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915A -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5915A KR20160095915A KR1020150017505A KR20150017505A KR20160095915A KR 20160095915 A KR20160095915 A KR 20160095915A KR 1020150017505 A KR1020150017505 A KR 1020150017505A KR 20150017505 A KR20150017505 A KR 20150017505A KR 20160095915 A KR20160095915 A KR 201600959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ddle
- saddles
- unit
- pet
- suppor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claims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14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안장을 가지는 안장부와; 복수의 상기 안장이 서로 이격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안장연결부와; 상기 안장부를 지지하는 안장지지부와; 상기 안장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본체와, 상기 안장지지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본체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본체결합부를 포함하는 회동결합부와; 상기 안장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서 회전이동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안장부를 통해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지탱 가능하며, 복수의 안장을 통해 애완동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안장높이조절부를 통해 안장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지탱되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경우 좁은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운동부족에 따른 비만이나 관절염 등에 의해 다리의 힘이 약해지거나, 사고에 의해 사지가 마비되는 등과 같이 애완동물 스스로 보행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애완동물의 재활치료를 위해 트레드밀(Treadmill)을 사용하여 애완동물이 트레드밀을 따라 사람이 목줄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직접 끌어 강제로 훈련을 시키게 된다. 이러한 장치를 통해 재활치료를 할 경우 애완동물에게 강제로 훈련이 행해지기 때문에 애완동물이 트레드밀을 이용한 재활치료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종래 기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093209호 동물용 운동보조기구'에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수직프레임,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프레임, 수직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을 결속하는 상부고정체,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베이스 및 수직프레임을 결속하는 하부고정체 및 하부고정체에 결합된 회전체를 포함하며, 이 종래기술의 경우 애완동물이 스스로 재활치료를 할 수 있도록 보행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과 같은 운동보조기구를 실제로 사용하게 되면 수직프레임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더라도 애완동물의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없으며, 기구가 기울어질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구의 조립이 복잡하여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장부를 통해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지탱 가능하며, 복수의 안장을 통해 애완동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안장높이조절부를 통해 안장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안장을 가지는 안장부와; 복수의 상기 안장이 서로 이격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안장연결부와; 상기 안장부를 지지하는 안장지지부와; 상기 안장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본체와, 상기 안장지지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본체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본체결합부를 포함하는 회동결합부와; 상기 안장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서 회전이동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본체는 상기 안장으로부터 상기 본체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된 피봇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피봇을 수용하도록 함몰된 피봇수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봇은 구형표면을 가지며, 상기 피봇수용부는 상기 피봇의 구형표면에 대응하여 구형으로 함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장연결부는, 복수의 상기 안장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고리부와; 양단부 각각이 상이한 상기 고리부에 체결되어 상기 안장을 연결하는 연결체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 상기 연결체인부 및 상기 안장부를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차단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호커버는 복수의 상기 안장이 서로 적층되지 않도록 구획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안장지지부는, 일단이 숫나사, 타단이 암나사로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안장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안장은, 서로 상이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일단이 상승되며 타단이 하강된 제1안장과, 서로 상이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일단이 상승되며 타단이 하강된 제2안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장지지부는 상기 안장부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제1안장과 상기 제2안장을 각각 지지하는 분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안장부를 통해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지탱 가능하며, 복수의 안장을 통해 애완동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안장높이조절부를 통해 안장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 및 4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 및 4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1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는 복수의 안장(110, 120, 130, 140)을 가지는 안장부(100), 안장(110, 120, 130, 140)들을 연결하는 안장연결부(200), 안장부(100)를 지지하는 안장지지부(300), 안장부(100)와 안장지지부(300)를 결합하는 회동결합부(400) 및 바퀴부(500)를 포함한다.
