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506B1 -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506B1
KR102242506B1 KR1020200155237A KR20200155237A KR102242506B1 KR 102242506 B1 KR102242506 B1 KR 102242506B1 KR 1020200155237 A KR1020200155237 A KR 1020200155237A KR 20200155237 A KR20200155237 A KR 20200155237A KR 102242506 B1 KR102242506 B1 KR 102242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body
disabled
vertical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무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쿠미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쿠미
Priority to KR102020015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61H2201/162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 보행 또는 앉은 자세의 이동과 배밀이가 어려운 남녀노소 모든 장애인(이하"사용자"라함)들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위치 이동할 때 타인의 도움 없이 본인 스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중앙부에 사용자의 가슴 부분이 얹혀지고 상부가 개방된 안착부를 형성시켜 된 본체와, 그 본체의 4방 모서리부분과 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및 수평프레임을 연결 설치하여 된 본체지지틀과, 상기 각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Movement Supply Balloon For Disabled}
본 발명은 자력 보행 또는 앉은 자세의 이동과 배밀이가 어려운 남녀노소 모든 장애인(이하"사용자"라함)들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위치 이동할 때에 타인의 도움 없이 본인 스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력 보행이 어려운 장애인은 편 측의 마비로 인해 균형 및 보행능력에 손실이 발생하며, 보행능력의 보상 및 회복을 위해 walker(보행보조차), cane(지팡이), hemi walker(편측 보행보조차) 등의 체중지지를 목적으로 하는 보조기구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의 보조기구는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며 보행하는 방법으로 막대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장시간의 이동이나 보행훈련에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동방식의 이동보조기구 또는 이동장치가 활용되고 있으나 노인 또는 근력 약화자를 고려한 양측 팔을 사용해야 하는 설계구조로 한쪽 팔을 사용하지 못하는 편마비 장애인의 이동이나 보행훈련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10-1644106호의 편마비 장애인이 한 손으로 이용 가능한 실내 전동형 보행보조기구가 제공되어 있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아 래 -
편마비 사용자의 이동보조 및 보행훈련을 위해 좌측/우측 관계없이 비마비측에서 사용가능하도록 편측에 위치시켜 사용하는 보행보조기구에 있어서,
비마비측 손으로 잡아 체중을 지지하며, 제어센서(110)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손잡이(100);
상부에 상기 손잡이(100)가 결합되어 상기 제어센서(110)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속도를 조절하면서 이동하는 이동몸체(200); 및
상기 이동몸체(200) 양측 면으로 일단이 결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270)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 프레임(310)의 양단에 형성된 보조바퀴(300);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바퀴(300)는 상기 프레임(310)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10)도 상기 지지축(270)에 소정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형성시켜 된 것이다.
상기 구성의 한국등록특허 10-1644106호의 편마비 장애인이 한 손으로 이용 가능한 실내 전동형 보행보조기구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100)를 조작해야 함으로 한손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 전기적인장치와 자공수단이 설치되어야 함으로 제작비용이 높아져 소비자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1644106호(2016.07.2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9604호(2012.05.17.)
본 발명은, 자력 보행 또는 앉은 자세로의 이동과 배밀이가 어려운 남녀노소 모든 장애인 즉 사용자들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위치 이동할 때에 타인의 도움 없이 본인 스스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중앙부에 사용자의 가슴 부분이 얹혀지고 상부가 개방된 안착부(11)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안착부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링하는 밴드(41)의 일 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42)가 설치되며, 타 측에 상기 밴드의 타 측단을 결속하는 결속부재(43)를 형성시켜 된 사용자결속수단(40)이 설치된 본체(10); 상기 본체의 4방 모서리부분과 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및 수평프레임(21,22)을 연결 설치하여 된 본체지지틀(20); 상기 각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력으로 보행 또는 앉은 자세로의 이동과 배밀이가 어려운 남녀노소 모든 장애인 즉 사용자들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위치 이동할 때에 타인의 도움 없이 본인 스스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에서 안착부를 확장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에서 본체지지틀을 발췌한 상태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에서 안착부조절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에서 제어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및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은 자력 보행 또는 앉은 자세의 이동과 배밀이가 어려운 남녀노소 모든 장애인 즉 사용자들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위치 이동할 때에 타인의 도움 없이 본인 스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는, 도 2 내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사용자의 가슴 부분이 얹혀지고 상부가 개방된 안착부(11)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안착부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링하는 밴드(41)의 일 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42)가 설치되며, 타 측에 상기 밴드의 타 측단을 결속하는 결속부재(43)를 형성시켜 된 사용자결속수단(40)이 설치된 본체(10);
