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003B1 -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003B1
KR101394003B1 KR1020120140244A KR20120140244A KR101394003B1 KR 101394003 B1 KR101394003 B1 KR 101394003B1 KR 1020120140244 A KR1020120140244 A KR 1020120140244A KR 20120140244 A KR20120140244 A KR 20120140244A KR 101394003 B1 KR101394003 B1 KR 101394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 plate
unlock
door latch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지훈
김수복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래치 록-언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중앙부가 축 결합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이프티 노브 레버,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의 일측 단부에 결속된 언록 케이블, 상기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중앙부가 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서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링크 접촉부가 수용되는 링크홈을 구비하는 록 플레이트, 및 상기 록 플레이트를 록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록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액션스프링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Lock-Unlock System for Door Latch}
본 발명은 작동감이 향상되고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며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가 간단하며,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 도어의 록-언록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조작 시 힘이 전달되는 구조로서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록링크를 사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래치 어셈블리 및 거기에 설치된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제1 및 제2 록링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제1 및 제2 록링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제2 록링크에 액션스프링이 걸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인사이드 핸들의 도어 래치의 도어 록-언록 시스템을 살펴보면, 도어 래치 어셈블리(10)에 세이프티 노브 레버(7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세이프티 노브 레버의 일측에는 언록 케이블(20)이 연결되며, 타측에는 제1록링크(80)의 일단과 맞물리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록링크의 일단은 납작한 바 형상이며, 상술한 세이프티 노브 레버의 타측 홈에 끼워진다. 한편 제1록링크(80)의 타단은 제2록링크(90)와 힌지연결되고, 제1록링크(80)의 중간에 돌출된 돌기(도 1 참조)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10)의 가이드홈(도 2 참조)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에 끼워져 있다.
제2록링크(90)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10)는 일단이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에서 제1록링크의 타단과 힌지결합하며, 도어 래치 어셈블리(10)에 일단이 고정된 액션스프링(50)의 타단에 의해 록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힌지결합부의 하부에는 록스톱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도어 래치 어셈블리 구조에서 도 1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언록 케이블(20)을 잡아당기면, 세이프티 노브 레버(70)가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제1록링크(80)의 바 형상 부분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제1록링크 중간의 돌기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가이드홈을 따라 함께 들어올려지고 결국 제1록링크(80)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1록링크(80)가 상승하면 제1록링크와 힌지결합된 제2록링크(90) 부분이 들어올려지고, 이에 따라 제2록링크(90)가 도어 래치 어셈블리(10)와의 축결합부를 중심으로 언록방향(도 2에서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도어 래치 어셈블리(10)에서 세이프티 노브 레버(70) 사이로 돌출된 돌출부(도 1 참조)에 의해 그 한계가 정하여진다.
한편 사용자가 언록 케이블(20)을 놓으면, 액션스프링(60)의 작용에 의해 제2록링크(90)는 록 방향(도 2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록링크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1록링크(80)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이것이 하강하면서 세이프티 노브 레버(70)의 단부를 눌러 내리게 되고, 이에 따라 세이프티 노브 레버(70)가 록 방향으로 회동하며 언록 케이블(20)을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 안쪽에서 언록 레버 등을 작동하여 언록 케이블(20)을 잡아당긴 후 손을 놓게 되면 언록 레버 등이 원위치로 돌아가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구조에서 록-언록 동작에 따른 일련의 구성들의 움직임과 움직임의 전달과정 중 유일하게 끊어져 있는 부분이 세이프티 노브 레버(70)와 제1록링크(80)의 연결부위이다. 또한 이 연결부위는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힘이 수직으로 꺾이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부위는 도어 록의 작동감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종래의 제1록링크(80)의 단부는 세이프티 노브 레버(70)의 홈 내면의 상하로 모두 매칭되지 못하고 동작이 이루어지는 1개 면에만 매칭되며, 바 형상으로서 모서리부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접촉면과 매칭 각도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작동감이 균일하지 못하고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과 같은 구조는 레버와 록링크가 만나는 부분의 구조상 작동각을 조정하기가 어렵다.
