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594Y1 -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594Y1
KR200331594Y1 KR20-2003-0023964U KR20030023964U KR200331594Y1 KR 200331594 Y1 KR200331594 Y1 KR 200331594Y1 KR 20030023964 U KR20030023964 U KR 20030023964U KR 200331594 Y1 KR200331594 Y1 KR 200331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treadmill
support frame
running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기
Original Assignee
박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기 filed Critical 박철기
Priority to KR20-2003-0023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5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5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실내 운동을 통해 애완동물의 건강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이 개시된다.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 구조, 지지 프레임 구조에 순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런닝 벨트 및 지지 프레임 구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런닝 벨트의 양단을 지지하고 런닝 벨트와 결속되어 회전하는 롤러 부재를 포함한다. 실내 또는 실외 어디에서도 장소와 무관하게 애완동물을 운동시킬 수 있으며, 집을 비우는 낮 시간에도 애완동물을 꾸준하게 운동시킬 수 있으며, 비가 오거나 날씨가 추워도 지속적으로 운동을 시켜 애완동물의 부족한 운동을 보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런닝머신{RUNNING EXERCISER FOR A PET ANIMAL}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실내에서도 애완동물을 지속적으로 운동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애완동물을 아파트나 가정 내에서 키우는 것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이렇게 도시의 아파트 등의 가정에서 애완동물을키우는 경우, 애완동물은 주로 실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생활한다. 하지만, 아파트와 같은 가정 내에서 애완동물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은 극히 한정적이기 때문에, 가정 내에만 사는 애완동물은 운동부족으로 필요 이상으로 살찔 수가 있으며, 잘 컨트롤된 환경에서 살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저항력이 약화되는 등 건강이 약화될 수 있다. 실제로, 가정 내에서만 길러지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비만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저항력에 대한 약화로 각종 질병에 걸리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주인들은 애완동물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의무적으로 애완동물을 정기적으로 산책을 시켜줘야 하며, 지속적인 운동을 통해 건강을 유지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바쁜 일상 속에서 애완동물과 함께 정기적으로 산책이나 운동을 시키는 것을 현대인에게 쉽지 않은 일이며, 저녁 늦게나 아침 일찍 산책을 하는 것은 오히려 여자나 노약자들에게 신변적으로 위험한 일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장마철이나 추운 겨울과 같이 주변 환경에 의해서 애완동물을 산책시키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일 때, 산책을 통해 애완동물을 운동시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 된다.
또한, 낮에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낮 시간에 애완동물을 집에 가둬두고 있지만 직접 애완동물을 컨트롤할 수가 없어 애완동물의 운동시간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장소 및 날씨와 무관하게 실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애완동물을 운동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인이 직접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수 없는 경우에 자동으로 애완동물을 운동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애완동물의 관심을 이끌어 애완동물을 원활하게 운동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의 런닝 벨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정면도이다.
도 12a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일 사용례를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b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다른 사용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애완동물용 런닝머신 110, 210:하우징
115, 215:측벽 120, 220:런닝 벨트
130, 230:롤러 부재 132, 232:구동 모터
134, 234:기어 박스 136, 236:구동 롤러
138, 238:종동 롤러 150:런닝 벨트
152:공기 쿠션 240:프론트 프레임
245:LCD창 250:자동 급식 장치
C:제어부 360:자동 와이어 조절기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은 지지 프레임 구조, 런닝 벨트 및 롤러 수단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 구조가 지면에 고정되어 런닝머신을 지지하며, 지지 프레임 구조에 런닝 벨트가 순환 가능하게(circulatingly) 장착된다. 런닝 벨트는 일정한 폭을 갖는 벨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런닝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환한다. 런닝 벨트의 상면이 지지 프레임 구조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어 강아지와 같은 애완동물은 런닝 벨트 상에서 걷거나 뛸 수 있다.
