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612B1 - 연속소둔로 - Google Patents

연속소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612B1
KR101874612B1 KR1020160173740A KR20160173740A KR101874612B1 KR 101874612 B1 KR101874612 B1 KR 101874612B1 KR 1020160173740 A KR1020160173740 A KR 1020160173740A KR 20160173740 A KR20160173740 A KR 20160173740A KR 101874612 B1 KR101874612 B1 KR 101874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inuous annealing
annealing furnace
duct portion
connect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026A (ko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6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73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28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for treating continuous lengths of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40Arrangements of controlling or monito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07Monitoring th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57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 F27D2021/0071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against explo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폭발에 따른 설비파손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속소둔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는 연속소둔로의 상단덕트부에 마련된 개구, 개구를 폐쇄하도록 개구에 결합되며 상단덕트부보다 연질의 소재로 마련되어 상단덕트부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이상으로 상승하면 찢어져 개구를 개방하는 파열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소둔로{CONTINUOUS ANNEALING FURNACE}
본 발명은 연속소둔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발사고 시 내부가스의 신속한 배출을 유도해 폭발압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설비 파손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속소둔로에 관한 것이다.
냉간압연된 금속스트립(스테인리스 강판 등)은 압연과정에서 경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공성을 요구하는 제품을 만드는데 부적합하다. 따라서 압연된 금속스트립은 소둔(燒鈍) 열처리를 통해 경도를 저하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연속소둔로는 금속스트립을 수소가 채워진 가열부와 냉각부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소둔 열처리를 하는 장치다. 이를 이용하면 환원분위기에서 열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열처리 과정에서 금속스트립 표면의 산화를 막고 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
통상의 연속소둔로는 금속스트립이 진입하는 입구부, 입구부로 진입한 후 수직 상승하는 금속스트립을 가열하는 가열부, 가열부를 거친 금속스트립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냉각부 위에 마련된 상승덕트부, 금속스트립의 이동방향 전환을 위해 상승덕트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상단덕트부, 금속스트립의 하강을 위해 상단덕트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리턴덕트부, 리턴덕트부 하부에 마련되며 열처리된 금속스트립이 배출되는 출구부를 포함한다.
가열부, 냉각부, 상승덕트부, 상단덕트부, 리턴덕트부는 금속스트립이 연속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터널형태로 연결되고, 입구부와 출구부는 밀폐된다. 또 내부에는 환원성 열처리분위기를 조성하는 수소(H2)가 채워진다.
이러한 연속소둔로는 내부에 수소가 채워진 상태에서 금속스트립을 고온(대략 1000℃)으로 가열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지진, 해일 등 사고로 인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경우 대형 폭발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심각한 설비 파손과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폭발사고 시 내부가스의 신속한 배출을 유도해 내부 폭발압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설비 파손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소둔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속소둔로의 상단덕트부에 마련된 개구; 및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상단덕트부보다 연질의 소재로 마련되어 상기 상단덕트부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이상으로 상승하면 찢어져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파열패널;을 포함하는 연속소둔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속소둔로는 상기 개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배출가스를 안내하는 가스배출관; 상기 가스배출관 상부에 설치되며 배출가스의 압력에 의해 열리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 및 상기 개방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연속소둔로 내부로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공급라인을 차단하고 상기 연속소둔로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라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원뿔형으로 마련되고, 일측이 회전연결부에 의해 상기 가스배출관 상부에 연결되며, 용이한 개방을 위해 상기 회전연결부 쪽에 설치된 무게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속소둔로는 상기 가스배출관의 하단에 고정된 상부접속링; 상기 개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가 신축부재에 의해 밀폐된 하부접속링; 상기 하부접속링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상부접속링과 상기 하부접속링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상기 