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179B1 - 연속소둔로 - Google Patents

연속소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179B1
KR101903179B1 KR1020160175611A KR20160175611A KR101903179B1 KR 101903179 B1 KR101903179 B1 KR 101903179B1 KR 1020160175611 A KR1020160175611 A KR 1020160175611A KR 20160175611 A KR20160175611 A KR 20160175611A KR 101903179 B1 KR101903179 B1 KR 101903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
muffle
strip
pre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247A (ko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1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62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direct resistanc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6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heated without contact between combustion gases and charge; electrically heated
    • F27B9/08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heated without contact between combustion gases and charge; electrically heated heated through chamber walls
    • F27B9/082Muffl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28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for treating continuous lengths of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6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40Arrangements of controlling or monito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5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elongated articles in an upright position, e.g. sparking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33Heating elements or systems using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연속소둔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는 내부를 통과하는 스트립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스트립이 통과하는 원통형 머플; 상기 머플을 수용하며 상기 머플의 외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가열벽체; 상기 가열공간을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벽체에 설치되는 버너; 상기 가열공간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택; 및 상기 가열공간으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열기의 흐름을 안내하고, 상기 가열공간을 빠져나가는 열기의 배출경로를 상기 머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소로 분산시키는 열기안내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소둔로{CONTINUOUS ANNEALING FURNACE}
본 발명은 연속소둔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부의 열기배출 구조를 개선하여 머플의 국부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소둔로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 강판과 같이 냉간압연된 금속 재질의 스트립은 압연과정에서 경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공성을 요구하는 제품을 만드는데 부적합하다. 따라서 압연된 스트립은 소둔(annealing) 열처리를 통해 경도를 저하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연속소둔로는 스트립을 수소가 채워진 가열부와 냉각부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소둔 열처리를 하는 장치다. 이를 이용하면 환원분위기에서 열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열처리 과정에서 스트립 표면의 산화가 방지되어 스트립이 금속적 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
연속소둔로에서 가열부는 수직으로 상승하는 스트립을 수용하며, 상하로 길이가 긴 원통형태로 마련된 머플(muffle)과, 머플을 수용하며 머플의 외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간을 한정하는 외부의 원통형 가열벽체와, 가열공간의 가열을 위해 노체에 설치된 복수의 버너와, 가열공간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머플은 상단이 가열벽체의 상부에 매달린 상태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태다. 따라서 머플은 가열공간 내의 온도가 불균일할 경우, 국부적으로 변형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스택은 가열벽체의 저부를 통해 가열공간과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은 스택의 연결구조에서는 가열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기가 머플의 하부영역 쪽으로 집중되어 머플 상부와 하부 사이의 온도편차가 커지게 되어 머플 하부의 변형이 심해지게 된다.
또한 외부의 기온이 저하되어 가열부로 유입되는 스트립의 온도가 급격히 낮아질 경우, 스트립이 진입하는 머플의 하부영역은 스트립과의 현저한 온도차이로 인해 열충격을 받게 되면서 변형될 우려가 커지게 된다.
머플의 변형이 생기면, 수소의 누설에 따른 조치를 해야 하고, 변형 정도가 심한 경우 가열부의 가열벽체를 분해한 후 머플의 변형부분을 잘라내고 다른 금속으로 교체하는 등 어려운 수리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큰 조업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열부의 열기배출구조를 개선하여 머플의 국부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소둔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를 통과하는 스트립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스트립이 통과하는 원통형 머플; 상기 머플을 수용하며 상기 머플의 외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가열벽체; 상기 가열공간을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벽체에 설치되는 버너; 상기 가열공간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택; 및 상기 가열공간으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열기의 흐름을 안내하고, 상기 가열공간을 빠져나가는 열기의 배출경로를 상기 머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소로 분산시키는 