런닝 벨트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 구조에 롤러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롤러 부재는 구동 롤러, 종동 롤러, 구동 모터 및 기어 박스를 포함한다. 구동 롤러 및 종동 롤러가 런닝 벨트의 양단을 지지하고, 런닝 벨트는 구동 롤러 및 종동 롤러와 같이 맞물려 반복 운동을 한다. 이때, 구동 롤러 및 종동 롤러의 외면은 런닝 벨트의 내면과 맞물리게 결속되어(engaged) 구동 롤러의 회전은 런닝 벨트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롤러는 기어 박스를 통해 구동 모터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모터의 회전에 대응하여 구동 롤러가 회전을 하며,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 및 속도가 변경됨에 따라 구동 롤러 및 런닝 벨트의 회전 방향 및 속도가 대응하여 변경된다.
또한, 런닝머신은 지지 프레임 구조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경사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조절 장치에 의해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운동 난이도를 용이하게 조절한다. 경사 조절 장치는 수동으로 경사를 조절하거나, 자동으로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런닝 벨트의 외면에 공기 쿠션이 돌출 형성되어 애완동물이 느낄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백색의 런닝 벨트를 사용함으로써 애견의 운동 욕구를 자극할 수도 있으며, 항균 처리된 벨트를 사용하여 위생적으로도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운동하고 있는 애완동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런닝 벨트의 양측에 인접하게 측벽이 제공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이탈을 더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양 측벽의 상부에 안착되는 돔 형상의 천장 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 구조의 상면 전방에 프론트 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자동 급식 장치가 설치되어 운동 도중 또는 완료 후에 애완동물에게 필요한 사료 또는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애완동물의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제공되는 사료 또는 물의 제공 시기 및 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된 분량의 운동을 완료하거나 수행하는 경우 애완동물에게 물을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창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이 운동을 하는 동안 자연 환경을 보여줌으로써 애완동물의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으며, 런닝 벨트의 이동 속도에 대응하게 주행 시뮬레이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여 애완동물의 운동 강도를 높게 유도할 수 있으며, 주인의 얼굴 형상을 보여주거나 음성을 들려주어 애완동물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에 화상 카메라를 장착하고 런닝머신을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화상 카메라를 통해 멀리 떨어져 있는 애완동물의 생활 및 운동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주인의 모습을 디스플레이 하여 애완동물에게 직접 운동을 지시할 수 있으며, 운동하고자 하는 욕구를 고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측벽 또는 프론트 프레임에 음악 재생기를 설치하여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음악을 운동 중 들려줄 수 있으며, 스트리밍 또는 MP3 기능 등을 내장하여 수시로 음악을 바꾸어 줄 수도 있다.
체지방 측정기 및 무게 측정기를 설치하여 애완동물이 런닝머신에 올라갔을 때 체지방 및 무게를 측정하고, 애완동물의 신체 특성에 적합한 운동 모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런닝머신의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하기 위해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런닝머신의 제어부는 런닝머신의 작동 여부는 물론, 운동 모드(exercising mode) 및 트랙 모드(track mode) 등과 같은 작동 모드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2대 이상의 런닝머신들을 가로 또는 세로로 연결할 수 있는 도킹부를포함할 수 있다. 도킹부는 후크 결합, 자력에 의한 결합 등을 이용하여 런닝머신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결합에 의해서 애완동물들의 운동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도킹부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런닝머신의 전원이 공급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상호 결속시키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송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경우, 작동 조작을 주인이 하기 때문에 원격에서 런닝머신을 조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런닝머신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컨트롤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가 지지 프레임 구조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0)은 지지 프레임 구조(110), 런닝 벨트(120) 및 롤러 부재(130)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 구조(110)는 런닝머신(100)의 지지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유선형의 외형을 갖는다. 미적인 관점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 구조(110)는 강아지의 발바닥 형상을 기본으로 한 것으로서, 전후 및 좌우의 측면에 연속적인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애완동물이 부딪혀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구조(110)의 상면에 사각형 형상의 홀이 형성되고, 홀의 전후단에 인접하게 구동 롤러(136) 및 종동 롤러(138)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롤러(136) 및 종동 롤러(138)를 양단에서 수용하는 런닝 벨트(120)가 제공된다.
