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158B1 -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158B1
KR101654158B1 KR1020130082605A KR20130082605A KR101654158B1 KR 101654158 B1 KR101654158 B1 KR 101654158B1 KR 1020130082605 A KR1020130082605 A KR 1020130082605A KR 20130082605 A KR20130082605 A KR 20130082605A KR 101654158 B1 KR101654158 B1 KR 101654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gas
heat
cold
heat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544A (ko
Inventor
이한나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8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1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행 방향으로 상하 2열로 배치된 다수의 롤을 따라 상하 지그재그로 진행하는 냉연 강판의 스트립에 가열, 균열, 서냉, 냉각을 포함하는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된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를 가열하는 서냉대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서냉대 가열 장치는, 균열대 가열 장치의 배기 통로와 연결되어 균열대로부터 배기되는 폐가스를 도입하는 폐가스 도입구, 폐가스 도입구를 통해 도입된 폐가스를 인접한 스트립들 사이로 안내하는 방열 통로, 및 방열 통로를 통과한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APPARATUS FOR HEATING SLOW COOLING SECTION IN CONTINUOUS ANNEALING FURNACE}
본 발명은 냉연 강판의 소둔을 위한 연속 소둔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균열대의 폐가스를 이용하여 서냉대를 가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간 코일은 열연 코일을 상온에서 냉간 압연한 제품으로, 이러한 냉간 코일의 표면은 미려하나 냉간 압연시 발생한 냉간 코일(이하, "강판"이라 함) 내부의 높은 잔류 응력으로 인하여 경도가 매우 높고 또한 연성이 나쁘기 때문에 용도에 맞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연속 소둔 공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냉각 압연된 강판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가열과 냉각의 열처리를 반복 실시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의 강판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연속 소둔 공정을 실시하는 연속 소둔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대(PHS: Pre-Heating Section), 가열대(HS1, HS2)(여기서, HS: Heating Section), 균열대(SS: Soaking Section), 서냉대(SCS: Slow Cooling Section), 급냉대(RCS: Re-Cooling Section), 과시효대(OAS1-OAS3)(여기서, OAS: Over Aging Section), 냉각대(FCS: Final Cooling Section) 및 수냉대(WCS: Water Cooling Section)로 이루어져 있다. 강판(4)은 소둔로의 예열대(PH)로부터 수냉대(WCS)까지 상하 2열로 설치된 대략 200여 개의 롤(3)들을 따라 상하 지그재그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각각의 대역에서 강판(4)의 두께와 폭과 재질에 따라 이송 속도와 가열 또는 냉각 온도를 맞추어서 강판(4)에 대한 열처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서냉대(SCS)는 강판을 대략 650℃까지 냉각시키고 균열대(SS)에서 균일화된 강판 표면 온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서냉대(SCS) 내부의 가열과 온도 유지를 위해서 통상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립 형태의 전기 리본 히터(5)가 사용된다. 전기 리본 히터(5)는 그 가열 스트립이 서냉대(SCS)의 강판 진행 방향 양측의 벽면에 애자(6)를 매개로 하여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애자(6)는 익히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절연을 위한 것으로서 전기 리본 히터(5)가 벽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리본 히터(5)가 서냉대(SCS)의 벽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리본 히터(5)에 대한 점검과 수리는 소둔로 전체를 유지 보수하는 과정에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서냉대(SCS) 내부를 전기 리본 히터(5)로 가열하는 현재의 가열 방식에서는, 리본 히터(5)의 가열 스트립에 단선이 발생되어도 단선된 스트립을 그때그때 정비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서냉대(SCS)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관리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온도 상승시에 리본 히터(5)의 가열 스트립의 지락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가열 스트립을 지지하는 애자(6)가 열에 의해 파손되어 탈락하게 되는 경우에 서냉대(SCS)를 통과하는 강판의 표면이 패여서 덴트(dent)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 온도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지 보수가 용이한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균열대로부터 배기되는 폐가스를 서냉대를 가열하는 데 