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062B1 -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062B1
KR100979062B1 KR1020080040057A KR20080040057A KR100979062B1 KR 100979062 B1 KR100979062 B1 KR 100979062B1 KR 1020080040057 A KR1020080040057 A KR 1020080040057A KR 20080040057 A KR20080040057 A KR 20080040057A KR 100979062 B1 KR100979062 B1 KR 10097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material
fluid
wire rod
rolled
super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228A (ko
Inventor
김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4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06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재 압연라인의 압연기(2) 입측에 배치되어 압연소재(1)를 가이드하는 입구가이드(5)의 입측에 배치되며 압연소재(1)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장치본체(20); 및 상기 장치본체(20)를 통과하는 압연소재(1)를 가열하여 압연소재(1)의 과냉각을 방지토록 압연소재(1)에 분사되는 가열 유체가 흐르며 상기 장치본체(20)에 형성되는 유체 통로(31)와, 상기 유체 통로(31)와 연계되는 유체 공급원(32) 및, 상기 유체 통로(31)의 출측에 연통되게 구비되되 가열 유체의 분사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유체 분사구(33)를 포함하는 소재 가열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냉각된 압연소재의 부분 특히 압연소재의 선단부를 가열하여 압연소재의 과냉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압연소재의 과냉각으로 발생하는 압연롤 표면의 찍힘마크와, 압연롤의 이상마모, 압연롤의 수명단축, 입구가이드 롤러의 파손, 베어링의 소손, 압연기의 클리어런스의 확대 및, 전체 압연설비 또는 압연기의 제어이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문제점의 해소로 인해서 압연 설비 특히 열간 압연 설비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최종제품의 품질이 좋아진다.
압연, 선재, 압연소재, 압연소재 선단, 과냉각, 과냉각 방지

Description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ooling of the material for wire rod}
본 발명은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재 압연소재 압연시 과냉각된 압연 소재의 부분, 특히 압연소재의 선단부를 가열하여 선재 압연소재의 과냉각을 방지하는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선재의 생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빌렛트'라고 불리는 압연소재(1)를 가열로에서 압연(여기에서는 열간 압연)에 적절한 온도로 가열한 후, 조압연에서 사상압연에 이르는 다양한 압연기(2;도3에 도시됨)를 거치면서, 그 단면이 점점 감소되도록 하여 선재를 생산하게 된다.
도시된 인터벌 타임은 앞서 진행되는 압연소재(1) 후단부와 이의 뒤를 따르는 압연소재(1) 선단부간의 거리를 일컫는 것으로 이를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연속 압연을 실시한다.
비교적 단면이 큰 선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사상 압연에서 압연을 마치 고 냉각매체로 열처리 된 후 릴러에 권취되어 2차 서냉 및 공냉의 열처리 과정을 지나 최종제품으로 제조된다.
비교적 단면이 작은 선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상압연을 한 번 더 거치게 되며 수냉대에서 냉각되고, 레잉헤드에 의해서 나선형태의 선재 코일로 변환된 후, 컨베이어로 낙하되어 이동되면서 열처리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선재 제조시 품질이 떨어지고 과냉각된 압연소재(1)의 선단부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어장치(6)에 의해서 일정 길이를 잘라낸 후 버리게 된다.
압연소재(1)는 전술된 바와 같이 시어장치(6)에 의해서 압연소재(1)를 잘라내는 과정에서 압연소재(1)와 접촉하는 시어장치(6)에 의해서 냉각되어 과냉각(여기에서는 압연에 적정한 온도 이하로 압연소재(1)가 냉각되는 것을 말한다)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기(2)의 압연롤(3)은 전술된 인터벌 타임 동안 냉각되어야만 후속하는 압연소재(1)의 압연이 가능한데, 냉각된 압연기(2)의 압연롤(3)과 후속하는 압연소재(1)와의 접촉으로 압연소재(1)가 냉각되어 과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압연기(2)의 압연롤(3)의 냉각을 위해서 압연기(2)에 설치된 압연롤 냉각장치(4)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서 압연소재(1)의 과냉각이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압연기(2)와 압연기(2)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압연소재(1)가 대기 중에 노출되어 압연소재(1)의 과냉각을 가속화시킨다.