상기 본체의 4방 모서리부분과 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및 수평프레임(21,22)을 연결 설치하여 된 본체지지틀(20);
상기 각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수단(30); 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에서 본체(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력 보행 또는 앉은 자세의 이동과 배밀이가 어려운 사용자가 가슴(흉부)를 안착부(11)에 대고 업드려 의지하는 곳으로 중앙부에 사용자의 가슴을 의지할 수 있도록 안착부(11)를 형성시켰고, 그 안착부(11)는 사용자의 하중이 실렸을 때 변형되지 않는 합성수지 또는 경질의 발포수지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본체지지틀(2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를 안전하게 고정지지하는 것으로, 본체(10)의 4방 모서리부분과 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및 수평프레임(21,22)을 상호 연결 설치하였고, 상기 수직 및 수평프레임(21,22)은 경질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동수단(30)은, 도 2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4방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각 수직프레임(21)의 하단에 설치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360° 회전 가능한 캐스터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후좌우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는, 자력 보행 또는 앉은 자세의 이동과 배밀이가 어려운 사용자의 가슴을 안착부(11)에 대고 의지한 상태에서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방향을 조절하며 실내 또는 실외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실시 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측단부에 사용자의 가슴 1/2이 안착되는 1/2안착부(11a)를 형성시켜 된 한 쌍의 몸체(12)를 분리결합 가능하게 형성시켜 사용자의 가슴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그 본체의 일 측에 상기 안착부(11)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링하는 밴드(41)의 일 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42)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타 측에 상기 밴드(41)의 타 측단을 결속하는 결속부재(43)를 형성시켜 된 사용자결속수단(4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에 사용자결속수단(40)을 설치하는 이유는, 사용자인 장애자의 경우 불규칙하게 움직임으로 그 움직임을 제어하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부재(42)는, 본체(10)의 일 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거나 또는 본체(10)에 매립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정부재(42)의 일실시 예는 밴드(41)를 당기면 인출되고 당김을 해제하며 자동으로 감기는 자동차의 안전밸트 형태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결속부재(43)는, 상기 밴드(41)의 단부에 설치된 결속구(44)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하는 것이고, 상기 밴드(41)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지지틀(20) 실시 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의 4방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도록 수직프레임(21)이 세워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폭 방향(W)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21) 간에는 수평프레임(22)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 양 수평프레임(22)에는 상기 안착부(11)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한 쌍의 몸체(12)를 이격 또는 접촉시키는 안착부조절수단(5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체지지틀(20)에 의해 본체(10)는 안전하고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본체지지틀(20) 구성에서 수직프레임(21)은,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에 설치되는 내부가 중공인 상부프레임(21a)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수용하도록 끼워 결합되어 상부프레임(21a)을 따라 이동하며 높낮이 조절되는 하부프레임(21b)으로 형성하되, 상기 상부프레임(21a)에는, 가압하면 상부프레임 내부로 들어가고 가압을 해제하면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21a-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1b)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돌기(21a-1)가 끼워 결합되는 돌기 홀(21b-1)을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하부프레임(21b)을 상부프레임(21a)으로부터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1)의 높이 조절 후에는 돌기(21a-1)와 돌기 홀(21b-1)이 상호 결합된 상태 임으로 높낮이가 임으로 변하지 않는다.
상기 수직프레임(21)의 높이 조절방법은, 돌기(21a-1)를 손으로 눌러 상부프레임(21a) 내부로 인입시킨 후 하부프레임(21b)을 조절하고 상기 돌기(21a-1)가 홀(21b-1)에 결합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21a)과 하부프레임(21b) 간에는, 수직프레임(21)의 높이를 조절 후 그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는 고정수단(60)이 설치하되, 그 고정수단(60)은 상기 상/하부프레임(21a,21b)을 수용하도록 상/하부가 연통된 조임구(61)를 형성하되, 상기 하부프레임(21b)의 상부 외주 연에는 수나사(62)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구(61)의 입구 내주 면에는 상기 수나사(62)와 나서 결합되는 암나사(61a)가 형성되며, 그 암사나가 끝나는 부분에는 단면상 사다리꼴 형태의 쐐기수용부(61b)가 형성된다.
