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167B1 -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7167B1 KR101387167B1 KR1020120079477A KR20120079477A KR101387167B1 KR 101387167 B1 KR101387167 B1 KR 101387167B1 KR 1020120079477 A KR1020120079477 A KR 1020120079477A KR 20120079477 A KR20120079477 A KR 20120079477A KR 101387167 B1 KR101387167 B1 KR 1013871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ld water
- tank
- hot water
- water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워터자켓(110)과; 워터자켓(110) 내측에 설치되며, 교반, 증숙 및 냉각이 이루어지는 복합조(120)와; 복합조(120)에 투입된 물질을 혼합하는 교반수단(140)과; 복합조(120)의 외벽과 워터자켓(110)의 내벽 사이의 공간으로써, 온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는 순환공간(112)과; 순환공간(112)에 공급된 온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150)과;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조(210)와;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조(310)와; 워터자켓(110)과 온수조(210) 및 냉수조(310) 사이를 연결하며,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과 회수를 안내하는 유로와; 워터자켓(110)과 냉수조(310) 사이에 연결되며, 순환공간(112)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냉수가 냉수조(310)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냉수회수관(470)과; 유로에 설치되며, 온수 또는 냉수의 흐름을 강제하는 펌프(450)와; 온수조(210)의 온수가 설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온수예열수단(220)과; 냉수조(310)의 냉수가 설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수냉각수단(320)과; 각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부피가 감소되고, 사용되는 물의 양이 절감되며, 배출되는 폐수량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복합조 내에서 교반, 증숙 및 냉각이 이루어지며, 사용된 온수 또는 냉수가 회수되어 보관된 후 재사용되도록 구성되는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래식 두부는 콩을 수침하여 콩을 불리는 단계와, 불린 콩을 분쇄하는 단계와, 비지를 분리하는 단계와, 콩물에 응고제를 투입하여 순두부를 만드는 단계와, 순두부를 압착하여 두부를 만드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재래식 두부제조 방법은 상술한 콩의 수침시와 비지의 분리시에 에 콩의 유기산, 당, 수용성 단백질 등의 영양소가 유실되며, 폐수가 다량 발생하고, 분리된 비지가 폐기물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근래에는 이러한 영양성분의 유실 문제를 해결하고, 폐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두를 미세 분말화하여 물과 혼합하고 가열한 후 비지의 여과 없이 응고제를 가하여 그대로 응고시키는 두부 제조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제조된 두부를 전두부라 한다.
이러한 전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전두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하 '공개발명'이라 한다)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부 2002-0052160호에 개시된바 있다.
상기 공개발명의 전두부 제조장치는, 콩가루와 물을 교반하는 교반조와, 교반된 콩물을 증숙하는 증기압력솥과, 증숙된 콩물을 급랭시킨 후 응고제와 교반하는 냉각조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기 때문에, 장치의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상대적으로 부피가 커져 백화점이나 할인 마트 등의 좁은 공간에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교반공정과 증숙공정 및 냉각공정이 각각 다른 용기속에서 행하여져, 공정별 이송으로 인한 시간이 소요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콩물이 배관을 통해 이동되는데, 배관은 청소가 어려우므로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문제와, 배관의 노후로 인한 막힘 현상 등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증기압력솥에 공급되어 콩물을 가열하는 증기(스팀)은 콩물을 가열하면서 공기중으로 기화되어 일회성으로 소모되므로, 물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냉각조, 살균조, 보조냉각조 각각에 사용되는 물의 양이 많으며, 사용된 물은 곧 폐수이므로 이를 처리하는 비용이 증가하고, 친환경적이지도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는 워터자켓 내측에 복합조가 이격되게 설치되며, 복합조의 외벽과 워터자켓의 내벽 사이에 순환공간이 마련되어 순환공간에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에 의해 교반조 내의 콩물이 간접 증숙 또는 냉각이 되도록 구성되어, 교반, 증숙 및 냉각이 하나의 복합조 내에서 이루어지는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워터자켓과 온수조 및 냉수조 사이를 연결하며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과 회수를 안내하는 유로가 구비되어, 순환공간에 공급되어 콩물을 증숙하는 데 사용된 온수가 온수조로 회수되며, 순환공간에 공급되어 콩물을 냉각하는 데 사용된 냉구가 냉수조로 회수되도록 구성되어, 온수조 및 냉수조에 저장된 온수 또는 냉수가 재사용되는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부 및 공정안내수단을 통해 전두부의 제고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이 자동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전두부를 제조하며, 온수 공급 단계 및 온수 회수 단계, 냉수를 공급하는 콩물 냉각 단계 및 냉수 회수 단계가 포함되는 두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는,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워터자켓과; 상기 워터자켓의내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콩물의 교반과, 증숙 및 냉각이 이루어지는 복합조와; 상기 복합조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합조에 투입된 물질과 콩물이 혼합되도록 하는 교반수단과; 상기 복합조의 외벽과 워터자켓의 내벽 사이의 공간으로써, 온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어 복합조 내부의 콩물과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순환공간과; 상기 워터자켓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공간에 공급된 온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워터자켓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공간에 공급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조와; 상기 워터자켓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공간에 공급되는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조와; 상기 워터자켓과 온수조 및 냉수조 사이를 연결하며,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과 회수를 안내하는 유로와; 상기 워터자켓과 냉수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조에서 공급되어 상기 순환공간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냉수가 냉수조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냉수회수관과; 상기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공간으로 공급되거나 온수조 또는 냉수조로 회수되는 온수 또는 냉수의 흐름을 강제하는 펌프와; 상기 온수조의 일측에 구비되어, 온수조의 온수가 설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온수예열수단과; 상기 냉수조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수조의 냉수가 설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수냉각수단과; 상기 각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수는 상기 냉각조로부터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순환공간으로 계속해서 공급되어 오버플로우되며, 상기 오버플로우되는 냉수는 상기 냉수회수관을 통해 냉수조로 회수되면서 상기 복합조의 콩물이 사전 설전된 냉각 온도로 냉각될 때까지 순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에는, 작업의 진행 상태나 필요한 작업 또는 이상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공정안내수단과;
상기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거나 제어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자켓 일측에는 상기 순환공간의 최고 수위를 측정하는 넘침방지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넘침방지센서에 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펌프의 가동을 일시 중지시키고, 상기 펌프의 가동이 일시 중지된 이후에 상기 넘침방지센서에 감지된 물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펌프를 재가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수조의 일측에는 상기 냉수조 하부의 냉수를 상부로 이동시켜 순환을 강제하는 순환펌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제조방법은, 입력부를 통해 시작 명령이 제어부로 입력되고, 제어부에 입력된 사전 설정에 따라 전두부 제조 공정이 시작되는 시작 단계; 복합조에 정수가 공급되는 정수 공급 단계; 상기 복합조에 정수가 공급되면,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가 순환공간으로 공급되는 온수 공급 단계; 가열수단에 의해 상기 순환공간에 공급된 온수가 가열되며, 상기 가열된 온수의 열이 상기 복합조로 전달되어 상기 복합조의 정수가 가열되는 정수 가열 단계; 상기 정수가 가열되면, 상기 복합조에 콩가루가 투입되는 콩가루 투입 단계; 상기 복합조에 콩가루가 투입된 후, 교반수단에 의해 상기 복합조 내부의 정수와 콩가루가 교반되며, 상기 순환공간의 가열된 온수의 열전달에 의하여 상기 복합조의 교반 물질(콩물)이 증숙되는 증숙 단계; 상기 증숙 단계를 거친 콩물의 뜸들임이 진행되는 뜸들임 단계; 상기 뜸들임 단계 완료 후, 상기 순환공간의 온수가 온수조로 회수되는 온수 회수 단계; 상기 온수조로 온수가 회수된 후, 냉수조에 저장된 냉수가 상기 순환공간으로 공급되며, 상기 냉수로 상기 복합조의 열이 흡수되어 상기 복합조의 콩물이 냉각되는 콩물 냉각 단계; 상기 콩물 냉각 단계 완료 후, 상기 순환공간의 냉수가 상기 냉수조로 회수되는 냉수 회수 단계; 상기 콩물 냉각 단계 완료 후, 상기 복합조에 효소가 투입되는 효소 투입 단계(S220); 상기 복합조에 효소가 투입된 후, 교반수단에 의해 상기 복합조 내부의 콩물과 효소가 교반되는 효소 혼합 단계; 및 상기 효소 혼합 단계 완료 후, 제어부에 입력된 사전 설정에 따라 전두부 제조 공정이 종료되는 종료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종료 단계 이후에는, 상기 과정을 거친 콩물이 용기에 정량씩 포장되는 포장 단계와; 상기 포장된 용기가 상기 온수조에 투입되어, 콩물의 응고 및 용기 살균이 이루어지는 응고 단계와; 상기 응고 단계를 거친 용기가 상기 냉수조에 투입되어,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 처리 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콩물 냉각 단계에서는, 상기 냉수조의 냉수가 상기 순환공간으로 계속해서 공급되어 오버플로우되며, 상기 오버플로우되는 냉수는 상기 냉수회수관을 통해 냉수조로 회수되면서 상기 복합조의 콩물이 사전 설정된 냉각 온도로 냉각될 