한편 위와 같은 종래의 도어 래치 어셈블리 구조에서는 록 방향에서만 제2록링크(90)와 스톱러버(50)가 접하여 충격을 흡수할 뿐, 제2록링크(90)가 언록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아무런 충격흡수 구조가 없어 작동감이 좋지 않다.
또한 제1록링크(80)의 상하운동 역시 정확히 가이드 구조가 복잡하여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더불어 추가 강성구조가 없는 제1록링크에 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아 응력이 집중되면 변형이나 파손이 일어날 우려도 있다.
나아가 위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션스프링의 단부가 단지 제2록링크를 가압하는 부분에서만 제2록링크와 접하고 있을 뿐, 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부품 불량률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동감이 향상되고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며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가 간단하며,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 래치 어셈블리(10)에 중앙부가 축 결합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이프티 노브 레버(30),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의 일측 단부에 결속된 언록 케이블(20), 상기 도어 래치 어셈블리(10)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1)이 구비되며, 일측 단부에서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링크 접촉부(32)가 수용되는 링크홈(48)을 구비하는 록 플레이트(40) 및 상기 록 플레이트(40)를 록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록 플레이트(40)를 탄성 지지하는 액션스프링(60)을 구비하고, 상기 언록 케이블(20)이 잡아당겨지면 그에 따라 세이프티 노브 레버(30)가 중앙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세이프티 노브 레버(30)의 링크 접촉부(32)가 록 플레이트(40)의 링크홈(48)을 밀어 록 플레이트(40)가 언록 방향으로 회동하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 록 플레이트(40)의 단부에 형성된 링크홈(48)은 포물선 형상이며, 상기 링크홈(48)에 수용되는 세이프티 노브 레버(30)의 링크 접촉부(32)는 구 형상을 하여서, 세이프티 노브 레버(30)가 회동하더라도 링크 접촉부(32)의 구 형상 표면에 링크홈(48)이 접촉하여 언록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작동감을 부여하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 도어 래치 어셈블리 상에서 상기 록 플레이트(40)의 일측에는 상기 록 플레이트(40)가 회동함에 따라 간섭되는 위치에 스톱러버(50)가 설치되며, 상기 록 플레이트가 록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톱러버(50)의 록스톱부(52)에 접촉하는 부위에는 상기 록스톱부(52)와 대응되는 형상의 록스톱부재(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 플레이트가 언록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톱러버(50)의 언록스톱부(54)에 접촉하는 부위에는 상기 언록 록스톱부(54)와 대응되는 형상의 언록스톱부재(45)가 형성되어 있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 액션스프링(60)은 토션스프링으로서, 그 일측 단부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의 가압편(62)은 상기 록 플레이트의 회전축(41)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록 플레이트에 접하여 록 플레이트를 록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가압편(62)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편에서 절곡되어 가압편이 상기 록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64)이 형성된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 록 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는 리브(43,44)를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한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록 링크 대신 록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병진운동 대신 회전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더 부드러운 작동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 형상의 링크접촉부가 세이프티 노브 레버의 회전각에 상관없이 일정한 접촉을 유지하므로 매칭성이 개선되고 작동소음이 감소하며, 작동각이 무관하므로, 부품의 운동 자유도와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어 부품크기를 축소하고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스톱러버가 록 플레이트를 록 방향과 언록 방향 모두에서 스토퍼와 댐퍼 기능을 하면서도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고, 아울러 양방향 모두에 댐핑 기능을 제공하므로 작동감이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션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부품 불량률이 감소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래치 어셈블리 및 거기에 설치된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제1 및 제2 록링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제1 및 제2 록링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2 록링크에 액션스프링이 