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889A -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889A
KR20190007889A KR1020170089515A KR20170089515A KR20190007889A KR 20190007889 A KR20190007889 A KR 20190007889A KR 1020170089515 A KR1020170089515 A KR 1020170089515A KR 20170089515 A KR20170089515 A KR 20170089515A KR 20190007889 A KR20190007889 A KR 20190007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robot
food
driving whe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아이
Priority to KR102017008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889A/ko
Publication of KR2019000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obo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안에 애완동물이 혼자 남겨 졌을 때, 애완동물과 놀면서 간헐적으로 먹이를 공급해줄 수 있는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로봇 하우징과, 구동모터와, 한 쌍의 구동바퀴와, 한 쌍의 감지센서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로봇 하우징은 하부 커버와 상부 커버가 상호 결합되어 제작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구동모터는 로봇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장착된다. 한 쌍의 구동바퀴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로봇 하우징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사료가 충전되며, 외측면에는 먹이배출공이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한 쌍의 감지센서는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로봇 하우징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된다. 제어부는 감지센서에서 애완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구동바퀴가 일정시간 회전되도록 구동모터에 회전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구동바퀴가 회전되면, 구동바퀴 내에 충전된 먹이 중 일부분이 먹이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A toy robot for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안에 애완동물이 혼자 남겨 졌을 때, 애완동물과 놀아주면서 간헐적으로 먹이를 공급해줄 수 있는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로 발달하고 생활이 윤택해 지면서 가정에서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1인 가구나 맞벌이 가정이 급증하면서 일과시간 동안 혼자 남겨지는 애완동물의 숫자도 늘어나고 있다.
브리스톨대학교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애완동물들도 사람처럼 스트레스를 받으며 불안증세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장애 등을 경험한다고 한다. 논문에서는 애완동물이 주인과 함께 있고 싶어하는 욕구를 못 채우고 하루종일 텅 빈 집에서 외로움과 스트레스를 겪는 것이 애완동물의 불안증세 또는 우울증의 주된 원인이라고 밝히고 있다.
애완동물의 불안증세 또는 우울증의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주인이 올 때까지 짖는 행위, 대소변 훈련이 된 애완동물이 아무 곳에 대소변을 보는 행위, 바닥을 파는 행위, 가구나 옷 등을 손상시키는 행위, 창문을 긁는 행위, 폭식 또는 거식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혼자 남겨진 애완동물을 위한 장치들이 제안되었다. 그 일례로서, 주인의 음성을 들려주면서 먹이를 공급해줄 수 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83968호('애완동물용 먹이 자동공급장치')가 있다.
종래의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공급장치'는 먹이가 저장되는 먹이보관통(20)과 상기 먹이보관통(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먹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30)와 그 배출부(30)의 내측에 모터를 구비한 먹이 공급장치(1)로서, 외부의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알에프수신부(70)와, 알에프수신부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가 입력되면 먹이 공급장치(1)에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마이컴(60)과, 배출부(30)를 개방하여 먹이를 공급하도록 모터를 구종시키는 모터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공급장치'는 단순히 주인의 목소리를 들려주고 먹이를 공급해주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애완동물의 영상신호를 주인에게 제공하는 것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집을 비운 사이 애완동물의 관심을 유도하고 애완동물의 운동을 촉진하면서 재미있게 놀아줄 수 없고, 주인과 애완동물 간의 쌍방향 소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서로 간의 교감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83968호(2002.11.04. 공개 공고, 발명의 명칭 :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공급장치)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애완동물의 관심을 유도하고 애완동물의 운동을 촉진하면서 재미있게 놀아줄 수 있고, 주인과 애완동물이 쌍방향 소통을 하면서 서로 간의 교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은, 하부 커버(110)와 상부 커버(120)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로봇 하우징(100); 상기 로봇 하우징(100)의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200); 상기 구동모터(2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로봇 하우징(10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사료가 충전되며, 외측면에는 먹이배출공(301)이 소정크기로 형성된 한 쌍의 구동바퀴(300);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로봇 하우징(100)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감지센서(400); 및 상기 감지센서(400)에서 애완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바퀴(300)가 일정시간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200)에 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바퀴(300)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바퀴(300) 내에 충전된 먹이 중 일부분이 상기 먹이배출공(30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300)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되어 상기 구동바퀴(300)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먹이배출공(301)과 