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605B1 -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5605B1 KR101395605B1 KR1020130135425A KR20130135425A KR101395605B1 KR 101395605 B1 KR101395605 B1 KR 101395605B1 KR 1020130135425 A KR1020130135425 A KR 1020130135425A KR 20130135425 A KR20130135425 A KR 20130135425A KR 101395605 B1 KR101395605 B1 KR 101395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er
- pressure
- hot air
- drying
- dri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vertical or steeply-inclined pla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9—Alarm systems; Safety sytems, e.g. preventing fire and explos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는 열풍·외기 투입 스크류콘베이어(30)를 건조기(10)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외부열원으로부터 발생한 열풍과 외기를 상기 건조기(10) 내부에 공급하여 피건조물에 직접 접촉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운전중 건조기(10) 내부에 이상압력이 발생하면 폭발위험성이 있으므로 건조기의 윗면에 설치된 배기구(40)에 파열판(45)을 설치하여 건조기(10) 내부에 이상압력이 발생시 파열판(45)이 파열하도록 하여 이상압력의 건조 배가스를 외부로 배기시켜 폭발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있다. 또한 피건조물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건조기(10) 내부 압력이 일정하지 않게 되므로 건조기(10)에 압력계(80)를 설치하고, 콘트롤러(90)에 의해 건조기(10)의 내부압력 측정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과 같아지도록 배기 송풍기(41)를 제어하여 건조기(10)의 내부압력을 적정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건조기(10)가 가장 좋은 압력조건에서 운전되도록 할 수 있고 건조기 바닥에 액체상 배출밸브(70)를 설치하여 피건조물이 액체인 경우 액체상 배출밸브(70)로 배출하여 건조기 내부에 피건조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전열면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간접건조 방식과 열풍을 건조기 내부에 직접 투입하는 직접건조방식을 병합하여 열풍 및 외기를 건조기 내부로 불어넣어 피건조물과 직접 접촉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파열판을 설치하여 운전중 건조기 내부에 이상압력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고, 건조기 바닥에 액체상 배출밸브를 설치하여 액체 피건조물도 건조기 내부에 잔류없이 배출할 수 있고, 폭발(인화)성 물질의 액상건조품 배출시 산소와 접촉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고 건조기내의 내부압력이 일정하도록 압력계와 배기 송풍기를 연동시켜 적정압력을 유지하여 운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일반적으로 산업폐기물, 식품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등의 각종 쓰레기는 통상 많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중량이 무거워 처리가 매우 곤란하며 특히 이러한 쓰레기의 수분은 환경오염물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형 건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입상(粒狀), 분말(粉末)모양, 액상(液狀), 괴상(塊狀)등 여러 가지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로서, 종래에 있어서 대한민국 특허 제0214196호에 나타나 있는 건조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한 건조장치는, 건조조의 측면하부에 접속되는 피건조물 공급관의 공급 스크루(供給 screw)에 의하여 건조조 내에 투입된 피건조물이, 회전권상날개에 있어서 각 기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상승됨과 아울러 원심력(遠心力)에 의하여 전열면에 가압되고, 나중에 상승되는 피건조물에 의하여 먼저 상승된 피건조물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피건조물을 상승시킴으로써 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피건조물은, 배출 스크루에 의하여 건조조 외부로 배출되는 배치식 건조장치(batch式 乾燥裝置)로서 구성되어 있다.
피건조물을 연속하여 건조시킬 수 있고 또한 건조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조장치를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99656호에 개시하고 있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연속식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에 있어서 연속식 건조장치(1)를 구성하는 건조조(4)는 세로형 원통 형상이고, 원통 모양의 내벽면이 전열수단 으로부터의 열을 피건조물(3)에 전달하는 전열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전열수단은, 상기 건조조(4)의 둘레에 형성된 재킷(6)과, 이 재킷(6)에 연속되어 있고 재킷(6)내로 증기를 반송하는 보일러를 구비한다.
건조조(4)의 내부는, 투입된 피건조물(3)을 회전권상날개(5)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매의 각 기날개(5a)상에 적재하여 상승시키면서 원심력(P)에 의하여 전열면(2)에 가압하여 피건조물(3)을 건조시키는 혼합 건조영역(MZ)과, 혼합 건조영역(MZ)보다 하방 영역에는 건조영역(DZ)으로 구획되어 있다.