상단덕트부 위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상부접속링 및 상기 하부접속링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파열패널이 각각 결합된 복수의 중간접속링; 및 상기 복수의 중간접속링 중 하나를 상기 상부접속링과 상기 하부접속링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열패널은 구리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열처리공간을 한정하는 연속소둔로의 덕트부에 마련된 개구; 및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덕트부보다 연질의 소재로 마련되어 상기 열처리공간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이상으로 상승하면 찢어져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파열패널;을 포함하는 연속소둔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속소둔로는 폭발에 의해 상기 개구를 통하여 내부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배출감지센서; 및 상기 배출감지센서에 의해 내부가스의 배출이 감지되면, 상기 연속소둔로 내부로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공급라인을 차단하고 상기 연속소둔로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라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는 폭발사고 시 폭발압력에 의해 덕트부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파열패널이 찢어지면서 내부가스를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설비 내부의 압력을 신속하게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비의 파손이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는 폭발에 의해 내부가스가 배출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수소유입을 차단하고 질소를 유입시키기 때문에 폭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는 폭발 후 설비의 이상이 없을 경우 훼손되지 않은 파열패널로 다시 개구를 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업을 신속하게 재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폭발가스 배출장치 사시도로, 폭발 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폭발가스 배출장치 사시도로, 폭발 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폭발가스 배출장치 단면도로, 폭발 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A부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폭발가스 배출장치 단면도로, 폭발 후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속소둔로는 금속스트립(1)이 진입하는 입구부(10), 입구부(10)로 진입한 후 수직 상승하는 금속스트립(1)을 가열하는 가열부(20), 가열부(20)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금속스트립(1)을 냉각시키는 냉각부(30), 냉각부(30) 위에 마련된 상승덕트부(40), 금속스트립(1)의 이동방향 전환을 위해 상승덕트부(40)로부터 소정길이 횡방향으로 연장된 상단덕트부(50), 금속스트립(1)의 하강을 위해 상단덕트부(50)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수직으로 설치된 리턴덕트부(60), 열처리된 금속스트립(1)의 배출을 위해 리턴덕트부(60) 하부에 마련된 출구부(70)를 포함한다.
가열부(20), 냉각부(30), 상승덕트부(40), 상단덕트부(50), 리턴덕트부(60)는 금속스트립(1)이 연속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터널형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속소둔로 내부에는 환원성 열처리분위기를 조성하는 수소(H2)가 채워치고, 입구부(10)와 출구부(70)는 수소의 누설방지 및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밀폐된다.
입구부(10)는 금속스트립(1)이 진입을 안내하면서 입구를 밀폐시키는 한쌍의 입구밀폐롤(11)과, 입구밀폐롤(11)을 거쳐 입구덕트(12) 내부로 진입한 금속스트립(1)의 진행을 상방향으로 전환하면서 금속스트립(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입구측 장력조절롤(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20)는 입구부(10)를 거쳐 상승하는 금속스트립(1)을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가열할 수 있도록 입구부(10)의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가열부(20)는 상하로 길이가 긴 원통형태로 마련되며 그 내측으로 금속스트립(1)이 통과하는 원통형 머플(21, muffle), 머플(21)을 수용하며 머플(21)의 외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간(23)을 형성하는 외부의 원통형 노체(22), 가열공간의 가열을 위해 노체(22)에 설치된 버너 등의 가열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머플(21)은 하부가 입구덕트(12)와 밀폐상태로 연결되고 상부가 냉각부(30)의 덕트(31)와 밀폐상태로 연결되며, 내부에 환원분위기를 조성하는 수소가 채워진다. 즉 머플(21)의 내부공간은 입구부(10) 및 냉각부(3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수소의 누설 차단을 위해 외측의 가열공간(23)과는 완전히 구획된다.
가열부(20)는 가열수단의 가열에 의해 금속스트립(1)이 통과하는 머플(21)의 내부를 소둔을 위한 가열온도(대략 1000℃)로 가열할 수 있고, 수소가 채워진 머플(21)의 내부공간이 가열공간(23)과 구획되므로 환원분위기에서 상승하는 금속스트립(1)을 가열할 수 잇다.
냉각부(30)는 가열부(20)와 상승덕트부(40)를 연속하여 연결하는 덕트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그 내부의 분위기가스를 냉각시키는 복수의 냉각장치(3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냉각장치(32)는 내부의 가스을 순환시키는 순환팬, 순환팬에 의해 순환하는 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열교환기, 냉각열교환기로 냉각액을 공급하는 냉각액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20)에서 대략 1000℃ 내외로 가열된 금속스트립(1)은 이러한 냉각부(30)를 통과하면서 대략 80 ~ 100℃까지 냉각될 수 있다.
상단덕트부(50)는 상승덕트부(40) 상단과 리턴덕트부(60) 상단을 연결한다. 상승덕트부(40)와 상단덕트부(50)가 만나는 부분의 내측에는 금속스트립(1)을 이동방향을 횡으로 전환하면서 금속스트립(1)을 지지하는 스티어링롤(51)이 설치되고, 상단덕트부(50)와 리턴덕트부(60)가 만나는 부분의 내측에는 금속스트립(1)의 이동방향을 아래로 전환하면서 금속스트립(1)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롤(52)이 설치될 수 있다.