활용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이고 가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행 방향으로 상하 2열로 배치된 다수의 롤을 따라 상하 지그재그로 진행하는 냉연 강판의 스트립에 가열, 균열, 서냉, 냉각을 포함하는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된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를 가열하는 서냉대 가열 장치로서, 균열대 가열 장치의 배기 통로와 연결되어 균열대로부터 배기되는 폐가스를 도입하는 폐가스 도입구, 폐가스 도입구를 통해 도입된 폐가스를 인접한 스트립들 사이로 안내하는 방열 통로, 및 방열 통로를 통과한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열 통로는, 냉연 강판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인접한 냉연 강판 스트립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방열 유닛으로, 각각의 방열 유닛은 냉연 강판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인접한 냉연 강판 스트립들 사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일자형 방열관부와, 일자형 방열관부들을 지그재그로 연결하도록 이웃한 일자형 방열관부들의 단부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관부들을 구비하여 구성된, 다수의 방열 유닛과, 도입구로 도입된 폐가스를 다수의 방열 유닛들로 분배하는 분배 유닛과, 다수의 방열 유닛들로부터 폐가스를 수집하여 배출구로 안내하는 수집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은 각각의 방열 유닛과 도입구를 직접 연결하는 다수의 분배 통로를 포함하고, 수집 유닛은 각각의 방열 유닛과 배출구를 직접 연결하는 다수의 수집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자형 방열관부와 연결관부는 서냉대 측벽 외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는 서냉대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도입구로 도입된 폐가스를 배출구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이패스부는 도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통로와 바이패스 통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서냉대 내부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통로를 개폐시키는 개폐 밸브 또는 서냉대 내부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통로로 바이패스되는 폐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이패스부는, 도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통로와 도입구에서부터 방열 통로와 바이패스 통로로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서냉대 내부의 온도에 따라 방열 통로와 바이패스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3방향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둔로 서냉대 가열 장치에 의하면, 전기 리본 히터 대신 선행 공정에서 연소되고 난 고온의 폐가스를 이용하여 서냉대를 가열하므로 리본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처럼 일부분의 단선으로 인해 서냉대 내부의 온도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냉대 내부의 안정적인 온도 관리가 가능하여, 냉연 강판의 재질 편차를 최소화함으로써 품질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리본 히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또한, 전기 대신 선행 공정에서 연소되고 난 폐가스를 이용하여 서냉대를 가열하므로, 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전기 리본 히터에서 애자가 파손됨으로써 발생되는 강판 표면의 덴트와 같은 문제도 발생하지 않아 냉연 강판의 품질을 더욱 우수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연속 소둔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2는 서냉대의 벽에 설치된 전기 리본 히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는 서냉대 바로 전 공정 구역인 균열대에서 균열대를 통과하는 강판을 균일하게 가열하고 나서 외부로 배기되는 폐가스를 이용하여 서냉대 내부를 가열하는 것이 특징이다. 가열대에서 일단 고온으로 가열된 강판은 균열대를 지나가면서 두께나 폭방향의 온도 편차가 없도록 균일하게 가열되는데, 균열대에서의 가열 온도는 대략 800 내지 850℃이며, 방열관 방식을 이용한 간접 가열 방식을 사용한다. 균열대에서 강판을 가열하고 외부로 배기되는 폐가스는 그 온도가 대략 700℃이다. 서냉대는 가열된 강판을 본격적으로 냉각하기 전에 대략 650℃ 정도까지 서서히 냉각시키는 구역인데, 이와 같은 대략 650℃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기 리본 히터를 사용해 왔었다. 본 발명자들은 균열대로부터 배기되는 폐가스의 온도가 서냉대에서 강판을 서서히 냉각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온도보다 높다는 점에 착안하여 균열대로부터 배기되는 폐가스를 이용하여 서냉대를 가열하는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냉대 가열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폐가스 도입구(10)와, 방열 통로(20)와, 배출구(30)의 3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도입구(10)와 배출구(30)를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부(40)를 더 포함한다.
폐가스 도입구(10)는 서냉대 직전에 있는 균열대의 배기 통로(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균열대에서 연소되어 균열대 내의 냉연 강판의 스트립을 가열하고 배출되는 폐가스가 본 발명의 서냉대 가열 장치로 도입되게 된다.