열기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관은, 상기 머플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공간과 개별적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가열벽체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분산안내관; 및 복수의 상기 분산안내관을 통해 배출되는 열기가 합류된 상태에서 상기 스택으로 전달되도록 복수의 상기 분산안내관과 상기 스택 사이를 연결하는 합류안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스트립이 유입되는 방향의 상기 가열공간의 온도가 상기 스트립이 유출되는 방향의 가열공간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게 복수의 상기 분산안내관과 상기 스택 사이의 열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열기단속장치를 더 포함하는 연속소둔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열기안내관은 상기 가열공간과 상기 분산안내관 사이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기단속장치는 상호 인접한 분산안내관 사이의 열기의 흐름을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합류안내관에 마련된 복수의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스텍의 열기를 이용하여 상기 머플로 진입되기 전 상태의 상기 스트립을 예열하는 예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열장치는, 상기 스택과 접촉하는 열교환구간을 포함하여 폐회로를 이루는 예열관; 상기 예열관과 통하도록 상기 예열관 중간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립을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감싸는 예열하우징; 및 외부공기가 상기 예열하우징을 경유하면서 상기 예열관을 따라 순환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열기단속장치와 상기 예열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는 가열공간의 열기가 머플 주변을 고르게 경유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열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온도차에 따른 머플의 국부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는 머플의 하부영역의 온도가 머플의 상부영역보다 낮아지도록 열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기온이 낮아진 상태에서 스트립이 진입하는 머플의 하부영역에서 발생하는 열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열충격에 의해 머플의 하부영역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가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가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과 비교하여 열기배출관의 열기 배출경로를 달리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예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에 있어서 예열장치의 예열하우징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속소둔로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질의 스트립(1)이 진입하는 입구부(10), 입구부(10)로 진입한 후 수직 상승하는 스트립(1)을 가열하는 가열부(100), 가열부(100)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스트립(1)을 냉각시키는 냉각부(30), 냉각부(30) 위에 마련된 상승덕트부(40), 스트립(1)의 이동방향 전환을 위해 상승덕트부(40)로부터 소정길이 횡방향으로 연장된 상단덕트부(50), 스트립(1)의 하강을 위해 상단덕트부(50)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수직으로 설치된 리턴덕트부(60), 열처리된 스트립(1)의 배출을 위해 리턴덕트부(60) 하부에 마련된 출구부(70)를 포함한다.
가열부(100), 냉각부(30), 상승덕트부(40), 상단덕트부(50), 리턴덕트부(60)는 스트립(1)이 연속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터널형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속소둔로 내부에는 환원성 열처리분위기를 조성하는 수소(H2)가 채워치고, 입구부(10)와 출구부(70)는 수소의 누설방지 및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밀폐된다.
입구부(10)는 스트립(1)이 진입을 안내하면서 입구를 밀폐시키는 한쌍의 입구밀폐롤(11)과, 입구밀폐롤(11)을 거쳐 입구덕트(12) 내부로 진입한 스트립(1)의 진행을 상방향으로 전환하면서 스트립(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입구측 장력조절롤(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00)는 입구부(10)를 거쳐 상승하는 스트립(1)을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가열할 수 있도록 입구부(10)의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00)는 상하로 길이가 긴 원통형태로 마련되며 그 내측으로 스트립(1)이 통과하는 원통형 머플(110, muffle), 머플(110)을 수용하며 머플(110)의 외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간(120)을 형성하는 외부의 원통형 가열벽체(130), 가열공간(120)의 가열을 위해 가열벽체(130)에 설치된 버너(140), 가열공간(120)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열벽체(130) 일측으로 연결되는 스택(150)을 포함할 수 있다.
머플(110)은 하부가 입구덕트(12)와 밀폐상태로 연결되고 상부가 냉각부(30)의 덕트(31)와 밀폐상태로 연결되며, 내부에 환원분위기를 조성하는 수소가 채워진다. 즉 머플(110)의 내부공간(111)은 입구부(10) 및 냉각부(3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수소의 누설 차단을 위해 외측의 가열공간(120)과는 완전히 구획된다.
가열부(100)는 복수 버너(140)의 가열에 의해 스트립(1)이 통과하는 머플(110)의 내부를 소둔을 위한 가열온도(대략 1000℃)로 가열할 수 있고, 수소가 채워진 머플(110)의 내부공간(111)이 가열공간(120)과 구획되므로 환원분위기에서 상승하는 스트립(1)을 가열할 수 있다. 버너(140)는 가열공간(120)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할 수 있게 가열벽체(130)에 고르게 분포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부(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부(100)와 상승덕트부(40)를 연속하여 연결하는 덕트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그 내부의 분위기가스를 냉각시키는 복수의 냉각장치(3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냉각장치(32)는 내부의 가스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순환팬에 의해 순환하는 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열교환기, 냉각열교환기로 냉각액을 공급하는 냉각액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00)에서 대략 1000℃ 내외로 가열된 스트립(1)은 이러한 냉각부(30)를 통과하면서 대략 80 ~ 100℃까지 냉각될 수 있다.