출구부(70)는 리턴덕트부(60) 하단의 출구로 금속스트립(1)의 배출을 안내하면서 출구를 밀폐시키는 한쌍의 출구밀폐롤(71)과, 출구밀폐롤(71)을 거쳐 다음공정으로 이동하는 금속스트립(1)의 진행을 횡방향으로 전환하면서 금속스트립(1)의 장력을 조절하는 출구측 장력조절롤(72)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속소둔로의 상단덕트부(50)에는 폭발사고의 발생 시 내부가스의 신속한 배출을 유도해 내부의 폭발압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설비 파손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폭발가스 배출장치(100)가 마련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폭발가스 배출장치(100)는 상단덕트부(50)의 상면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101)와, 개구(101)를 폐쇄할 수 있도록 개구(101)에 결합되며 상단덕트부(50)보다 연질의 소재로 마련되는 파열패널(110)을 포함한다. 파열패널(11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소 개구(101)를 폐쇄하고, 연속소둔로 내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하여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찢어져 개구(101)를 개방함으로써 내부가스가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연속소둔로 내부의 폭발압력을 저감시켜 설비의 파손이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폭발가스 배출장치(100)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101)의 상측에 설치되어 배출가스를 상방향으로 안내하는 원통형 가스배출관(120), 가스배출관(120) 상부에 설치되며 배출가스의 압력에 의해 열릴 수 있는 커버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관(120)은 연속소둔로가 설치되는 공장의 지붕 외측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커버부재(121)는 원뿔형태로 마련되어 가스배출관(120)의 상부를 덮으며, 한쪽이 회전연결부(123)에 의하여 가스배출관(120) 상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커버부재(121)는 회전연결부(123) 쪽에 설치된 무게조절장치(125)를 구비한다. 무게조절장치(125)는 커버부재(121)에 고정되며 커버부재(121) 외측으로 연장된 나사축(125a)과, 나사축(125a)에 체결되는 무게추(125b)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125b)의 위치조절을 통해 커버부재(121)의 용이한 개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폭발가스 배출장치(100)는 폭발 시 커버부재(121)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가스배출관(120)의 상단 쪽에 설치된 개방감지센서(131)와, 개방감지센서(131)에 의해 커버부재(121)의 개방이 감지되면 연속소둔로 내부로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공급라인(132)을 차단하고 연속소둔로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라인(133)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4)는 커버부재(121)의 개방이 감지되면 수소공급라인(132)의 밸브를 폐쇄하고, 질소공급라인(133)의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소공급라인(132)은 조업 시 연속소둔로의 내부로 수소를 공급하는 관로일 수 있다.
이러한 폭발가스 배출장치(100)는 개방감지센서(131)의 감지를 통해 폭발여부를 감지한 후 신속하게 수소유입을 차단하고 질소를 유입시킴으로써 폭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내부가스의 배출에 따라 커버부재(121)가 개방되는 것을 개방감지센서(131)가 감지하는 방식으로 폭발을 탐지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폭발을 감지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101)의 주위, 가스배출관(120) 내부 등에 내부가스의 배출을 감지하는 배출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배출감지센서에 의해 내부가스의 배출이 감지되면, 제어부(134)가 연속소둔로 내부로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공급라인(132)을 차단하고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라인(133)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배출감지센서로는 배출되는 내부가스의 유량이나 유속을 감지하는 센서이거나, 파열패널(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파열패널(110)의 파열여부를 감지하는 변위감지센서일 수 있다.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배출관(120)는 상단덕트부(50)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127)에 의해 하단이 개구(101)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고, 폭발가스 배출장치(100)는 가스배출관(120)의 하단과 개구(101) 사이에 파열패널(110)의 교체 장착을 위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파열패널(110)의 교체 장착을 위한 장치는 도 2,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배출관(120)의 하단에 고정된 상부접속링(141), 개구(10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가 신축부재(143)에 의해 밀폐된 하부접속링(142), 하부접속링(142)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44), 상부접속링(142)과 하부접속링(142)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상단덕트부(50) 위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147), 상부접속링(141) 및 하부접속링(142)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재(147)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안쪽에 파열패널(110)이 각각 결합된 복수의 중간접속링(145), 복수의 중간접속링(145) 중 하나를 상부접속링(141)과 하부접속링(142)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슬라이딩부재(147)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접속링(141), 하부접속링(142), 중간접속링(145)은 상호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한 크기로 마련된다. 승강장치(144)는 상단덕트부(5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접속링(14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승강엑츄에이터일 수 있다. 신축부재(143)는 승강하는 하부접속링(142) 둘레와 상단덕트부(50)를 밀폐상태로 연결함으로써 하부접속링(142)의 승강을 허용하면서도 하부접속링(142) 둘레의 밀봉을 구현할 수 있다.