일치되게 관통공(1001)이 형성되는 개폐판(1000); 및; 및 상기 관통공(1001)과 상기 먹이배출공(301)이 서로 불일치되도록 상기 구동바퀴(300)의 회전중심을 향해 상기 개폐판(10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1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바퀴(300)가 정지 상태면, 상기 관통공(1001)과 먹이배출공(301)이 불일치되어 먹이가 토출되지 않고, 상기 구동바퀴(300)가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1000)이 상기 구동바퀴(300)의 회전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관통공(1001)과 먹이배출공(301)이 일치되면서 먹이가 토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있어서,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600); 애완동물의 소리를 감지하여 소리정보를 생성하는 마이크부(700); 및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기기(M)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800);가 각각 상기 로봇 하우징(10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모바일기기(M)에서 발생된 특정 정보 요청신호가 상기 무선 송수신부(800)에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600)와 상기 마이크부(700)가 작동되고 상기 카메라부(600)와 상기 마이크부(700)에서 생성된 영상정보 및 소리정보가 상기 모바일기기(M)에 무선으로 실시간 전송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있어서, 스피커부(900);가 상기 로봇 하우징(10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모바일기기(M)에서 발생된 특정 정보 요청신호가 상기 무선 송수신부(800)에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스피커부(900)가 작동되고 상기 모바일기기(M)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가 상기 스피커부(900)를 통해 출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M)에서 발생된 정보 요청신호에는, 상기 감지센서(400)에서 애완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바퀴(300)가 일정시간 회전되도록 하는 자동모드 신호, 또는 모바일기기(M)에서 입력되어 원격으로 전달된 운전신호에 의해 주행되도록 하는 수동모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모드 신호가 포함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800)에 상기 수동모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운전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00)에 회전신호를 출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따르면, 애완동물이 로봇의 주변에 어른거리면, 로봇이 자동으로 움직이면서 애완동물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고, 애완동물이 움직이는 로봇을 따라다니면서 자연스럽게 애완동물의 운동을 촉진할 수 있으며, 로봇이 움직이면서 먹이를 조금씩 떨어뜨리고 이를 애완동물이 먹는 방식의 놀이를 통해 집에 혼자 있는 애완동물이 지루해하거나 외로워하지 않도록 재미있게 놀아줄 수 있고, 애완동물의 육체적ㆍ정신적 건강 증진 및 주인의 애완동물 관리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애완동물이 어떻게 지내는지 직접 관찰하고, 주인과 애완동물이 쌍방향 소통을 함으로써, 주인으로 하여금 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고 서로 간의 친밀한 교감을 나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구동바퀴의 회전 여부에 따라 먹이배출공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로봇이 정지된 상태에서 먹이가 먹이배출공을 통해 계속해서 새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로봇을 수동모드로 전환하여 임의적으로 조종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쉽게 흥미를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인과 애완동물 간의 교감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의 전방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의 후방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포함된 구동바퀴, 개폐판 및 스프링부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포함된 구동바퀴의 회전 여부에 따라 먹이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도 5a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의 제어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을 통해 모바일기기에 입력된 주인의 음성이 애완동물에게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이 수동모드로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의 전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의 후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포함된 구동바퀴, 개폐판 및 스프링부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a와 도 5b는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에 포함된 구동바퀴의 회전 여부에 따라 먹이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의 제어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7은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을 통해 모바일기기에 입력된 주인의 음성이 애완동물에게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이 수동모드로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1)은 애완동물과 놀아주면서 간헐적으로 먹이를 공급해줄 수 있는 장난감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로봇 하우징(100)과, 구동모터(200)와, 한 쌍의 구동바퀴(300)와, 한 쌍의 감지센서(400)와,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로봇 하우징(100)은 하부 커버(110)와 상부 커버(120)가 상호 결합되어 제작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로봇 하우징(100)은 가볍고 제작이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봇의 무게 중심은 구동바퀴(3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로봇이 주행하는 방향의 반대편, 즉 로봇 하우징(100)의 후방 측에 존재하게 설계된다. 따라서, 로봇이 정지 또는 주행 상태에서 뒤로 기울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버(110)의 후방 측에서 지면을 향해 지지돌기(111)가 돌출형성된다. 지지돌기(111)가 지면과 접촉하면서 로봇 하우징(100)을 지지함으로써, 로봇이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지지돌기(111)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 볼 형태의 롤러로 대체될 수 있다.
