부의 일측에 덮개가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프레임은 전방 하부에 걸이바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시트는 등받이로부터 전방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한 쌍의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는 걸이바에 걸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은 후방 하부에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홈 형상의 안착홈이 상, 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은 하부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세로바와, 상기 안착홈이 안착되는 가로바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은 가로바의 양측 단부를 관통하여 안착홈의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은 후방 내측면에 장홈 형상의 이동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은 일측 단부가 상부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후방 중앙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원터치형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혼자서 탑승하여 보행 연습을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회복단계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상체 둘레를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터치형 스토퍼를 구비하여 하나의 동작으로 지면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시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걸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상부프레임과 높이조절프레임의 결합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상부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이때,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걸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상부프레임과 높이조절프레임의 결합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상부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50)는, 단순한 구성으로 전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보호자의 도움을 받지 않고 걷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쉽게 타거나 내릴 수 있는 보행보조기(50)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조절프레임(310), 이동프레임(320), 시트(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은 C자 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입구부(110)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1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00)에는 입구부(110)의 일측에 힌지(132)가 형성되어 상, 하로 회전가능한 덮개(130)가 구비되고, 입구부(110)의 타측에는 상기 덮개(130)가 안착되는 홈 형상의 안착부(140)가 구비된다.
즉, 상부프레임(100)의 전방을 개방시키고 상, 하로 회전되는 덮개(13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보조기(50)에 보다 용이하게 승, 하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덮개(130)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신체가 앞으로 기울어져 상부프레임(100)의 입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넘어져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20)는 중앙이 잘록하게 형성되고, 전방에 양측으로 단부가 고리 형상인 걸이부(150)가 연장형성되는데, 상기 걸이부(150)는 상부프레임(100)의 입구부(110) 양측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이바(160)에 걸림 설치되어 사용자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보행보조기(50)에 탑승 시 걸이부(150)가 사용자의 다리 아래쪽에서 전방으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상부프레임(100)의 하단에 형성된 걸이바(160)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시트(120)가 사용자의 상체 및 하체 일부를 지지하고, 중앙이 잘록하게 형성되어 다리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혼자서도 보행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이부(150)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탱하기 위해 금속재의 고리형태로 형성되며, 걸이부(150)를 걸이바(160)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리벳 또는 스냅단추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로 고정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트(120)는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앉았을 때 보다 편안하게 앉아 있을 수 있도록 쿠션재가 삽입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등의 보강재가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상단 좌, 우 중앙부에는 한 쌍의 손잡이(17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70)에 신체를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하부프레임(200)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는 각 방향으로 다수개의 바퀴(2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방이 개방되어 입구부(210)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승, 하차시 발이 걸리지 않게 되어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사이에는 보행보조기(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프레임(310) 및 이동프레임(320)이 구비된다.
높이조절프레임(310)은 한 쌍의 세로바(310b)와 한 쌍의 세로바(310b)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가로바(310a)로 구성되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세로바(310b)의 타측 단부는 각각 하부프레임(200)의 전방 좌, 우측에 형성된 힌지공(202)에 힌지 결합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프레임(310)의 가로바(310a)에는 상부프레임(10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장홈 형상의 안착홈(102)이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102)은 가로방향의 장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로바(310a)의 양측을 관통하는 고정부재(106)가 구비되어 안착홈(102)의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공(104)에 나사 고정된다.
이동프레임(320)과 세로바(310b)는 각각 지지구(330a,330)에 끼워져 높이 조절에 따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구(3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프레임(320)의 일단은 상부프레임의 전방 좌, 우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절곡되어 하부프레임(200)의 후방 내측면에 형성된 장홈 형상의 이동가이드(230)에 삽입된다.
한편, 하부프레임(200)의 후방 중앙부에는 스토퍼(240)가 관통 삽입되어 사용자가 승, 하차시 보행보조기(50)가 뒤로 밀리는 등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240)는 하부에 고무부재(242)가 구비된다.
이때, 스토퍼(240)는 원터치 방식의 스토퍼를 구비하여 보호자 또는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50)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토퍼(240)를 바닥에 고정시킴으로써 탑승중에 보행보조기(5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덮개(13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입구부(110)를 통해 승차하게 되며, 시트(120)의 한 쌍의 걸이부(150)가 사용자의 양 다리 아래쪽으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나오도록 하여 걸이바(160)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시트(120)에 착석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사용자는 덮개(130)를 아래로 내려 안착부(140)에 안착시켜 고정하고, 스토퍼(240)의 고정을 해제한 후, 시트(120)에 앉은 채로 다리를 움직여 이동하며 보행연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또는 회복 정도에 따라 보행보조기(5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먼저 사용자에 맞게 가로바(310a)에 안착되는 안착홈(102)을 선정하여 높이조절프레임(310)을 이동시키면 높이조절프레임(310)의 세로바(310b)에 힌지결합된 이동가이드(230)를 따라 이동프레임(320)이 전,후로 이동하며 상부프레임(100) 및 시트(120)의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다음, 가로바(310a)의 양측으로 고정부재(106)가 관통하여 안착홈(102)의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공(104)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프레임(310)으로부터 상부프레임(100) 및 시트(12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높이조절프레임(310)의 위치를 보행보조기(50)의 후방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호자가 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보행 연습 중에 넘어지게 되더라도 높이가 조절된 시트(120)에 착석하게 되어 낙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50)는 높이조절프레임(310)을 상부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하고, 이동프레임(320)은 이동가이드(230)의 가장 뒤쪽으로 이동시켜 보행보조기(50)를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피를 작게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50)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혼자서 탑승하여 보행 연습을 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회복단계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상체 둘레를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원터치형 스토퍼(240)를 구비하여 하나의 동작으로 지면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50: 보행보조기 100: 상부프레임
102: 안착홈 104: 고정공
106: 고정부재 110: 입구부
120: 시트 130: 덮개
140: 안착부 150: 걸이부
160: 걸이바 170: 손잡이
200: 하부프레임 202: 힌지공
210: 입구부 220: 바퀴
230: 이동가이드 240: 스토퍼
242: 고무부재 310: 높이조절프레임
310a: 가로바 310b: 세로바
320: 이동프레임 330,330a: 지지구
332: 고정구