중간접속링들(145)이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14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형태일 수 있다. 즉 개구(101)가 형성된 곳에 중간접속링(145)이 결합되고, 중간접속링(145) 내측에 상단덕트부(50)의 개구(101)를 폐쇄하는 파열패널(110)이 결합된 형태다. 슬라이딩부재(147)의 양측은 각각 상단덕트부(50) 상부에 설치된 레일(14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동장치(150)는 선단이 슬라이딩부재(147)에 연결되는 로드부(151)와, 로드부(151)를 진퇴시키는 몸체부(152)를 갖춘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몸체부(152)는 상단덕트부(50)의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폭발가스 배출장치(100)는 승강장치(144)가 하부접속링(142)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이동장치(150)를 동작시켜 슬라이딩부재(147)를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중간접속링(145) 중 어느 하나를 개구(101)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승강장치(144)가 하부접속링(142)을 상승시키면, 중간접속링(145)이 상부접속링(141)과 하부접속링(142) 사이에 압착되면서 상단덕트부(50)의 개구(101)가 파열패널(110)에 의해 밀봉되도록 할 수 있다.
각 중간접속링(145)에 설치된 파열패널(110)은 폭발사고 발생 시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얇은 구리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폭발가스 배출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속소둔로는 가동 중 지진, 해일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할 경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폭발할 수 있다. 이때 폭발가스 배출장치(100)는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발압력에 의해 상단덕트부(50)의 개구(101)를 폐쇄하고 있는 파열패널(110)이 찢어지면서 내부가스의 신속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비 내부의 압력을 신속하게 저감시켜 설비의 파손이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가스배출관(120)을 통해 내부가스가 배출되면, 가스배출관(120) 상부의 커버부재(121)가 개방됨으로써 배출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4)는 개방감지센서(131)의 감지를 통해 커버부재(121)의 개방을 감지하고, 신속하게 수소공급라인(132)을 차단하고 질소공급라인(133)을 개방한다. 즉 폭발을 감지한 후 신속하게 수소유입을 차단하고 질소를 유입시킴으로써 폭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폭발 후 설비의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이동장치(150)가 슬라이딩부재(147)를 이동시켜 훼손되지 않은 파열패널(110)이 장착된 다른 중간접속링(145)을 개구(101)에 접속시켜 다시 개구(101)를 밀봉함으로써 신속한 조업의 재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폭발 시 내부가스의 배출을 위한 개구(101)가 상단덕트부(50) 상면에 마련된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개구(101)의 위치나 수량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폭발 시 내부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개구(101)는 열처리공간을 한정하는 연속소둔로의 덕트부에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덕트부는 냉각부의 덕트(31), 상승덕트부(40), 상단덕트부(50), 리턴덕트부(60)일 수 있고, 개구(101)는 이러한 덕트부에 각각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각 개구에는 덕트부보다 연질의 소재로 마련되어 열처리공간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이상으로 상승하면 찢어져 개구를 개방하는 파열패널(110)이 설치될 수 있다.
10: 입구부, 20: 가열부,
30: 냉각부, 40: 상승덕트부,
50: 상단덕트부, 60: 리턴덕트부,
70: 출구부, 100: 폭발가스 배출장치,
101: 개구, 110: 파열패널,
120: 가스배출관, 121: 커버부재,
131: 개방감지센서, 125: 무게조절장치,
134: 제어부, 141: 상부접속링,
142: 하부접속링, 144: 승강장치,
145: 중간접속링, 147: 슬라이딩패널,
150: 이동장치.

