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851B1 - 강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851B1
KR101472851B1 KR1020130019227A KR20130019227A KR101472851B1 KR 101472851 B1 KR101472851 B1 KR 101472851B1 KR 1020130019227 A KR1020130019227 A KR 1020130019227A KR 20130019227 A KR20130019227 A KR 20130019227A KR 101472851 B1 KR101472851 B1 KR 101472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heat treatment
annealing
steel shee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129A (ko
Inventor
한형기
조원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씨
Priority to KR1020130019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8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663Bell-type furn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4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 C21D1/76Adjusting the composition of the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4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 C21D1/767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forced gas circulation; Reheating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2Heat-treating apparatus with a cooling or quenching zone

Abstract

배치식 소둔 열처리 설비의 강판 제조 방법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제조 방법은 강판을 열간 압연하여 강판 코일로 권취하는 압연 단계; 상기 강판 코일을 산소와 질소가스를 포함하는 분위기 가스의 퍼니스 상에서 상기 강판 코일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소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판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late}
본 발명은 배치식 소둔 열처리 설비에서의 강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열연,내열강)의 요구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열처리 공정은 주로 코일을 풀어서 연속적으로 열처리를 실시하는 연속 소둔 열처리공정(CAL, Continuous Annealing Line), 내열강판(Stainless Steel Plate)의 산세요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연속 소둔 산세 (APL) 및 코일이 권취된 상태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배치식 소둔 열처리공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연속 소둔 열처리는 공정의 처리 시간이 짧아 판재류 등의 대량생산에 적합하기는 하지만, 설비 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며, 또한 사용 소재의 한정적인 사용범위 및 열처리 기술의 고집적화가 필요한 특성이 있다.
반면에, 배치식 소둔 열처리는 좁은 공간에서도 처리가 가능하여 설비 투자비가 적다는 장점을 가지며, 사용 소재의 범위가 넓어서 용도 확대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소둔 산세 제품의 수요 증대와 더불어 최종 소재의 가공성 향상이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어서, 배치식 소둔 열처리 제품이 연속열처리 소재와 더불어 확대 적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기존 소둔 열처리 설비는 수소와 질소 혼합기체 사용으로 인해 수소가스가 공기중 누출시 폭발 위험성이 있어 취급시 퍼니스나 배관의 누출방지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퍼니스에 투입되는 분위기용 가스인 수소의 비용부담 증가 및 압연 처리된 강판 코일은 냉간 상태에서 퍼니스로 투입되어 재가열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크고 소둔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소둔 열처리 설비로는 처리재(Coil) Edge 부와 Center 부의 표면 색상 결함으로 Edge Trimming에 따른 제품 Loss가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강판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폭발 위험성이 없는 강판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산화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강판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판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퍼니스 내에 유동 팬이 필요 없는 강판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둔 공간을 갖는 그리고 상면이 개방된 로본체; 상기 로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강판 코일들이 놓여지는 받침부재; 상기 로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소둔 공간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로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연소기들을 포함하는 배치식 소둔 열처리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기들은 상기 로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들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식 소둔 열처리 설비는 상기 연소기들의 교번 연소를 위해 상기 연소기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식 소둔 열처리 설비는 상기 소둔 공간의 분위기 가스 온도를 낮추기 위한 쿨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쿨링 부재는 상기 로본체에 양단이 연결되는 순환 덕트; 상기 순환 덕트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 덕트로 흐르는 분위기 가스를 냉각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는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냉각수를 냉매로 