때까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콩물 냉각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냉수조의 냉수가 복합조로 공급되는 냉수 공급 과정; 상기 순환공간으로 공급되는 냉수가 오버플로우 되어 냉수회수관을 통해 냉수조로 회수되면서, 상기 복합조의 콩물이 냉각되는 냉수 순환 과정;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복합조의 콩물 온도가 측정되는 콩물 온도 측정 과정; 상기 콩물 온도 측정 과정을 통해 측정된 콩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각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냉수의 공급이 종료되는 냉수 공급 종료 과정; 넘침방지센서에서 냉수의 접촉 신호를 감지하는 과수위 측정 과정; 상기 넘침방지센서에 물의 접촉이 감지되면, 펌프의 가동을 일시 정지시키는 펌프 일시정지 과정; 상기 펌프 일시정지 과정 이후, 상기 넘침방지센서에 감지된 물의 접촉 신호가 사라지면, 상기 펌프를 재가동 시켜 냉수를 계속해서 공급하는 공급 재개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콩가루 투입 단계는 구체적으로,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복합조 내의 정수 온도가 측정되는 정수 온도 측정 과정; 상기 온도 측정 과정을 통해 측정된 정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교반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콩가루 투입 지시가 공정안내수단을 통해 외부로 표시되고,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여 상기 복합조로 콩가루를 투입하는 콩가루 수동 투입 과정; 상기 감지된 정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교반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콩가루 투입 수단에 의해 상기 복합조로 콩가루가 투입되는 콩가루 자동 투입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워터자켓이 구비되며, 콩물의 교반과 증숙 및 냉각이 이루어지는 복합조가 워터자켓의 내측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워터자켓과 복합조 사이의 공간은 온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어 복합조 내부의 콩물과 열교환이 일어나는 순환공간이 된다.
즉, 콩물을 온수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 증숙하고 그것을 다시 냉수가 있는곳으로 이동시켜 냉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조의 외측을 감싸는 순환공간으로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함으로써 하나의 복합조 내에서 콩물의 증숙 및 냉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별도로 구비되던 교반조, 증숙조, 냉각조의 역할이 하나의 복합조로써 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이 줄어 제작 비용과 장치의 설치 부피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콩물을 증숙조, 냉각조로 이동하는 과정이 생략됨으로써, 전두부 제조 작업의 시간이 단축되고, 그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콩물의 이동을 위하여 외부와 계속해서 접촉하게 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콩물이 이동되지 않으므로 복합조의 상부를 덮개로 밀폐한 상태에서 전 공정이 이루지며, 청소가 어렵고 막힘 현상이 주로 발생하는 콩물 이송 배관이 생략되어, 청결한 제조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순환공간에 공급된 온수가 온수조로 회수되었다가 다음 증숙 공정 때 다시 순환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반복하며, 순환공간에 공급된 냉수 또한 냉수조로 회수되었다가 다음 냉각 공정 때 다시 순환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반복한다.
따라서, 온수와 냉수를 재사용하게 됨으로써 물의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온수조는 완성된 두부 포장체를 투입하여 두부를 응고시키고 살균하는 데도 이용되며, 냉수조는 응고된 두부 포장체를 투입하여 냉각시키는 데도 이용되어, 종래에 별도로 구비되던 응고 및 살균조, 냉각조가 생략되므로 역시 물의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사용되는 물의 양이 적으므로 폐수의 양도 적어 지게되므로, 처리 비용이 절감되고 환경 오염의 문제도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 한편, 한번 가열된 온수는 완전히 식기 전에 계속해서 재사용되므로, 상온의 물을 필요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보다 가열 시간이 단축되어 전기나 가스 등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에서 복합조 및 교반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측단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에서 유로 및 급수유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를 이용한 전두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에서 복합조 및 교반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측단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에서 유로 및 급수유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를 이용한 전두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에서 복합조 및 교반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측단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에서 유로 및 급수유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는, 워터자켓(110), 복합조(120), 교반수단(140), 온수조(210), 냉수조(31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각 구성의 지지를 위한 프레임(10)의 일측에 워터자켓(110)이 구비된다. 상기 워터자켓(110)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자켓(110)의 내부에는 복합조(120)가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복합조(120)는 교반, 증숙 및 냉각되기 위한 콩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조(120)에서는 정수와 콩가루의 교반이 이루어지며, 정수와 콩가루의 혼합물(이하, '콩물'이라 함)의 증숙 및 냉각이 이루어진다. 또한, 응고를 위해 투입되는 효소와 콩물의 교반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상기 복합조(120)는 상기 워터자켓(110)의 용적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용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복합조(120)는 워터자켓(110)의 내부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워터자켓(110)의 바닥면(110a)보다 좁은 넓이의 바닥면(120a)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복합조(12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워터자켓(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조(120)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플랜지(12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랜지(122)는 상기 복합조(120)의 바닥면(120a)이 상기 워터자켓(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복합조(120)의 상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플랜지(122)의 외경은 상기 워터자켓(11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워터자켓(110)의 상단에 의해 지지 된다.
상기 복합조(120)의 상단 개방부는 덮개(13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덮개(130)는 상기 복합조(120) 상단의 개방부를 덮어, 전두부 제조 작업시에 상기 복합조(120) 내부의 콩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덮개(13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세척 등을 위하여 상기 복합조(120)만이 상기 워터자켓(11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덮개(130)의 결합 위치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복합조(120)의 일측 또는 상기 워터자켓(1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덮개(130)는 틸팅(tilting)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복합조(120)를 개방하도록 수직으로 90°가량 회전된 후, 수직 상태에서 다시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내지 180°회전된다. 이는, 상기 덮개(130)을 열었을 때, 상기 덮개(130) 하측, 즉 상기 복합조(120)의 내부로 연장된 교반수단(140)의 회전축이 상기 복합조(120) 입구 일부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복합조(120)의 일측에는 교반수단(140)이 구비된다. 상기 교반수단(140)은 상기 복합조(120)에 공급된 정수와 콩가루를 교반하고, 콩물과 효소를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교반수단(140)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42)와, 구동모터의 회전축(144)에 결합된 교반날개(146)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44)은 상기 덮개(130)를 관통하여 상기 복합조(120) 내측의 공간에 삽입된다. 복합조(120) 내에 삽입된 회전축(144)의 끝단에는 교반날개(146)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44)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조(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교반날개(146)의 회전시에 회전되는 정수와 콩가루가 복합조(120)의 내벽에 부딪혀 와류가 일어나도록해, 보다 혼합이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복합조(120)는 상기 워터자켓(110)의 내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복합조(120)의 외벽과 워터자켓(110)의 내벽 사이에는 순환공간(112)이 마련된다. 상기 순환공간(112)은 상기 복합조(120) 내부의 콩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질 온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는 공간이 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자켓(110)의 일측에는 가열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가열수단(150)은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된 온수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열수단(15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수단(152)과 제2 가열수단(15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열수단(152)은 상기 순환공간(112)에 구비되는 열선이며, 상기 제2 가열수단(154)은 상기 워터자켓(110)의 외측(도 1에서 하측)에 구비되는 버너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가열수단(152) 또는 상기 제2 가열수단(1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 가열수단(150)은 상기 순환공간(112)에 온수가 공급되면,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부(510)에 의해 자동으로 발열 또는 점화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150)은 상기 복합조(120) 내 콩물의 증숙이 끝나면, 제어부(510)에 의해 자동으로 가동 종료된다.