Claims (10)

  1.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C자 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입구부가 형성되고, 내측 둘레에 시트가 구비되는 상부프레임과;
    C자 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입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높이조절프레임 및 한 쌍의 이동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프레임은 후방 하부에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홈 형상의 안착홈이 상, 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전방 입구부의 일측에 덮개가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전방 하부에 걸이바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시트는 등받이로부터 전방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한 쌍의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는 걸이바에 걸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은 하부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세로바와, 상기 안착홈이 안착되는 가로바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은 가로바의 양측 단부를 관통하여 안착홈의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후방 내측면에 장홈 형상의 이동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일측 단부가 상부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후방 중앙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원터치형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KR1020130066726A 2013-06-11 2013-06-11 보행보조기 KR101399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726A KR101399125B1 (ko) 2013-06-11 2013-06-11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726A KR101399125B1 (ko) 2013-06-11 2013-06-11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125B1 true KR101399125B1 (ko) 2014-05-28

Family

ID=5089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726A KR101399125B1 (ko) 2013-06-11 2013-06-11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506B1 (ko) * 2020-11-19 2021-04-20 유한회사 쿠미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971Y1 (ko) * 1993-11-08 1996-03-06 주식회사 꼬까방 유아용 보행기의 이동정지장치
JP2001299844A (ja) 2000-04-24 2001-10-30 Yuji Nakagawa 歩行補助具
JP2003116678A (ja) * 2001-10-16 2003-04-22 Showa Prod:Kk 歩行器
JP2007202880A (ja) * 2006-02-03 2007-08-16 Kenji Higashimoto 歩行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971Y1 (ko) * 1993-11-08 1996-03-06 주식회사 꼬까방 유아용 보행기의 이동정지장치
JP2001299844A (ja) 2000-04-24 2001-10-30 Yuji Nakagawa 歩行補助具
JP2003116678A (ja) * 2001-10-16 2003-04-22 Showa Prod:Kk 歩行器
JP2007202880A (ja) * 2006-02-03 2007-08-16 Kenji Higashimoto 歩行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506B1 (ko) * 2020-11-19 2021-04-20 유한회사 쿠미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KR102214760B1 (ko) 이동 보행기
US8104780B1 (en) Adult activity chair
KR101177709B1 (ko) 환자 승강 장치
US10080700B1 (en) Walker harness
JP7235250B2 (ja) 可撓性の脚部支持膜、脚部支持フレーム、並びに移動式患者直立起立補助器具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JP2016193100A (ja) 起居・立位歩行支援機
JP5804413B2 (ja) 歩行補助車
KR101482769B1 (ko) 자세보조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20160125037A (ko)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JP2020509843A (ja) 肢体不自由者用自立および歩行支援機
JP2007202880A (ja) 歩行器
KR101413045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JP5672616B2 (ja) 身体起立支援支持具付き歩行器
KR101966342B1 (ko)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1399125B1 (ko) 보행보조기
KR102027863B1 (ko)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KR200486215Y1 (ko) 노약자와 환자 전용 전동안전보행기
KR101802120B1 (ko) 욕실용 발받침 부재
WO2018039714A1 (en) A walking aid
US20200352396A1 (en) Bathing assistance apparatus
JP2001299844A (ja) 歩行補助具
KR20190004543A (ko)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KR20120003933U (ko) 재활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