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838B1 - 코드 락 - Google Patents

코드 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838B1
KR101393838B1 KR1020120073348A KR20120073348A KR101393838B1 KR 101393838 B1 KR101393838 B1 KR 101393838B1 KR 1020120073348 A KR1020120073348 A KR 1020120073348A KR 20120073348 A KR20120073348 A KR 20120073348A KR 101393838 B1 KR101393838 B1 KR 101393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hole
male member
passage hole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629A (ko
Inventor
유미코 카도이시
코지 요코타
케이스케 후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3000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1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deforming the cable by moving a part of the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과제] 코드 락의 사용편리를, 그 기능을 해치는 일 없이, 더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암부재(F)와, 부세에 저항하여 이 암부재(F) 내에 밀어넣기 조작 가능하게 이 암부재(F)에 조합되는 수부재(M)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암부재(F)의 측부(3)에는, 대향위치에 각각 끈 모양체(W)의 제1 통과구멍(1)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한 쌍의 제1 통과구멍(1)(1) 사이에는 각각 끈 모양체(W)의 제2 통과구멍(2)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부재(M)에는, 이 수부재(M)의 상기 부세에 저항한 소정의 밀어넣기 위치에서, 제1 통과구멍(1)에 저항 없이 또는 저항이 적게 끈 모양체(W)를 통과시켜 빼내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제1 통과부(9)와, 제2 통과구멍(2)에 저항 없이 또는 저항이 적게 끈 모양체(W)를 통과시켜 빼내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제2 통과부(10)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코드 락{CORD LOCK}
본 발명은, 끈 모양체(紐狀體)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고, 또한, 이 고정 상태를 코드 락을 구성하는 수부재(雄具)를 부세(付勢)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풀도록 구성된 코드 락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측부(側部)에 끈 모양체의 통과구멍(通孔)을 구비한 축 형상(軸狀)을 이루는 수부재와, 이 수부재를 내장한 스프링의 부세에 저항하는 방향으로의 밀어넣기 가능하게 수납함과 아울러 소정의 이 밀어넣기 위치에서 수부재의 상기 통과구멍에 정합(整合)하는 통과구멍을 대향(對向)위치에 각각 구비한 통 형상(筒狀)을 이루는 암부재(雌具)로 구성되는 코드 락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통과구멍을 비교적 크게 구성시켜 두면, 이러한 통과구멍에 동시에 2개의 끈 모양체를 통과시켜 이에 대한 고정을 이룰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사용상태 참고도 참조)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의 코드 락은, 고정 대상이 되는 끈 모양체가 1개인 경우에는 통과구멍의 범위 내에서 끈 모양체에 치우침이 생기기 때문에, 상기 2개의 끈 모양체를 통과시킨 경우와 마찬가지인 고정 상태를 만들어내기 어려워진다.
일본 의장등록 제1356825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런 종류의 코드 락의 사용편리를, 그 기능을 해치는 일 없이, 더 향상시키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코드 락을, 암부재(雌具)와, 부세(付勢)에 저항하여 이 암부재 내에 밀어넣기 조작 가능하게 이 암부재에 조합되는 수부재(雄具)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암부재의 측부(側部)에는, 대향(對向)위치에 각각 끈 모양체(紐狀體)의 제1 통과구멍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한 쌍의 제1 통과구멍 사이에는 각각 끈 모양체의 제2 통과구멍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부재에는, 이 수부재의 상기 부세에 저항한 소정의 밀어넣기 위치에서, 상기 제1 통과구멍에 저항 없이 또는 저항이 적게 끈 모양체를 통과시켜 빼내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제1 통과부와, 상기 제2 통과구멍에 저항 없이 또는 저항이 적게 끈 모양체를 통과시켜 빼내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제2 통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이러한 코드 락은, 끈 모양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소(箇所)를 위치를 다르게 해서 2 계통 구비해 두어, 이들 2 계통 중 어느 것을 이용해서 끈 모양체에 대한 고정을 이룰까를 필요에 따라 (코드 락의 이용대상물에 대한 장착상태나, 통과되는 끈 모양체의 개수나 굵기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수부재를, 밀어넣기 조작에 이용되는 한쪽 단부(端部)와, 암부재 내에 위치되는 다른쪽 단부를, 수부재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결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4개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해 두면, 이러한 수부재에 제1 통과부와 제2 통과부를 용이하면서도 적절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수부재의 밀어넣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암부재의 제1 통과구멍의 구멍 지름이, 제2 통과구멍의 구멍 지름보다 크게 되도록 해 두면, 전형적으로는, 제2 통과구멍과 제2 통과부에 1개의 끈 모양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경우에, 제1 통과구멍과 제1 통과부에는 같은 굵기의 끈 모양체를 2개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암부재를 한쪽 통 끝(筒端)으로부터 수부재를 끼워넣기 가능하게 하는 통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함과 아울러, 다른쪽 통 끝의 외측에 돌출부를 갖게 하고 있어, 이 돌출부에 띠 모양체(帶狀體)의 통과부를 형성시켜 두면, 이 통과부에 통과되는 띠 모양체를 이용하여 이용대상물에 암부재를, 즉, 코드 락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암부재를 한쪽 통 끝으로부터 수부재를 끼워넣기 가능하게 하는 통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함과 아울러, 다른쪽 통 끝의 외측에 돌출부를 갖게 하고 있어, 이 돌출부를 이용하여 코드 락의 이용대상물에 봉착(縫着) 가능하게 해 두면, 이 돌출부를 