상단덕트부(50)는 상승덕트부(40) 상단과 리턴덕트부(60) 상단을 연결한다. 상승덕트부(40)와 상단덕트부(50)가 만나는 부분의 내측에는 스트립(1)의 이동방향을 횡으로 전환하면서 스트립(1)을 지지하는 스티어링롤(51)이 설치되고, 상단덕트부(50)와 리턴덕트부(60)가 만나는 부분의 내측에는 스트립(1)의 이동방향을 아래로 전환하면서 스트립(1)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롤(52)이 설치될 수 있다.
출구부(70)는 리턴덕트부(60) 하단의 출구로 스트립(1)의 배출을 안내하면서 출구를 밀폐시키는 한쌍의 출구밀폐롤(71)과, 출구밀폐롤(71)을 거쳐 다음공정으로 이동하는 스트립(1)의 진행을 횡방향으로 전환하면서 스트립(1)의 장력을 조절하는 출구측 장력조절롤(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열부(100)는 가열공간(120)에서 스택(150) 쪽으로 열기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열기안내관(200)을 구비하고, 열기안내관(200)은 가열공간(120)을 빠져나가는 열기의 배출경로를 머플(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소로 분산시키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열기안내관(200)의 구성은 가열공간(120)의 열기가 스택(150)이 연결되는 위치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공간(12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기가 머플(110)의 주변을 고르게 경유한 상태에서 스택(150) 쪽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따라서 열기안내관(200)이 마련된 상태에서는 버너(140)의 화염으로 인한 열기가 머플(110)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 머플(110)의 부위별 온도편차에 따른 국부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열기안내관(200)은 머플(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분산안내관(211,212,213)과, 복수의 분산안내관(211,212,213)을 통해 배출되는 열기가 합류된 상태에서 스택(150)으로 전달되도록 복수의 분산안내관(211,212,213)과 스택(150) 사이를 연결하는 합류안내관(220)을 구비한다.
복수의 분산안내관(211,212,213)은 가열변체(130) 둘레을 감싸는 링 형태로 마련되어 개별적으로 가열공간(120)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분산안내관(211,212,213)은 스트립(1)의 통과방향을 따라 저부의 제1분산안내관(211)과, 중앙에 마련된 제2분산안내관(212)과, 상부에 마련된 제3분산안내관(213)을 포함하여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공간(120)의 열기가 반경방향을 따라 분산안내관(211,212,213) 둘레로 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가열벽체(130)와 각각의 분산안내관(211,212,213) 사이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상호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연통관(230)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공간(120)으로부터 분산안내관(211,212,213)으로 배출되는 열기를 통해 머플(110)은 원주방향으로도 고르게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제1 내지 제3분산안내관(211,212,213)의 출구는 일측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합류안내관(220)은 제 1 내지 제3분산안내관(211,212,213)의 출구와 연결되도록 가열벽체(130)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스택(150)은 수평부(151)와, 수평부(151) 끝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52)를 구비하고, 수평부(151)를 통해 합류안내관(220)의 중앙에 연결되어 수평부(151)로 유입된 열기를 수직부(15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가열부(100)는 외부기온이 급격하게 낮아질 경우, 스트립(1)이 진입하는 머플(110)의 하부영역에서 스트립(1)과 머플(110) 사이의 급격한 온도차이로 발생하는 열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트립(1)이 유입되는 방향의 가열공간(120)의 온도가 스트립(1)이 유출되는 방향의 가열공간(120)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게 복수의 분산안내관(211,212,213)과 스택(150) 사이의 열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열기단속장치(300)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기온의 영향에 의해 머플(110)로 진입하는 스트립(1)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질 경우, 열기단속장치(300)를 통해 머플(110) 하부의 온도가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머플(110)로 진입하는 스트립(1)의 온도와 머플(110) 하부영역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열충격에 의해 머플(110)의 