건조조(4)내에 있어서 혼합건조영역(MZ)의 상부에는, 회전권상날개(5)의 회전에 의하여 상승된 혼합 건조영역(MZ)의 피건조물(3)을 도출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도출 스크루(7a)를 설치한 상부 스크루 컨베이어(7)가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건조조(4)에 있어서 혼합건조 영역(MZ)의 하방위치가 되는 대략 중간부위에는, 피건조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되는 호퍼를 구비하고 내부에 공급 스크루(8)를 설치한 하부 스크루 컨베이어(8a)가 접속되어 있다.
상부 스크루 컨베이어(7a)의 선단 바닥부에 형성된 접속구(7b)와 하부 스크루 컨베이어(8)의 선단 상부에 형성된 접속구(8b)의 사이에는, 중공의 원통 모양인 수직이송관(7c)이 접속되어 있고, 하부 스크루 컨베이어(8)의 중간부에는, 피건조물(3)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되는 호퍼(H)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건조영역(DZ)이 되는 건조조(4)에 있어서 하방 바닥부(4c)의 외측면에는, 건조영역(DZ)에서 건조된 피건조물을 연속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선단 바닥부에 배출(9a)를 구비하고, 내부에 도출 스크루(9b)를 설치한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9)가 접속되어 있다.
건조조(4)내의 바닥부(4c)에는 복수 매의 기날개(5a)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복수의 기날개(5a)전체를 회전권상날개(5)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들은 건조조(4)에 있어서 바닥부(4c)의 외측에 부착된 모터(M)에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모터(M)에 의하여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 매의 기날개(5a)는, 건조조(4)내의 중력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된 중심회전축(4b)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권상날개(5)에 있어서 각 기날개(5a)의 평탄면은, 그 회전방향(R)과 역방향으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 매의 기날개(5a)중 하나의 기날개(5a)에 있어서의 타단부의 높이 위치는, 상기 회전방향(R)과 역방향으로 이웃에 위치하는 다른 기날개(5a)의 일단부의 높이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피건조물(3)을 복수 매의 각 기날개(5a)상에 적재하여 상승시키면서 원심력(P)에 의하여 전열면(2)에 가압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건조장치는 건조조 내벽면의 전열수단으로 피건조물에 열을 간접적으로 가하여 건조효율이 낮고 점성이나 검성(gumminess)이 있는 피건조물인 경우 건조기 부하가 상승하여 건조효율이 떨어지고, 액체상 피건조물이 투입되었을 때 건조조 내부의 이상압력에 의한 폭발할 위험이 있으며, 피건조물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건조기 내부 압력이 일정하지 않게 됨에 따라 건조효율을 저하시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조완료된 피건조물이 액체인 경우 건조조의바닥에 잔류물이 남게되는 문제와 폭발(인화)성 물질의 액상건조품 배출시 산소와 접촉하여 폭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965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사용되는 전열면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간접건조 방식과 열풍을 건조기 내부에 직접 투입하는 직접건조방식을 병합하여 운전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성이나 검성(gumminess)이 있는 피건조물인 경우 건조기 부하가 상승하여 건조효율이 떨어지고, 액체상 피건조물이 투입되었을 때 건조기 내부의 이상압력에 의한 폭발을 피할 수 있도록 파열판을 설치한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건조물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건조기 내부 압력이 일정하지 않게 됨에 따라 건조효율을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기 상부에 설치된 압력계와 배기 송풍기를 연동하여 건조기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완료된 피건조물이 액체인 경우 건조기 바닥에 액체상 배출밸브를 설치하여 건조기의 바닥에 액체상 피건조물의 잔류물이 남지 않도록 하고 폭발(인화)성 물질의 액상건조품 배출시 산소와 접촉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건조장치는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고, 투입구를 통해 피건조물이 투입되어 건조되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분쇄 및 상승시키는 다수의 회전 권상날개와; 상기 건조기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열원으로부터 발생한 열풍과 외기를 상기 건조기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피건조물에 직접 접촉시키는 열풍·외기 투입 스크류콘베이어와; 상기 건조기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기 송풍기에 의해 배기력을 받아 상기 건조기의 건조 배가스를 배기하는 배기구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건조기의 하부에 쌓이는 건조 처리물을 배출하는 고체상 배출 밸브와; 상기 건조기의 하부에 쌓이는 액체상처리물을 배출하는 액체상 배출밸브와; 상기 액체상 배출밸브에서 배출되는 액체상처리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건조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와; 상기 압력계로부터 입력되는 건조기의 내부압력 측정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배기 