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211A -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211A
KR20090061211A KR1020070128128A KR20070128128A KR20090061211A KR 20090061211 A KR20090061211 A KR 20090061211A KR 1020070128128 A KR1020070128128 A KR 1020070128128A KR 20070128128 A KR20070128128 A KR 20070128128A KR 20090061211 A KR20090061211 A KR 20090061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urnace
outlet
closing
heat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2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211A/ko
Publication of KR2009006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27D1/1866Door-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18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for charging, discharging or manipulation of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Details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연소재(2)를 가열하는 가열로(1)의 가열로 출구(3) 측에 위치되어 가열로 출구(3)를 개폐하는 출구개폐수단(20); 및 상기 출구개폐수단(20)과 연계되어 외기의 가열로(1)로의 유입 및 가열로(1) 내부의 고온 가스 배출을 방지하도록 가열로 출구(3) 측에 위치된 보조개폐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된 압연소재가 가열로로부터 추출될 때 가열로 내부의 고온의 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가열로 외부의 저온의 외기가 가열로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가열로에서의 가열작업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가열로에서 압연소재를 가열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되며, 압연소재를 가열로에 역장입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압연소재를 가열로에 역장입할 수 있다.
가열로, 압연소재, 출구, 개폐장치

Description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outlet of heating furnace}
본 발명은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로에서 가열된 압연소재가 가열로 출구를 통해 추출되는 동안 가열로의 고온의 가스가 가열로 출구를 통해 가열로 외부로 배출되거나 가열로 외부의 저온의 외기가 가열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는 압연소재의 빌렛트를 압연 가능한 온도인 940℃ ~ 1200℃로 가열로에서 가열한 후, 압연공정인 조압연과, 중간조압연, 중간 사상압연 및, 사상압연의 연속 압연공정을 거쳐서 직경이 5.5mm ~ 22mm인 선재로 되고, 이후 수냉각, 권취, 공냉에 의한 열처리, 제품공사, 평량, 제품포장 등의 공정을 거쳐서 선재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도1은 압연소재가 가열되는 가열로와 가열된 압연소재가 가열로 출구에서 추출되어 압연기에서 압연 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시된 가열로(1)의 경우에 는 2개의 압연소재(2)가 동시에 추출 롤러(4)에 의해서 가열로(1)에서 추출된다.
가열로(1)에서 추출된 압연소재(2)는 압연기(5)로 유입되어 전술된 바와 같은 연속적인 압연공정을 거치게 된다.
가열로 출구(3)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개폐장치(100)로서 실린더(230)와 실린더(230)에 연결된 실린더 로드(240) 및 실린더 로드(240)에 연결된 개폐부재(2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열로(1)에서 압연소재(2)가 가열되는 동안, 즉 가열로(1)에서 압연소재(2)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30)를 작동시켜서 실린더 로드(240)에 의해서 가열로 출구(3)를 닫는 위치로 개폐부재(210)를 이동시킴으로써, 가열로 출구(3)를 닫는다.
이와는 반대로, 가열로(1)에서 가열된 압연소재(2)가 가열로 출구(3)로 추출되는 경우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30)를 작동시켜서 실린더 로드(240)에 의해서 가열로 출구(3)를 여는 위치로 개폐부재(210)를 이동시킴으로써, 가열로 출구(3)를 연다.