균열대 외에도 가열대에서 나오는 폐가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가열대의 폐가스는 그 온도가 900℃ 정도로 이를 650℃인 서냉대의 온도 유지를 위해 사용하기에는 너무 높아 적합지 않고, 또한 서냉대와의 거리도 멀어서 배관 길이 및 구성이 복잡해지므로 균열대의 폐가스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방열 통로(20)는 다수의 방열 유닛(210)과, 분배 유닛(220)과, 수집 유닛(240)으로 이루어진다. 방열 유닛(210)은 서냉대 내의 냉연 강판의 스트립(S)들 사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분배 유닛(220)은 방열 유닛(210)들과 폐가스 도입구(10)를 연결하여 폐가스 도입구(10)로 도입된 폐가스를 각각의 방열 유닛(210)으로 분배시키는 역할을 하고, 수집 유닛(240)은 방열 유닛(210)들을 통과하고 나오는 폐가스를 한 데 수집하여 배출구(3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방열 유닛(210)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듯이, 냉연 강판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일자형 방열관부(radiant tube)(212)가 인접한 두 개의 스트립(S)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다수의 'U'형상의 연결관부(214)에 의해서 다수의 방열관부(212)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열관부(212)와 연결관부(214)는 내열성이 우수한 주강(Cr-Ni강)을 이용하여 원심 주조법으로 제조된다. 방열관부(212)와 연결관부(21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방열관부(212)와 연결관부(214)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에는, 방열관부(212)는 예를 들어, 그 단부가 소둔로의 서냉대 벽(1)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연결관부(214)는 서냉대의 벽(1) 외부에서 방열관부(12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방열관부(212)와 연결관부(214)는 플랜지를 서로 맞대어서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관부(214)를 서냉대의 벽(1) 외부에서 방열관부(2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서냉대의 벽 외부에서 방열관부(212) 양단의 연결관부(214)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특정의 방열관부(212)만을 냉연 강판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빼낼 수 있다.
각각의 방열 유닛(210)의 입구는 분배 유닛(220)을 통해 폐가스 도입구와 연결되고, 출구는 수집 유닛(240)을 통해 배출구(30)와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방열 유닛(210)에 대해 방열 유닛(210)과 도입구(10)를 직접 연결하는 분배 통로가 구비되고, 또한 각각의 방열 유닛(210)에 대해 방열 유닛(210)과 배출구(30)를 직접 연결하는 수집 통로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분배 유닛(220)은 다수의 분배 통로로 이루어지고, 수집 유닛(240)도 다수의 수집 통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하나의 스트립(S) 양쪽에 위치한 두 개의 방열 유닛(210)에 대해 분배 유닛(220)과 수집 유닛(240)이 연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분배 유닛(220)과 수집 유닛(240)이 각각 셋 이상의 다수의 방열 유닛(210)과 연결될 수도 있다.
바이패스부(40)는 폐가스 도입구(10)와 배출구(30)를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관(42)과 이 바이패스관(42)을 개폐하는 밸브(44)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는 바이패스관(42)을 통해 폐가스가 바이패스되는 경우, 폐가스가 방열 통로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열 통로와 바이패스관의 분기점에 방열 통로와 바이패스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3방향 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바이패스부(40)의 밸브(44)는 서냉대(SCS) 내부에 설치되어 서냉대(SCS)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한다. 도 4에서 도면 부호 8은 냉각관부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 서냉대 가열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서냉대 바로 전 공정 구역인 균열대에서 균열대를 통과하는 강판을 균일하게 가열하고 나서 외부로 배기되는 폐가스가 폐가스 도입구(10)를 통해 본 발명의 서냉대 가열 장치로 도입된다. 폐가스는 폐가스 도입구(10)로부터 분배 유닛(220)을 통해 서냉대(SCS) 내부의 인접한 두 스트립(S) 사이에 배치된 방열 유닛(210)으로 들어가고 방열 유닛(210)의 방열관부(212)와 연결관부(214)를 따라 유동하면서 스트립(S)들을 가열하거나 혹은 스트립(S)들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고 나서 수집 유닛(240)을 통해 배출구(30)로 가서 배출구(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바이패스부(40)의 바이패스관(42)은 밸브(44)에 의해 폐쇄되어 바이패스관(42)으로는 폐가스가 유동하지 않는다.