사용하는 쿨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둔 공간 내의 산소(O2)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산소 농도 조절부는 상기 소둔 공간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라인; 및 상기 소둔 공간으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 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본체에 설치되는 기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 부재는 상기 로본체 상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고 시일 워터가 채워지는 시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테두리가 상기 시일 프레임의 시일 워터에 잠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 부재는 상기 시일 워터를 냉각시켜주는 냉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강판 코일의 축방향과 평면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기들은 상기 받침부재에 놓여지는 강판 코일들에 화염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상기 강판 코일의 폭보다 넓은 거리를 두고 상기 로본체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강판을 열간 압연하여 강판 코일로 권취하는 압연 단계; 상기 강판 코일을 산소와 질소가스를 포함하는 분위기 가스의 퍼니스 상에서 상기 강판 코일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소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강판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 코일은 상기 압연 단계에서 상기 소둔열처리 단계로 넘어갈 때 압연처리 과정에서 가열된 상태로 소둔열처리를 위한 상기 퍼니스에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둔열처리 단계는 상기 퍼니스에 관통 설치되는 연소기들이 상기 퍼니스 내부의 분위기 가스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둔열처리 단계는 상기 퍼니스 내부의 분위기 가스가 강제 유동되도록 상기 연소기들이 교번 연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둔열처리단계에서 상기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가 높아지면 질소가스를 공급하거나 에어의 공급량을 감소시켜 상기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둔열처리 단계는 상기 강판 코일이 투입되기 전에 상기 퍼니스의 내부를 1차 온도값으로 상승시키는 1차 승온 단계; 상기 강판 코일이 투입된 후 상기 퍼니스의 내부를 어닐링 온도값으로 승상시키는 2차 승온 단계; 상기 퍼니스 내부를 상기 어닐링 온도로 유지시키는 유지 단계; 및 상기 퍼니스 내부 온도를 낮추는 쿨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쿨링 단계는 상기 퍼니스의 상기 분위기 가스를 열교환기가 설치된 순환 덕트로 강제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열간압연 후 강판 코일을 상온으로 냉각하지 않고 소둔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질소혼합연소에 의한 로내 산소 농도 제어를 통해 강판 코일의 표면에 산화 피막을 인위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폭발 위험성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소기들의 교번 연소를 통해 퍼니스 내에 분위기 가스 유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별도 유동 팬이 필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휘소둔시 해결불가능한 에지 청화불량을 해결할 수 있어 에지 로스를 최소화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가열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로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농도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로본체의 기밀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소둔열처리 단계에서의 퍼니스 내부 온도 및 강판 코일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치식 소둔 열처리 설비 및 강판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가열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로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10)는 강판 코일(C)의 표면에 산화 피막을 인위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소둔설비이다.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10)는 퍼니스(100), 가열유닛(200), 쿨링 부재(300), 농도 조절부(400), 그리고 커버 이송 유닛(800)를 포함한다.
퍼니스(100)는 로본체(110)와 커버(120)를 포함한다.
로본체(110)는 내화벽돌로 이루어지는 단열벽과, 단열벽을 감싸는 외벽을 포함하는 상자형으로 이루어진다. 로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는 커버(120)에 의해 덮혀짐으로써 내부공간(소둔 공간;A)이 밀폐된다. 일 예로, 로본체(110)는 바닥면(112), 좌측면(113), 우측면(114), 전면(115)과 후면(116)을 포함하는 상자형으로 제공될 있다. 로본체(110)는 일측면 하단에 배기라인(190)과 댐퍼(192)가 설치되며, 댐퍼(190) 조절을 통해 로압을 조절할 수 있다.
커버(120)는 커버 이송 유닛(800)에 의해 이송된다. 커버 이송 유닛(800)은 커버(120)를 파지하는 그레빙(grabbing;810)과, 전후 방향(X)으로 이동하는 크레인(820)을 포함한다.
로본체(110)의 바닥면(112)에는 강판 코일(C)들이 놓여지는 받침부재(150)가 제공된다. 받침부재(150)는 소둔 열처리시 발생 가능한 강판 코일(C)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형상으로 제공된다.
받침부재(150)는 로본체(110)의 바닥면(112)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152)과, 베이스판(152)에 좌우방향(Y)으로 제공되는 3개의 스키드(Skid;154)를 포함한다. 스키드(154)는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경사지지면(156)을 갖으며, 강판 코일(C)은 2개의 경사지지면(156)에 안착된다. 받침부재(150)는 내열강을 이용한 충분한 내열 내식성을 갖는다.
퍼니스(100)에는 소둔 공간(A)을 어닐링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가열 유닛(200)이 장착된다.