한편, 상기 워터자켓(110)의 다른 일측에는 온수조(210) 및 냉수조(310)가 구비된다.
먼저, 상기 온수조(21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되는 온수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조(210)의 일측에는 온수예열수단(220)이 구비된다. 상기 온수예열수단(220)은 상기 온수조(210)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수예열수단(220)은 상기 온수조(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열부(222)와, 온수조(21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온수온도센서(224)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온도센서(224)는 상기 온수조(210) 내의 온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5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222)는 제어부(510)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 또는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1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되는 냉수가 저장된다.
상기 냉수조(310)의 일측에는 냉수냉각수단(320)이 구비된다. 상기 냉수냉각수단(320)은 상기 냉수조(310)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수냉각수단(320)은 상기 냉수조(3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냉각기(322)와, 냉수조(31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냉수온도센서(324)를 포함한다.
상기 냉수온도센서(324)는 상기 냉수조(310) 내의 냉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5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기(322)는 제어부(510)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 또는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10)의 다른 일측에는 순환펌프(330)가 구비된다. 상기 순환펌프(330)는 상기 냉수조(310) 하부의 냉수가 상부로 이동시켜 순환을 강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펌프(330)는 상기 냉수조(310)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관(332a)을 통해 냉수를 펌핑하여, 상기 냉수조(310)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관(332b)을 통해 상기 냉수조(310)의 상부로 강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워터자켓(110)과 온수조(210) 및 냉수조(310) 사이에는 유로(410, 412, 414, 416, 420, 422, 424, 426)가 연결된다. 상기 유로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유로(412), 온수회수유로(422), 냉수공급유로(414), 냉수회수유로(424), 유입유로(416), 배출유로(426), 공통공급유로(410), 공통회수유로(420)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조(210)일측에는 상기 온수공급유로(412)와 온수회수유로(422)의 일단이 연결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공급유로(412)와 온수회수유로(422)는 상기 온수조(210)일측에 연결된 하나의 유로로부터 각각으로 분리된다.
상기 온수공급유로(412)는 상기 온수조(210)에 저장된 온수가 상기 워터자켓(110)으로 공급될 때에, 공급되는 온수가 상기 온수조(2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수회수유로(422)는 상기 워터자켓(110)으로 공급된 온수가 상기 온수조(210)로 회수될 때에, 회수되는 온수가 상기 온수조(2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10)일측에는 상기 냉수공급유로(414)와 냉수회수유로(424)의 일단이 연결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수공급유로(414)와 냉수회수유로(424)는 상기 냉수조(310)일측에 연결된 하나의 유로로부터 각각으로 분리된다.
상기 냉수공급유로(414)는 상기 냉수조(310)에 저장된 냉수가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될 때에, 공급되는 냉수가 상기 냉수조(3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수회수유로(424)는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된 냉수가 상기 냉수조(310)로 회수될 때에, 회수되는 냉수가 상기 냉수조(3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워터자켓(110)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유로(416)와 상기 배출유로(426)의 일단이 연결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수공급유로(414)와 냉수회수유로(424)는 상기 워터자켓(110)일측에 연결된 하나의 유로로부터 각각으로 분리된다.
상기 유입유로(416)는 상기 온수조(210)에 저장된 온수 또는 상기 냉수조(310)에 저장된 냉수가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될 때에,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가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유로(426)는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된 온수 또는 냉수가 상기 온수조(210) 또는 냉수조(310)로 회수될 때에, 회수되는 온수 또는 냉수가 상기 순환공간(112)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통공급유로(410)에는 상기 온수공급유로(412), 냉수공급유로(414) 및 유입유로(416)의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공통공급유로(410)는 상기 온수공급유로(412)를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유입유로(416)로 안내하며, 상기 냉수공급유로(414)를 통해 공급되는 냉수를 상기 유입유로(416)로 안내한다.
한편, 상기 배출유로(426)의 타단 또한 상기 공통공급유로(410)에 연결된다. 상기 순환공간(112)에서 배출유로(426)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 또는 냉수는 상기 공통공급유로(410)로 유입되지만, 아래에서 설명할 펌프(450)에 의하여 흐름이 강제되어 상기 공통회수유로(420)로 유동된다.
반면, 상기 공통회수유로(420)에는 상기 온수회수유로(422) 및 냉수회수유로(424)의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공통회수유로(420)는 상기 배출유로(426)를 통해 회수되는 온수를 상기 온수회수유로(422)로 안내하며, 상기 배출유로(426)를 통해 회수되는 냉수를 상기 냉수회수유로(424)로 안내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각각의 유로(410, 412, 414, 416, 420, 422, 424, 426) 사이에는 밸브(432, 434, 436, 442, 444, 446)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수공급유로(412)와 공통공급유로(410) 사이에는 제1 밸브(432)가, 상기 냉수공급유로(414)와 공통공급유로(410) 사이에는 제2 밸브(434)가, 상기 유입유로(416)와 공통공급유로(410) 사이에는 제3 밸브(43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조(210)의 온수가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될 때에는, 상기 제1 밸브(432) 및 제3 밸브(436)가 유로(410, 412, 416)를 개방하고, 다른 모든 밸브들(434, 442, 444, 446)은 유로(414, 420, 422, 424, 426)를 폐쇄하여 온수가 온수공급유로(412)에서 공통공급유로(410)를 거쳐 유입유로(416)를 통해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10)의 냉수가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될 때에는, 상기 제2 밸브(434) 및 제3 밸브(436)가 유로(410, 414, 416)를 개방하고, 다른 모든 밸브들(432, 442, 444, 446)은 유로(412, 420, 422, 424, 426)를 폐쇄하여 냉수가 냉수공급유로(414)에서 공통공급유로(410)를 거쳐 유입유로(416)를 통해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회수유로(422)와 공통회수유로(420) 사이에는 제4 밸브(442)가, 상기 냉수회수유로(424)와 공통회수유로(420) 사이에는 제5 밸브(444)가, 상기 배출유로(426)와 공통회수유로(420) 사이에는 제6 밸브(44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된 온수가 온수조(210)로 회수될 때에는, 상기 제4 밸브(442) 및 제6 밸브(446)가 유로(420, 422, 426)를 개방하고, 다른 모든 밸브들(432, 434, 436, 444)은 유로(410, 412, 414, 416, 424)를 폐쇄하여 온수가 배출유로(426)에서 공통회수유로(420)를 거쳐 온수회수유로(422)를 통해 상기 온수조(210)로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된 냉수가 냉수조(310)로 회수될 때에는, 상기 제5 밸브(444) 및 제6 밸브(446)가 유로(420, 424, 426)를 개방하고, 다른 모든 밸브들(432, 434, 436, 442)은 유로(410, 412, 414, 416, 422)를 폐쇄하여 냉수가 배출유로(426)에서 공통회수유로(420)를 거쳐 냉수회수유로(424)를 통해 상기 냉수조(310)로 회수된다.