송풍기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건조배가스를 적절하게 배출하여 건조기의 내부압력을 적정압력으로 유지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건조기 상부의 배기구에 파열판을 설치하여 건조기 내부에 이상압력이 발생 되었을 때 상기 파열판이 파열하면서 건조기 내부의 이상압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기에 열풍·외기를 투입하여 피건조물과 열풍이 직접 접촉에 의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킴으로써 건조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피건조물이 폭발(인화)성이 있는 물질인 경우 안전밸브에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건조기 상부에 파열판을 설치하여 건조기 내부에 이상압력이 발생하였을 때 파열판이 파열하여 이상압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여 건조기 내부의 이상압력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있다.
또한 피건조물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건조기 내부 압력이 일정하지 않게 되므로 건조기에 압력계를 설치하고, 콘트롤러에 의해 건조기의 내부압력 측정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과 같아지도록 배기 송풍기를 제어하여 건조기의 내부압력을 적정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건조기가 가장 좋은 압력조건에서 운전되도록 할 수 있고, 건조기 바닥에 액체상 배출밸브를 설치하여 피건조물이 액체인 경우 액체상 배출밸브로 배출하여 건조기 내부에 피건조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폭발(인화)성 물질의 액상건조품 배출시 산소와 접촉을 차단하여 폭발(화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형 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건조장치의 건조기 상부에 설치되는 배기구에 파열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파열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의 건조기 내부압력 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의 건조처리된 피건조물을 배출하는 배출장치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연속식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건조장치의 건조기 상부에 설치되는 배기구에 파열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파열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의 건조기 내부압력 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의 건조처리된 피건조물을 배출하는 배출장치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연속식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본 발명에 의한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형 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형 건조장치(100)는 원통형태로 세워져 설치되는 건조기(10)와; 상기 건조기(10)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20)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분쇄 및 상승시키는 다수의 회전 권상날개(25)와; 상기 건조기(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열원으로부터 발생한 열풍과 외기를 상기 건조기(10)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피건조물에 직접 접촉시키는 열풍·외기 투입 스크류콘베이어(30)와; 상기 건조기(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기 송풍기(41)에 의해 배기력을 받아 상기 건조기(10)의 건조 배가스를 배기하는 배기구(40)와; 상기 회전축(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0)와; 상기 건조기(10)의 하부에 쌓이는 건조 처리물을 배출하는 고체상 배출 밸브(60)와; 상기 건조기(10) 하부에 쌓이는 액체상처리물을 배출하는 액체상 배출밸브(70)와; 상기 액체상 배출밸브(70)에서 배출되는 액체상처리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75)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상처리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펌프(76)와; 상기 건조기(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압력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10)는 세로로 세워진 원통(圓筒)형상의 건조기 이고, 원통 모양의 내부 측벽면에 열을 가하기 위해 건조기(10)의 둘레에 형성된 원통재킷(15)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장치(예, 보일러)가 연결된다.
상기 원통재킷(15)에는, 증기를 원통재킷(15)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증기유입부(15a)와, 증기를 원통재킷(15)의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배출부(15b)가 설치되어 있다.
건조기(10)의 내부 측벽면에 열을 가하기 위해 뜨거운 증기 이외에 열풍이나 폐열을 포함하는 연소가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건조기(10)의 윗면에는 구동모터(50)와 배기구(40)가 설치되며, 건조기(10)의 내부는, 투입된 피건조물이 회전 권상날개(25)를 구성하는 복수매의 블레이드(25a)에 충돌하여 상승하면서, 블레이드(25a)에 의한 원심력(P)에 의하여 피건조물이 건조기(10)의 측면(10a)쪽으로 밀리는 원심력을 받아 밀착되어 측면(10a)으로부터 열을 받아 건조된다.