이용대상물에 꿰매 붙여 이 이용대상물에 암부재를, 즉, 코드 락을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 락의 기능을 해치는 일 없이, 코드 락에 끈 모양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소를 위치를 다르게 해서 2 계통 구비시킬 수 있어, 이런 종류의 코드 락의 사용편리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코드 락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코드 락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코드 락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코드 락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코드 락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코드 락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의 A-A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의 B-B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통과구멍과 제2 통과부를 이용하여 코드 락에 1개의 끈 모양체가 통과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통과구멍과 제1 통과부를 이용하여 코드 락에 2개의 끈 모양체가 통과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암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암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암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암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서의 C-C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있어서의 D-D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수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수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수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수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에서의 E-E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0에서의 F-F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도 24에 관계되는 코드 락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킨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도 25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코드 락은, 끈 모양체(W)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고, 또한, 이 고정 상태를 코드 락을 구성하는 수부재(M)를 부세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끈 모양체(W)는, 이와 같이 코드 락의 고정이 가능한 것이면, 그 형상(둥근 끈, 평평한 끈 등), 재질이나 구조(편물 끈, 고무 끈, 합성수지제 끈 등)는 문제삼지 않는다. 이러한 코드 락은, 전형적으로는, 이러한 끈 모양체(W)에 의해 조여지거나, 끌어당겨 좁혀지거나 하는 개소를 구비한 각종 코드 락의 이용대상물에 있어서의 이 개소를 둘러싸는 끈 모양체(W)에 고정되어, 그 고정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러한 개소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하는 형태로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코드 락은, 암부재(F)와, 부세에 저항하여 이 암부재(F) 내에 밀어넣기 조작 가능하게 이 암부재(F)에 조합되는 수부재(M)와, 이러한 부세력(付勢力)을 수부재(M)에 작용시키는 부세수단(S)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암부재(F)의 측부(3)에는 끈 모양체(W)의 제1 통과구멍(1) 및 제2 통과구멍(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부재(M)에는 끈 모양체(W)의 제1 통과부(9) 및 제2 통과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세에 저항하여 수부재(M)를 소정의 밀어넣기 위치까지 밀어넣은 상태에서, 제1 통과구멍(1)에 제1 통과부(9)가 연통하고, 또한, 제2 통과구멍(2)에 제2 통과부(10)가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코드 락에, 제1 통과구멍(1)과 제1 통과부(9), 또는, 제2 통과구멍(2)과 제2 통과부(10)를 이용하여, 끈 모양체(W)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드 락에 끈 모양체(W)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수부재(M)의 상기 밀어넣기 조작을 멈추면, 상기 부세에 의해 수부재(M)는 조작 전의 위치를 향해 이동되어 제1 통과구멍(1)과 제1 통과부(9) 및 제2 통과구멍(2)과 제2 통과부(10)는 정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수부재(M)와 암부재(F) 사이에서 끈 모양체(W)는 끼워 붙여진다. 이에 의해, 끈 모양체(W)의 임의의 위치에 코드 락이 고정된다. (도 10, 도 12)
상기 암부재(F)의 측부에는, 대향위치에 각각 끈 모양체(W)의 제1 통과구멍(1)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한 쌍의 제1 통과구멍(1)(1) 사이에 각각 끈 모양체(W)의 제2 통과구멍(2)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암부재(F)의 측부(3)에는, 2개소의 제1 통과구멍(1)(1)과, 2개소의 제2 통과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암부재(F)는 한쪽 통 끝(4)으로부터 수부재(M)를 끼워넣기 가능하게 하는 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암부재(F)는, 한쪽 통 끝(4)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다른쪽 통 끝(5)을 폐색시킨 각통(角筒)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암부재(F)는 그 통축(筒軸)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斷面)에서, 외곽 형상을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2개소의 폭이 넓은 측부(3b)(3b)에 각각 상기 제1 통과구멍(1)이 형성되고, 2개소의 폭이 좁은 측부(3a)(3a)에 각각 상기 제2 통과구멍(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부재(F)의 다른쪽 통 끝(5)의 외측에는 돌출부(6)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6)는 상기 2개소의 폭이 좁은 측부(3a)(3a)의 각각에 있어서, 이 폭이 좁은 측부(3a)와 암부재(F)의 폐색된 다른쪽 통 끝(5)의 외면이 접합하는 가장자리부(緣部)를 따르는 테두리 형태로 이 가장자리부로부터 암부재(F)의 통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6)의 일면(一面)은 암부재(F)의 폐색된 다른쪽 통 끝(5)의 외면과 같은 면(同面)을 이루고 있다.