걸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언록 케이블과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록 플레이트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록 플레이트와 스톱러버가 세이프티 노브 레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록 플레이트에 액션스프링이 걸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언록 케이블과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록 플레이트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록 플레이트와 스톱러버가 세이프티 노브 레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록 플레이트에 액션스프링이 걸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이프티 노브 레버(30)는 중앙부에서 도어 래치 어셈블리(10)에 축 결합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 일단에는 언록 케이블(20)이 접속되어 있고, 구 형상의 타단에는 링크접촉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록 플레이트(40)는 중앙 부분에서 도어 래치 어셈블리(10)에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테두리의 둘레를 따라서는 강성을 높이기 위해 리브(43,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록 플레이트(40)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접촉부(30)가 끼워져 적어도 1면, 바람직하게는 상하 2면 모두에서 접촉이 이루어지는 대략 포물선 형상의 링크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접촉부(32)가 구 형상이므로 록 플레이트(40)와 세이프티 노브 레버(30)의 각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두 부재의 접촉부위는 두 부재의 각도가 변화하는 동안에도 부드럽게 접촉을 이어갈 수 있다. 따라서 세이프티 노브 레버(30)가 회동하더라도 링크 접촉부(32)의 구 형상 표면에 링크홈(48)이 접촉하여 언록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작동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 플레이트(60)의 일측에는 액션스프링(60)이 설치되어 있는데, 토션스프링인 액션스프링의 일단은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록 플레이트(40)를 록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록 플레이트(40)를 탄성 지지한다. 이렇게 록 플레이트(40)를 탄성 지지하는 부위는 액션스프링(6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가압편(62)인데, 이는 상기 록 플레이트의 회전축(41)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록 플레이트에 접하여 록 플레이트를 록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압편(62)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편에서 절곡된 형상의 이탈방지편(6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가압편이 상기 록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축(41)의 상방의 소정 위치에 스톱러버(50)가 고정되고, 록 플레이트(4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스톱러버(50)를 사이에 두고 각각 언록스톱부재(45)와 록스톱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즉, 상기 도어 래치 어셈블리 상에서 상기 록 플레이트(40)의 일측에는 상기 록 플레이트(40)가 회동함에 따라 간섭되는 위치에 스톱러버(50)가 설치되며, 상기 록 플레이트가 록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톱러버(50)의 록스톱부(52)에 접촉하는 부위에는 상기 록스톱부(52)와 대응되는 형상의 록스톱부재(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 플레이트가 언록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톱러버(50)의 언록스톱부(54)에 접촉하는 부위에는 상기 언록 록스톱부(54)와 대응되는 형상의 언록스톱부재(4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록 플레이트(40)가 록 방향으로 회동하면 록스톱부재(46)가 스톱러버(50)에 부딪혀 회동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고, 록 플레이트(40)가 언록 방향으로 회동하면 언록스톱부재(45)가 스톱러버(50)에 부딪혀 회동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액션스프링(60)이 록 플레이트(40)를 록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록 플레이트가 도 5에 도시된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4의 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언록 케이블(20)을 잡아당기면, 세이프티 노브 레버(3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록 플레이트 역시 화살표 방향인 언록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들의 연동은 사용자가 언록 케이블(20)을 잡아당기는 동작을 하는 동안 계속 이루어지며, 이러한 동작은 록 플레이트(40)가 언록 방향으로 회전하여 언록스톱부재(45)가 스톱러버(50)에 부딪힐 때까지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록 플레이트가 연동하는 동안 구 형상의 링크접촉부에 의해 부드러운 작동감을 느끼며, 언록스톱부재가 스톱러버에 부딪힐 때 충격이 흡수되면서 천천히 회전이 멈추며, 이러한 느낌이 언록 케이블(20)에 전달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갑작스런 충격이 느껴지지 않게 하면서 언록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준다.