이러한 건조기(10)는 땅이나 콘크리트로 기초를 다진 바닥면에 직립 설치되며, 건조기(10)의 측면부에는 피건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35)가 설치되어 외부에 설치된 원료투입펌프(도시생략)에서 상기 투입구(35)에 피건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액체상 피건조물. 예를 들면 폐유, 폐액 등은 건조기(10)의 윗면에 설치된 액체 연료 투입구(36)를 통해 투입한다.
상기 열풍·외기 투입 스크류콘베이어(30)에는 모터밸브(31)가 연결되어 연소로 또는 소각로 등에서 발생한 열풍·외기가 상기 모터밸브(31)를 거쳐 상기 건조기(10) 내부로 투입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10)의 윗면 중앙에는 구동모터(50)가 설치되어 회전축(20)을 회전시키며, 이 회전축(20)에는 다수의 회전 권상날개(25)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 권상날개(25)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건조기(10) 내부의 피건조물이 그 내벽면을 타고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건조기(10) 내부의 피건조물은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가열되어 그 내부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하여 수증기로 변하며, 이러한 수증기는 건조기(10) 내부에 발생된 분진과 함께 상기 건조기(10)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기구(40)는 일단이 건조기(10)의 윗면에 플랜지 등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배기 송풍기(41)에 연결되어 음압의 배기력을 제공받는다.
열풍·외기 투입 스크류콘베이어(30)에 연결된 모터밸브(31)는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외부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열풍·외기 투입 스크류콘베이어(30)을 통해 건조기(10) 내부에 공급한다.
열풍 투입시에 열풍·외기 투입 스크류콘베이어(30)는 제어에 의해 회전하면서 열풍 투입구(33)에 쌓이는 피건조물을 건조기(10) 내부로 밀어넣어 상기 열풍 투입구(33)가 피건조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건조기(10) 내부에 투입된 열풍은 다단으로 설치된 회전권상 날개(25)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부로 상승한다. 이때 피건조물과 열풍이 접촉하면서 피건조물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100)는 재킷(15)에 유입되는 스팀 등의 열원에 의해 건조기(10)의 내측면(10a)에 가해지는 열뿐만 아니라 열풍·외기 투입 스크류콘베이어(30)를 통해 투입되는 열풍에 의해 피건조물에 직접 접촉하여 가열됨으로써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하게 된다.
건조장치(100)의 운전시 건조기(10) 내부에서 피건조물이 열풍과 건조기(10)의 내측면(10a)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건조되면서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가스가 발생된다.
상기 배가스에 의해 건조기(10) 내부의 압력은 수시로 변화하며, 피건조물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포함하는 배가스도 상부로 올라가 배기구(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건조기(10) 내부에서 발생되는 배가스는 적절하게 건조기(10) 밖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피건조물이 폭발(인화)성이 있는 액체이거나 배가스에 포함된 분진에 의해 배기구(40)가 막혀서 배가스가 적절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 배가스가 건조기(10) 내부에 적체되어 이상 압력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상압력은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기능뿐만 아니라 안전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상압력 발생시 종래에는 인위적으로 송풍기 속도를 변경하여 사용하였지만, 건조기(10)의 배가스량이 일정치 않아 제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상압력을 배제시키기 위해 건조기(10) 상부에 파열판(45)을 설치하여 건조기(10)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 파열판(45)이 파열하면서 건조기(10) 내부의 이상압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a에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건조장치의 건조기 상부에 설치되는 배기구에 파열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2b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파열판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기구(40)는 건조기(10)의 상부 윗면에 연결되는 배기관(42)과; 상기 배기관(42)과 배기 송풍기(41)를 연결하는 연결관(47)과; 상기 배기관(42)과 상부 연장관(43) 사이에 개스킷(44)을 개재해서 설치되는 파열판(45)으로 구성된다.