런닝 벨트(120)는 폐쇄되고(closed) 연속적인(continuous) 벨트(belt) 형상으로 형성되며, 애완동물이 주행하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다. 상기 런닝 벨트(120)의 내면은 구동 롤러(136) 및 종동 롤러(138)의 외면과 상호 결속되어(engaged) 함께 순환하기 때문에, 애완동물이 런닝 벨트(120) 위를 뛸 때 런닝 벨트(120)는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며, 런닝 벨트(120)의 순환과 함께 구동 롤러(136) 및 종동 롤러(138)도 같이 맞물려 회전을 한다. 런닝 벨트(120)는 합성수지, 직물 복합 소재 및 금속 지지플레이트의 연결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런닝 벨트(120)는 애완동물의 운동을 자극하기 위해 백색으로 형성된다. 또한, 런닝 벨트(120) 항균 처리되어 위생적으로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대개 항균 처리된 벨트는 항균필름의 원재(OPP base film) 위에 항균성분을 가진 금속(무기은계)를 필름 위로 증착하여 형성된다. 항균필름에 의해서 금속 물질이 세포막의 단백질에 흡착되고, 단백질의 -SH기와 결합하여 황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세균의 증식을 저해할 수 있다. 항균금속의 촉매작용에 의해 산소의 부분적인 활성화가 일어나며, 활성산소는 오존이나 과산화수소와 같은 강력한 살균력을 발휘할 수 있다.
구동 롤러(136)는 벨트(135)를 매개로 기어 박스(134)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기어 박스(134)는 구동 모터(132)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기어 박스(134)는대체로 감속기로서, 구동 모터(132)의 회전을 일정 비율로 감속시켜 구동 롤러(136)로 전달한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감속 비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감속 비율이 변함에 따라 구동 롤러(136)의 회전 속도를 다양한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구동 롤러(136)가 지지 프레임 구조(110)의 전방에 위치하며, 구동 롤러(136)에 인접하게 기어 박스(134) 및 구동 모터(132)도 지지 프레임 구조(1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 외에도,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롤러는 후방 또는 중앙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종동 롤러, 기어 박스 및 구동 모터의 개수 및 위치도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종동 롤러(138)의 축 양단에는 텐션 부재(139)가 각각 장착된다. 종동 롤러(138)의 축은 전후 방향으로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축의 양단에 텐션 부재(139)가 장착되어 종동 롤러(138)의 축을 후방으로 당기는 기능을 한다. 종동 롤러(138)의 축을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런닝 벨트(120)의 장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런닝머신(100)의 상면에는 런닝 벨트(120)의 양측에 인접하게 측벽(115)이 형성된다. 측벽(115)은 주행 도중에 애완동물이 런닝 벨트(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위의 시야를 차단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운동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15) 내부에는 스피커(116)가 장착되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주인의 목소리 또는 기타 자극적인 소리를 출력하여 애완동물이 지속적으로 운동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애완동물이 좋아하는음악을 들려 줄 수 있으며, MP3와 같은 음악 파일을 저장 또는 송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주인은 애완동물을 런닝 벨트(120) 상에 올려 놓고, 작동 스위치(SW)를 온 상태로 전환한다. 애완동물이 런닝 벨트(120)의 속도를 직접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런닝머신(100)은 미리 프로그램된 모드에 따라 목적된 속도로 런닝 벨트(120)의 이동속도를 서서히 증가시킨다.
지지 프레임 구조(110)의 표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부(I)를 통해 런닝머신(100)의 작동 모드, 운동 시간, 평균 속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운동 시간이 경과하거나 주인의 오프 작동에 의해서 런닝머신(100)은 정지된다.
이 외에도, 애완동물이 런닝 벨트(120) 상에 올라가면,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애완동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런닝머신(1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수동 모드 및 자동 모드는 주인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으며, 자동 모드시 애완동물이 런닝머신에 오른 후 수초의 간격을 두고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의 런닝 벨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런닝 벨트(150)를 제외한 다른 구성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런닝 벨트(150)는 양단에 구동 롤러 및 종동 롤러를 수용하며, 양 롤러들에 지지되어 런닝 벨트(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인다. 런닝 벨트(150)의 외면에는 공기 쿠션(152)들이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공기 쿠션(152)은 런닝 벨트(150)의 외면과 일체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며, 각 공기 쿠션(152)에는 공기 등의 유체가 충진된다.