또 상기 쐐기수용부(61b)에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이 상기 쐐기수용부(61b)와 준하는 형상의 쐐기 편(63a)이 복수 개 형성된 통형의 쐐기(63)가 수용되며, 상기 쐐기의 내주면은 논 슬립(63b) 처리되어 상기 수나사(62)와 암나사(61a)의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쐐기(63)가 상부프레임(21a) 압박 강도를 높이도록 함으로써 상/하부프레임(21a,21b)은 높이 조절 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높낮이가 변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착부조절수단(50)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몸체(12) 중 일 측의 몸체에 암 스크루(51a)가 형성된 제1프레임(51)이 설치되고, 타 측의 몸체에 내부가 중공인 제2프레임(52)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에는 일측단에 핸들(53)이 설치된 스크루 축(54)을 설치하여 상기 핸들(5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암 스크루(51a)와 스크루 축(54)에 의해 일 측의 몸체가 이동하면서 안착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단 상기 핸들(53)이 설치되는 스크루 축(54)과 일측의 몸체(12) 간에는 스크루 축(54)이 제자리에서 공회전하도록 베이링블럭(55_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52)이 설치된 쪽의 몸체는 이동되지 않고 제1프레임(51)이 설치된 몸체만 스크루 축(5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에는 사용자의 가슴 압박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충격을 완충하는 에어튜브(13)가 상기 안착부(11)로부터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에어튜브(13)와 안착부(11) 간의 분리결합수단은 에어튜브(13)의 이면과 안착부(11)의 표면에 매직테이프를 설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체(10)의 하부 전후방 길이(L)방향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는 일측의 수직프레임(21)에 지지프레임(23)이 설치되고, 타측의 수직프레임(21)에 상기 지지프레임(23)에 끼워져 지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24)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안착부(11)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크루 축(54)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몸체(12)가 원활하게 이동하며 한 쌍의 몸체(12)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의 크기를 조절 후 한 쌍의 몸체(12)가 이격되게 되면 그 이격된 공간에 공간메움구(14)를 이용하여 공간을 메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력으로 보행 또는 앉은 자세로의 이동과 배밀이가 어려운 남녀노소 모든 장애인 즉 사용자들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위치 이동할 때에 타인의 도움 없이 본인 스스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0 : 본체 11 : 안착부
11a : 1/2안착부 12 : 몸체
13 : 에어튜브 20 : 본체지지틀
21 : 수직프레임 22 : 수평프레임
21 : 수직프레임 21a : 상부프레임
21a-1 : 돌기 21b : 하부프레임
21b-1 : 돌기 홀 22 : 수평프레임
23 : 지지프레임 24 : 슬라이더
30 : 이동수단 40 : 사용자결속수단
41 : 밴드 42 : 고정부재
43 : 결속부재 50 : 안착부조절수단
51 : 제1프레임 51a : 암 스크루
52 : 제2프레임 53 : 핸들
54 : 스크루 축 60 : 고정수단
61 : 조임구 61a : 암나사
61b : 쐐기수용부 62 : 수나사
63 : 쐐기 63a : 쐐기 편
63b : 논 슬립 L : 본체의 길이방향
W : 본체의 폭 방향

Claims (9)

  1. 중앙부에 사용자의 가슴 부분이 얹혀지고 상부가 개방된 안착부(11)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안착부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링하는 밴드(41)의 일 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42)가 설치되며, 타 측에 상기 밴드의 타 측단을 결속하는 결속부재(43)를 형성시켜 된 사용자결속수단(40)이 설치된 본체(10);
    상기 본체의 4방 모서리부분과 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및 수평프레임(21,22)을 연결 설치하여 된 본체지지틀(20);
    상기 각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수단(3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일 측단부에 사용자의 가슴 1/2이 안착되는 1/2안착부(11a)를 형성시켜 된 한 쌍의 몸체(12)를 분리결합 가능하게 형성시켜 된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지지틀(20)은, 본체의 4방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도록 수직프레임(21)이 세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폭 방향(W)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 간에는 수평프레임(22)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 양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안착부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한 쌍의 몸체를 이격 또는 접촉시키는 안착부조절수단(5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21)은, 본체에 설치되는 내부가 중공인 상부프레임(21a)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수용하도록 끼워 결합되어 상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며 높낮이 조절되는 하부프레임(21b)으로 형성하되, 상기 상부프레임(21a)에는, 가압하면 상부프레임 내부로 들어가고 가압을 해제하면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21a-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1b)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돌기가 끼워 결합되는 돌기 홀(21b-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간에는, 수직프레임의 높이를 조절 후 그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는 고정수단(60)이 설치되고, 그 고정수단은 상기 상/하부프레임을 수용하도록 상/하부가 연통된 조임구(61)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 외주 연에는 수나사(62)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구의 입구 내주 면에는 상기 수나사와 나서 결합되는 암나사(61a)가 형성되며, 그 암사나가 끝나는 부분에는 단면상 사다리꼴 형태의 쐐기수용부(61b)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수용부에는 외경이 상기 쐐기수용부와 준하는 형상의 쐐기 편(63a)이 복수 개 형성된 통형의 쐐기(63)가 수용되며, 상기 쐐기의 내주면은 논 슬립(63b) 처리되어 상기 수나사와 암나사의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쐐기가 