안장부(100)는 복수의 안장(110, 120, 130, 140)을 포함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안장부(100)에는 애완동물 특히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이 4족 보행하는 동물의 몸체가 안착되며, 애완동물이 보행 시 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4족 보행하는 애완동물의 경우 다리와 연결된 몸체 내의 근육이 각 다리에 의해 수축 및 이완이 되기 때문에, 애완동물이 보행을 할 경우 각기 다른 근육이 수축 및 이완을 하면서 애완동물의 몸체의 형상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4족 보행에 맞춰 안장부(100)의 형상이 변할 수 있도록 안장부(100)는 복수의 안장(110, 120, 130, 140), 바람직하게는 4개의 다리와 연결된 몸체 부위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4개의 안장(110, 120, 130, 140)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안장(110, 120, 130, 140)은, 서로 상이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일단이 상승되며 타단이 하강된 제1전방안장(110) 및 제1후방안장(120)으로 이루어진 제1안장과, 서로 상이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일단이 상승되며 타단이 하강된 제2전방안장(130) 및 제2후방안장(140)으로 이루어진 제2안장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전방안장(110)과 제1후방안장(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제2전방안장(130)과 제2후방안장(140)도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1전방안장(110)의 타단부는 제2전방안장(130)의 타단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애완동물의 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안장(110, 120, 130, 140)이 서로 이격 유지되며 안장(110, 120, 130, 140)이 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장(110, 120, 130, 140)들을 서로 연결하는 안장연결부(200)가 안장(110, 120, 130, 140)에 형성된다. 안장연결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으로부터 다른 안장을 향하도록 각각 돌출된 고리부(210)와, 양단부 각각이 상이한 안장의 고리부(210)에 체결되어 안장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체인부(220)를 포함한다. 즉, 연결체인부(220)의 일단이 제1전방안장부(110)에 연결되면 타단은 제2전방안장부(130)에 연결되며, 또한 다른 연결체인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방안장부(110)와 제1후방안장부(120)를 연결하여 4개의 안장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 연결체인부(220) 대신 끈이나 버클과 같은 연결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고리부(210), 연결체인부(220) 및 안장부(100)를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차단하는 보호커버(600)가 추가로 설치된다. 안장부(100)에 안착되는 애완동물이 고리부(210)와 연결체인부(220)에 의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천 등과 같이 부드러운 소재의 보호커버(600)를 씌워 애완동물이 안락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의 자극에 의해 고리부(210)와 연결체인부(220)의 결합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 보호커버(600)는 복수의 안장(110, 120, 130, 140)이 서로 적층되지 않도록 구획하는 구획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610)는 보호커버(600) 내부에 칸막이 형식으로 천을 추가하거나, 재봉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장부(100)의 하부에는 안장부(100)를 지지하는 안장지지부(300)가 설치된다. 안장지지부(300)는 도 2 및 3과 같이 안장부(100) 방향으로 분기되어 제1안장과 제2안장을 지지하는 분기지지부(310)가 안장지지부(300)의 상부에 형성된다. 분기지지부(310)는 제1전방안장(110) 및 제2전방안장(130)을 지지하는 전방분기지지부(311)와, 제1후방안장(120) 및 제2후방안장(140)을 지지하는 후방분기지지부(312)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분기지지부(310)를 포함하지 않고 4 개의 안장에 4개의 안장지지부(300)가 각각 설치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애완동물의 보행으로 인해 복수의 안장(110, 120, 130, 140)이 각각 움직일 때 안장지지부(300)로부터 안장(110, 120, 130, 140)이 회동가능하도록 회동결합부(400)가 형성된다. 회동결합부(400)는 안장(110, 120, 130, 140)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동본체(410)와, 안장지지부(300)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회동본체(410)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본체결합부(420)를 포함한다. 즉 애완동물이 보행을 하게 되면 안장이 전후 또는 좌우로 회동하여 애완동물의 근육 움직임에 맞춰 몸체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안장(110, 120, 130, 140)이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본체(410)는 안장으로부터 본체결합부(420) 방향으로 돌출된 피봇으로 이루어지며, 본체결합부는 피봇을 수용하도록 함몰된 피봇수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피봇은 구형표면을 가지며, 피봇수용부는 피봇의 구형표면에 대응하여 구형으로 함몰된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안장부(100)에 피봇수용부가 형성되며 안장지지부(300)에 피봇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피봇 대신 힌지를 통해 안장부(1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안장지지부(300)의 길이를 조절을 통해 안장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장지지부(300)에는 안장높이조절부(700)가 형성되며, 안장지지부(300)의 단부에는 지면에서 회전이동하는 바퀴부(500)가 형성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보행을 하게 되면 바퀴부(500)에 의해 보행 보조장치(10)가 이동을 하게 된다.