이러한, 압연소재(1) 특히 압연소재(1) 선단부의 과냉각은 다수의 압연기(2)를 지나야 하는 압연 설비조건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압연소재(1)에 과냉각 부분이 발생하면 이의 경도나 강도가 다른 부분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압연소재(1) 특히 압연소재(1) 선단부의 과냉각에 의해서 압연기(2)의 압연롤(3) 표면에 찍힘마크를 형성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연롤(3)의 이상마모를 일으키며 압연롤(3)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입구가이드(5)의 롤러를 파손시키고 베어링을 소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해, 압연기(2)로 유입될 때의 압연소재(1)와 압연기(2)와의 충격으로 인해서 압연기(2)의 클리어런스, 즉 공차가 확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전체 압연설비 또는 압연기(2)의 제어이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해서 열간 압연 설비 및 최종제품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재 압연소재 압연시 과냉각된 압연 소재의 부분, 특히 압연소재의 선단부의 과냉각을 방지하는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선재 압연라인의 압연기 입측에 배치되어 압연소재를 가이드하는 입구가이드의 입측에 배치되며 압연소재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를 통과하는 압연소재를 가열하여 압연소재의 과냉각을 방지토록 압연소재에 분사되는 가열 유체가 흐르며 상기 장치본체에 형성되는 유체 통로와, 상기 유체 통로와 연계되는 유체 공급원 및, 상기 유체 통로의 출측에 연통되게 구비되되 가열 유체의 분사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유체 분사구를 포함하는 소재 가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 유체는 증기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소재 가열 수단은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장치본체를 통과하는 압연소재를 감지하는 센서와 연계작동하여 상기 유체 분사구의 분사를 제어하는 개폐장치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 통로는 상기 장치본체를 통과하는 고온의 압연소재로부터 열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 통로의 내부 또는 상기 유체 통로에 인접한 상기 장치본체에는 열전달부재가 설치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장치본체에 형성된 소재통과 개구의 내면에 부착된 나선형 판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달부재에는 열전달공이 다수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냉각된 압연소재의 부분 특히 압연소재의 선단부를 가열하여 압연소재의 과냉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압연소재의 과냉각으로 발생하는 압연롤 표면의 찍힘마크와 압연롤의 이상마모, 압연롤의 수명단축, 입구가이드 롤러의 파손, 베어링의 소손, 압연기의 클리어런스의 확대 및, 전체 압연설비 또는 압연기의 제어이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의 해소로 인해서 압연 설비 특히 열간 압연 설비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최종제품의 품질이 좋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는 도4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10)는 선재 압연라인에 배치되고 압연소재(1)가 통과하는 장치본체(20)와, 장치본체(20)에 구비되면서 상기 장치본체(20)를 통과하는 압연소재(1)를 가열하여 압연소재(1)의 과냉각을 방지토록 구성된 소재 가열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압연소재(1)가 장치본체(20)를 통과하면서 압연소재(1)의 선단부와 같이 과냉각된 압연소재(1)의 부분을 소재 가열수단(30)에 의해서 가열해줌으로써 압연소재(1)의 과냉각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본체(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 압연라인의 압연기(2) 입측에 배치되어 압연소재(1)를 가이드하는 입구가이드(5)의 입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장치본체(20)의 선재 압연라인에서의 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과냉각된 압연소재(1)의 부분을 가열하여 압연소재(1)의 과냉각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선재 압연라인의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가열수단(30)은 장치본체(20)에 형성되며 가열 유체가 흐르는 유체 통로(31)를 포함하여 유체 통로(31)로부터 분사되는 가열 유체에 의해서 압연소재(1)를 가열토록 구성된다.
소재 가열수단(30)은 유체 통로(31)와 연계되는 유체 공급원(32)과, 유체 통로(31)의 출측에 연통되게 구비되되 가열 유체의 분사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유체 분사구(33)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유체 공급원(32)에서 유체 통로(31)에 공급된 가열 유체는 다수의 유체 분사구(33)를 통해 압연소재(1), 특히 압연소재(1)의 선단부와 같은 압연소재(1)의 과냉각 부분에 분사됨으로써 압연소재(1)의 과냉각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 유체의 압연소재(1)로의 분사를 통해서 압연소재(1)의 과냉각 부분을 가열하여 압연소재(1)의 과냉각을 방지한다.