배기관(42)은 세워진 원통형태로 건조기(10)의 상부 윗면의 우측에 연결되고, 건조기(10)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수분과 분진을 포함하는 배가스를 배기 송풍기(41)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으로 흡입한다.
배기관(42)은 세워진 원통형태이므로 건조기(10)의 내부에서 상승하면서 올라오는 배가스의 방향에 일치되어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우측으로 연장되는 연결관(47)에 의해 배기 송풍기(41)에 연결된다.
배기관(42)의 상단부에 상단 플랜지(42a)가 형성되어 연장관(43)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단 플랜지(43a)에 볼트(46a)와 너트(46b)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배기관(42)의 상단 플랜지(42a)와 연장관(43)의 하단 플랜지(43a)에 사이에 파열판(45)과 가스켓(44)을 함께 결합시킨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판(45)은 배기관(42)의 지름과 동일한 원판 형태이며, 중심이 볼록하게 솟아 오른 돔형이거나 편평한 판형의 중앙부(45a)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45a)에는 배기관의 지름과 동일한 십자선의 파열선(45b)이 형성되어 이상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파열선(45b)이 파열하면서 꽃잎처럼 위로 벌어져 열리게 된다.
여기서 설명안된 부호 "45c"는 볼트(46a)가 끼워져 배기관(42)의 상단 플랜지(42a)와 연장관(43)의 하단 플랜지(43a)에 사이에 결합시키는 볼트구멍이다.
따라서 건조기(10) 내부에 이상압력이 발생하였을 때 건조기(10) 내부 압력이 파열판(45)의 중앙부(45a)에 걸리게 되고, 건조기(10) 내부 압력이 파열판(45)의 인장강도 한계를 넘어서면 상기 파열판(45)의 파열선(45b)이 파열하면서 몇장의 꽃잎형태로 열려서 건조기(10) 내부의 이상압력이 배기관(42)과 연장관(4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이상압력을 제거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피건조물은 건조기(10) 내부에서 양(+)의 압력인 수증기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수증기를 적절히 배출하지 못하면 건조장치(100)의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러한 건조기(10)의 내부압력을 적정한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100)의 건조기 내부 압력 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10)의 상부에 압력계(80)를 설치하고, 콘트롤러(90)가 상기 압력계(80)로부터 입력되는 건조기(10)의 내부압력 측정값을 처리하여 그 처리결과에 따라 배기 송풍기(41)의 송풍압력을 제어하여 건조기(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적절하게 배출하여 건조기(10)의 내부압력을 적정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압력계(80)에서 수신되는 건조기(10)의 내부압력 측정값이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콘트롤러(90)는 배기 송풍기(41)의 속도를 증가시켜 건조기(10)의 내부에 발생된 건조 배가스의 배출속도를 증가시켜 건조기(10)의 내부 압력값이 설정압력 이하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건조기(10)의 내부압력 측정값이 설정압력 이하인 경우 배기 송풍기(41)의 속도를 감소시켜 건조기(10)의 내부에 발생된 건조 배가스의 배출속도를 적절하게 낮아지도록 제어하여 건조기(1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피건조물의 성상, 함수율에 따라 그때그때 설정압력을 변화시켜 건조기(10)의 내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건조장치(100)가 최적의 조건에서 운전되도록 한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의 건조처리된 피건조물을 배출하는 배출장치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구성도가 도시된다.
피건조물은 대개 고체상, 분체상, 유동상, 액체상 등으로 배출되는데, 이것을 크게 고체상과 액체상으로 나눈다. 종래에는 건조처리된 피건조물은 액체상 건조품이라도 고체상 배출밸브(60)로만 배출하였지만, 액체상을 배출하는 경우 건조기(10) 내부에 건조처리된 액체상 피건조물이 잔류하거나 폭발(인화)성 물질인 경우 산소와 접촉하여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조기(10)의 바닥에 액체상 배출밸브(70)를 설치하고, 상기액체상 배출밸브(70)에서 배출되는 건조처리된 액체상 피건조물을 저장탱크(75)에 저장한다.