만일, 서냉대(SCS) 내부가 충분히 가열되어 스트립(S)을 서냉시키는데 필요한 온도(약 650℃)보다 높아지면, 서냉대(SCS)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바이패스부(40)의 밸브(44)가 작동되어 바이패스관(42)을 개방시킨다. 그러면, 폐가스 도입구(30)로 도입된 폐가스가 바이패스관(42)을 통해 배출구로 바이패스하게 되고, 방열 유닛(20)으로 들어가는 폐가스의 양은 감소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장치의 서냉대 가열량도 감소되게 된다. 온도가 설정된 온도 아래로 떨어지면, 밸브(44)가 작동되어 다시 바이패스관(42)을 폐쇄시키며, 이에 따라 폐가스는 도입된 양 전부가 방열 유닛(20)으로 들어가게 되어 서냉대 내부를 가열하게 된다.
한편, 바이패스 밸브(44)가 3방향 밸브라면, 바이패스관(42)이 개방되는 경우에 분배 유닛(220)이 완전히 폐쇄되어 폐가스가 방열 유닛(20)으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42)과 분배 유닛(220) 양측에 단순한 개폐 밸브가 아닌 유량 제어 밸브(44, 46)를 각각 설치하면 방열 유닛(20)과 바이패스관(42)으로 공급되는 폐가스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서냉대의 온도 제어도 훨씬 정밀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은 전기 리본 히터가 아닌 방열관을 이용하여 서냉대(SCS)의 가열 및 온도 유지를 행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열관의 재질로 사용되는 Cr-Ni 강의 경우 대략 1,250℃ 정도까지 견딜 수 있는 내열강이므로 서냉대의 유지 온도인 650℃에서 크랙(crack)과 같은 파손이 일어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여 정비 작업의 필요성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만일, 정비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서냉대의 벽(1) 외부에서 방열관부(212) 양단의 연결관부(214)를 분리하고 방열관부(212)를 냉연 강판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빼내는 것에 의해 방열관부(212)의 점검과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에 의하면 전기 리본 히터 대신 선행 공정에서 연소되고 난 고온의 폐가스를 이용하여 서냉대를 가열하므로 리본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처럼 일부분의 단선으로 인해 서냉대 내부의 온도를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냉대 내부의 안정적인 온도 관리가 가능하여, 냉연 강판의 재질 편차를 최소화함으로써 품질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리본 히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또한, 전기 대신 선행 공정에서 연소되고 난 폐가스를 이용하여 서냉대를 가열하므로, 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전기 리본 히터에서 애자가 파손됨으로써 발생되는 강판 표면의 덴트와 같은 문제도 발생하지 않아 냉연 강판의 품질을 더욱 우수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본 발명을 개조, 변형 또는 응용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서냉대의 벽 10: 폐가스 도입구
20: 방열 통로 210: 방열 유닛
212: 방열관부 214: 연결관부
220: 분배 유닛 240: 수집 유닛
30: 배출구 40: 바이패스부
42: 바이패스관 44: 밸브

Claims (7)

  1. 진행 방향으로 상하 2열로 배치된 다수의 롤을 따라 상하 지그재그로 진행하는 냉연 강판의 스트립에 가열, 균열, 서냉, 냉각을 포함하는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된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를 가열하는 서냉대 가열 장치로서,
    서냉대 직전에 있는 균열대 가열 장치의 배기 통로와 연결되어 균열대로부터 배기되는 폐가스의 온도가 서냉대에서 강판을 서서히 냉각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온도보다 높은 폐가스를 도입하는 폐가스 도입구;
    폐가스 도입구를 통해 도입된 폐가스를 인접한 스트립들 사이로 안내하는 방열 통로;
    방열 통로를 통과한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및
    서냉대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도입구로 도입된 폐가스를 배출구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바이패스부가 도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통로와, 바이패스 통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서냉대 내부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통로를 개폐시키는 개폐 밸브 또는 서냉대 내부의 온도에 따라 바이패스 통로로 바이패스되는 폐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방열 통로는,
    냉연 강판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인접한 냉연 강판 스트립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방열 유닛으로, 각각의 방열 유닛은 냉연 강판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인접한 냉연 강판 스트립들 사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일자형 방열관부와, 일자형 방열관부들을 지그재그로 연결하도록 이웃한 일자형 방열관부들의 단부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관부들을 구비하여 구성된, 다수의 방열 유닛;