하부영역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열기단속장치(300)는 상호 인접한 분산안내관(211,212,213) 사이의 열기의 흐름을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합류안내관(220)에 마련되는 복수의 개폐밸브(310,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분산안내관(211,212,213)이 3개로 구성됨에 따라 개폐밸브(310,320)는 제1분산안내관(211)과 제2분산안내관(212) 사이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310)와, 제2분산안내관(212)과 제3분산안내관(213) 사이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320)를 포함하여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개폐밸브(310,320)는 회전식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400)의 제어를 통해 구동하는 모터(311,321)에 의해 분산안내관(211,212,213) 사이의 열기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
가열부(100)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500)를 구비하고, 제어부(400)는 온도센서(500)를 통해 감지된 외부 온도 정보를 토대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열기단속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외부 온도가 기준값보다 높을 때는 복수의 개폐밸브(310,320)들이 개방되고, 외부 온도가 기준값 보다 낮을 때는 상부 쪽 개폐밸브(320)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 쪽 개폐밸브(310)는 폐쇄되도록 모터(311,32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온도 기준값은 섭씨 0도가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온도가 영상일 경우 제1 및 제2개폐밸브(310,320)가 모두 개방될 수 있고, 이때는 가열공간(120)의 열기가 복수의 분산안내관(211,212,213)을 통해 고르게 빠져 나가면서 머플(110)의 온도 분포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지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온이 영하로 내려갈 경우, 제어부(400)는 상부에 위치한 제2개폐밸브(320)는 개방되고 하부의 제1개폐밸브(310)는 폐쇄되도록 모터(311,32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는 제1분산안내관(211)을 통한 열기의 배출동작이 억제되면서 머플(110)의 하부 쪽이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머플(110)로 진입하는 스트립(1)의 온도와 머플(110)의 하부영역의 온도편차가 줄어들게 되어 머플(110)의 하부영역이 열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머플(110)로 진입하는 스트립(1)의 온도와 머플(110)의 하부영역의 온도편차를 더욱 큰 폭으로 줄이기 위한 것으로, 가열부(100)는 스텍(150)의 폐열을 이용하여 머플(110)로 진입되기 전 상태의 스트립(1)을 예열하기 위한 예열장치(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장치(600)는 스택(150)과 접촉하는 열교환구간(611)을 포함하여 폐회로를 이루는 예열관(610)과, 예열관(610)과 통하도록 예열관(610) 중간에 마련되는 예열하우징(620)과, 외부공기가 예열하우징(620)을 경유하면서 예열관(610)을 따라 순환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6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열하우징(620)은 스트립(1)이 내부의 예열공간(621)을 통과하도록 스트립(1)의 진입과 배출을 위한 스트립진입구(622)와 스트립배출구(623)를 구비하여 스트립(1)을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감싸도록 마련되며, 예열하우징(620)의 양측에는 예열관(610)의 양쪽 단부가 연결되는 열기유입구(624)와 열기배출구(625)가 마련될 수 있다.
스트립진입구(622)와 스트립배출구(623)는 스트립(1)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626)을 통해 밀폐될 수 있고, 예열공간(621) 내부에는 열기의 유실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의 에어커튼(627)이 설치될 수 있다.
예열관(61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열교환구간(611)은 스택(150)과의 열교환면적이 커지도록 수평부(151)에 밀착된 상태로 감기는 코일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구간(611) 둘레는 열기의 손실방지를 위해 보온재(700)로 감싸질 수 있다.
송풍팬(630)은 상기 모터(311,321)와 함께 제어부(4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온도센서(500)를 통해 감지된 외부의 온도가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머플(110) 내부로 진입되기 전 상태의 스트립(1)을 스택(150)의 폐열을 통해 예열되도록 송풍팬(6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미설명 부호 631 은 송풍팬(630)으로 외기가 도입되도록 유도하는 외기도입구를 가리킨다.