공기 쿠션(152)은 런닝 벨트(150)의 외면에 돌기들을 형성함으로써 애완동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뛸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애완동물의 발 및 관절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측면도이며,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들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200)은 지지 프레임 구조(210), 런닝 벨트(220), 롤러 부재(230), 프론트 프레임(240), LCD창(245) 및 자동 급식 장치(250)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 구조(210)의 상면에 사각형 형상의 홀이 형성되고, 홀의 전후단에 인접하게 구동 롤러(236) 및 종동 롤러(238)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롤러(236) 및 종동 롤러(238)를 양단에서 수용하는 런닝 벨트(220)가 제공된다.
런닝 벨트(220)의 내면은 구동 롤러(236) 및 종동 롤러(238)의 외면과 상호결속되어(engaged) 함께 회전하며, 구동 롤러(236)는 벨트(235)를 매개로 기어 박스(234)와 구동 모터(232)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런닝머신(200)의 상면에는 런닝 벨트(220)의 양측에 인접하게 측벽(215)가 형성된다. 측벽(215)는 주행 도중에 애완동물이 런닝 벨트(2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위의 시야를 차단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운동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구조(110) 상면 전방에는 프론트 프레임(240)이 설치되며, 프론트 프레임(240)에는 화상 카메라(242), LCD창(245) 및 자동 급식 장치(250)가 장착된다. 프론트 프레임(240)은 하단은 측벽(215)의 경계와 부드럽게 이어져 통일된 외관을 형성한다.
LCD창(245)은 자연환경 등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애완동물이 운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늘, 바다, 해변 등의 자연 경치를 보여줌으로써 애완동물의 주의를 끌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음식을 보여줌으로써 애완동물의 주의를 끝 수 있다. LCD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이미지 및 동영상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선호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보여줌으로써 운동을 목적된 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주인의 얼굴을 보여주거나 주인의 목소리를 들려줌으로써 강아지 등의 주의를 끌 수 있으며, 계속 뛰라는 등의 명령을 친숙하게 전달할 수 있다.
화상 카메라(242)는 LCD창(245)에 인접하게 프론트 프레임(240)에 장착된다.화상 카메라(242)는 운동 중인 애완동물과 마주보도록 장착되며, 애완동물의 운동 상태를 영상으로 기록하거나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닝머신(200)은 랜(LAN)을 통해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애완동물이 운동하고 있는 모습이 직장에 있는 주인에게로 전송될 수가 있다. 이를 통해 주인은 화상 카메라(242)를 통해 애완동물의 생활 모습 및 운동 상태를 직접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주인은 인터넷을 통해 주인의 모습 등을 런닝머신(200)으로 전송하여 LCD창(245)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주인의 모습을 디스플레이 하여 애완동물에게 직접 운동을 지시할 수 있으며, 운동하고자 하는 욕구를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운동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 자동 급식 장치(250)를 사용할 수 있다. 자동 급식 장치(250)는 애완동물의 사료 또는 물 등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식부(252) 및 저장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급식 장치(250)는 사료 또는 물 등을 저장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급식을 하는 급식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료 및 물의 공급을 통해 애완동물을 운동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주인은 운동으로 소비되는 칼로리 또는 지속적인 운동하는 시간 등을 기준으로 목적 운동량을 설정할 수 있다. 애완동물이 런닝머신(200)에서 미리 설정된 목적 운동량의 운동을 완료하면, 정해진 양의 사료 또는 물을 급식부(252)를 통해서 공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애완동물은 경험을 통해 일정량 이상의 운동을 하여야만 사료 또는 물이 공급되는 것을 학습할 수 있으며, 주인은 이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이 사료 또는 물을 얻기 위해 급식이 될 때까지 운동을 계속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게다가 급식부(252)에 공급된 사료 또는 물을 먹기 위해 애완동물은 추가적으로 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운동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주인이 집에 없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료나 물을 얻기 위해 런닝머신(200)에 오르면 센서가 애완동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을 하고 미리 프로그램된 운동 모드를 따라 일정량 이상의 운동을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주인이 없는 경우의 급식 문제 및 낮 시간의 운동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제3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들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300)은 하우징, 런닝 벨트(320), 롤러 부재(330), 프론트 프레임(340), 제어부(C) 및 자동 와이어 조절기(360)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상면에 사각형 형상의 홀이 형성되고, 홀의 전후단에 인접하게 구동 롤러(336) 및 종동 롤러(338)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롤러(336) 및 종동 롤러(338)를 양단에서 수용하는 런닝 벨트(320)가 제공된다.