그러나, 소재 가열수단(3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압연소재(1)의 과냉각 부분을 가열하여 압연소재(1)의 과냉각을 방지하는 것이라면, 예컨대 전열기구 등을 이용하여 압연소재(1)의 과냉각 부분을 가열하는 등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가열 유체는 증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즉 가열 유체로 증기와 같은 기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에서 액체를 분리시켜 제거하는 기수분리기(40)를 사용하면, 가열 유체로 전달되는 열이 액체를 기체로 상태변화시키는 데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기수분리기(40)는 기체 내에서 액체를 분리하여 제거하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열 유체의 온도 상승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열 유체에 의해서 압연소재(1)의 과냉각 부분을 가열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바람직하다.
소재 가열 수단(30)은 장치본체(20)에 구비되며 장치본체(20)를 통과하는 압연소재(1)를 감지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연계작동하여 유체 분사구(33)의 분사를 제어하는 개폐장치(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도6에 도시된 입구가이드(5)에 설치되어 압연소재(1)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압연소재(1)의 입구가이드(5)로의 진행을 감지하는 빛감지센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압연소재(1)의 진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라도 가능하다.
또한, 개폐장치(34)는 유체 통로(31)의 출측의 개폐가 가능한 밸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와 마찬가지로 밸브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 통로(31)의 출측의 개폐가 가능하여 유체 분사구(33)를 통한 가열 유체의 분사를 제어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유체 통로(31)의 출측 이외에도 예컨대 각각의 유체 분사구(33)의 개폐가 가능하여 유체 분사구(33)를 통한 가열 유체 분사의 제어가 가능한 것도 가능하다.
압연소재(1)가 장치본체(20)를 통과하지 않는 때에는 개폐장치(34)에 의해서 유체 통로(31)의 출측을 닫아서 유체 분사구(33)를 통해서 가열 유체가 압연소재(1)에 분사되지 않도록 한다.
센서에 의해서 압연소재(1)의 과냉각 부분, 예컨대 압연소재(1)의 선단부가 유체 분사구(33)에 도달함을 감지하게 되면, 이에 연계되어 작동되는 개폐장치(34)를 작동시켜 유체 통로(1)의 출측을 열어서 다수의 유체 분사구(33)를 통해 가열 유체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서, 압연소재(1)의 과냉각 부분, 예컨대 압연소재(1) 선단부를 가열하여 압연소재(1)의 과냉각을 방지하게 된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통로(31)는 장치본체(20)를 통과하는 고온의 압연소재(1)로부터 열을 받을 수 있도록 장치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본체(20)를 통과하는 고온의 압연소재(1)에 의해서 유체 통로(31)로 열이 전달되고, 이 열에 의해서 유체 통로(31)를 흐르는 가열 유체,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가 더 고온이 되도록 가열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유체 분사구(33)를 통해 압연소재(1)로 분사되는 가열 유체인 증기의 온도도 더 높아지게 되어 압연소재(1)의 선단부와 같은 압연소재(1)의 과냉각 부분을 가열하는 것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유체 통로(31)의 내부 또는 상기 유체 통로(31)에 인접한 장치본체(20)에는 열전달부재(35)가 설치될 수 있다.
열전달부재(35)에 의해서 장치본체(20)를 통과하는 고온의 압연소재(1)로부터 유체 통로(31)로의 열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서 바람직하다.
열전달부재(35)의 재료는 고온의 압연소재(1)로부터 유체 통로(31)로 열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열전달부재(35)는 장치본체(20)에 형성된 소재통과 개구(21)의 내면에 부착된 나선형 판이다.