가열 유닛(200)은 제1버너그룹(210a)과 제2버너그룹(210b) 그리고 이들 버너그룹(210a,210b)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제1버너그룹(210a)과 제2버너그룹(210b)은 각각 4개의 연소기(202)들이 한 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버너그룹(210a)과 제2버너그룹(210b)은 로본체(110)의 좌측면(113)과 우측면(114)에 서로 대향되게 제공되며, 각각의 연소기(202)들은 로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일 예로, 제1버너그룹(210a)과 제2버너그룹(210b)은 로본체(110)의 좌측면(113)과 우측면(114)에 각각 상하 2개씩 총 4개의 연소기(202)들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기(202)들은 화염이 강판 코일에 직접 닿지 않도록 연소기(202)들의 수평 간격(L1)은 로본체(110)에 적재되는 강판 코일(C)의 폭(L2)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40)는 제1버너그룹(210a)과 제2버너그룹(210b)의 연소기(202)들이 순차적으로 교번 연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어 온도 편차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는 출력 값에 의해 운영대수가 결정될 수 있으며, 각 연소기(202)당 고유번호가 할당되고, 운용순서는 먼거리에 위치한 연소기(202)로부터 순차적으로 순번이 넘어가며 운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서 제1버너그룹(210a)과 제2버너그룹(210b)의 교번 연소의 운용예를 설명하면, 제1버너그룹(210a)의 연소기(202)들은 A1 - A4 - A2 - A3 순으로 교번 연소되고, 이때 제2버너그룹(210b)의 연소기(202)들은 B4 -B1 - B3 - B2 순으로 교번 연소될 수 있다. 연소기(202)들의 운용시간 및 턴오버(turn over) 시간은 제어부에 기적용된 연산식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연소기는 수초에서 수십초 내의 짧은 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열 유닛(200)은 제1버너그룹(210a)과 제2버너그룹(210b)의 연소기(202)들이 제어부(240)에 의해 순차적인 교번 연소를 하게 되면서 로본체(110)의 내부(소둔공간)의 유체 유동이 충분히 발생된다. 한편, 연소기(202)는 화염이 형성되는 노즐부의 유속이 120m/sec 이상일 수 있다. 연소기(202)들의 교번 연소 및 연소기 노즐부의 빠른 유속에 의해 로본체(110) 내부에서는 별도의 유동(대류) 팬을 사용하지 않고도 균일한 온도 분포 및 대류가 발생되고, 강판 코일 사이로 원활하게 순환하게 되면서 균일한 산화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연소기(202)는 자체에 열교환구조를 가짐으로써 연소 효율을 높이고 상온의 공기를 투입함으로써 로본체(110) 주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쿨링 부재(300)는 소둔 공간(A)의 온도(분위기 가스 온도)를 낮추기 위해 제공된다.
쿨링 부재(300)는 로본체(110)에 양단이 연결되는 순환 덕트(310), 순환 덕트(310)에 설치되고, 순환 덕트(310)로 흐르는 분위기 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열교환기(320) 그리고 순환라인(320)에 설치되는 순환팬(330)을 포함한다. 일 예로, 열교환기(320)는 냉각수를 냉매로 사용하는 쿨러일 수 있다. 또한, 순환 덕트(310)는 일단(분위기 가스 유출단)이 로본체(110)의 정면 상단쪽에 연결되고, 타단(분위기 가스 유입단)이 로본체(110)의 정면 하단쪽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농도 조절부(400)는 소둔 공간(A) 내의 산소(O2)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산소 농도 조절부(400)는 소둔 공간(A)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라인(410) 및 소둔 공간(A)으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 공급라인(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소둔 열처리단계에서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에어 공급량을 늘리고,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가 높아지면 질소가스를 공급하거나 에어 공급량을 줄여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10)는 최적의 산화 표면 품질 확보를 위해 질소혼합연소에 의한 소둔공간 내 산소농도 자동 제어로 기존에 필요한 광휘성 분위기가스(질소+수소 혼합)가 필요치 않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농도 조절부(400)는 소둔공간(A) 내의 산소 농도를 체크하는 농도측정기와, 농도측정기에서 측정된 측정값에 따라 에어 공급라인 및 질소 공급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로본체의 기밀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밀부재(170)는 로본체(110)는 상단에 설치된다. 기밀 부재(170)는 로본체(110) 상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시일 프레임(172)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 프레임(170)에는 시일 워터가 채워진다. 