저장탱크(75)에 저장된 건조처리된 액체상 피건조물을 저장탱크(75)에 설치된 이송펌프(76)를 통해 외부로 이송 배출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건조기 15: 원통 재킷
20: 회전축 25: 회전권상 날개
25a: 블레이드 25a: 터빈핀 블레이드
30: 열풍·외기 투입 스크류콘베이어 31: 모터밸브
35: 타공판 40: 배기구
41: 배기 송풍기 42: 배기관
43: 연장관 44: 개스킷
45: 파열판 50: 구동모터
60: 고체상 배출밸브 70: 액체상 배출밸브
75: 저장탱크 76: 이송펌프
80: 압력계 90: 콘트롤러
100: 회전식 건조장치
20: 회전축 25: 회전권상 날개
25a: 블레이드 25a: 터빈핀 블레이드
30: 열풍·외기 투입 스크류콘베이어 31: 모터밸브
35: 타공판 40: 배기구
41: 배기 송풍기 42: 배기관
43: 연장관 44: 개스킷
45: 파열판 50: 구동모터
60: 고체상 배출밸브 70: 액체상 배출밸브
75: 저장탱크 76: 이송펌프
80: 압력계 90: 콘트롤러
100: 회전식 건조장치
Claims (3)
-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고, 투입구를 통해 피건조물이 투입되어 건조되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분쇄 및 상승시키는 다수의 회전 권상날개와;
상기 건조기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열원으로부터 발생한 열풍과 외기를 상기 건조기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피건조물에 직접 접촉시키는 열풍·외기 투입 스크류콘베이어와;
상기 건조기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기 송풍기에 의해 배기력을 받아 상기 건조기의 건조 배가스를 배기하는 배기구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건조기의 하부에 쌓이는 건조 처리물을 배출하는 고체상 배출 밸브와;
상기 건조기의 하부에 쌓이는 액체상처리물을 배출하는 액체상 배출밸브와;
상기 액체상 배출밸브에서 배출되는 액체상처리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와;
상기 압력계로부터 입력되는 건조기의 내부압력 측정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배기 송풍기를 제어하여 건조기의 내부압력을 적정압력으로 유지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상부의 배기구에 파열판을 설치하여 건조기 내부에 이상압력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파열판이 파열하면서 건조기 내부의 이상압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5425A KR101395605B1 (ko) | 2013-11-08 | 2013-11-08 |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5425A KR101395605B1 (ko) | 2013-11-08 | 2013-11-08 |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5605B1 true KR101395605B1 (ko) | 2014-05-16 |
Family
ID=5089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5425A KR101395605B1 (ko) | 2013-11-08 | 2013-11-08 |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5605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9263A (ko) | 2014-08-11 | 2016-02-19 | 주식회사 세지테크 | 열풍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복합 건조시스템 |
KR20160087452A (ko) * | 2015-01-13 | 2016-07-22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로 |
KR20160100578A (ko) | 2015-02-16 | 2016-08-24 | 주식회사 세지테크 | 열풍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배열회수형 복합 건조 시스템 |
KR101874612B1 (ko) * | 2016-12-19 | 2018-07-05 | 주식회사 포스코 | 연속소둔로 |
KR102205450B1 (ko) | 2020-12-11 | 2021-01-25 | 주식회사 원천환경기술 | 축분을 주원료로 한 고체연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10148611A (ko) * | 2020-06-01 | 2021-12-08 | 박병상 | 고속건조장치 |
KR20210148610A (ko) * | 2020-06-01 | 2021-12-08 | 박병상 | 고속건조장치 |
CN115501955A (zh) * | 2022-11-15 | 2022-12-23 | 江西巴菲特化工有限公司 | 一种草铵膦生产用闪蒸干燥机及其加工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2482A (ja) | 1998-06-15 | 2000-01-07 | Hitachi Techno Eng Co Ltd | 噴流バーナ式乾燥粉砕装置 |
JP2002153900A (ja) | 2000-11-21 | 2002-05-28 | Masao Kanai | 汚泥その他の廃棄物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
