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162B1 -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5162B1 KR101505162B1 KR1020140127950A KR20140127950A KR101505162B1 KR 101505162 B1 KR101505162 B1 KR 101505162B1 KR 1020140127950 A KR1020140127950 A KR 1020140127950A KR 20140127950 A KR20140127950 A KR 20140127950A KR 101505162 B1 KR101505162 B1 KR 1015051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raw material
- drum
- washing water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effervescing the liquids, e.g. for forming bubbles or bee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진행모드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받은 진행모드가 운전모드이면 원료를 냉각 및 교반하여 슬러시 거품을 형성하는 운전동작을 수행하고, 입력받은 진행모드가 세척모드이면 드럼부를 세척하는 세척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입력받은 진행모드가 정지모드이면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맥주에 얹혀지는 슬러시 거품을 제조하기 위한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맥주 영업점 등에서는 생맥주 냉각기를 이용해 탄산가스가 혼합된 생맥주를 냉각시킨 상태로 취출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생맥주를 컵에 따를 때 발생하는 거품은 발효과정이나 인공적으로 첨가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러한 거품은 맥주가 공기와 닿아 빨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산화탄소가 더 이상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맥주의 거품은 맥주를 마실 때 입술과 혀끝에 닿는 느낌이 맥주의 맛을 더 좋게 느끼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맥주에서의 거품은 그 맛을 위하여 꼭 필요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어 모든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여기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0746호(2001년 07월 20일 등록, 고안의 명칭 : 생맥주 냉각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소비자들의 새로운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거품을 생맥주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은: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 또는 상기 세척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체류되는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에 체류되는 원료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드럼부에서 냉각되는 원료를 교반하여 액체와 고체의 중간 형태인 슬러시 거품을 생성하거나 상기 드럼부에 체류되는 세척수를 유동시켜 상기 드럼부를 세척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진행모드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받은 진행모드가 운전모드이면 원료를 냉각 및 교반하여 슬러시 거품을 형성하는 운전동작을 수행하고, 입력받은 진행모드가 세척모드이면 상기 드럼부를 세척하는 세척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입력받은 진행모드가 정지모드이면 상기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전동작은, 상기 원료공급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냉각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교반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를 교반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공급부와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부와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는, 압력측정부가 상기 드럼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압력을 산출하는 단계와; 온도측정부가 상기 드럼부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온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압력에 따라 상기 원료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고, 상기 측정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부와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압력과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압력이 상기 기준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드럼부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측정압력이 상기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드럼부 내부로의 원료 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원료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전동작은, 상기 원료공급부의 동작시간이 기설정된 자동충전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드럼부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원료공급부의 동작시간이 상기 자동충전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측정압력이 상기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드럼부 내부로의 원료 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원료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전동작은, 상기 자동충전시간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측정압력이 상기 기준압력보다 낮은 경우 압력이상경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부와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온도와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드럼부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를 냉각시키고, 상기 측정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이하이면 상기 드럼부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에 대한 냉각을 중단하도록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럼부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기 전, 상기 드럼부 내부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부 내부에 수용된 원료 또는 세척수의 배출을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부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드럼부 내부에 가압가스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동작은, 상기 세척수공급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 내부에 세척수를 채우는 단계와; 상기 드럼부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상기 교반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드럼부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를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수공급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 내부에 세척수를 다시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가우면서도 부드러운 슬러시 거품을 제조하여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 미려한 효과를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생맥주를 마시는 소비자에게 시원한 촉감을 오랫동안 제공할 수 있으며, 생맥주 고유의 청량감을 오랜 시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간단한 입력 조작만으로 슬러시 거품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기계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고 편리하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드럼부 내부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으므로 드럼부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번거롭고 힘든 작업 없이도 장치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운전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운전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세척수 배출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원료공급부와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세척동작을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세척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운전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운전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세척수 배출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원료공급부와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세척동작을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세척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100)는 원료공급부(110)와, 세척수공급부(120)와, 드럼부(130)와, 가압가스공급부(140)와, 냉각부(150)와, 교반부(160)와, 제어모듈(170) 및 측정부(180)를 포함한다.
원료공급부(110)는 슬러시 거품을 생성하기 위한 원료를 드럼부(130)에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원료공급부(110)는 생맥주와 같이 슬러시 거품을 생성하기 위한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공급탱크(111)와, 연료탱크(111)에 저장된 원료가 드럼부(130)로 공급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연결관(113), 및 제1연결관(113)을 통한 원료 공급을 단속하는 제1밸브(115)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료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원료는 생맥주인 것으로 예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료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원료는 필요에 따라 생맥주 외에 다른 음료 등이 될 수도 있다.