    도입구로 도입된 폐가스를 다수의 방열 유닛들로 분배하는 분배 유닛; 및
    다수의 방열 유닛들로부터 폐가스를 수집하여 배출구로 안내하는 수집 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분배 유닛은 각각의 방열 유닛과 도입구를 직접 연결하는 다수의 분배 통로를 포함하고,
    수집 유닛은 각각의 방열 유닛과 배출구를 직접 연결하는 다수의 수집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일자형 방열관부와 연결관부는 서냉대 외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바이패스부는, 도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통로와, 도입구에서부터 방열 통로와 바이패스 통로로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서냉대 내부의 온도에 따라 방열 통로와 바이패스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3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KR1020130082605A 2013-07-15 2013-07-15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KR101654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05A KR101654158B1 (ko) 2013-07-15 2013-07-15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05A KR101654158B1 (ko) 2013-07-15 2013-07-15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544A KR20150008544A (ko) 2015-01-23
KR101654158B1 true KR101654158B1 (ko) 2016-09-09

Family

ID=5257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605A KR101654158B1 (ko) 2013-07-15 2013-07-15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885B1 (ko) * 2017-08-04 2019-11-05 주식회사 포스코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열장치
KR102106635B1 (ko) 2018-07-10 2020-05-06 주식회사 삼우에코 강판 연속열처리로 실험장비
KR102236621B1 (ko) 2019-09-30 2021-04-08 주식회사 삼우에코 열처리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강판 연속열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382A (en) * 1974-08-14 1975-11-18 Bloom Eng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treating articles in a recirculating type furnace
WO1993024664A1 (en) * 1992-05-25 1993-12-09 Nippon Steel Corporation Equipment for continuously annealing steel stri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544A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355B1 (ko) 금속 스트립 연속 소둔로에 있어서 가열방법 및 가열장치
KR101654158B1 (ko) 연속 소둔로의 서냉대 가열 장치
TWI286089B (en) Controllable cooling method for thick steel plate, thick steel plate manufactured by the controllable cooling method, and cooling device for the thick steel plate
SK31799A3 (en) Induction heaters to improve transitions in continuous heating systems, and method
CN102686965A (zh) 用于对连续运动的钢带进行预热的装置和方法
CN102534169A (zh) 多功能同炉多带快速高效双金属带锯条热处理生产线及其工艺
JP6133359B2 (ja) 金属部材を熱処理する方法
US8989565B2 (en) Multistage furnace
US22323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nealing strip
JP6716702B2 (ja) 熱風無酸素ろう付けシステム
KR100424095B1 (ko) 배치형 브레이징 퍼니스 시스템
KR100885884B1 (ko) 소둔로의 가스혼입 방지장치
KR101699234B1 (ko) 연속소둔로의 스트립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FI83072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foerhindra boejningen av glasskivor i en med valsar foersedd ugn i en horisontalhaerdningsanordning.
KR102230333B1 (ko) 고로 대탕도 용융물의 보온 장치
CN202595217U (zh) 一种带钢冷却系统
KR910001608B1 (ko) 연속 소둔로의 이동스트립 지지장치
CN201540034U (zh) 高温物料气体超快速喷射冷却单元
JP2011511882A (ja) 鋳片の上に被覆するための装置を有する鋳造設備
JPH0222878B2 (ko)
CN116119912B (zh) 一种水冷退火窑及水冷退火工艺
KR101903179B1 (ko) 연속소둔로
JP2004353928A (ja) クリーンオーブン
JP3814007B2 (ja) 連続加熱方法および装置
JP3814785B2 (ja) 熱処理オーブ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519

Effective date: 201603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