커버(120)가 로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게 되면, 커버(120)의 테두리(128)는 시일 프레임(172)의 시일 워터에 잠겨지면서 기밀이 유지된다. 기밀 부재(170)는 순환라인(174) 그리고 순환라인(174)에 설치되는 밸브(179)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179)는 시일 프레임(172)으로 공급되는 시일 워터의 물넘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를 이용한 강판 처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강판 처리 방법은 크게 강판을 열간 압연하여 코일로 권취하는 압연 단계와 소둔열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압연 단계에서 강판 코일(C)은 압연 온도로 가열된다. 압연 단계를 마친 강판 코일(C)은 냉각되기 전에 소둔열처리를 위해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10)로 옮겨진다. 일 예로, 강판 코일(C)은 압연 단계에서 1000-1200℃로 가열 처리된 후 냉각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10)로 옮겨지며, 이때 강판 코일은 높은 온도(예를 들면 600~750℃)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소둔열처리 단계에서는 높은 온도 상태의 강판 코일(C)이 퍼니스 내에 적재되기 때문에 퍼니스 온도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에너지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즉, 소둔열처리 단계는 압연처리를 위해 가열된 강판 코일의 열을 활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강판 코일(C)의 장입 방법으로는 강판 코일(c)을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10)로 장입 후 내부 온도를 830℃까지 가열하여 어닐링하는 방법과,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10)의 내부 온도를 760℃까지 승온시킨 상태에서 강판 코일(C)을 장입하여 830℃까지 가열하여 어닐링하는 방법이 있다.
소둔열처리 단계는 강판 코일을 산소와 질소가스를 포함하는 분위기 가스의 퍼니스 상에서 강판 코일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소둔 처리를 진행한다.
도 7은 소둔열처리 단계에서의 퍼니스 내부 온도 및 강판 코일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둔열처리 단계는 크게 1차 승온(T1), 2차 승온(T2), 유지(T3) 그리고 쿨링(T4)으로 구분하는데, 처리하는 강판 코일량에 따라 공정별 처리조건(온도, 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
1차 승온 단계는 강판 코일이 투입되기 전에 퍼니스의 내부를 1차 온도로 신속하게 상승시킨다. 여기서 1차 온도값은 어닐링 온도(850℃)보다 높을 수 있다. 2차 승온 단계는 강판 코일이 투입된 후 퍼니스의 내부를 어닐링 온도값으로 조절하는 단계이다. 유지 단계는 퍼니스 내부를 어닐링 온도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어닐링 처리 후에는 퍼니스 내부 온도를 서서히 떨어뜨리는 쿨링 단계를 실시한다. 쿨링 단계에서는 쿨링부재를 이용하여 퍼니스 내부 온도를 서서히 낮추게 된다.
소둔열처리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유지 단계는 퍼니스에 관통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소기들이 퍼니스 내부의 분위기 가스를 직접 가열하며, 퍼니스 내부의 분위기 가스가 강제 유동되도록 연소기들은 교번 연소된다. 즉, 소둔열처리 단계에서 배치식 소둔열처리 설비는 4대의 연소기가 1조로 구성된 2개의 버너그룹이 운전되는 방식을 취한다. 즉, 각각의 버너그룹의 연소기들이 일정한 주기로 교차 운전되는 방식으로, 운전되지 않는 연소기는 운전중인 연소기로부터 생성되는 연소가스의 배기통로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배기통을 축열시키고 일정 운전시간 경과 후에 연소기를 교대운전하면 연소용 공기는 고온의 축열층을 통과하는 동안 직접 열교환에 의해 예열되어 연소에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8대의 연소기를 교대로 운전함으로써 폐열회수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퍼니스 내 분위기 온도를 고온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니스 내 온도균일화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소둔열처리 단계에서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에어를 공급하고,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가 높아지면 질소가스를 공급하거나 에어 공급량을 감소시켜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퍼니스 200 : 가열 유닛
300 : 쿨링부재 400 : 농도 조정부
800 : 커버 이송 유닛

Claims (7)

  1. 강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강판을 열간 압연하여 강판 코일로 권취하는 압연 단계;
    상기 강판 코일을 산소와 질소가스를 포함하는 분위기 가스의 퍼니스 상에서 상기 강판 코일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소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둔열처리 단계는
    상기 강판 코일이 투입되기 전에 상기 퍼니스의 내부를 1차 온도값으로 상승시키는 1차 승온 단계;