상부프레임 압박 강도를 높이도록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조절수단(50)은,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일 측의 몸체에 암 스크루(51a)가 형성된 제1프레임(51)이 설치되고, 타 측의 몸체에 내부가 중공인 제2프레임(52)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에는 일측단에 핸들(53)이 설치된 스크루 축(54)을 설치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암 스크루와 스크루 축에 의해 일 측의 몸체가 이동하면서 안착부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가슴의 압박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충격을 완충하는 에어튜브(13)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전후방 길이(L)방향으로는, 상호 마주보는 일측의 수직프레임(21)에 지지프레임(23)이 설치되고, 타측의 수직프레임(21)에 상기 지지프레임(23)에 끼워져 지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24)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KR1020200155237A 2020-11-19 2020-11-19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KR102242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237A KR102242506B1 (ko) 2020-11-19 2020-11-19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237A KR102242506B1 (ko) 2020-11-19 2020-11-19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506B1 true KR102242506B1 (ko) 2021-04-20

Family

ID=7574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237A KR102242506B1 (ko) 2020-11-19 2020-11-19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50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6903A (en) * 1986-10-22 1989-01-10 Proctor David C Creeper for handicapped children
US8038158B1 (en) * 2008-09-22 2011-10-18 White Cynthia M Infant crawler
KR101149604B1 (ko) 2010-10-01 2012-06-12 주식회사 마로로봇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KR20120005561U (ko) * 2011-01-25 2012-08-02 치-샨 린 친환경 우산 손잡이 조립장치
KR101399125B1 (ko) * 2013-06-11 2014-05-28 정민영 보행보조기
JP2016042703A (ja) * 2006-12-19 2016-03-31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チャネル品質のフィードバックに基づくビーム時空符号化
KR101644106B1 (ko) 2015-04-20 2016-08-11 대한민국 편마비 장애인이 한 손으로 이용 가능한 실내 전동형 보행보조기구
KR20160095915A (ko) * 2015-02-04 2016-08-1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KR20200046592A (ko) * 2018-10-25 2020-05-07 곽정석 노약자 또는 환자용 보행 보조기구
US20200306120A1 (en) * 2019-02-28 2020-10-01 Taylor Moreland Tilting mobility scooter devic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6903A (en) * 1986-10-22 1989-01-10 Proctor David C Creeper for handicapped children
JP2016042703A (ja) * 2006-12-19 2016-03-31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チャネル品質のフィードバックに基づくビーム時空符号化
US8038158B1 (en) * 2008-09-22 2011-10-18 White Cynthia M Infant crawler
KR101149604B1 (ko) 2010-10-01 2012-06-12 주식회사 마로로봇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KR20120005561U (ko) * 2011-01-25 2012-08-02 치-샨 린 친환경 우산 손잡이 조립장치
KR101399125B1 (ko) * 2013-06-11 2014-05-28 정민영 보행보조기
KR20160095915A (ko) * 2015-02-04 2016-08-1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KR101644106B1 (ko) 2015-04-20 2016-08-11 대한민국 편마비 장애인이 한 손으로 이용 가능한 실내 전동형 보행보조기구
KR20200046592A (ko) * 2018-10-25 2020-05-07 곽정석 노약자 또는 환자용 보행 보조기구
US20200306120A1 (en) * 2019-02-28 2020-10-01 Taylor Moreland Tilting mobility scooter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16042703 A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1018B1 (en) Walk again walker
US6244991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xercise developmentally delayed persons
US8151812B2 (en) Sit down and stand up walker with seat assembly
US5112044A (en) Perambulating therapeutic support
US6832770B1 (en) Child ambulation aid with enhanced maneuverability
JP2011504112A (ja) バランス及び身体の向きの支援装置
US20180177665A1 (en) Devices enabling the disabled to stand, walk and activate one's body
US20180000682A1 (en) Physical therapy and walker apparatus
KR20170037118A (ko) 보행 훈련 보조 장치
US5152730A (en) Handless walking aid for preventing falls from loss of balance
KR100872037B1 (ko) 보행보조기
CN107433570B (zh) 穿戴式下肢外骨骼助行装置
JP2001112886A (ja) 運動補助装置
US4204719A (en) Bearing and support
US4340216A (en) Bearing and support
US11963921B2 (en) Convertible walker
KR102242506B1 (ko)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CN211272100U (zh) 一种用于偏瘫患者站立康复训练的助行器
KR101439955B1 (ko) 보행기 및 의자로도 사용되는 트랜스포머 지팡이
US20220202642A1 (en) Assisted walking device
US8079379B2 (en) Baby walk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winding shape and two pairs of handlebars paralled to a wheel axle
KR102218837B1 (ko) 접이식 이동보조장치
US4356902A (en) Bearing and support
US4275880A (en) Bearing and support
US20180256436A1 (en) Walk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