한편, 상기 유로의 일측에는 펌프(450)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450)는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되거나 온수조(210) 또는 냉수조(310)로 회수되는 온수 또는 냉수의 흐름을 강제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450)는 상기 공통공급유로(410)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유로(416)와 배출유로(426)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450)는 온수 또는 냉수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강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펌프(450)의 우측(도 3에서)의 온(냉)수를 펌프(450)의 좌측으로 강제 유동시킨다.
따라서,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시에 상기 펌프(450)의 우측에 위치한 온수공급유로(412) 또는 냉수공급유로(414)에서 상기 공통공급유로(410)로 유입되는 공급 온(냉)수를 좌측으로 강제 유동시켜, 상기 펌프(450)의 좌측에 위치한 유입유로(416)로 보낸다.
그리고, 온수 또는 냉수의 회수시에는 상기 펌프(450)의 우측에 위치한 배출유로(426)에서 상기 공통공급유로(410)로 유입되는 회수 온(냉)수를 좌측으로 강제 유동시켜, 상기 펌프의 좌측에 연결된 공통회수유로(420)로 보낸다.
한편, 상기 온수회수유로(422), 냉수회수유로(424), 유입유로(416) 각각 에는 온수 또는 냉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462, 464, 46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통공급유로(410)의 일단은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외부로 연통되는 공통공급유로(410)의 일단에는 배수밸브(447)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밸브(447)는 상기 온수조(210), 냉수조(310), 워터자켓(11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유로를 개방한다.
상기 유로(410, 412, 414, 416, 420, 422, 424, 426) 외에, 상기 냉수조(310)와 워터자켓(110) 사이에는 냉수회수관(470)이 연결된다. 상기 냉수회수관(470)은 상기 냉수조(310)에서 공급되어 상기 순환공간(112)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냉수가 냉수조(310)로 회수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냉수회수관(470)의 일단은 상기 워터자켓(11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냉수조(310)에 연결되되, 상기 워터자켓(110)에 연결된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공간(112)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냉수가 자연적으로 낮은 곳으로 안내되어 흐르면서 상기 냉수조(31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냉수조(310)로부터 상기 유로(410, 414, 416)를 통해 공급되는 냉수는,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계속해서 공급되어 오버플로우 된다. 상기 오버플로우되는 냉수는 상기 냉수회수관(470)을 통해 냉수조(310)로 회수되면서 상기 복합조(120)의 콩물이 설정 온도로 냉각될 때까지 순환된다.
상기한 모든 구성들의 작동은 제어부(51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510)는 사전 설정에 따라 각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를 설정하기 위하여 입력부(520)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52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 상에 구비된 버튼, 다이얼이 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상기 콘트롤박스로 연결되는 별도의 입력장치가 될 수 도 있다. 작업자는 상기 입력부(520)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거나 제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에 의한 장치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공정안내수단(53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공정안내수단(530)은 작업의 진행 상태나 필요한 작업 또는 이상 상태를 외부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정안내수단(530)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두부 제조 과정을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거나, 장치의 이상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필요한 다음 작업을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요구하기도 한다. 즉, 상기 복합조(120)에 콩가루를 투입할 것을 작업자에게 알리거나, 효소를 투입할 것을 작업자에게 알린다. 상기 표시는 영상 화면, 경광등과 같이 시각적인 표시가 될 수 있으며, 알람 등과 같은 청각적인 표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워터자켓(110), 복합조(120), 온수조(210) 및 냉수조(310)에는 상기 제어부(510)에 의한 자동 제어에 연계되는 각종 센서가 구비된다.
먼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터자켓(110)에는 제1 수위센서(114), 제2 수위센서(115), 넘침방지센서(116) 및 자켓온도센서(117)가 구비된다.
제1 수위센서(114)는 상기 워터자켓(110)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1 수위센서관(114a)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수위센서관(114a)은 상기 순환공간(112)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위센서관(114a)에는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유입되는 유체와 동일한 수위로 유체가 유입된다. 즉, 상기 제1 수위센서(114)는 상기 순환공간(112)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수위센서(114)의 끝단은 상기 제1 수위센서관(114a)의 최저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위센서(114)는 상기 순환공간(112) 최저부의 유체 접촉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위센서(114)는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유입되는 온(냉)수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온(냉)수의 유입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위센서(114)에 감지된 온(냉)수의 접촉이 사라짐으로써 상기 온(냉)수의 배출을 감지한다. 상기 온(냉)수의 배출을 감지한다는 것은, 다른 의미로 상기 온(냉)수가 상기 온수조(210) 또는 상기 냉수조(310)로 모두 회수되었음을 감지하는 것이다.
제2 수위센서(115)는 상기 제1 수위센서(114)와 같이, 상기 워터자켓(110)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순환공간(112)과 연통되는 제2 수위센서관(115a)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수위센서(115)의 끝단은 상기 제2 수위센서관(115a)의 중간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수위센서(115)는 상기 순환공간(112) 중간부의 유체 접촉을 감지한다. 상기 제2 수위센서(115)는 온수가 상기 순환공간(112)의 일정 수위만큼만 채워지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제2 수위센서(115)에 유체의 접촉이 감지된다는 것은, 상기 순환공간(112)에 정량의 온수가 채워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수위센서(115)의 끝단은 상기 순환공간(112) 내부에 채워져야 할 온수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넘침방치센서(116)도 상기 제1 수위센서(114)와 같이, 상기 워터자켓(110)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순환공간(112)과 연통되는 넘침방지센서관(116a)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넘침방지센서(116)의 끝단은 상기 넘침방지센서관(116a)의 최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넘침방지센서(116)는 상기 순환공간(112) 최상부의 유체 접촉을 감지한다.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유입되는 냉수는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냉수회수관(470)을 통해 상기 냉수조(310)로 회수된다. 그러나, 상기 냉수회수관(470)을 통해 냉수조(310)로 회수되는 유량보다 상기 펌프(450)에 의해 강제되어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많아지면, 냉수가 상기 순환공간(112)의 상부로 넘쳐흐르게 된다.
즉, 상기 넘침방지센서(116)는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냉수가 순환공간(112) 상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넘침방지센서(116)에 유체의 접촉이 감지된다는 것은,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된 냉수가 순환공간(112)을 넘칠 상황에 직면하였음을 의한다.
한편, 상기 넘침방지센서(116)의 끝단은 상기 냉수회수관(470)의 위치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켓온도센서(117)는 상기 순환공간(112)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공간(112)의 온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자켓온도센서(117)는 상기 제어부(510)와 연계되어, 상기 자켓온도센서(117)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510)에서 상기 가열수단(1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측정된 온도를 제어부(510)로 전송한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조(120)의 일측에는 제3 수위센서(124)와, 복합조온도센서(125)가 구비된다.