세척수공급부(120)는 드럼부(130)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드럼부(130)에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세척수공급부(120)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원(121)과, 세척수공급원(121)의 세척수가 드럼부(130)로 공급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연결관(123), 및 제2연결관(123)을 통한 세척수 공급을 단속하는 제2밸브(125)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세척수공급원(121)은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지하수관 또는 수도관과 직접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드럼부(130)는 원료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원료 또는 세척수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체류하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즉 드럼부(130)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100)가 운전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원료공급부(110)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체류시키는 수용체 역할을 하고,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100)가 세척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원료공급부(11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체류시키는 수용체 역할을 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부(130)는 내부드럼(131)과, 외부드럼(133)과, 커버부(135,137) 및 배출부(139)를 포함한다.
내부드럼(131)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드럼부(13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내부드럼(131)은 원료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원료 또는 세척수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체류하는 체류공간(S)을 내부에 형성하며, 이처럼 내부드럼(131)의 내부에 형성된 체류공간(S)에는 교반부(160)가 설치된다.
또한 내부드럼(131)에는 제1주입구(131a)와, 제2주입구(131b) 및 제3주입구(131c)가 형성된다.
제1주입구(131a)는 원료공급부(110)의 제1연결관(113)과 연결되어 원료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원료가 내부드럼(131)으로 주입되는 입구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2주입구(131b)는 세척수공급부(120)의 제2연결관(123)과 연결되어 세척수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내부드럼(131)으로 주입되는 입구를 형성한다.
아울러 제3주입구(131c)는 후술할 가압가스공급부(140)의 제2가스공급관(145)과 연결되어 가압가스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되는 가압가스가 내부드럼(131)으로 주입되는 입구를 형성한다.
외부드럼(133)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드럼(131)을 둘러싸도록 내부드럼(131)의 외측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외부드럼(133)과 내부드럼(131) 사이에는 냉각부(15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드럼(133)은 드럼부(130) 내부와 드럼부(130) 외부 간의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35,137)는 내부드럼(131) 내부의 체류공간(S)이 드럼부(130)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내부드럼(131)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부(135,137)는 직결커버(135)와 개폐커버(137)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직결커버(135)는 내부드럼(131)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된다. 직결커버(135)는 내부드럼(131)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직결커버(135)에는 교반부(16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직결커버(135)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직결커버(135)의 외측면 중심부에는 보스부(135a)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보스부(135a)의 내부 및 보스부(135a)가 형성된 직결커버(135)의 중심부에는 관통홀(135b)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후술할 교반부(160)의 구동축(165)은 이 관통홀(135b)을 통해 직결커버(135)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또한 관통홀(135b)이 형성된 보스부(135a)의 내부에는 베어링(135c)이 설치되며, 이처럼 설치되는 베어링(135c)은 직결커버(135)를 관통하는 구동축(16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아울러 관통홀(135b)이 형성된 직결커버(135)의 내부에는 실링부(138)가 설치된다. 이처럼 설치되는 실링부(138)는, 직결커버(135)의 내부에서 관통홀(135b)과 구동축(165) 사이를 실링하여 직결커버(135)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개폐커버(137)는 내부드럼(131)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된다. 개폐커버(137)는 내부드럼(131)의 개방된 타측을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설치되며, 개방커버부(137a)와 개폐도어부(137b)를 포함한다.
개방커버부(137a)는 내부드럼(131)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개방커버부(137)에는 체류공간(S)을 드럼부(130)의 외부로 개방시키는 개방구(부호생략)가 형성된다.
개폐도어부(137b)는 개방커버부(137a)에 설치되어 개방구를 개폐한다. 이러한 개폐도어부(137b)는 개방커버부(137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으로 회동하여 개방구를 개방하며, 개방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타측으로 회동하여 개방구를 폐쇄함으로써 내부드럼(131)의 개방된 타측을 밀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폐도어부(137b)에는 투시창(137c)이 형성된다. 투시창(137c)은 드럼부(130)의 외부에서 체류공간(S)이 투시되도록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도어부(137b)에 투시창(137c)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투시창(137c)을 통해 내부드럼(131) 내부의 청결상태, 생성된 슬러시 거품의 양, 상태 등을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100)는 인출밸브(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출밸브(105)는 체류공간(S)에서 생성된 슬러시 거품의 배출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인출밸브(105)는 개폐커버(137)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배출부(139)는 내부드럼(131)의 내부에 형성된 체류공간(S)에 체류되는 원료 또는 세척수의 배출을 단속한다. 이러한 배출부(139)는 체류공간(S)에 체류되는 원료 또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배출구(139a) 및 배출구(139a)의 개폐를 단속하는 배출밸브(139b)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배출구(139a)는 직결커버(135) 상에 설치되되, 원료 또는 세척수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드럼(131)의 하부면에 인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가스공급부(140)는 가압가스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서, 가압가스공급부(140)는 원료공급부(110) 또는 드럼부(130)에 가압가스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가압가스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되는 가압가스는 탄산가스(CO2)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가압가스공급부(140)는 가압가스탱크(141)와, 제1가스공급관(143)과, 제1가스공급밸브(144)와, 제2가스공급관(145) 및 제2가스공급밸브(146)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가스탱크(141)는 고압의 가압가스를 저장하고 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원으로서 구비된다.