JP2002350053A (ja) | 2001-05-21 | 2002-12-04 | Yamato Sanko Seisakusho:Kk | 送風翼を備えた撹拌伝熱式乾燥装置 |
JP2007225147A (ja) | 2006-02-21 | 2007-09-06 | Toshiba Corp | 薄膜乾燥装置 |
-
2013
- 2013-11-08 KR KR1020130135425A patent/KR1013956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2482A (ja) | 1998-06-15 | 2000-01-07 | Hitachi Techno Eng Co Ltd | 噴流バーナ式乾燥粉砕装置 |
JP2002153900A (ja) | 2000-11-21 | 2002-05-28 | Masao Kanai | 汚泥その他の廃棄物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
JP2002350053A (ja) | 2001-05-21 | 2002-12-04 | Yamato Sanko Seisakusho:Kk | 送風翼を備えた撹拌伝熱式乾燥装置 |
JP2007225147A (ja) | 2006-02-21 | 2007-09-06 | Toshiba Corp | 薄膜乾燥装置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9263A (ko) | 2014-08-11 | 2016-02-19 | 주식회사 세지테크 | 열풍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복합 건조시스템 |
KR20160087452A (ko) * | 2015-01-13 | 2016-07-22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로 |
KR102087462B1 (ko) * | 2015-01-13 | 2020-03-11 |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 주식회사 |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로 |
KR20160100578A (ko) | 2015-02-16 | 2016-08-24 | 주식회사 세지테크 | 열풍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배열회수형 복합 건조 시스템 |
KR101874612B1 (ko) * | 2016-12-19 | 2018-07-05 | 주식회사 포스코 | 연속소둔로 |
KR20210148611A (ko) * | 2020-06-01 | 2021-12-08 | 박병상 | 고속건조장치 |
KR20210148610A (ko) * | 2020-06-01 | 2021-12-08 | 박병상 | 고속건조장치 |
KR102427902B1 (ko) | 2020-06-01 | 2022-08-01 | 박병상 | 고속건조장치 |
KR102427900B1 (ko) | 2020-06-01 | 2022-08-01 | 박병상 | 고속건조장치 |
KR102205450B1 (ko) | 2020-12-11 | 2021-01-25 | 주식회사 원천환경기술 | 축분을 주원료로 한 고체연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15501955A (zh) * | 2022-11-15 | 2022-12-23 | 江西巴菲特化工有限公司 | 一种草铵膦生产用闪蒸干燥机及其加工方法 |
CN115501955B (zh) * | 2022-11-15 | 2023-09-12 | 江西巴菲特化工有限公司 | 一种草铵膦生产用闪蒸干燥机及其加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5605B1 (ko) |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 | |
KR101874849B1 (ko) | 회전식 분말 건조장치 | |
KR100594603B1 (ko) | 연속식 곡물 사일로형 건조장치 | |
US10995990B2 (en) | Rotary dryer with multi-drying chambers | |
KR101395604B1 (ko) | 회전식 건조장치 | |
US10557097B2 (en) | Solid fu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fuel | |
CA2045032C (en) | Grain dryer | |
WO2007061352A1 (en) | An apparatus for drying of material in particle form | |
JP2001272169A (ja) | 連続式回転乾燥機 | |
US2925666A (en) | Grain dryer | |
CN207085761U (zh) | 一种高石蜡比混合料喷雾造粒干燥料浆混合系统 | |
KR100485223B1 (ko) | 공기 이송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 |
KR100623188B1 (ko) | 회전교반통기형 건조기 | |
JP4162632B2 (ja) | 乾燥装置の制御システムと制御方法 | |
KR100651040B1 (ko) | 가축분뇨 처리장치 | |
JP6488852B2 (ja) | 乾燥設備における乾燥系統内の酸素濃度制御システム及び汚泥乾燥設備 | |
JP6471598B2 (ja) | 乾燥設備における乾燥系統内の酸素濃度推定方法 | |
JPH10170151A (ja) | 連続式乾燥装置 | |
CN208254138U (zh) | 一种高效干燥机 | |
JP2001248967A (ja) | コニカルドライヤ | |
EP2503272A2 (en) | Device for drying loose material | |
US332199A (en) | Drier | |
JP2692755B2 (ja) | 廃棄物用乾燥機 | |
CN213286541U (zh) | 一种安全防爆型单锥螺带真空干燥机 | |
RU2100723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в кипящем сло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