제3 수위센서(124)는 상기 덮개(130)에 고정되며, 끝단이 상기 복합조(120)의 중간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3 수위센서(124)는 상기 복합조(120) 중간부의 유체 접촉을 감지한다. 상기 제3 수위센서(124)는 정수가 상기 순환공간(112)의 일정 수위만큼만 채워지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제3 수위센서(124)에 유체의 접촉이 감지된다는 것은, 상기 복합조(120)에 정량의 정수가 채워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3 수위센서(124)의 끝단은 상기 복합조(120) 내부에 채워져야 할 온수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조온도센서(125)는 상기 복합조(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합조(120) 내부의 유체 온도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합조(120) 내부의 정수 온도, 콩물 온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조(210)의 일측에는 온수온도센서(224)와 제4 수위센서(212)가 구비된다. 상기 온수온도센서(224)는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상기 제4 수위센서(212)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4 수위센서(212)는 상기 제1 수위센서(114)와 같은 형태로, 상기 온수조(210)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온수조(210) 내부와 연통되는 제4 수위센서관(212a)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4 수위센서(212)의 끝단은 상기 제4 수위센서관(212a)의 중간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4 수위센서(212)는 상기 온수조(210) 중간부의 유체 접촉을 감지한다. 상기 제4 수위센서(212)는 상기 온수조(210)의 온수가 부족하지 않게 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제4 수위센서(212)에 유체의 접촉이 감지된다는 것은 상기 온수조(210)에 정량의 온수가 채워졌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상기 제4 수위센서(212)에 유체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 온수조(210)의 온수량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4 수위센서(212)의 끝단은 상기 온수조(210) 내부에 채워져야 할 온수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4 수위센서(212)에서의 접촉 감지 여부 판단은,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되었던 온수가 상기 온수조(210)로 모두 회수된 다음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수조(310)의 일측에는 냉수온도센서(324)와 제5 수위센서(312)가 구비된다. 상기 냉수온도센서(324)는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5 수위센서(312)는 상기 냉수조(310)의 냉수가 부족하지 않게 하기 위해 구비되며, 그 구성과 측정 방식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4 수위센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복합조(120), 온수조(210) 및 냉수조(310)에는 정수의 공급 및 보충을 위하여 급수유로(610, 612, 614, 616)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유로(610, 612, 614, 616)는 급수원과 상기 복합조(120), 온수조(210) 및 냉수조(310)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급수원의 정수가 상기 복합조(120), 온수조(210), 냉수조(310)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유로는 급수원과 연결된 공통급수유로(610)와, 상기 공통급수유로(610)에 연결된 복합조급수유로(612)와, 온수조급수유로(614) 및 냉수조급수유로(616)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조급수유로(612)는 정수를 상기 공통급수유로(610)에서 상기 복합조(120)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조급수유로(614)는 정수를 상기 공통급수유로(610)에서 상기 온수조(210)로 안내하며, 상기 냉수조급수유로(616)는 정수를 상기 공통급수유로(610)에서 상기 냉수조(310)로 안내한다.
상기 복합조급수유로(612), 온수조급수유로(614), 냉수조급수유로(616)에는 각각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제1, 2, 3 급수밸브(622, 624, 62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합조(120)의 일측에는 콩물배출관(126)이 구비된다. 증숙 및 냉각을 거친 콩물은 효소와 혼합된 후에 응고를 위해 포장용기로 공급된다. 상기 콩물배출관(126)은 콩물이 포장용기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콩물배출관(126)의 일단은 상기 복합조(120) 내부의 바닥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콩물배출관(126)의 타단은 정량공급수단(710)과 연결된다.
상기 정량공급수단(710)은 상기 복합조(120)의 콩물이 콩물배출관(126)을 통해 포장용기에 공급되도록 콩물의 유동을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량공급수단(710)은 상기 콩물배출관(126)과 연통되는 흡입실(712)과, 상기 흡입실(712)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는 피스톤(미도시)과, 상기 흡입실(712)로 유입된 콩물의 포장용기로 안내하는 공급관(미도시)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콩물배출관(126)에는 상기 콩물이 상기 흡입실(712)로만 이동하도록 역류방지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실(712) 내부의 피스톤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흡입실(712) 내부로 콩물이 흡입되고, 상기 피스톤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흡입실(712) 내부로 흡입된 콩물이 상기 공급관을 통해 포장용기로 공급된다. 즉, 상기 흡입실(712)의 부피 만큼인 정량의 콩물이 상기 포장용기로 공급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전두부 제조를 위한 사전 설정 단계(S110)가 진행된다. 상기 사전 설정에서는 입력부(520)를 통해 온수조 온도, 냉수조 온도, 워터자켓 온도, 교반 온도, 증숙 온도, 냉각 온도 등이 사전에 설정된다.
상기 사전 설정되는 온수조 온도는 온수조(210)의 가열부(222)를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다. 상기 온수조 온도를 이용한 가열부(222)의 작동 제어는 다음의 과정에 따라 진행된다.
먼저, 상기 온수조(210)에 설치된 온수온도센서(224)에서 상기 온수조(210)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5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온수온도센서(224)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상기 사전 설정된 온수조 온도와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측정된 온도가 사전 설정된 온수조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온수조(210)의 가열부(222)를 작동시킨다. 반면,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측정된 온도가 상기 사전 설정된 온수조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온수조(210)의 가열부(222)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전 설정되는 냉수조 온도는 냉수조(310)의 냉각기(322)를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다. 상기 냉수조 온도를 이용한 냉각기(322)의 작동 제어는 다음의 과정에 따라 진행된다.
먼저, 상기 냉수조(310)에 설치된 냉수온도센서(324)에서 상기 냉수조(310)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5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냉수온도센서(324)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상기 사전 설정된 냉수조 온도와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측정된 온도가 사전 설정된 냉수조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냉수조(310)의 냉각기(322)를 작동시킨다. 반면,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측정된 온도가 상기 사전 설정된 냉수조 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냉수조(310)의 냉각기(322)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워터자켓 온도, 교반 온도 및 냉각 온도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전 설정이 완료되면, 공정 안내가 시작되는 시작 단계(S120)가 진행된다. 상기 시작 단계(S120)에서는 상기 입력부(520)를 통해 공정안내 시작 명령이 제어부로 입력되고, 제어부에 사전 설정된 설정에 따라 전두부 제조 공정이 시작된다.
다음으로, 복합조(120)에 정수가 공급되는 정수 공급 단계(S130)가 진행된다. 상기 정수 공급 단계(S130)에서는 급수원에서 상기 복합조(120)로 연결되는 복합조급수유로(612)가 개방되면서, 상기 복합조(120)로 정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복합조(120)의 제1 수위센서(114)에 정수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복합조급수유로(612)가 폐쇄되면서 상기 정수의 공급이 종료된다.
상기 정수 공급 단계(S130)와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는, 온수조(210)에 저장된 온수가 워터자켓(110)의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되는 온수 공급 단계(S140)가 진행된다.
상기 온수 공급 단계(S140)에서는, 유로 상에 설치된 제1 밸브(432)와 제3 밸브(436)의 개방에 의해 온수공급유로(412), 공통공급유로(410) 및 유입유로(416)가 연통되면서, 펌프(450)의 힘으로 상기 온수조(210)의 온수가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자켓(110)의 제1 수위센서(114)에서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유입되는 온수의 접촉이 감지되고, 유입되는 온수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제2 수위센서(115)에서 온수의 접촉이 감지된다. 상기 제2 수위센서(115)에 온수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밸브(432) 및 제3 밸브(436)에 의해 유로(410, 412, 416)가 차폐되면서 상기 온수의 공급이 종료된다.
상기 온수 공급 단계(S140)와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는, 가열수단(150)에 의해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된 온수가 가열되는 정수 가열 단계(S150)가 진행된다.
상기 정수 가열 단계(S150)에서는 상기 제어부(510)에 의해 가열수단(150)이 자동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유입되는 온수를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공간(112)의 가열된 온수의 열이 상기 복합조(120)의 정수로 전달되어, 상기 복합조(120) 내의 정수가 가열된다.