일반적으로, 가열로 출구(3)는 압연소재(2)가 압연기(5)에서의 압연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때에 다시 가열로(1)로 역장입되어 가열되어야 하기 때문에, 역장입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압연소재(2)의 단면적에 비하여 4배 내지 5배 정도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열로 출구(3)가 열려서 가열로(1)에서 가열된 압연소재(2)가 가열로 출구(3)를 통해 추출되는 때에는 가열로 출구(3)와 압연소재(2) 사이의 공 간을 통해서 가열로(1) 내부의 고온의 가스가 가열로(1) 외부로 배출되고 가열로(1) 외부의 저온의 외기가 가열로(1) 내부로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가열로(1)에서의 가열작업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우며, 가열로(1)에서 고온의 가스가 배출되고 가열로(1)로 저온의 외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가열로(1)에서 압연소재(2)를 가열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로에서 가열된 압연소재가 가열로 출구에서 추출될 때 가열로 출구를 통해 가열로 내부의 고온의 가스가 가열로 외부로 배출되거나 가열로 외부의 저온의 외기가 가열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압연소재를 가열하는 가열로의 가열로 출구 측에 위치되어 가열로 출구를 개폐하는 출구개폐수단; 및
상기 출구개폐수단과 연계되어 외기의 가열로로의 유입 및 가열로 내부의 고온 가스 배출을 방지하도록 가열로 출구 측에 위치된 보조개폐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출구개폐수단은 가열로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며 가열로 출구 측에 구비되는 제1이동수단; 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개폐수단은 가열로 출구에서 추출되는 압연소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압연소재 통과홈이 추출되는 압연소재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 보조개폐부재; 및 상기 보조개폐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개폐부재와 연결되며 가열로 출구 측에 구비되는 제2이동수단; 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개폐부재에는 밀봉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로에서 가열된 압연소재가 가열로 출구를 통해 가열로로부터 추출될 때, 가열로 출구를 통하여 가열로 내부의 고온의 가스가 배출되지 않으며, 가열로 외부의 저온의 외기가 가열로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가열로에서의 가열작업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가열로에서 압연소재를 가열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활한 압연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가열로에서 다시 가열하기 위하여 압연소재를 가열로에 역장입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압연소재를 가열로에 역장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열로 출구를 닫았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열로 출구를 열고 압연소재가 통과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의 일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열로 출구를 완전히 열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10)는 압연소재(2)를 가열하는 가열로(1)의 가열로 출구(3) 측에 위치되어 가열로 출구(3)를 개폐하는 출구개폐수단(20)과, 출구개폐수단(20)과 연계되어 외기의 가열로(1)로의 유입 및 가열로(1) 내부의 고온 가스 배출을 방지하도록 가열로 출구(3) 측에 위치된 보조개폐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출구개폐수단(20)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 출구(3)를 개폐하는 개폐부재(21)와, 개폐부재(2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개폐부재(21)와 연결되며 가열로 출구(3) 측에 구비되는 제1이동수단(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이동수단(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 출구(3) 측 상부의 가열로(1)에 구비된 실린더(23)와 실린더(23)와 개폐부재(21)를 연결하는 실린더 로드(24)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실린더(23)의 작동으로 실린더(23)와 개폐부재(21)에 연결된 실린더 로드(24)가 이동하여 개폐부재(21)가 가열로 출구(3)를 개폐하게 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 출구(3)를 닫는 경우에는 개폐부재(21)가 아래로 하강하여 완전히 가열로 출구(3)를 닫게 된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가열로 출구(3)를 열고 가열로(1)에서 가열된 압연소재(2)를 가열로 출구(3)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도5에 도시되고 후술할 바와 같이 개폐부재(21)를 가열로 출구(3)의 상단부를 약간 닫은 위치로 이동시키고, 보조개폐부재(31)를 위로 상승시켜서 압연소재(2)가 보조개폐부재(31)의 압연소재 통과홈(32)을 통과하여 추출되게 한다.
그리고, 추출되었던 압연소재(2)를 가열로(1)로 역장입하는 경우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1)를 상승시키고 보조개폐부재(31)를 하강시켜서 가열로 출구(3)가 완전히 열리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이동수단(22)의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고 개폐부재(21)를 이동시켜서 가열로 출구(3)를 개폐시키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보조개폐수단(30)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 출구(3)에서 추출되는 압연소재(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압연소재 통과홈(32)이 추출되는 압연소재(2)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 보조개폐부재(31)와, 보조개폐부재(3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보조개폐부재(31)와 연결되며 가열로 출구(3) 측에 구비되는 제2이동수단(3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이동수단(34)은 전술된 제1이동수단(22)과 같이 가열로 출구(3) 측 하부의 가열로(1)에 구비된 제2실린더(35)와 제2실린더(35)와 보조개폐부재(31)를 연결하는 제2실린더 로드(3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실린더(35)의 작동으로 이와 보조개폐부재(31)를 연결하는 제2실린더 로드(36)가 이동하여 보조개폐부재(31)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제2이동수단(34)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개폐부재(31)를 이동시키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개폐부재(31)에는 가열로 출구(3)에서 동시에 추출되는 압연소재(2)가 2개이기 때문에 2개의 압연소재 통과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만약에, 가열로 출구(3)에서 동시에 추출되는 압연소재(2)가 3개라면 3개의 압연소재 통과홈(32)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압연소재 통과홈(32)은 상단부가 개방된 홈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연소재(2)가 통과할 수 있다면 구멍의 형태 등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 출구(3)를 통해서 가열로(1)에서 가열된 압연소재(2)가 추출되는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1)는 가열로 출구(3)의 상단부의 일부를 닫을 수 있도록 제1이동수단(22)에 의해서 위치하고, 보조개폐부재(31)는 이에 형성된 압연소재 통과홈(32)을 통해서 압연소재(2)가 통과하여 추출될 수 있는 가열로 출구(3)의 위치에 제2이동수단(34)에 의해서 이동하게 된다.