안장높이조절부(700)는 일단이 숫나사(711), 타단이 암나사(712)로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블록(710)으로 이루어지는데, 원하는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블록(710)의 개수를 추가 또는 제거하여 애완동물의 안착높이를 조절한다. 애완동물의 보행을 지지할 때 사지마비와 같이 애완동물의 다리에 하중을 많이 가하면 안되는 경우에는 안장높이조절부(700)를 통해 안장부(100)의 높이를 높여 다리에 하중이 최대한 적게 가도록 한다. 또한 지속적인 재활훈련을 통해 애완동물의 다리가 치료가 되면 안장높이조절부(700)를 통해 점점 안장부(100)의 높이를 낮춰 애완동물의 다리에 하중을 가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애완동물이 정상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안장높이조절부(700)는 블럭이 아닌 볼트-너트 형식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앞다리의 재활훈련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앞다리를 지지하는 안장지지부(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뒷다리보다 앞다리에 하중이 많이 가해지도록 하여 재활훈련을 실시한다. 반대로 뒷다리의 재활훈련이 필요한 경우 뒷다리에 하중이 많이 가해지도록 안장지지부(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재활훈련을 수행한다.
또한 보행 보조장치(10)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재활치료할 때 애완동물이 보조장치(1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부(100)로부터 연장된 고정밴딩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밴딩부(800)는 애완동물의 몸체를 안장부(100)로부터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10)를 사용하게 되면 애완동물을 안착시키는 안장부(100)가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지탱 가능하며, 복수의 안장(110, 120, 130, 140)으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안장높이조절부(700)를 통해 안장부(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보행 보조장치
100: 안장부
110: 제1전방안장 120: 제1후방안장
130: 제2전방안장 140: 제2후방안장
200: 안장연결부 210: 고리부
220: 연결체인부 300: 안장지지부
310: 분기지지부 311: 전방분기지지부
312: 후방분기지지부 400: 회동결합부
310: 회동본체 420: 본체결합부
500: 바퀴부 600: 보호커버
610: 구획부 700: 안장높이조절부
710: 높이조절블록 711: 숫나사
712: 암나사 800: 고정밴딩부
110: 제1전방안장 120: 제1후방안장
130: 제2전방안장 140: 제2후방안장
200: 안장연결부 210: 고리부
220: 연결체인부 300: 안장지지부
310: 분기지지부 311: 전방분기지지부
312: 후방분기지지부 400: 회동결합부
310: 회동본체 420: 본체결합부
500: 바퀴부 600: 보호커버
610: 구획부 700: 안장높이조절부
710: 높이조절블록 711: 숫나사
712: 암나사 800: 고정밴딩부
Claims (8)
-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안장을 가지는 안장부와;
복수의 상기 안장이 서로 이격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안장연결부와;
상기 안장부를 지지하는 안장지지부와;
상기 안장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본체와, 상기 안장지지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본체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본체결합부를 포함하는 회동결합부와;
상기 안장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서 회전이동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본체는 상기 안장으로부터 상기 본체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된 피봇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피봇을 수용하도록 함몰된 피봇수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은 구형표면을 가지며, 상기 피봇수용부는 상기 피봇의 구형표면에 대응하여 구형으로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연결부는,
복수의 상기 안장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고리부와;
양단부 각각이 상이한 상기 고리부에 체결되어 상기 안장을 연결하는 연결체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 상기 연결체인부 및 상기 안장부를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차단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복수의 상기 안장이 서로 적층되지 않도록 구획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부는,
일단이 숫나사, 타단이 암나사로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안장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안장은, 서로 상이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일단이 상승되며 타단이 하강된 제1안장과, 서로 상이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일단이 상승되며 타단이 하강된 제2안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장지지부는 상기 안장부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제1안장과 상기 제2안장을 각각 지지하는 분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7505A KR101682410B1 (ko) | 2015-02-04 | 2015-02-04 |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7505A KR101682410B1 (ko) | 2015-02-04 | 2015-02-04 |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5915A true KR20160095915A (ko) | 2016-08-12 |