이때, 상기 순환공간(112) 일측의 자켓온도센서(117)에 의해 상기 순환공간(112)의 온수 온도가 측정된다. 상기 자켓온도센서(117)에서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510)로 전송되어, 상기 사전 설정 단계(S110)에서 설정된 워터자켓 온도와 비교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자켓온도센서(117)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사전 설정된 워터자켓 온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가열수단(150)을 작동시킨다. 반면, 상기 자켓온도센서(117)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사전 설정된 워터자켓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가열수단(1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150)의 과열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순환공간(112)에는 상기 온수조(210)에서 가열부(222)에 의해 예열된 온수가 공급되므로, 상기 정수 가열 단계(S150)에서 가열되는 순환공간(112)의 온수는 일반 실온의 정수를 가열하는 것에 비하여 가열 시간이 단축된다.
상기 정수 가열 단계(S150)의 다음으로는, 상기 복합조(120)에 콩가루가 투입되는 콩가루 투입 단계(S160)가 진행된다. 상기 콩가루 투입 단계(S160)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먼저, 상기 복합조온도센서(125)에 의해 상기 복합조(120) 내의 정수 온도가 측정되는 정수 온도 측정 과정(S161)이 진행된다. 상기 복합조온도센서(125)에서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51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복합조온도센서(125)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사전 설정 단계(S110)에서 설정된 교반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복합조온도센서(125)를 통해 측정된 정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교반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콩가루 수동 투입 과정(S162-1) 또는 콩가루 자동 투입 과정(S162-2)이 진행된다.
상기 콩가루 수동 투입 과정(S162-1)에서는, 콩가루 투입 지시가 공정안내수단(530)을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상기 공정안내수단(530)의 표시를 확인하고, 상기 복합조(120)로 콩가루를 투입하게 된다.
상기 콩가루 자동 투입 과정(S162-2)에서는, 콩가루 투입 수단에 의해 상기 복합조(120)로 정량의 콩가루가 자동 투입된다.
상기 콩가루 투입 단계(S160) 이후에, 상기 콩가루 투입 완료 신호가 제어부(510)로 입력되면 증숙 단계(S170)가 진행된다. 상기 콩가루 투입 완료 신호는 작업자가 입력부를 조작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콩가루 자동 투입 과정(S162-2) 이후에 자동 입력될 수 있다.
증숙 단계(S170)에서는 구체적으로, 교반수단(140)에 의해 상기 복합조(120) 내부의 정수와 콩가루가 교반되며, 상기 순환공간(112)에서 가열되는 온수의 열전달에 의하여 상기 복합조(120)의 교반 물질(콩물)이 증숙된다. 상기 증숙 단계(S170)는 사전에 설정된 증숙 시간이 경과한 후 종료된다.
상기 증숙 단계(S170) 완료 후에는 뜸들임 단계(S180)가 진행된다. 상기 뜸들임 단계(S180)에서는 상기 가열수단(150) 및 교반수단(140)의 작동이 종료되고, 상기 증숙 단계(S170)를 거쳐 증숙된 콩물의 뜸들임이 진행된다. 상기 뜸들임 단계(S180)는 사전에 설정된 뜸들임 시간이 경한 후 종료된다.
상기 뜸들임 단계(S180) 완료 후에는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되었던 온수가 온수조(210)로 회수되는 온수 회수 단계(S19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수 회수 단계(S190)에서는, 유로 상에 설치된 제4 밸브(442)와 제6 밸브(446)의 개방에 의해 배출유로(426), 공통회수유로(420) 및 온수회수유로(422)가 연통되면서, 펌프(450)의 힘으로 순환공간(112)의 온수가 온수조(210)로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공간(112)의 온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기 제1 수위센서(114)에서 감지되었던 온수의 접촉 신호가 사라진다. 상기 제1 수위센서(114)에 감지되었던 온수의 접촉이 사라지면, 상기 제4 밸브(442) 및 제6 밸브(446)에 의해 유로(420, 422, 426)가 차폐되면서 상기 온수의 회수가 종료된다.
상기 온수조(210)로 온수가 회수된 후에는, 냉수조(310)에 저장된 냉수가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되는 콩물 냉각 단계(S200)가 진행된다. 상기 콩물 냉각 단계(S200)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먼저, 상기 냉수조(310)의 냉수가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되는 냉수 공급 과정(S201)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수 공급 과정(S201)에서는, 유로 상에 설치된 제2 밸브(434)와 제3 밸브(436)의 개방에 의해 냉수공급유로(414), 공통공급유로(410) 및 유입유로(416)가 연통되면서, 펌프(450)의 힘으로 냉수조(310)의 냉수가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계속해서 냉수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복합조(120) 콩물이 냉각되는 냉수 순환 과정(S202)이 진행된다. 상기 순환공간(112)에 냉수가 계속해서 공급되면 상기 냉수가 순환공간(112)으로부터 오버플로우 되면서, 상기 냉수회수관(470)을 통해 냉수조(310)로 회수된다. 즉, 냉수가 상기 냉수조(310)에서 순환공간(112)으로, 상기 순환공간(112)의 냉수가 다시 상기 냉수조(310)로 이동하면서 계속해서 순환하게 된다.
상기 냉수 공급 과정(S201)의 시작과 함께 콩물 온도 측정 과정(S203)이 시작된다. 상기 콩물 온도 측정 과정(S203)에서는 상기 복합조온도센서(125)에 의해 상기 복합조(120)의 콩물 온도가 측정되며, 상기 측정된 온도는 상기 제어부(51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콩물 온도 측정 과정(S203)을 통해 측정된 콩물의 온도가 상기 사전 설정 단계(S110)에서 설정된 냉각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냉수의 공급이 종료되는 냉수 공급 종료 과정(S204)이 진행된다.
한편, 상기 냉수 공급 과정(S201)의 시작과 함께 과수위 측정 과정(S205)이 시작된다. 상기 과수위 측정 과정(S205)에서는 상기 워터자켓(110) 일측의 넘침방지센서(116)에서 냉수의 접촉 신호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넘침방지센서(116)에 냉수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펌프(450)의 가동을 일시 정지시켜, 냉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펌프 일시정지 과정(S206)이 진행된다.
상기 펌프 일시정지 과정(S206) 이후에는, 상기 넘침방지센서(116)에 감지되었던 냉수의 접촉 신호가 사라지면, 상기 펌프(450)를 재가동 시켜 냉수의 공급을 재개하는 공급 재개 과정(S207)이 진행된다.
상기 콩물 냉각 단계(S200) 완료 후에는, 상기 순환공간(112)의 냉수가 상기 냉수조(310)로 회수되는 냉수 회수 단계(S21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수 회수 단계(S210)에서는, 유로 상에 설치된 제5 밸브(444)와 제6 밸브(446)의 개방에 의해 배출유로(426), 공통회수유로(420) 및 냉수회수유로(424)가 연통되면서, 펌프(450)의 힘으로 순환공간(112)의 냉수가 냉수조(310)로 회수된다.
그리고, 순환공간(112)의 냉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기 제1 수위센서(114)에서 감지되었던 냉수의 접촉 신호가 사라진다. 상기 제1 수위센서(114)에 감지되었던 냉수의 접촉이 사라지면, 상기 제5 밸브(444) 및 제6 밸브(446)에 의해 유로(420, 424, 426)가 차폐되면서 상기 냉수의 회수가 종료된다.
상기 냉수조(310)로 냉수가 회수된 후에는, 상기 복합조(120)에 효소가 투입되는 효소 투입 단계(S220)가 진행된다. 상기 효소 투입 단계(S22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효소 투입 단계(S222)에서는, 효소 투입 지시가 상기 공정안내수단(530)을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상기 공정안내수단(530)의 표시를 확인하고, 상기 복합조(120)로 효소를 투입하게 된다.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효소 투입 단계(S224)에서는, 효소 투입 수단에 의해 상기 복합조(120)로 정량의 효소가 자동 투입된다.