도 1∼도 2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개소의 돌출부(6)에 각각, 띠 모양체의 통과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 1∼도 2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돌출부(6)에 상기 통과부가 되는 슬롯(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 1∼도 2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 통과부에 통과되는 띠 모양체(도시는 생략한다.)를 이용하여 이용대상물(도시는 생략한다.)에 암부재(F)를, 즉, 코드 락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돌출부(6)가 코드 락의 이용대상물(M)에 봉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도 2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돌출부(6)를 미싱 침(針)이 관통할 수 있는 두께로 구성시키고 있어, 이 돌출부(6)를 이용대상물(M)에 꿰매 붙여 이 이용대상물에 암부재(F)를, 즉, 코드 락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부재(M)의 밀어넣기 방향(x)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암부재(F)의 제1 통과구멍(1)의 구멍 지름이, 제2 통과구멍(2)의 구멍 지름보다 크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형적으로는, 제2 통과구멍과 제2 통과부에 1개의 끈 모양체(W)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경우에, (도 9, 도 10) 제1 통과구멍과 제1 통과부에는 같은 굵기의 끈 모양체(W)를 2개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 도 12)
도시된 예에서는, 제1 통과구멍(1)은, 암부재(F)의 통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축(長軸)을 따르게 한 긴 구멍 형상(長孔狀)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2 통과구멍(2)은, 암부재(F)의 통축에 길이방향을 따르게 하는 형태로 상기 폭이 좁은 측부(3a)에 형성된 분할홈(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분할홈(7)의 홈 일단(一端)과 암부재(F)의 한쪽 통 끝(4)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며, 한편, 이 분할홈(7)의 홈 타단은 암부재(F)의 폐색된 다른쪽 통 끝(5)에서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도 1∼도 2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통과구멍(2)은 상기 돌출부(6)에 형성된 슬롯(6a)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부재(M)에는, 이 수부재(M)의 상기 부세에 저항한 소정의 밀어넣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과구멍(1)에 저항 없이 또는 저항이 적게 끈 모양체(W)를 통과시켜 빼내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제1 통과부(9)와, 상기 제2 통과구멍(2)에 저항 없이 또는 저항이 적게 끈 모양체(W)를 통과시켜 빼내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제2 통과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부재(M)는, 네 모서리와 긴 변과 짧은 변을 구비한 한쪽 단부 구성판(11)과, 마찬가지로 네 모서리와 긴 변과 짧은 변을 구비한 다른쪽 단부 구성판(12)을, 4개의 연결부(13…13)에 의해 양 구성판(11)(12) 사이에 수부재(M)의 밀어넣기 방향(x)에서 간격이 형성되도록 연결시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연결부(13)는 기둥 형상(柱狀)을 나타내고 있으며, 한쪽 단부 구성판(11)의 4개소의 모서리부를 각각 다른쪽 단부 구성판(12)의 대응하는 모서리부에 연결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수부재(M)는, 상기 양 구성판(11)(12)의 긴 변을 암부재(F)의 폭이 넓은 측부(3b)(3b)를 따르게 한 상태로, 암부재(F)의 개방된 한쪽 통 끝(4)보다 다른쪽 단부(15)를 먼저 하여, 암부재(F)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수부재(M)는, 밀어넣기 조작에 이용되는 한쪽 단부(14)와, 암부재(F) 내에 위치되는 다른쪽 단부(15)를, 수부재(M)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결부(13)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4개의 연결부(13…13)에 의해 연결시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 구성판(11)(12)의 짧은 변 측에서 인접하는 연결부(13)(13)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제2 통과부(10)를 구성하고, 상기 양 구성판(11)(12)의 긴 변 측에서 인접하는 연결부(13)(13)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상기 제2 통과부(10)보다 넓은 상기 제1 통과부(9)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부재(M)의 다른쪽 단부 구성판(12)에서의 2개소의 짧은 변의 각각에 있어서, 이 짧은 변의 중앙에 