Claims (7)

  1. 연속소둔로의 상단덕트부에 마련된 개구;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상단덕트부보다 연질의 소재로 마련되어 상기 상단덕트부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이상으로 상승하면 찢어져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파열패널;
    상기 개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배출가스를 안내하는 가스배출관;
    상기 가스배출관 상부에 설치되고, 배출가스의 압력에 의해 열리도록 일측이 회전연결부에 의해 상기 가스배출관에 연결되며, 용이한 개방을 위해 상기 회전연결부 쪽에 무게조절장치가 설치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 및
    상기 개방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연속소둔로 내부로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공급라인을 차단하고 상기 연속소둔로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라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속소둔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원뿔형으로 마련되는 연속소둔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관의 하단에 고정된 상부접속링;
    상기 개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가 신축부재에 의해 밀폐된 하부접속링;
    상기 하부접속링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상부접속링과 상기 하부접속링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상기 상단덕트부 위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상부접속링 및 상기 하부접속링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파열패널이 각각 결합된 복수의 중간접속링; 및
    상기 복수의 중간접속링 중 하나를 상기 상부접속링과 상기 하부접속링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연속소둔로.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패널은 구리소재로 마련되는 연속소둔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73740A 2016-12-19 2016-12-19 연속소둔로 KR10187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40A KR101874612B1 (ko) 2016-12-19 2016-12-19 연속소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40A KR101874612B1 (ko) 2016-12-19 2016-12-19 연속소둔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26A KR20180071026A (ko) 2018-06-27
KR101874612B1 true KR101874612B1 (ko) 2018-07-05

Family

ID=6278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740A KR101874612B1 (ko) 2016-12-19 2016-12-19 연속소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0120A (zh) * 2019-12-20 2020-04-17 东南大学 一种在水下实施热处理的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2839B1 (fr) * 2019-10-31 2021-11-19 Rio Tinto Alcan Int Ltd Event pour four à anodes
CN116770043B (zh) * 2023-06-22 2024-04-26 海安天一智控设备有限公司 一种退火炉移动风箱用充气密封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601A (ko) * 1999-03-22 2002-05-07 필립 마뉴에르 전기 변압기의 폭발 방지 장치
KR20040110560A (ko) * 2003-06-19 2004-12-31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 내부의 폭발압력 유도배출용 자동도어장치
KR100779872B1 (ko) * 2006-05-23 2007-11-27 주식회사 효성 변압기용 파열방지시스템
KR101395605B1 (ko) * 2013-11-08 2014-05-16 (주) 오카도라코리아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601A (ko) * 1999-03-22 2002-05-07 필립 마뉴에르 전기 변압기의 폭발 방지 장치
KR20040110560A (ko) * 2003-06-19 2004-12-31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 내부의 폭발압력 유도배출용 자동도어장치
KR100779872B1 (ko) * 2006-05-23 2007-11-27 주식회사 효성 변압기용 파열방지시스템
KR101395605B1 (ko) * 2013-11-08 2014-05-16 (주) 오카도라코리아 열풍을 직접 이용하는 회전식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0120A (zh) * 2019-12-20 2020-04-17 东南大学 一种在水下实施热处理的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26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612B1 (ko) 연속소둔로
KR101513857B1 (ko) 제어 공기하에 작동하는 신속 냉각 및 가열 시스템이 제공된 노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CN106643131A (zh) 一种移动式立式真空炉结构
JPH0230788B2 (ko)
KR101477104B1 (ko) 압연 코일용 권취 장치
JP4801185B2 (ja) 蓄熱式燃焼装置
JP4700527B2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
KR101903178B1 (ko) 연속소둔로
KR101179961B1 (ko) 진공 열처리로
EP2580360B1 (en) Annealing installation with m-shaped strip treatment tunnel
KR20090061211A (ko)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KR101903179B1 (ko) 연속소둔로
KR101874610B1 (ko) 수직소둔로 냉각대의 열냉각조절장치
KR101359223B1 (ko) 소둔로 실링장치
KR20130075942A (ko) 선재 냉각 장치
KR20120025434A (ko) 종형 열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61717B1 (ko) 광휘 소둔로의 실링을 위한 압 조절장치
KR101864617B1 (ko) 머플 신장 보정장치
EP2915887B1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a metal strip in a vertical annealing plant
KR101974097B1 (ko) 고온수 냉각 및 스팀 배출 장치
KR102409655B1 (ko) 급속 냉각 가능한 열처리 방법
CN216694460U (zh) 一种气氛还原炉
KR102094343B1 (ko) 연속소둔로 내부 점검장치
WO2019069510A1 (ja) 竪型マッフル式熱処理炉
JP2022175794A (ja) 金属ストリップ熱処理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