런닝 벨트(320)의 내면은 구동 롤러(336) 및 종동 롤러(338)의 외면과 상호결속되어(engaged) 함께 회전하며, 구동 롤러(336)는 벨트(335)를 매개로 기어 박스(334)와 구동 모터(332)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런닝머신(300)의 상면에는 런닝 벨트(320)의 양측에 인접하게 측벽이 형성된다. 측벽은 주행 도중에 애완동물이 런닝 벨트(3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위의 시야를 차단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운동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하우징 상면 전방에는 프론트 프레임(340)이 설치되며, 프론트 프레임(340)에는 자동 와이어 조절기(360)가 장착된다.
자동 와이어 조절기(360)는 와이어(362) 및 자동 와이어 릴(364)를 포함한다. 와이어(362)는 자동 와이어 릴(364)에 감겨 있으며, 와이어(362)의 자유단에는 클립(362a)이 연결된다. 클립(362a)은 애완동물의 목걸이 또는 몸통 고정대에 연결됨으로써 와이어(362)는 애완동물에 직접 연결된다.
자동 와이어 릴(364)은 와이어(362)를 부분적으로 감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와이어(362)의 장력을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한다. 유지되는 장력은 애완동물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강도로 유지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뒤쳐지는 경우 와이어(362)의 장력이 증가하며, 이때 와이어(362)가 자동 와이어 릴(364)로부터 풀려 장력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애완동물이 앞서는 경우 와이어(362)의 장력이 감소하며, 이때 와이어(362)가 자동 와이어 릴(364)에 감겨 장력을 증가시킨다.
이렇게 와이어(362)를 감거나 푸는 과정에서 자동 와이어 릴(364)이 회전을 하며, 자동 와이어 릴(364)의 회전을 통해서 애완동물의 운동 상태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자동 와이어 릴(364)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제어부(C)와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C)는 자동 와이어 릴(364)을 통해서 감지되는 애완동물의 상태에 따라 런닝 벨트(32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이 지쳐서 뒤로 쳐지면, 와이어(362)가 풀리면서 자동 와이어 릴(364)이 회전을 하고, 자동 와이어 릴(364)의 회전은 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제어부(C)로 전달된다. 이때, 제어부(C)는 구동 모터(332)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기어 박스(334)의 감속 비율을 증가시켜 런닝 벨트(320)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설정에 따라서는 자동 와이어 릴(364)의 회전에 따라 운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주인의 목소리 또는 자극적인 소리를 통해 애완동물의 운동을 더욱 독려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애완동물이 주행 도중 넘어지거나 런닝머신(300) 밖으로 이탈하면서, 자동 와이어 릴(364)이 갑자기 회전을 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C)는 갑작스런 상황에 대응하여 런닝머신(300)의 작동을 아예 정지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와이어 릴(364)이 와이어(362)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의 풀림에 대응하여 자동 와이어 릴이 반력을 제공하여 뒤쳐지는 애완동물의 끌어 당길 수 있으며, 이로써 애완동물의 운동을 독려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사용 상태도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0)에 비해 리모트 컨트롤러(170) 및 신호 수신부(118)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4 실시예의 설명은 제1 실시예들의 설명 및 도면을 동일하게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0)은 지지 프레임 구조(110), 런닝 벨트(120), 롤러 부재, 제어부, 리모트 컨트롤러(170) 및 신호 수신부(118)를 포함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70)는 케이스(172), 작동 버튼(174), LCD패널(176) 및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부(I)의 기능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애완동물이 런닝머신(101)을 직접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인은 애완동물의 운동상태에 따라 런닝머신(101)의 시작 및 정지, 갑작스런 정지 및 런닝 벨트(120)의 속도 조절 등을 조절해 주어야 한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70)는 런닝머신(101)의 작동을 원거리에서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런닝머신(101)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애완동물이 넘어지는 등의 갑작스런 돌발 상황에 즉각 대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애완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도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70)에 대응하여 지지 프레임 구조(110)에는 신호 수신부(118)가 장착되며, 신호 수신부(118)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리모트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컨트롤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런닝머신(101)을 원거리에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5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측면도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400)은 경사 조절 장치(460)를 더 포함하는 것 외에는 이전 실시예들의 런닝머신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400)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들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400)은 지지 프레임 구조(410), 런닝 벨트, 롤러 부재(430), 측벽(415) 및 경사 조절 장치(460)를 포함한다.