구동모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하우징(100)의 수용공간 내에 장착된다. 구동모터(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한 쌍의 구동바퀴(300)에 각각 결합되고, 각 구동바퀴(300)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킨다. 구동모터(200)는 양 바퀴를 각각 다른 방향, 다른 속도로 회전시켜 로봇을 360도 전방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 쌍의 구동바퀴(300)는 구동모터(2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로봇 하우징(10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바퀴(300)의 내부에는 애완동물이 먹을 수 있는 사료가 충전되며, 외측면에는 먹이배출공(301)이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구동바퀴(300)는 내측륜(311)과 외측륜(312)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먹이 충전공간이 형성되는 휠(310)과, 그 외주면에 씌워지는 고무 재질의 타이어패드(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구동바퀴(300) 내에 충전되는 먹이는 알갱이 형태의 사료로서, 구동바퀴(300)가 정지 상태이더라도 먹이배출공(301)을 통해 계속해서 새나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캡(330)을 먹이배출공(301)에 결합하여 먹이배출공(301)의 크기를 분할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1000)과 스프링부재(1100)를 통해 먹이배출공(30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개폐판(1000)은 구동바퀴(300)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되어 구동바퀴(300)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정확히는,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함체 형상의 가이드부재(340)가 먹이배출공(301)을 덮는 형태로 구동바퀴(300)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가이드부재(340) 내에 개폐판(10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개폐판(1000)에는 먹이배출공(301)과 일치되게 관통공(1001)이 형성된다.
구동바퀴(300)의 바퀴면과 인접한 가이드부재(340)의 내부 일측면과 개폐판(1000) 사이에는 스프링부재(1100)가 개재된다. 스프링부재(1100)는 개폐판(1000)의 관통공(1001)과 구동바퀴(300)의 먹이배출공(301)이 서로 불일치되도록 구동바퀴(300)의 회전중심을 향해 개폐판(10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 5a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00)가 정지 상태면, 개폐판(1000)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부재(340)의 내부 타측면에 밀착되고 관통공(1001)과 먹이배출공(301)이 불일치되어 먹이가 토출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도 5a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00)가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개폐판(1000)이 구동바퀴(300)의 회전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관통공(1001)과 먹이배출공(301)이 일치되면서 먹이가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바퀴(300)의 회전 여부에 따라 먹이배출공(301)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로봇이 정지된 상태에서 먹이가 먹이배출공(301)을 통해 계속해서 새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1000)과 스프링부재(1100)의 위치가 반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스프링부재(1100)의 일단은 개폐판(1000)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부재(340)의 내부 일측면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서, 구동바퀴(300)의 회전 여부에 따른 개폐판(1000)의 동작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한 쌍의 감지센서(4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로봇 하우징(100)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된다. 감지센서(400)는 로봇의 근거리에서 애완동물이 움직이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나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애완동물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500)는 감지센서(400)에서 애완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구동바퀴(300)가 일정시간 회전되도록 구동모터(200)에 회전신호를 출력한다. 