가열로(1)에서 가열된 압연소재(2)는 가열로 출구(3)를 지나서 보조개폐부재(31)의 압연소재 통과홈(32)을 통과하여 가열로(1)로부터 추출되게 된다.
따라서, 압연소재(2)가 통과하는 가열로 출구(3) 부분 이외의 부분은 보조개 폐부재(31)에 의해서 닫혀있게 되어, 압연소재(2)가 통과하는 동안에 가열로 출구(3)를 통해서 가열로(1) 내부의 고온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가열로(1) 외부의 저온의 외기가 가열로(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보조개폐부재(31)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압연소재(2)가 가열로 출구(3)와 보조개폐부재(31)의 압연소재 통과홈(32)을 통과하여 추출될 때, 가열로(1) 내부의 고온의 가스가 가열로(1) 외부로 배출되거나 가열로(1) 외부의 저온의 외기가 가열로(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더 잘 이루어질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밀봉부재(33)는 압연소재(2)가 보조개폐부재(31)의 압연소재 통과홈(32)을 통해 가열로(1) 외부로 추출될 때, 가열로(1) 내부의 고온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과, 가열로(1) 외부의 저온의 외기가 가열로(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1)의 가열로 출구(3)를 닫는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실린더(23)에 의해서 실린더(23)와 개폐부재(21)를 연결하는 실린더 로드(24)를 이동시켜 개폐부재(21)를 하강시킴으로써 가열로 출구(3)가 완전하게 닫혀지게 한다.
가열로 출구(3)에서 가열로(1)에서 가열된 압연소재(2)가 추출되는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실린더(23)에 의해서 실린더 로드(24)를 이동시켜서 개폐부재(21)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 출구(3)의 상단부를 닫을 수 있도록 개폐부재(21)를 이동시킨다.
이후, 제2실린더(35)에 의해서 제2실린더(35)와 보조개폐부재(31)를 연결하는 제2실린더 로드(36)를 이동시켜서, 보조개폐부재(31)의 압연소재 통과홈(32)으로 가열로 출구(3)로부터 추출되는 압연소재(2)가 통과되도록 하는 위치에 보조개폐부재(31)를 이동시킨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1)와 보조개폐부재(31)가 위치하면, 가열로(1)에서 가열된 압연소재(2)가 가열로 출구(3)로 추출되어 보조개폐부재(31)의 압연소재 통과홈(32)을 통과하여 추출된다.
따라서, 압연소재(2)가 이동되는 부분 이외의 가열로 출구(3)의 부분은 보조개폐부재(31)에 의해서 닫혀지게 되므로, 가열로(1) 내부의 고온의 가스가 가열로 출구(3)를 통해서 가열로(1) 외부로 배출되거나, 가열로(1) 외부의 저온의 외기가 가열로 출구(3)를 통해 가열로(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보조개폐부재(31)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3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된 가열로(1) 내부의 고온의 가스가 가열로(1) 외부로 배출되거나, 가열로(1) 외부의 저온의 외기가 가열로(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더 잘 차단되게 된다.