상기 효소 투입 단계(S220) 이후에, 상기 효소 투입 완료 신호가 제어부(510)로 입력되면 효소 혼합 단계(S230)가 진행된다. 상기 효소 투입 완료 신호는 작업자가 입력부를 조작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자동 효소 투입 단계(S224) 이후에 자동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효소 혼합 단계(S230)에서는, 교반수단(140)에 의해 상기 복합조(120) 내부의 콩물과 효소가 교반된다. 상기 효소 혼합 단계(S230)는 사전 설정된 효소 혼합 시간이 경과된 후에 종료된다.
그리고, 상기 효소 혼합 단계(S230)가 종료된 후에는, 제어부에 입력된 사전 설정에 따라 전두부 제조 공정이 종료되는 종료 단계(S240)가 진행된다.
한편, 상기 각 단계는 사전 입력된 설정에 따라 제어부(510)에 의해 자동 진행되며, 상기 각 단계의 진행 상태는 상기 공정안내수단(530)을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종료 단계(S240) 이후에는 작업자에 의해 다음의 단계가 진행된다.
먼저, 상기 종료 단계(S240)까지 거친 콩물이 포장용기에 정량씩 포장되는 포장 단계(S250)가 진행된다. 상기 콩물은 정량공급수단(710)에 의해 포장용기로 공급된 후, 밀봉된다.
상기 포장 단계(S250) 다음으로는, 상기 콩물이 포장된 포장용기가 상기 온수조(210)에 투입되어, 콩물의 응고 및 포장용기 살균이 이루어지는 응고 단계(S260)가 진행된다. 상기 콩물은 상기 온수조(210)의 온수 온도에서 반응하는 효소에 의하여 응고된다.
상기 응고 단계(S260) 다음으로는, 상기 응고 단계(S260)를 거친 포장용기가 상기 냉수조(310)에 투입되어,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 처리 단계(S270)가 진행된다.
상기의 과정을 모두 거치게 되면, 포장용기에 포장된 전두부 제품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프레임 110 : 워터자켓
112 : 순환공간 114 : 제1 수위센서
115 : 제2 수위센서 116 : 넘침방지센서
117 : 자켓온도센서 120 : 복합조
122 : 지지플랜지 124 : 제3 수위센서
125 : 복합조온도센서 126 : 콩물배출관
130 : 덮개 140 : 교반수단
142 : 구동모터 144 : 회전축
146 : 교반날개 150 : 가열수단
152 : 제1 가열수단 154 : 제2 가열수단
210 : 온수조 212 : 제4 수위센서
220 : 온수예열수단 222 : 가열부
224 : 온수온도센서 310 : 냉수조
312 : 제5 수위센서 320 : 냉수냉각수단
322 : 냉각기 324 : 냉수온도센서
330 : 순환펌프 332a : 상부관
332b : 하부관 410 : 공통공급유로
412 : 온수공급유로 414 : 냉수공급유로
416 : 유입유로 420 : 공통회수유로
422 : 온수회수유로 424 : 냉수회수유로
426 : 배출유로 432, 434, 436, 442, 444, 446 : 밸브
447 : 배수밸브 450 : 펌프
462, 464, 466 : 체크밸브 470 : 냉수회수관
510 : 제어부 520 : 입력부
530 : 공정안내수단 610 : 공통급수유로
612 : 복합조급수유로 614 : 온수조급수유로
616 : 냉수조급수유로 622, 624, 626 : 급수밸브
710 : 정량공급수단 712 : 흡입실
112 : 순환공간 114 : 제1 수위센서
115 : 제2 수위센서 116 : 넘침방지센서
117 : 자켓온도센서 120 : 복합조
122 : 지지플랜지 124 : 제3 수위센서
125 : 복합조온도센서 126 : 콩물배출관
130 : 덮개 140 : 교반수단
142 : 구동모터 144 : 회전축
146 : 교반날개 150 : 가열수단
152 : 제1 가열수단 154 : 제2 가열수단
210 : 온수조 212 : 제4 수위센서
220 : 온수예열수단 222 : 가열부
224 : 온수온도센서 310 : 냉수조
312 : 제5 수위센서 320 : 냉수냉각수단
322 : 냉각기 324 : 냉수온도센서
330 : 순환펌프 332a : 상부관
332b : 하부관 410 : 공통공급유로
412 : 온수공급유로 414 : 냉수공급유로
416 : 유입유로 420 : 공통회수유로
422 : 온수회수유로 424 : 냉수회수유로
426 : 배출유로 432, 434, 436, 442, 444, 446 : 밸브
447 : 배수밸브 450 : 펌프
462, 464, 466 : 체크밸브 470 : 냉수회수관
510 : 제어부 520 : 입력부
530 : 공정안내수단 610 : 공통급수유로
612 : 복합조급수유로 614 : 온수조급수유로
616 : 냉수조급수유로 622, 624, 626 : 급수밸브
710 : 정량공급수단 712 : 흡입실
Claims (10)
-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워터자켓(110)과;
상기 워터자켓(110)의 내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콩물의 교반과, 증숙 및 냉각이 이루어지는 복합조(120)와;
상기 복합조(12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합조(120)에 투입된 물질과 콩물이 혼합되도록 하는 교반수단(140)과;
상기 복합조(120)의 외벽과 워터자켓(110)의 내벽 사이의 공간으로써, 온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어 복합조(120) 내부의 콩물과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순환공간(112)과;
상기 워터자켓(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된 온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150)과;
상기 워터자켓(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조(210)와;
상기 워터자켓(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되는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조(310)와;
상기 워터자켓(110)과 온수조(210) 및 냉수조(310) 사이를 연결하며,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과 회수를 안내하는 유로(410, 412, 414, 416, 420, 422, 424, 426)와;
상기 워터자켓(110)과 냉수조(31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조(310)에서 공급되어 상기 순환공간(112)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냉수가 냉수조(310)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냉수회수관(470)과;
상기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되거나 온수조(210) 또는 냉수조(310)로 회수되는 온수 또는 냉수의 흐름을 강제하는 펌프(450)와;
상기 온수조(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온수조(210)의 온수가 설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온수예열수단(220)과;
상기 냉수조(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수조(310)의 냉수가 설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수냉각수단(320)과;
상기 각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는 상기 냉수조(310)로부터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계속해서 공급되어 오버플로우되며, 상기 오버플로우되는 냉수는 상기 냉수회수관(470)을 통해 냉수조(310)로 회수되면서 상기 복합조(120)의 콩물이 사전 설전된 냉각 온도로 냉각될 때까지 순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작업의 진행 상태나 필요한 작업 또는 이상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공정안내수단(530)과;
상기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거나 제어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5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자켓(110) 일측에는 상기 순환공간(112)의 최고 수위를 측정하는 넘침방지센서(116)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넘침방지센서(116)에 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펌프의 가동을 일시 중지시키고, 상기 펌프의 가동이 일시 중지된 이후에 상기 넘침방지센서(116)에 감지된 물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펌프를 재가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310)의 일측에는,
상기 냉수조(310) 하부의 냉수를 상부로 이동시켜 순환을 강제하는 순환펌프(33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 입력부(520)를 통해 시작 명령이 제어부로 입력되고, 제어부에 입력된 사전 설정에 따라 전두부 제조 공정이 시작되는 시작 단계(S120);
복합조(120)에 정수가 공급되는 정수 공급 단계(S130);
상기 복합조(120)에 정수가 공급되면, 온수조(210)에 저장된 온수가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되는 온수 공급 단계(S140);
가열수단(150)에 의해 상기 순환공간(112)에 공급된 온수가 가열되며, 상기 가열된 온수의 열이 상기 복합조(120)로 전달되어 상기 복합조(120)의 정수가 가열되는 정수 가열 단계(S150);
상기 정수가 가열되면, 상기 복합조(120)에 콩가루가 투입되는 콩가루 투입 단계(S160);