    상기 강판 코일이 투입된 후 상기 퍼니스의 내부를 어닐링 온도값으로 조절시키는 2차 승온 단계;
    상기 퍼니스 내부를 상기 어닐링 온도로 유지시키는 유지 단계; 및
    상기 퍼니스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퍼니스의 상기 분위기 가스를 열교환기가 설치된 순환덕트로 강제 순환시켜 쿨링하는 쿨링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온도값은 상기 어닐링 온도값보다 높은 온도이며,
    상기 소둔열처리단계에서
    상기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가 높아지면 질소가스를 공급하거나 에어의 공급량을 감소시켜 상기 분위기 가스의 산소 농도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코일은 상기 압연 단계에서 상기 소둔열처리 단계로 넘어갈 때 압연처리 과정에서 가열된 상태로 소둔열처리를 위한 상기 퍼니스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둔열처리 단계는
    상기 퍼니스에 관통 설치되는 연소기들이 상기 퍼니스 내부의 분위기 가스를 직접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둔열처리 단계는
    상기 퍼니스 내부의 분위기 가스가 강제 유동되도록 상기 연소기들이 교번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19227A 2013-02-22 2013-02-22 강판 제조 방법 KR101472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227A KR101472851B1 (ko) 2013-02-22 2013-02-22 강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227A KR101472851B1 (ko) 2013-02-22 2013-02-22 강판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707A Division KR101253703B1 (ko) 2012-10-26 2012-10-26 배치식 소둔 열처리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129A KR20140057129A (ko) 2014-05-12
KR101472851B1 true KR101472851B1 (ko) 2014-12-17

Family

ID=5088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227A KR101472851B1 (ko) 2013-02-22 2013-02-22 강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231A (ko) 2016-08-25 2018-03-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효율 강판용 연속 열처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047B1 (ko) * 1997-12-24 2002-03-08 이구택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열연강대의 표면경화 소둔열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047B1 (ko) * 1997-12-24 2002-03-08 이구택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열연강대의 표면경화 소둔열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231A (ko) 2016-08-25 2018-03-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효율 강판용 연속 열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129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703B1 (ko) 배치식 소둔 열처리 설비
CN100577825C (zh) 直燃式金属管材光亮热处理炉
KR20150039651A (ko) 연속식 롤러허스형 열처리로
RU2014134539A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CN112029972A (zh) 一种改善辐射管式辊底炉低温无氧化热处理方法及系统
KR101472851B1 (ko) 강판 제조 방법
US39203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treating articles in a recirculating type furnace
JP2005226157A (ja) 連続焼鈍炉の炉温制御方法および炉温制御装置
CN100577826C (zh) 直燃式金属管材光亮热处理方法
ES2252515T3 (es) Procedimiento para mejorar el perfil de temperatura de un horno.
US2250868A (en) Coil-annealing furnace
US20180258506A1 (en) Heat treatment system
JP3845194B2 (ja) 連続熱間圧延用鋼材の加熱操業方法
JPH0196333A (ja) ガス循環装置を備えた連続焼鈍炉
CN201186941Y (zh) 直燃式金属管材光亮热处理炉
KR101905653B1 (ko) 열손실 방지가 가능한 스테인레스 스트립 연속 소둔 설비
CN206160711U (zh) 立推炉炉底导流喷射系统
CN216891129U (zh) 一种金属盘卷的热处理炉
CN212375304U (zh) 一种钢坯退火坑
JP4020453B2 (ja) 蓄熱再生式燃焼装置を用いたベル型焼鈍炉の操業方法
CN212560375U (zh) 一种台车式热处理炉
CN102399964B (zh) 钢管正火炉
KR20100036915A (ko) 가열로를 포함하는 광휘소둔로 및 이를 이용한 광휘소둔방법
KR101706154B1 (ko) 열처리용 가스의 균일 증착성 구조와 가열시 변형 방지 구조가 구비된 전기 소둔로
JP2693689B2 (ja) 竪型直火加熱炉における炉体仕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