경사 조절 장치(460)는 지지 프레임 구조(410)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운동의 난이도를 다양하면서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 조절 장치(460)는 스크류 전동 장치(462), 컨트롤 로드(466) 및 지지대(464)를 포함한다. 스크류 전동 장치(462)는 지지 프레임 구조(410)의 내부에서 후방에 장착되며, 지지 프레임 구조(410)의 내부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크류 전동 장치(462)는 나사홀을 포함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며, 회전체에 컨트롤 로드(466)가 부분적으로 맞물려 수용된다. 따라서, 스크류 전동 장치(462)의 회전체가 회전을 하면서 회전체는 컨트롤 로드(466)를 밀어내거나 당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트롤 로드(466)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컨트롤 로드(466)의 단부에는 지지대(464)가 힌지로 연결된다. 지지대(464)는 지지 프레임 구조(410)의 저면으로부터 노출된 부분 및 지지 프레임 구조(410)의 내부로 수용된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464)는 노출된 부분과 수용된 부분을 대략 힌지로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구조(410)의 내부에 수용된 부분의 단부는 컨트롤 로드(466)와 연결되며, 컨트롤 로드(466)의 길이 신축에 따라 지지대(46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 프레임 구조(410)의 저면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의 단부에는 휠이 장착되며, 휠에 의해서 지지대(464)의 하단이 원활하게 움직인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 조절 장치(460)에 대응하여, 지지 프레임 구조(410)의 저면 전방에는 지지턱(468)이 형성된다. 이는 경사 조절 장치(460)의 작동에 의한 경사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 구조의 저면을 부분적으로 돌출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6
도 10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정면도이다. 제6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2)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0)에 비해 돔 형상의 천장 부재(180)을 더 포함하며, 그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따라서, 제6 실시예의 설명은 제1 실시예들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2)는 지지 프레임 구조(110), 측벽(115), 런닝 벨트, 롤러 부재 및 천장 부재(180)를 포함한다.
천장 부재(180)은 측벽(115)의 상단 형상을 따라 형성된 저면을 포함하며, 측벽(115)의 상단 상에 배치되어 런닝머신(102)의 상면을 덮는다. 도 11의 부분적으로 확대된 부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부재(180)의 저면은 측벽(115)의 상단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며, 홈을 통해 측벽(115) 천장 부재(180)가 상호 결속된다. 홈은 측벽(115)의 상단 두께에 대응하여 약 4~7mm의 너비를 갖는다.