구동바퀴(300)가 회전되면, 구동바퀴(300) 내에 충전된 먹이 중 일부분이 먹이배출공(30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즉, 애완동물이 로봇의 주변(감지센서의 감지범위)에 어른거리면, 로봇이 자동으로 움직이면서 애완동물의 관심을 유도하게 되고, 움직이는 로봇을 애완동물이 쫓아다니면서 자연스럽게 애완동물의 운동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이 움직이면서 먹이를 조금씩 떨어뜨리고 이를 애완동물이 먹는 방식의 놀이를 통해 집에 혼자 있는 애완동물이 지루해하거나 외로워하지 않도록 재미있게 놀아줄 수 있고, 이를 통해 애완동물의 육체적ㆍ정신적 건강 증진 및 주인의 애완동물 관리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주인과 애완동물이 쌍방향 소통을 하면서 서로 간의 교감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카메라부(600)와, 마이크부(700)와, 송수신부(8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6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카메라부(600)는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로봇 하우징(100)의 전방에 설치된다. 로봇이 이동할 때, 카메라부(600)에 충격과 약간의 각도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부(600)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미도시)와, 로봇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미도시)를 추가로 장착하고, 자이로센서의 신호에 따라 카메라부(600)가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부(700)는 애완동물의 소리를 감지하여 소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로봇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무선 송수신부(800)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기기(M)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모바일기기(M)에서 발생된 특정 정보 요청신호가 무선 송수신부(800)에 수신되면, 제어부(500)에 의해 카메라부(600)와 마이크부(700)가 작동되고 카메라부(600)와 마이크부(700)에서 생성된 영상정보 및 소리정보가 모바일기기(M)에 무선으로 실시간 전송된다.
모바일기기(M)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특정 정보 요청신호가 로봇에 무선으로 전달되며 이를 로봇이 감지하고 애완동물의 모습과 소리를 주인이 보고 들을 수 있도록 모바일기기(M)에 상기 영상정보 및 소리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애완동물이 어떻게 지내는지 직접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인으로 하여금 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애완동물 또한 주인의 목소리를 듣고 심적 안정을 느낄 수 있으면 더 좋을 것이다. 이를 위해 스피커부(9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스피커부(900)는 로봇 하우징(100)의 상부 커버(110) 중앙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킨다.
모바일기기(M)에서 발생된 특정 정보 요청신호가 무선 송수신부(800)에 수신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에 의해 스피커부(900)가 작동되고 모바일기기(M)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가 스피커부(900)를 통해 출력된다. 주인의 음성을 애완동물에게 들려주는 것이다. 주인은 애완동물의 모습과 소리를 듣고 애완동물은 주인의 소리를 듣는 쌍방향 소통을 함으로써, 서로 간의 교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00)는 모바일기기(M)에서 전달된 모드신호에 따라, 감지센서(400)에서 애완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구동바퀴(300)가 일정시간 회전되도록 하는 자동모드와, 모바일기기(M)에서 입력되어 원격으로 전달된 운전신호에 의해 주행되도록 하는 수동모드가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어부(500)는 자동모드에서의 동작조건과 수동모드에서의 동작조건이 짜여진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모바일기기(M)에서 발생된 모드 신호의 종류를 구별하고 무선 송수신부(800)를 통해 입력부에서 입력된 운전신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조건을 비교하여 명령을 처리하는 중앙처리부와, 중앙처리부에 의해 출력된 구동 제어신호를 구동모터(200)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바일기기(M)에서 발생된 정보 요청신호에는, 자동모드 신호 또는 수동모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포함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800)에 수동모드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500)는 로봇의 동작모드를 수동모드로 전환한다.