상기 복합조(120)에 콩가루가 투입된 후, 교반수단(140)에 의해 상기 복합조(120) 내부의 정수와 콩가루가 교반되며, 상기 순환공간(112)의 가열된 온수의 열전달에 의하여 상기 복합조(120)의 교반 물질(콩물)이 증숙되는 증숙 단계(S170);
상기 증숙 단계를 거친 콩물의 뜸들임이 진행되는 뜸들임 단계(S180);
상기 뜸들임 단계 완료 후, 상기 순환공간(112)의 온수가 온수조(210)로 회수되는 온수 회수 단계(S190);
상기 온수조(210)로 온수가 회수된 후, 냉수조(310)에 저장된 냉수가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되며, 상기 냉수로 상기 복합조(120)의 열이 흡수되어 상기 복합조(120)의 콩물이 냉각되는 콩물 냉각 단계(S200);
상기 콩물 냉각 단계 완료 후, 상기 순환공간(112)의 냉수가 상기 냉수조(310)로 회수되는 냉수 회수 단계(S210);
상기 콩물 냉각 단계 완료 후, 상기 복합조(120)에 효소가 투입되는 효소 투입 단계(S220);
상기 복합조(120)에 효소가 투입된 후, 교반수단(140)에 의해 상기 복합조(120) 내부의 콩물과 효소가 교반되는 효소 혼합 단계(S230); 및
상기 효소 혼합 단계 완료 후, 제어부에 입력된 사전 설정에 따라 전두부 제조 공정이 종료되는 종료 단계(S240);를 포함하는 두부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단계(S240) 이후에는,
상기 과정을 거친 콩물이 포장용기에 정량씩 포장되는 포장 단계(S250)와;
상기 포장된 포장용기가 상기 온수조(210)에 투입되어, 콩물의 응고 및 포장용기 살균이 이루어지는 응고 단계(S260)와;
상기 응고 단계(S260)를 거친 포장용기가 상기 냉수조(310)에 투입되어,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 처리 단계(S270);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콩물 냉각 단계(S200)에서는,
상기 냉수조(310)의 냉수가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계속해서 공급되어 오버플로우되며, 상기 오버플로우되는 냉수는 냉수회수관(470)을 통해 냉수조(310)로 회수되면서 상기 복합조(120)의 콩물이 사전 설정된 냉각 온도로 냉각될 때까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콩물 냉각 단계(S200)는,
상기 냉수조(310)의 냉수가 복합조(120)로 공급되는 냉수 공급 과정(S201);
상기 순환공간(112)으로 공급되는 냉수가 오버플로우 되어 냉수회수관(470)을 통해 냉수조(310)로 회수되면서, 상기 복합조(120)의 콩물이 냉각되는 냉수 순환 과정(S202);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복합조(120)의 콩물 온도가 측정되는 콩물 온도 측정 과정(S203);
상기 콩물 온도 측정 과정(S203)을 통해 측정된 콩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각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냉수의 공급이 종료되는 냉수 공급 종료 과정(S204);
넘침방지센서(116)에서 냉수의 접촉 신호를 감지하는 과수위 측정 과정(S205);
상기 넘침방지센서(116)에 물의 접촉이 감지되면, 펌프의 가동을 일시 정지시키는 펌프 일시정지 과정(S206);
상기 펌프 일시정지 과정(S206) 이후, 상기 넘침방지센서(116)에 감지된 물의 접촉 신호가 사라지면, 상기 펌프를 재가동 시켜 냉수를 계속해서 공급하는 공급 재개 과정(S2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콩가루 투입 단계(S160)는,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복합조(120) 내의 정수 온도가 측정되는 정수 온도 측정 과정(S161);
상기 정수 온도 측정 과정(S161)을 통해 측정된 정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교반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콩가루 투입 지시가 공정안내수단(530)을 통해 외부로 표시되고,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여 상기 복합조(120)로 콩가루를 투입하는 콩가루 수동 투입 과정(S162-1);
상기 감지된 정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교반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콩가루 투입 수단에 의해 상기 복합조(120)로 콩가루가 투입되는 콩가루 자동 투입 과정(S16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9477A KR101387167B1 (ko) | 2012-07-20 | 2012-07-20 |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9477A KR101387167B1 (ko) | 2012-07-20 | 2012-07-20 |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1866A KR20140011866A (ko) | 2014-01-29 |
KR101387167B1 true KR101387167B1 (ko) | 2014-04-21 |
Family
ID=5014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9477A KR101387167B1 (ko) | 2012-07-20 | 2012-07-20 |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716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1634B1 (ko) * | 2020-02-07 | 2020-10-05 | 김세진 | 두부 제조용 콩물 가열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9404B1 (ko) * | 2021-04-23 | 2021-12-14 | 주식회사 진선식품 | 자동화 된 두부 제조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3037Y1 (ko) | 2003-08-14 | 2003-11-12 | 김교형 | 전두부 제조기 |
KR200355402Y1 (ko) | 2004-04-19 | 2004-07-06 | 김교형 | 전두부 제조장치 |
KR200374637Y1 (ko) | 2004-11-15 | 2005-02-02 | 김교형 | 진공 저장통을 갖는 전두부 제조장치 |
KR20080093471A (ko) * | 2007-04-17 | 2008-10-22 | 이창열 | 에너지 절약형 포장 바이오 활성 전두부 제조 방법 및 그장치 |
-
2012
- 2012-07-20 KR KR1020120079477A patent/KR1013871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3037Y1 (ko) | 2003-08-14 | 2003-11-12 | 김교형 | 전두부 제조기 |
KR200355402Y1 (ko) | 2004-04-19 | 2004-07-06 | 김교형 | 전두부 제조장치 |
KR200374637Y1 (ko) | 2004-11-15 | 2005-02-02 | 김교형 | 진공 저장통을 갖는 전두부 제조장치 |
KR20080093471A (ko) * | 2007-04-17 | 2008-10-22 | 이창열 | 에너지 절약형 포장 바이오 활성 전두부 제조 방법 및 그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1634B1 (ko) * | 2020-02-07 | 2020-10-05 | 김세진 | 두부 제조용 콩물 가열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1866A (ko) | 2014-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03061B1 (en) |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and dispensing liquid, semi-liquid and/or semi-solid food products | |
KR20080030886A (ko) | 냄새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 |
KR101387167B1 (ko) |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 |
CN1164822A (zh) | 咖啡液提取装置 | |
KR20060111286A (ko) | 헹굼제 투입장치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
US6530307B2 (en) | Cooking machine | |
CN109091392A (zh) | 自动膏药机 | |
CN112438637A (zh) | 一种蒸汽足浴盆 | |
KR200210410Y1 (ko) | 전두부 제조장치 | |
KR20070009195A (ko) | 드럼세탁기 | |
KR100962907B1 (ko) | 식물의 발효유지 조성물 생성장치 | |
KR101174711B1 (ko) |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 |
CN211246290U (zh) | 一种调香罐 | |
CN209154535U (zh) | 自动膏药机 | |
CN221730310U (zh) | 一种新型小分子萃奶设备 | |
KR20160104287A (ko) | 비누 제조장치 | |
CN208229899U (zh) | 一种方便控温的反应釜 | |
CN207859321U (zh) | 一种海绵发泡机料罐组件 | |
KR101146273B1 (ko) | 삶는 기능을 갖는 드럼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 |
JP3260659B2 (ja) | 抽出装置 | |
CN215270420U (zh) | 一种米凉面熟化设备 | |
KR101505162B1 (ko) |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
CN215939664U (zh) | 一种可均匀搅拌的均质奶罐 | |
CN216125494U (zh) | 一种便于温度控制的化妆品乳化罐 | |
KR200231608Y1 (ko) | 가정용 다림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