걸림부(爪部)(16)가 형성되어 있다. 2개소의 걸림부(16)(16)의 선두 사이 거리는, 암부재(F)의 2개소의 폭이 좁은 측부(3a)(3a)의 내면(內面) 사이 거리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어, 암부재(F) 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수부재(M)를 삽입 조작하면 이 걸림부(16)에 접촉해서 암부재(F)의 한쪽 통 끝(4)과 제2 통과구멍(2) 사이에 위치되는 개소가 주로 탄성변형하여 이 삽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걸림부(16)가 제2 통과구멍(2)에 들어가는 위치까지 이 삽입이 이루어지면 상기 개소가 탄성복귀하여 이 개소에 걸림부(16)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세수단(S)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부재(M)의 다른쪽 단부(15)와 암부재(F)의 폐색된 다른쪽 통 끝(5)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이 내면에 다른쪽 단부(15)가 접근하는 방향의 수부재(M)의 이동, 즉, 상기 밀어넣기에 부세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부세수단(S)은, 스프링 일단을 수부재(M)의 다른쪽 단부(15)에 접촉시키고, 또, 스프링 타단을 암부재(F)의 폐색된 다른쪽 통 끝(5)의 내면에 접촉시킨 비틀림 코일스프링(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18)은 스프링 일단 측에서 외경(外徑)을 가장 크게 하고, 거기로부터 스프링 타단에 접근함에 따라 외경을 작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의 부호 17은 이러한 스프링(18)의 스프링 일단 내에 끼워넣는 수부재(M) 측의 위치결정 돌기부이며, 부호 8은 이러한 스프링(18)의 스프링 타단 내에 끼워넣는 암부재(F) 측의 위치결정 돌기부이다. 이러한 스프링(18)의 부세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암부재(F)에 조합된 수부재(M)는, 끈 모양체(W)를 통과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암부재(F)의 한쪽 통 끝(4)과 제2 통과구멍(2) 사이에 위치되는 개소에 상기 걸림부(16)를 건 상태가 된다. (도 7) 이 상태로부터, 암부재(F) 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수부재(M)의 한쪽 단부(14)를 누름으로써 수부재(M)를 상기 소정의 밀어넣기 위치까지 밀어넣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코드 락은, 끈 모양체(W)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소를 위치를 다르게 해서 2 계통 구비하고 있어, 이들 2 계통 중 어느 것을 이용해서 끈 모양체(W)에 대한 고정을 이룰까를 필요에 따라 (코드 락의 이용대상물에 대한 장착 상태나, 통과되는 끈 모양체(W)의 개수나 굵기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F 암부재
M 수부재
W 끈 모양체
1 제1 통과구멍
2 제2 통과구멍
3 측부
9 제1 통과부
10 제2 통과부

Claims (5)

  1. 암부재(雌具)와, 부세(付勢)에 저항하여 이 암부재 내에 밀어넣기 조작 가능하게 이 암부재에 조합되는 수부재(雄具)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암부재의 측부(側部)에는, 대향(對向)위치에 각각 끈 모양체(紐狀體)의 제1 통과구멍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한 쌍의 제1 통과구멍 사이에는 각각 끈 모양체의 제2 통과구멍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부재에는, 이 수부재의 상기 부세에 저항한 소정의 밀어넣기 위치에서, 상기 제1 통과구멍에 저항 없이 또는 저항이 적게 끈 모양체를 통과시켜 빼내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제1 통과부와, 상기 제2 통과구멍에 저항 없이 또는 저항이 적게 끈 모양체를 통과시켜 빼내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제2 통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락.
  2. 제1항에 있어서,
    수부재는, 밀어넣기 조작에 이용되는 한쪽 단부(端部)와, 암부재 내에 위치되는 다른쪽 단부를, 수부재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결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4개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부재의 밀어넣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암부재의 제1 통과구멍의 구멍 지름이, 제2 통과구멍의 구멍 지름보다 크게 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암부재는 한쪽 통 끝(筒端)으로부터 수부재를 끼워넣기 가능하게 하는 통 형상(筒狀)을 나타냄과 아울러, 다른쪽 통 끝의 외측에 돌출부를 갖게 하고 있어, 이 돌출부에 띠 모양체(帶狀體)의 통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락.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암부재는 한쪽 통 끝으로부터 수부재를 끼워넣기 가능하게 하는 통 형상을 나타냄과 아울러, 다른쪽 통 끝의 외측에 돌출부를 갖게 하고 있어, 이 돌출부를 이용하여 코드 락의 이용대상물에 봉착(縫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락.