수동모드에서, 모바일기기(M)의 어플리케이션 상에 구현된 전후좌우 및 정지버튼 중 하나를 누르면, 로봇도 이에 대응되게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로봇의 단순한 움직임 패턴에 쉽게 흥미를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인과 애완동물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주인이 로봇을 임의적으로 조종하면서 마치 가까이서 노는 것처럼 서로 간의 교감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은, 애완동물이 로봇의 주변에 어른거리면, 로봇이 자동으로 움직이면서 애완동물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고, 애완동물이 움직이는 로봇을 따라다니면서 자연스럽게 애완동물의 운동을 촉진할 수 있으며, 로봇이 움직이면서 먹이를 조금씩 떨어뜨리고 이를 애완동물이 먹는 방식의 놀이를 통해 집에 혼자 있는 애완동물이 지루해하거나 외로워하지 않도록 재미있게 놀아줄 수 있고, 애완동물의 육체적ㆍ정신적 건강 증진 및 주인의 애완동물 관리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애완동물이 어떻게 지내는지 직접 관찰하고, 주인과 애완동물이 쌍방향 소통을 함으로써, 주인으로 하여금 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고 서로 간에 원격으로 친밀한 교감을 나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구동바퀴의 회전 여부에 따라 먹이배출공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로봇이 정지된 상태에서 먹이가 먹이배출공을 통해 계속해서 새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로봇을 수동모드로 전환하여 임의적으로 조종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쉽게 흥미를 잃는 것을 방지하고 주인과 애완동물 간의 교감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100 : 로봇 하우징
200 : 구동모터
300 : 구동바퀴
400 : 감지센서
500 : 제어부
600 : 카메라부
700 : 마이크부
800 : 무선 송수신부
900 : 스피커부
1000 : 개폐판
1100 : 스프링부재

Claims (5)

  1. 하부 커버(110)와 상부 커버(120)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로봇 하우징(100);
    상기 로봇 하우징(100)의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200);
    상기 구동모터(2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로봇 하우징(10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사료가 충전되며, 외측면에는 먹이배출공(301)이 소정크기로 형성된 한 쌍의 구동바퀴(300);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로봇 하우징(100)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감지센서(400); 및
    상기 감지센서(400)에서 애완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바퀴(300)가 일정시간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200)에 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바퀴(300)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바퀴(300) 내에 충전된 먹이 중 일부분이 상기 먹이배출공(30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300)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되어 상기 구동바퀴(300)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먹이배출공(301)과 일치되게 관통공(1001)이 형성되는 개폐판(1000); 및
    상기 관통공(1001)과 상기 먹이배출공(301)이 서로 불일치되도록 상기 구동바퀴(300)의 회전중심을 향해 상기 개폐판(10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1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바퀴(300)가 정지 상태면, 상기 관통공(1001)과 먹이배출공(301)이 불일치되어 먹이가 토출되지 않고, 상기 구동바퀴(300)가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1000)이 상기 구동바퀴(300)의 회전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관통공(1001)과 먹이배출공(301)이 일치되면서 먹이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3. 제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600); 애완동물의 소리를 감지하여 소리정보를 생성하는 마이크부(700); 및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기기(M)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800);가 각각 상기 로봇 하우징(10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모바일기기(M)에서 발생된 특정 정보 요청신호가 상기 무선 송수신부(800)에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600)와 상기 마이크부(700)가 작동되고 상기 카메라부(600)와 상기 마이크부(700)에서 생성된 영상정보 및 소리정보가 상기 모바일기기(M)에 무선으로 실시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4. 제3항에 있어서,