나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치본체(20)의 소재통과 개구(21)를 통과하는 고온의 압연소재(1)로부터 열이 열전달부재(35)를 통해서 균일하게 유체 통로(31)에 전달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열전달부재(35)의 형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소재통과 개구(21)를 통과하는 고온의 압연소재(1)로부터 열이 균일하게 유체 통로(31)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열전달부재(35)에는 열전달공(36)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열전달부재(35)에 의한 열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열전달공(36)의 개수나 위치 또는 형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달부재(35)에 의한 열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개수나 위치 또는 형태라도 가능하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통과 개구(21)는 그 길이방향의 단면, 즉 종단면이 테이퍼져 있다.
즉, 압연소재(1)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그 횡단면이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본체(20)로의 압연소재(1)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치본체(20)를 통과하는 압연소재(1)가 이의 다음에 위치하는 입구가이드(5)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소재통과 개구(21)의 형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압연소재(1)의 진행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재통과 개구(21)의 출구는 이를 통과하는 압연소재(1)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예컨대, 압연소재(1)의 단면형상이 원형이면 원형으로, 사각형이면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소재통과 개구(21)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압연소재(1)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사용하여 선재 압연소재 선단부의 과냉각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에 행거(22)와 행거(22)를 지지하는 서포터(23)가 구비되면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10)를 입구가이드(5) 입측의 압연라인에 용이하게 설치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유체 공급원(32)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유체, 본 실시예에서 증기는 유체 공급원(32)에서 기수분리기(40)로 유동하여서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제거되어 고온의 건증기가 된다.
기수분리기(40)를 나온 고온의 건증기는 유체 통로(31)에 유입된다.
유체 통로(31)에 유입된 고온의 건증기는 유체 통로(31)를 따라 유체 분사구(33)까지 이동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압연소재(1)가 장치본체(20)를 통과하지 않은 때에는, 유체 통로(31)의 출측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 개폐장치(34)에 의해서 유체 통로(31)의 출측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유체 통로(31)와 연통된 다수의 유체 분사구(33)에 의해서 고온의 건증기가 분사되지 않게 된다.
고온의 건증기가 유체 통로(31) 내에 포함된 상태에서 압연소재(1)가 장치본체(20)의 소재통과 개구(21)에 유입되어 진행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고온의 압연소재(1)로부터 유체 통로(31)로 열전달이 이루어져서 고온의 건증기가 보다 높은 고온의 건증기로 된다.
압연소재(1)가 소재통과 개구(21)에서 계속 진행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입구가이드(5)에 구비된 빛감지센서 등에 의해서 압연소재(1)의 과냉각부, 본 실시예에서는 압연소재(1)의 선단부가 유체 분사구(33)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이에 연계된 걔폐장치(34)에 의해서 유체 통로(31)의 출측이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고온의 압연소재(1)로부터 열전달이 이루어져서 보다 높은 고온으로된 건증기가 유체 분사구(33)를 통해 압연소재(1)의 과냉각부인 압연소재(1)의 선단부에 분사된다.
이에 의하여, 압연소재(1)의 선단부가 가열되고 선단부의 과냉각이 해소된다.
압연소재(1)의 선단부가 고온의 건증기에 의해서 가열되어 과냉각이 해소된 후 계속 진행하여 입구가이드(5)에 유입되면, 압연소재(1)의 개폐장치(34)에 의해서 유체 통로(31)의 출측을 닫아서 유체 분사구(33)를 통한 압연소재(1)로의 고온의 건증기의 분사를 멈추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연소재(1)의 과냉각부가 압연소재(1)의 선단부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압연소재(1)의 다른 부분인 경우에도 센서에 의해서 개폐장치(34)의 개폐를 조정함으로써 과냉각된 압연소재(1)의 다른 부분을 전술된 바와 같이 가열하여 압연소재(1)의 과냉각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은 일반적인 선재의 생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과냉각된 선재 압연소재의 선단부를 시어장치에 의해서 절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압연롤을 냉각하는 압연롤 냉각장치에 의해서 선재 압연소재의 선단부가 과냉각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4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사용하여 선재 압연소재 선단부의 과냉각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압연소재 2 : 압연기
3 : 압연롤 4 : 압연롤 냉각장치
5 : 입구가이드 6 : 시어장치
10 : 과냉각 방지장치 20 : 장치본체
21 : 소재통과 개구 22 : 행거
23 : 서포터 30 : 소재 가열수단
31 : 유체 통로 32 : 유체 공급원