압연소재(2)가 압연기(5)에서 압연 되는 것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가열 로(1)에서 추출되어 압연기(5)로 이동하는 압연소재(2)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열로 출구(3)를 통해 가열로(1)에 역장입 되어 가열로(1)에서 재가열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1)는 실린더(23)와 실린더 로드(24)에 의해서 가열구 출구(3)를 여는 쪽으로, 즉 윗쪽으로 이동하고, 보조개폐부재(31)는 제2실린더(35)와 제2실린더 로드(36)에 의해서 아랫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압연소재(1)가 개폐부재(21)나 보조개폐부재(31)에 부딛치지 않고 원활하게 가열로 출구(3)를 통해 가열로(1)로 역장입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은 압연소재가 가열되는 가열로와 가열된 압연소재가 가열로 출구에서 추출되어 압연기에서 압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열로 출구를 닫았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종래의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가 가열로 출구를 열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열로 출구를 닫았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열로 출구를 열고 압연소재가 통과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의 일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열로 출구를 완전히 열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열로 2 : 압연소재
3 : 가열로 출구 4 : 추출 롤러
5 : 압연기 10,100 : 출구 개폐장치
20 : 출구개폐수단 21,210 : 개폐부재
22 : 제1이동수단 23,230 : 실린더
24,240 : 실린더 로드 30 : 보조개폐수단
31 : 보조개폐부재 32 : 압연소재 통과홈
33 : 밀봉부재 34 : 제2이동수단
35 : 제2실린더 36 : 제2실린더 로드

Claims (4)

  1. 압연소재를 가열하는 가열로의 가열로 출구 측에 위치되어 가열로 출구를 개폐하는 출구개폐수단; 및
    상기 출구개폐수단과 연계되어 외기의 가열로로의 유입 및 가열로 내부의 고온 가스 배출을 방지하도록 가열로 출구 측에 위치된 보조개폐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개폐수단은
    가열로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며 가열로 출구 측에 구비되는 제1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개폐수단은
    가열로 출구에서 추출되는 압연소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압연소재 통과홈이 추출되는 압연소재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 보조개폐부재; 및
    상기 보조개폐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개폐부재와 연결되며 가 열로 출구 측에 구비되는 제2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개폐부재에는 밀봉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KR1020070128128A 2007-12-11 2007-12-11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KR20090061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28A KR20090061211A (ko) 2007-12-11 2007-12-11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28A KR20090061211A (ko) 2007-12-11 2007-12-11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211A true KR20090061211A (ko) 2009-06-16

Family

ID=4099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128A KR20090061211A (ko) 2007-12-11 2007-12-11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12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98B1 (ko) * 2011-07-28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의 도어 감지장치
KR101988380B1 (ko) * 2019-03-06 2019-06-12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용 개폐도어
KR101995323B1 (ko) * 2019-03-12 2019-07-04 주식회사월드텍 원형 배치구조를 가지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98B1 (ko) * 2011-07-28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의 도어 감지장치
KR101988380B1 (ko) * 2019-03-06 2019-06-12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용 개폐도어
KR101995323B1 (ko) * 2019-03-12 2019-07-04 주식회사월드텍 원형 배치구조를 가지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1211A (ko) 가열로 출구 개폐장치
JP2014137064A5 (ko)
WO2018122575A1 (en) Recirculating vertical wind tunnel with passive cooling
KR101874612B1 (ko) 연속소둔로
JP4801185B2 (ja) 蓄熱式燃焼装置
US20070107714A1 (en) Hot air circulation furnace
KR20210023042A (ko) 온도에 따라 배출유량의 제어가 가능한 동파방지밸브
CN106323847A (zh) 氙灯老化试验机
WO2011032156A3 (en) Cooler bypass apparatus and installation kit
KR101874610B1 (ko) 수직소둔로 냉각대의 열냉각조절장치
JPS63289389A (ja) 熱風管路用仕切弁
KR20080099673A (ko) 가열로 내부의 차단장치
JP5201127B2 (ja) 熱処理装置
CN203373393U (zh) 一种热处理用快冷装置
KR101968020B1 (ko) 가열로
JP4466038B2 (ja) 熱処理装置
KR20130075942A (ko) 선재 냉각 장치
JP7364619B2 (ja) 金属ストリップ熱処理炉
JP6332878B2 (ja) 帯状ワーク処理設備のシャッター機構
KR100979062B1 (ko)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CN217127488U (zh) 一种分段式热/冷装置
KR100931662B1 (ko)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
CN205590762U (zh) 一种钢丝空气冷却淬火机组
KR100946072B1 (ko) 소둔로의 스트립 냉각 장치
KR102092898B1 (ko) 액체금속용 밸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