    스피커부(900);가 상기 로봇 하우징(10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모바일기기(M)에서 발생된 특정 정보 요청신호가 상기 무선 송수신부(800)에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스피커부(900)가 작동되고 상기 모바일기기(M)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가 상기 스피커부(90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M)에서 발생된 정보 요청신호에는, 상기 감지센서(400)에서 애완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바퀴(300)가 일정시간 회전되도록 하는 자동모드 신호, 또는 모바일기기(M)에서 입력되어 원격으로 전달된 운전신호에 의해 주행되도록 하는 수동모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모드 신호가 포함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800)에 상기 수동모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운전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00)에 회전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KR1020170089515A 2017-07-14 2017-07-14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KR20190007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15A KR20190007889A (ko) 2017-07-14 2017-07-14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15A KR20190007889A (ko) 2017-07-14 2017-07-14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889A true KR20190007889A (ko) 2019-01-23

Family

ID=6532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515A KR20190007889A (ko) 2017-07-14 2017-07-14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88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256B1 (ko) 2019-03-11 2019-05-24 문진태 출몰형 장난감
KR20190111465A (ko) * 2018-03-23 2019-10-02 정용진 애완동물 운동 유발 겸 간식 급이용 로봇
KR102075602B1 (ko) 2019-05-10 2020-02-10 문진태 출몰형 장난감
EP3695715A1 (en) * 2019-02-16 2020-08-19 Roboi Inc. Animal feeding robot which discharges feed by gravity
KR20200140629A (ko) 2019-06-07 2020-12-16 장은영 애착기능을 갖는 스마트 로봇
KR20210000978U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아톰 (Atom) 반려동물 장난감 겸용 완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968A (ko) 2002-09-11 2002-11-04 주식회사 중앙Cmi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968A (ko) 2002-09-11 2002-11-04 주식회사 중앙Cmi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공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465A (ko) * 2018-03-23 2019-10-02 정용진 애완동물 운동 유발 겸 간식 급이용 로봇
EP3695715A1 (en) * 2019-02-16 2020-08-19 Roboi Inc. Animal feeding robot which discharges feed by gravity
WO2020166917A1 (ko) * 2019-02-16 2020-08-20 주식회사 로보이 중력 작용으로 사료를 배출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101982256B1 (ko) 2019-03-11 2019-05-24 문진태 출몰형 장난감
KR102075602B1 (ko) 2019-05-10 2020-02-10 문진태 출몰형 장난감
KR20200140629A (ko) 2019-06-07 2020-12-16 장은영 애착기능을 갖는 스마트 로봇
KR20210000978U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아톰 (Atom) 반려동물 장난감 겸용 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7889A (ko)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JP6958875B2 (ja) ペットの健康増進のための間食排出機能を有する訓練ロボット
US20230210086A1 (en)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TWI641315B (zh) 寵物餵食裝置
US8807089B2 (en) Remotely activated reward dispenser
US20180077904A1 (en) Toy and App for Remotely Viewing and Playing with a Pet
KR102027343B1 (ko) 물체 토출 기능이 향상된 애완동물용 훈련 로봇
JP2016512422A (ja) 動物インタラクション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GB2492110A (en) Intelligent pet toy
JP2020130178A (ja) 重力作用により飼料を排出する動物飼育ロボット
US20180116170A1 (en) Robo pet-sitter
KR101781372B1 (ko)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KR20210066124A (ko) 반려동물의 활동량 확인을 통한 동작되는 스마트 로봇
KR102038225B1 (ko) 애완동물 운동 유발 겸 간식 급이용 로봇
KR101969938B1 (ko) 펫 분석에 기초한 간식 토출 기능을 갖는 훈련 로봇
KR20190000267A (ko) 반려동물용 장난감 관리장치 및 그와 연동하는 반려동물 장난감
KR20230008967A (ko) 애완동물용 놀이장치
US20080268747A1 (en) Motion sensor activated interactive device
KR20220114374A (ko) 반려동물용 놀이장치
KR20200101813A (ko) 애완동물 놀이기구
KR102466496B1 (ko)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KR102375228B1 (ko) 사료 투척 장치
US20220394953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acting with an animal
US11917983B2 (en) Pet care system, pet car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t care robot
KR102395840B1 (ko)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