천장 부재(180)은 측벽(115)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되며, 측벽(115)과 마찬가지로 애완동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애완동물의 운동 영역을 부분적으로 제한하여 운동에 집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천장 부재(180)로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불투명 소재의 경우 주변으로부터 애완동물을 차단하여 운동에 대한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2a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일 사용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b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다른 사용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7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3)은 제1 실시예의 런닝머신(100)과 비교하여 지지 프레임 구조(110)의 형상이 약간 상이하며 도킹부(190, 195)를 더 포함한다. 그 외에는 제1 실시예의 런닝머신(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런닝머신(103)는 지지 프레임 구조(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제1 도킹부(190) 및 전후면에 형성된 제2 도킹부(19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도킹부(190, 195)는 2대 이상의 런닝머신들(103)을 가로 또는 세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런닝머신들(103)을 물리적으로 연결함으로써 2마리 이상의 애완동물을 동시에 운동시킬 수 있으며, 애완동물 간에 서로 즐겁게 운동을 시킬 수 있어 운동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도킹부(190, 195)는 런닝머신(103)의 전원과 연결된 전자석을 포함한다. 따라서, 런닝머신(103)의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전환하면서 런닝머신(103)에 전원이 공급되고, 전원과 연결된 전자석에 자력이 발생하여 런닝머신(103)을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도킹부(190, 195)는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송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런닝머신들(103)의 연결과 함께 런닝머신들(103)은 상호 전기적으로도 연결된다. 상호 연결된 런닝머신들(103) 중 한 런닝머신을 조작하여 나머지 런닝머신들을 동일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애완동물의 운동 데이터를 교환하여 일괄적인 관리 및 일관적인 건강 비교 등이 가능해진다.
이 외에도 도킹부는 후크 결합과 같은 물리적인 결합 또는 영구 자석을 이용한 결합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런닝머신은 장소 및 날씨와 무관하게 실내에서도 지속적으로애완동물을 운동시킬 수 있으며, 주인이 직접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수 없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애완동물을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람을 위한 런닝머신과는 달리 애완동물의 관심을 끌기 위한 디스플레이 창, 자동 급식 장치를 포함하여 애완동물의 운동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직접적으로 런닝머신을 조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애완동물이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운동 주체와 컨트롤 주체가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를 추가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지지 프레임 구조;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에 순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런닝 벨트;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런닝 벨트의 양단을 지지하고 상기 런닝 벨트와 결속되어 회전하는 롤러 수단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수단은 상기 런닝 벨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구동 롤러, 상기 런닝 벨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종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와 기능적으로 결속된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를 통해 상기 구동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경사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런닝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 장치는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내부에 장착된 스크류 전동 장치, 상기 스크류 전동 장치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스크류 전동 장치의 회전에 따라 노출된 길이가 조절되는 컨트롤 로드 및 상기 컨트롤 로드와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 로드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의 경사를 조절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에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저면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의 단부에는 휠이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내부로 수용된 부분의 단부는 상기 컨트롤 로드와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닝 벨트는 상기 런닝 벨트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공기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하고 있는 애완동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런닝 벨트의 상면 양측에 인접하게 측벽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단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돔 형상의 천장 부재를 더포함하며, 상기 측벽과 접하는 상기 천장 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측벽을 상단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천장 부재는 상기 측벽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상면 전방에 프론트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자동 급식 장치를 포함하여, 목적된 분량의 운동의 완료 후 애완동물에게 사료 또는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상면 전방에 프론트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인접하게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화상 카메라가 설치가 되고, 상기 런닝머신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화상 카메라에 의해서 기록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닝머신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런닝머신의 작동 여부 및 작동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런닝머신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컨트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에 직접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목적된 범위 내로 유지하는 자동 와이어 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와이어 릴에 의해서 감지되는 상기 애완동물의 운동 상태에 따라 상기 런닝 벨트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런닝 벨트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14. 제11항에 있어서,