KR101682410B1 KR101682410B1 (ko) | 2016-12-05 |
Family
ID=5671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7505A KR101682410B1 (ko) | 2015-02-04 | 2015-02-04 |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241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85222A1 (en) * | 2019-03-13 | 2020-09-17 | Handicapped Pets, Inc. | Pet mobility carrier assembly |
KR102242506B1 (ko) * | 2020-11-19 | 2021-04-20 | 유한회사 쿠미 |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6244B1 (ko) | 2020-11-06 | 2021-05-26 | 전서희 | 애완동물용 볼 밴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1594Y1 (ko) | 2003-07-24 | 2003-11-01 | 박철기 |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
JP2004208669A (ja) * | 2003-01-06 | 2004-07-29 | Kuzuu Hiroko | ペット用歩行補助車 |
KR20100113868A (ko) * | 2009-04-14 | 2010-10-22 | 김영환 | 동물용 운동보조기구 |
KR20110017084A (ko) * | 2009-08-13 | 2011-02-21 | 유현규 | 분할형 자전거 안장 |
-
2015
- 2015-02-04 KR KR1020150017505A patent/KR1016824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08669A (ja) * | 2003-01-06 | 2004-07-29 | Kuzuu Hiroko | ペット用歩行補助車 |
KR200331594Y1 (ko) | 2003-07-24 | 2003-11-01 | 박철기 |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
KR20100113868A (ko) * | 2009-04-14 | 2010-10-22 | 김영환 | 동물용 운동보조기구 |
KR101093209B1 (ko) | 2009-04-14 | 2011-12-12 | 정인성 | 동물용 운동보조기구 |
KR20110017084A (ko) * | 2009-08-13 | 2011-02-21 | 유현규 | 분할형 자전거 안장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85222A1 (en) * | 2019-03-13 | 2020-09-17 | Handicapped Pets, Inc. | Pet mobility carrier assembly |
CN112218599A (zh) * | 2019-03-13 | 2021-01-12 | 汉迪凯普宠物公司 | 宠物移动托架组件 |
CN112218599B (zh) * | 2019-03-13 | 2023-10-31 | 汉迪凯普宠物公司 | 宠物移动托架组件 |
US11969390B2 (en) | 2019-03-13 | 2024-04-30 | Walkin Pets Inc. | Pet mobility carrier assembly |
KR102242506B1 (ko) * | 2020-11-19 | 2021-04-20 | 유한회사 쿠미 | 장애인용 이동 보조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2410B1 (ko) | 2016-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307628B (zh) | 中心稳定跑步训练系统和设备 | |
KR101325066B1 (ko) | 뇌졸중 환자의 보행재활 치료용 로봇 | |
US7604583B2 (en) | Stretching machine | |
US10765087B1 (en) | Walker for animals | |
US7896784B2 (en) | Stride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1682410B1 (ko) |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
US10039684B2 (en) | Rehabilitation apparatus | |
JPH0117696B2 (ko) | ||
US9987159B2 (en) | Back supporter | |
US6729268B1 (en) | Rear support pet leash | |
CA2999540A1 (en) | A dual hand controlled device for leg stretching and/or activation | |
KR101694848B1 (ko) | 환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행 재활 로봇 | |
KR102113231B1 (ko) |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 |
US20080294077A1 (en) | Treatment Device for the Human Body | |
CN109940581A (zh) | 外骨骼和安装装置 | |
KR20180110525A (ko) |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 |
KR20180091604A (ko) | 애완견 및 애완묘의 슬관절용 관절운동제한보조기 | |
JP6960072B2 (ja) | 動物用歩行補助具 | |
KR200431890Y1 (ko) |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 |
US11452660B2 (en) | Apparatus and method of training human brain and body to walk using modular an exoskeleton | |
WO2019038653A1 (en) | MOTOR REHABILITATION DEVICE IN POSTURAL DYSFUNCTIONS | |
TWM599527U (zh) | 寵物輔具 | |
GB2480061A (en) | Dog training Harness | |
KR101269797B1 (ko) | 도립운동장치 | |
KR20160095886A (ko) | 보행 재활로봇에 설치되는 체중분산 보조 하네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