따라서 외부 기온이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송풍팬(630)의 구동되면, 외부 공기는 예열관(610)을 따라 순환하게 된다. 이때 열교환구간(611)을 통해 스택(150)의 폐열을 흡수되면서 예열관(610)을 순환하는 공기는 온기를 형성하고, 이러한 온기가 예열공간(621)을 지나면서 머플(110)로 진입되기 전 상태의 스트립(1)을 예열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온도가 기준값보다 낮아질 경우, 열기단속장치(300)를 통해 머플(110)의 하부영역의 온도가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예열장치(600)를 이용하여 머플(110)의 하부영역으로 진입하는 스트립(1)의 온도를 예열시켜 높일 수 있게 되므로, 머플(110)의 하부영역과 머플(110) 내부로 진입하는 스트립(1)의 온도편차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열충격에 의한 머플(110)의 하부영역의 변형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입구부 30: 냉각부
40: 상승덕트부 50: 상단덕트부
60: 리턴덕트부 70: 출구부
100: 가열부 110: 머플
120: 가열공간 130: 가열벽체
140: 버너 150: 스택
200: 열기안내관 211: 제1분산안내관
212: 제2분산안내관 213: 제3분산안내관
220: 합류안내관 230: 연통관
300: 열기단속장치 310: 제1개폐밸브
320: 제2개폐밸브 400: 제어부
500: 온도센서 600: 예열장치
610: 예열관 620: 예열하우징
630: 송풍팬

Claims (8)

  1. 내부를 통과하는 스트립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스트립이 통과하는 원통형 머플;
    상기 머플을 수용하며 상기 머플의 외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가열벽체;
    상기 가열공간을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벽체에 설치되는 버너;
    상기 가열공간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택; 및
    상기 가열공간으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열기의 흐름을 안내하고, 상기 가열공간을 빠져나가는 열기의 배출경로를 상기 머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소로 분산시키는 열기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열기안내관은,
    상기 머플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공간과 개별적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가열벽체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분산안내관; 및
    복수의 상기 분산안내관을 통해 배출되는 열기가 합류된 상태에서 상기 스택으로 전달되도록 복수의 상기 분산안내관과 상기 스택 사이를 연결하는 합류안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스트립이 유입되는 방향의 상기 가열공간의 온도가 상기 스트립이 유출되는 방향의 가열공간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게 복수의 상기 분산안내관과 상기 스택 사이의 열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열기단속장치를 더 포함하는 연속소둔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안내관은 상기 가열공간과 상기 분산안내관 사이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관을 더 포함하는 연속소둔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단속장치는 상호 인접한 분산안내관 사이의 열기의 흐름을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합류안내관에 마련된 복수의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연속소둔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스택의 열기를 이용하여 상기 머플로 진입되기 전 상태의 상기 스트립을 예열하는 예열장치를 더 포함하는 연속소둔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장치는,
    상기 스택과 접촉하는 열교환구간을 포함하여 폐회로를 이루는 예열관;
    상기 예열관과 통하도록 상기 예열관 중간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립을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감싸는 예열하우징; 및
    외부공기가 상기 예열하우징을 경유하면서 상기 예열관을 따라 순환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연속소둔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열기단속장치와 상기 예열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연속소둔로.
KR1020160175611A 2016-12-21 2016-12-21 연속소둔로 KR101903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611A KR101903179B1 (ko) 2016-12-21 2016-12-21 연속소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611A KR101903179B1 (ko) 2016-12-21 2016-12-21 연속소둔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47A KR20180072247A (ko) 2018-06-29
KR101903179B1 true KR101903179B1 (ko) 2018-10-01

Family

ID=6278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611A KR101903179B1 (ko) 2016-12-21 2016-12-21 연속소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8358A (zh) * 2022-02-28 2022-06-10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炉内管式换热器及连续退火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081B1 (ko) 2014-12-24 2016-06-28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소둔로 머플 하부의 국부변형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081B1 (ko) 2014-12-24 2016-06-28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소둔로 머플 하부의 국부변형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47A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8600C2 (ru) Способ подогрева отжигаем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колпаковой отжигательной печи
GB1568640A (en) Vertical direct fired strip heating furnaces
US18900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treating sheet metal
JPS6410579B2 (ko)
KR101253703B1 (ko) 배치식 소둔 열처리 설비
KR101903179B1 (ko) 연속소둔로
US6129258A (en) Muffle convection brazing and annealing system and method
US2965368A (en) Wire treating apparatus
CN110763014A (zh) 一种大尺寸老化隧道炉
JP2007092140A (ja) 鋼帯連続処理設備における均熱炉操業方法およびその均熱炉
EP2580360B1 (en) Annealing installation with m-shaped strip treatment tunnel
KR101869409B1 (ko) 연속소둔로
JP6436309B2 (ja) 連続焼鈍設備における金属帯の温度制御装置および温度制御方法
KR20150008544A (ko)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US5827056A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trip tracking in a continuous heating furnace
US2638333A (en) Continuous furnace
US20230392868A1 (en) Vertical furnace for a continuous heat treatment of a metal strip
US7371296B1 (en) Annealing furnace cooling and purging system and method
KR101917441B1 (ko) 압연설비
CN216891129U (zh) 一种金属盘卷的热处理炉
KR101472851B1 (ko) 강판 제조 방법
JPH05239558A (ja) 移動炉床式連続熱処理装置
JP4123535B2 (ja) 金属帯の連続熱処理炉
RU2815210C1 (ru) Вертикальная печь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KR200242384Y1 (ko) 스테인레스 선재의 광휘소둔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