    체지방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고정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지방 측정 센서 및 상기 런닝 벨트에 장착된 체중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애완동물의 신체 특성들을 인자로 이용하여 상기 작동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는 다른 런닝머신과 가로 또는 세로로 연결될 수 있는 도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2대 이상의 런닝머신이 상기 도킹부에 의해서 연결될 때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KR20-2003-0023964U 2003-07-24 2003-07-24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KR200331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64U KR200331594Y1 (ko) 2003-07-24 2003-07-24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64U KR200331594Y1 (ko) 2003-07-24 2003-07-24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141A Division KR20030068099A (ko) 2003-07-24 2003-07-24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594Y1 true KR200331594Y1 (ko) 2003-11-01

Family

ID=4941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964U KR200331594Y1 (ko) 2003-07-24 2003-07-24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594Y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327B1 (ko) 2013-12-05 2015-11-2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험용 소동물의 운동측정장치
KR20160095915A (ko) 2015-02-04 2016-08-1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KR20190131165A (ko) * 2018-05-16 2019-11-26 한국코스믹라운드(주) 자동 속도 조절형 스마트 펫 트레드밀
KR102057557B1 (ko) * 2017-12-18 2019-12-19 (주)에이블 디자인스 동물용 수중 트레드밀
EP3824973A1 (en) * 2019-11-21 2021-05-2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310997B2 (en) 2019-11-21 2022-04-2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ttachment module
US11412709B2 (en) 2019-11-21 2022-08-1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deodorizer
US11503808B2 (en) 2019-11-22 2022-11-2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based on sensors
US11503807B2 (en) 2019-11-21 2022-11-22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fragrance assembly
US11510395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US11510394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nd storable treadmill having handle
US11559041B2 (en) 2019-11-22 2023-01-2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ensors
US11565146B2 (en) 2019-11-21 2023-01-31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djustable inclination
US11576351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576352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terilizer
US11691046B2 (en) 2019-11-21 2023-07-0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two belts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327B1 (ko) 2013-12-05 2015-11-2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험용 소동물의 운동측정장치
KR20160095915A (ko) 2015-02-04 2016-08-1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KR102057557B1 (ko) * 2017-12-18 2019-12-19 (주)에이블 디자인스 동물용 수중 트레드밀
KR20190131165A (ko) * 2018-05-16 2019-11-26 한국코스믹라운드(주) 자동 속도 조절형 스마트 펫 트레드밀
KR102114224B1 (ko) * 2018-05-16 2020-05-22 한국코스믹라운드(주) 자동 속도 조절형 스마트 펫 트레드밀
US11310997B2 (en) 2019-11-21 2022-04-2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ttachment module
US11565146B2 (en) 2019-11-21 2023-01-31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djustable inclination
EP3824970A1 (en) * 2019-11-21 2021-05-2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EP3824973A1 (en) * 2019-11-21 2021-05-2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412709B2 (en) 2019-11-21 2022-08-1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deodorizer
US11691046B2 (en) 2019-11-21 2023-07-0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two belts
US11503807B2 (en) 2019-11-21 2022-11-22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fragrance assembly
US11576352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terilizer
US11576351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EP3824975A1 (en) * 2019-11-21 2021-05-2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559041B2 (en) 2019-11-22 2023-01-2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ensors
US11510394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nd storable treadmill having handle
US11510395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US11503808B2 (en) 2019-11-22 2022-11-2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based on sens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1594Y1 (ko)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KR20030068099A (ko)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US10582698B2 (en) Pet trainer and exercise apparatus
US4930448A (en) Animal toy
US7434541B2 (en) Training guidance system for canines, felines, or other animals
US8944006B2 (en)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5875737A (en) Animal amusement device
US8113148B2 (en) Pet house
US11576351B2 (en) Treadmill
US200602014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controlled pet water dispenser
US200502240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nd feeding an animal using positive reinforcement techniques
WO2017062121A2 (en) Interactive pet robot and related methods and devices
US20180220623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et
JP2008282073A (ja) ペット誘導ロボットおよびペット誘導方法
GB2512674A (en) A pet interaction device
KR20190007889A (ko)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WO2009108821A2 (en) Remotely operable user controlled pet entertainment device
WO2006019488A1 (en) Training guidance system for canines, felines, or other animals
KR102114224B1 (ko) 자동 속도 조절형 스마트 펫 트레드밀
JP6958825B2 (ja) 移動体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
CN106386557A (zh) 一种陀螺智能感应宠物玩具
JP3138529U (ja) 動物歩行補助装置及び該装置用水槽
KR102466496B1 (ko)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WO2006044828A2 (en) Animal positive behavior reinforcement trainging and-feeding
US11659814B2 (en) Furniture animal deterr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