33 : 유체 분사구 34 : 개폐장치
35 : 열전달부재 36 : 열전달공
40 : 기수분리기

Claims (10)

  1. 선재 압연라인의 압연기 입측에 배치되어 압연소재를 가이드하는 입구가이드의 입측에 배치되며 압연소재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를 통과하는 압연소재를 가열하여 압연소재의 과냉각을 방지토록 압연소재에 분사되는 가열 유체가 흐르며 상기 장치본체에 형성되는 유체 통로와, 상기 유체 통로와 연계되는 유체 공급원 및, 상기 유체 통로의 출측에 연통되게 구비되되 가열 유체의 분사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유체 분사구를 포함하는 소재 가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체는 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가열 수단은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장치본체를 통과하는 압연소재를 감지하는 센서와 연계작동하여 상기 유체 분사구의 분사를 제어하는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로는 상기 장치본체를 통과하는 고온의 압연소재로부터 열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장치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로의 내부 또는 상기 유체 통로에 인접한 상기 장치본체에는 열전달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장치본체에 형성된 소재통과 개구의 내면에 부착된 나선형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에는 열전달공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KR1020080040057A 2008-04-29 2008-04-29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KR10097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057A KR100979062B1 (ko) 2008-04-29 2008-04-29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057A KR100979062B1 (ko) 2008-04-29 2008-04-29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228A KR20090114228A (ko) 2009-11-03
KR100979062B1 true KR100979062B1 (ko) 2010-08-30

Family

ID=4155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057A KR100979062B1 (ko) 2008-04-29 2008-04-29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0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412A (en) * 1980-06-30 1982-01-25 Nippon Steel Corp Method and device for heating of edge part of hot rolled material
KR19990029493U (ko) * 1997-12-29 1999-07-26 유무성 와이어 본더의 열변형 방지 시스템
JP2001314911A (ja) 1998-03-02 2001-11-13 Mario Fabris ロッドミル用の改良したローラ入口ガイド
KR200382083Y1 (ko) 2005-01-14 2005-04-18 주식회사 혁산압연 특수강의 연속 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412A (en) * 1980-06-30 1982-01-25 Nippon Steel Corp Method and device for heating of edge part of hot rolled material
KR19990029493U (ko) * 1997-12-29 1999-07-26 유무성 와이어 본더의 열변형 방지 시스템
JP2001314911A (ja) 1998-03-02 2001-11-13 Mario Fabris ロッドミル用の改良したローラ入口ガイド
KR200382083Y1 (ko) 2005-01-14 2005-04-18 주식회사 혁산압연 특수강의 연속 열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228A (ko)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3528C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slabs, thin slabs, profiled elements, or similar
US104151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treating metal strip
KR20150082578A (ko) 압연 스톡 냉각 장치
KR100979062B1 (ko) 선재 압연소재 과냉각 방지장치
KR20150051217A (ko) 노즐 헤더,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JP5130970B2 (ja) 鋼材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US2998966A (en) Heat-treating apparatus
KR101654158B1 (ko)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JP2007092140A (ja) 鋼帯連続処理設備における均熱炉操業方法およびその均熱炉
JP6939157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熱延鋼板の冷却方法
KR100362674B1 (ko) 열간압연강판의 무주수 선단부 냉각장치
CN107107171B (zh) 用于薄板坯的连铸设备
KR101790003B1 (ko) 온도측정장치, 이를 구비하는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KR100758486B1 (ko) 압연소재의 폭 대응형 압연롤 냉각장치
KR20130094962A (ko) 퍼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재 측정방법
KR100946039B1 (ko) 선재 가이드장치
JP2021062386A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WO2018061382A1 (ja) 帯状ワーク処理設備のシャッター機構
JP4830921B2 (ja) 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115611B1 (ko) 가열로에서 추출되는 소재 승온용 가열장치
KR101536906B1 (ko) 소재 냉각장치
KR20160012622A (ko) 가열로의 폐열 회수 장치
KR102115802B1 (ko) 소둔로 온도 유지 장치
JP3284910B2 (ja) 鋼板の冷却装置
KR200364265Y1 (ko) 압연용 중간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