이에 사용자가 다시 언록 케이블(20)을 잡아당기는 동작을 해제하면, 액션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록 플레이트(40)가 록 방향(도 5의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세이프티 노브 레버(30)도 회전하며, 사용자에 의해 잡아당겨졌던 언록 케이블(20)을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록 및 원위치 동작은 록스톱부재(46)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러버(50)의 록스톱부(52)에 부딪힐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톱러버의 록스톱부에 록 플레이트의 록스톱부재가 접하는 록 위치와, 스톱러버의 언록스톱부에 록 플레이트의 언록스톱부재가 접하는 언록 위치 사이에서 록 플레이트 및 세이프티 노브 레버 및 언록 케이블이 함께 연동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구성은 그 기능이 훼손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10: 도어 래치 어셈블리
20: 언록 케이블
30: 세이프티 노브 레버
32: 링크접촉부
40: 록 플레이트
41: 회전축
43: 하부리브
44: 상부리브
45: 언록스톱부재
46: 록스톱부재
48: 링크홈
50: 스톱러버
52: 록스톱부
54: 언록스톱부
60: 액션스프링
62: 가압편
64: 이탈방지편
70: 세이프티 노브 레버
80: 제1록링크
90: 제2록링크

Claims (8)

  1.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중앙부가 축 결합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이프티 노브 레버,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의 일측 단부에 결속된 언록 케이블,
    상기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며, 일측 단부에서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링크 접촉부가 수용되는 링크홈을 구비하는 록 플레이트, 및
    상기 록 플레이트를 록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록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액션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록 케이블이 잡아당겨지면 그에 따라 세이프티 노브 레버가 중앙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세이프티 노브 레버의 링크 접촉부가 록 플레이트의 링크홈을 밀어 록 플레이트가 언록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된 링크홈은 포물선 형상이며,
    상기 링크홈에 수용되는 세이프티 노브 레버의 링크 접촉부는 구 형상을 하여서,
    세이프티 노브 레버가 회동하더라도 링크 접촉부의 구 형상 표면에 링크홈이 접촉하여 언록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작동감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 어셈블리 상에서 상기 록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록 플레이트가 회동함에 따라 간섭되는 위치에 스톱러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록 플레이트가 록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톱러버의 록스톱부에 접촉하는 부위에는 상기 록스톱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록스톱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 플레이트가 언록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톱러버의 언록스톱부에 접촉하는 부위에는 상기 언록 록스톱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언록스톱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션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서, 그 일측 단부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의 가압편은 상기 록 플레이트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록 플레이트에 접하여 록 플레이트를 록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편에서 절곡되어 가압편이 상기 록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 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는 리브를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KR1020120140244A 2012-12-05 2012-12-05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KR101394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244A KR101394003B1 (ko) 2012-12-05 2012-12-05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244A KR101394003B1 (ko) 2012-12-05 2012-12-05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003B1 true KR101394003B1 (ko) 2014-05-13

Family

ID=5089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244A KR101394003B1 (ko) 2012-12-05 2012-12-05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0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607B1 (ko) * 2007-12-13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래치 어셈블리의 세이프티 노브레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607B1 (ko) * 2007-12-13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래치 어셈블리의 세이프티 노브레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803B1 (ko) 시트 래치 구조
US8322077B2 (en) Vehicle door handle with inertia lock mechanism
US868442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KR101801399B1 (ko) 자동차 문짝용 핸들
KR101163461B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 장치
JP2012503722A (ja) 複数の爪部と、バネを備えた爪部とを有するロックユニット
KR20130066351A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WO2013005519A1 (ja) 車両のドアアウタハンドル装置
JP2014510205A (ja) フラップまたはドア用のロック
JP6144512B2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
JP5743912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10494841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2014510206A (ja) フラップまたはドア用のロック
KR101394003B1 (ko) 도어 래치의 록-언록 시스템
JP5421083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7040687B2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door locking device
JP5213190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WO2013105408A1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732914B1 (ko) 차량용 도어래치
JP5495166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6078881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2013189843A (ja) ラッチ錠
JP5743911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6135281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4723687B1 (ja) 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