KR1020120073348A 2011-07-15 2012-07-05 코드 락 KR101393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6472 2011-07-15
JP2011156472A JP5819658B2 (ja) 2011-07-15 2011-07-15 コードロ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629A KR20130009629A (ko) 2013-01-23
KR101393838B1 true KR101393838B1 (ko) 2014-05-12

Family

ID=4778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348A KR101393838B1 (ko) 2011-07-15 2012-07-05 코드 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19658B2 (ko)
KR (1) KR101393838B1 (ko)
CN (1) CN102996711B (ko)
TW (1) TWI551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6897B2 (ja) * 2015-01-20 2018-12-12 株式会社ニフコ コードロック
CN106061313B (zh) * 2015-02-06 2019-10-25 株式会社利富高 绳紧固件
EP4006378A1 (en) 2016-05-31 2022-06-01 NIKE Innovate C.V. Cord lo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85Y1 (ko) * 1992-08-12 1996-02-07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끈 고정구
KR20040033251A (ko) * 2002-10-11 2004-04-21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끈 고정구
USD571194S1 (en) * 2006-12-05 2008-06-17 Ykk Corporation Cord stopper
JP2008178588A (ja) 2007-01-25 2008-08-07 Nifco (Hong Kong) Ltd 紐留め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10A (ja) * 1994-07-26 1996-02-06 Osaka Bijiyou Kogyo Kk 紐止め具
JP3383894B2 (ja) * 1995-07-11 2003-03-1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紐締め具
JPH09294611A (ja) * 1996-05-07 1997-11-18 Furuya Kogyo Kk 合成樹脂製の紐締め具
JP4376699B2 (ja) * 2004-06-03 2009-12-02 株式会社ニフコ コードロック、および、物品保持機構
JP4648801B2 (ja) * 2005-08-31 2011-03-09 Ykk株式会社 紐止具
US20090094798A1 (en) * 2007-10-10 2009-04-16 Nifco Taiwan Corporation Low profile cord lock
JP2011019622A (ja) * 2009-07-14 2011-02-03 Nifco Inc 紐状体の留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85Y1 (ko) * 1992-08-12 1996-02-07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끈 고정구
KR20040033251A (ko) * 2002-10-11 2004-04-21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끈 고정구
USD571194S1 (en) * 2006-12-05 2008-06-17 Ykk Corporation Cord stopper
JP2008178588A (ja) 2007-01-25 2008-08-07 Nifco (Hong Kong) Ltd 紐留め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D571194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629A (ko) 2013-01-23
CN102996711A (zh) 2013-03-27
JP5819658B2 (ja) 2015-11-24
TW201314073A (zh) 2013-04-01
CN102996711B (zh) 2016-12-28
JP2013022049A (ja) 2013-02-04
TWI551790B (zh) 201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2399A1 (ja) コードロック
JP2019047949A (ja) コードロック
US9072163B2 (en) Hous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93838B1 (ko) 코드 락
JPH0593224U (ja) 紐締め具
US20130084751A1 (en) Connector
US20130287517A1 (en) Two-piece clip
RU2006103680A (ru) Магнитный замковый механизм
US7547230B1 (en) Spring clip for connector housing
JP5776667B2 (ja) コネクタ
WO2015050003A1 (ja) 燃料噴射装置用ノズルプレートの取付構造
US20160242511A1 (en) Belt buclke with belt buckle housing
KR20180047945A (ko) 퀵 커넥터
JP6142391B2 (ja) 保持具、及び雑音電流吸収具
WO2008081471A3 (en) Auto 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
US11039666B2 (en) Plug for buckle, and buckle
WO2012049811A1 (ja) クリップ及び結合構造
WO2016013476A1 (ja) コードロック
JP3973604B2 (ja) 紐状体の留め具、および、紐状体の留め付け構造
KR970018857A (ko) 가동 커넥터의 위치결정 장치 및 방법
CN210919659U (zh) 磁吸固定锁扣
JP4157816B2 (ja) 組プレートの取付装置
JP2008248966A (ja) 固定具
JP5931040B2 (ja) バックル
WO2012124710A1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