그리고 제1가스공급관(143)은 가압가스탱크(141)를 원료공급부(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원료공급탱크(111)와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제1가스공급밸브(144)는 제1가스공급관(143)을 통한 가압가스의 공급을 단속한다.
또한 제2가스공급관(145)은 가압가스탱크(141)를 드럼부(1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3주입구(131c)를 통해 내부드럼(131)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제2가스공급밸브(146)는 제2가스공급관(145)을 통한 가압가스의 공급을 단속한다.
냉각부(150)는 드럼부(130)에 체류되는 원료를 냉각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냉각부(150)는 압축기(151)와, 응축기(153)와, 팽창밸브(155) 및 증발기(157)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151)는 냉매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압축시킨 후 냉매관(159)을 따라 순환시키며, 응축기(153)는 압축기(151)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스를 응축시킨다. 응축기(153)에 의해 응축된 냉매가스는 팽창밸브(155)에 의해 팽창되어 증발기(157)로 전달되며, 증발기(157)는 팽창밸브(155)를 통과하며 팽창된 냉매가스를 증발시킴으로써 드럼부(130)에 체류되는 원료를 냉각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157)는 내부드럼(131)과 외부드럼(13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되, 내부드럼(131)의 외주면에 접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증발기(157)의 외측에는 냉각자켓(158)이 증발기(157)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증발기(157)는 내부드럼(131)과 냉각자켓(158)으로 둘러싸여 밀폐된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고, 이처럼 증발기(157)가 설치된 냉각자켓(158)의 내부 공간에는 냉각유체가 채워진다. 이때 채워지는 냉각유체로는, 물과 에틸렌글리콜을 혼합한 부동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각유체가 채워진 냉각자켓(158)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157)는, 증발기(157)를 둘러싸도록 채워져 있는 냉각유체를 냉각시키고, 이처럼 냉각된 냉각유체는 내부드럼(131)을 냉각시킨다.
즉 증발기(157)는 냉각유체를 냉각시켜 이를 통해 내부드럼(131)을 냉각시키는 간접 냉각 방식으로 내부드럼(131)을 냉각시킴으로써 내부드럼(131) 전체를 일정한 온도로 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부(130), 즉 내부드럼(131) 내부에 형성된 체류공간(S)에 체류되는 원료는, 상기와 같이 냉각된 내부드럼(131)에 의해 슬러시 거품이 생성될 수 있는 온도로 고르게 냉각되어 양질의 슬러시 거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교반부(160)는 드럼부(130) 상에 설치되며, 드럼부(130)에서 냉각되는 원료를 교반하여 액체와 고체의 중간 형태인 슬러시 거품을 생성하거나, 드럼부(130)에 체류되는 세척수를 유동시켜 드럼부(130)를 세척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교반부(160)는 교반스크류(161)와, 직결구동부(163) 및 구동축(165)을 포함한다.
교반스크류(161)는 내부드럼(131)의 내부, 즉 체류공간(S)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교반스크류(161)는, 내부드럼(131)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체류공간(S)에서 냉각되는 원료를 교반하거나, 체류공간(S)에 체류되는 세척수를 유동시킨다.
즉 교반스크류(161)는, 운전동작시 체류공간(S)에서 냉각되어 제빙되고 있는 원료를 분쇄하며 저어줌으로써 액체와 고체의 중간 형태인 슬러시 거품을 생성하고, 생성된 슬러시 거품을 인출밸브(105)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아울러 교반스크류(161)는, 세척동작시 체류공간(S)에 체류되는 세척수를 저어 유동시킴으로써 세척수가 내부드럼(131)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수류(水流)를 발생시키는 동작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직결구동부(163)는 교반스크류(16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직결구동부(163)는 드럼부(130) 상에 직결 방식으로 설치된다.
즉 직결구동부(163)는 드럼부(130)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직결커버(135)에 직접 체결되는 형태로 드럼부(130) 상에 설치되며, 이와 같이 드럼부(130) 상에 직접 설치되어 교반스크류(161)가 직결 구동방식으로 회전되도록 교반스크류(161)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구동축(165)은 상기와 같은 직결구동부(163)와 교반스크류(161)가 일축으로 연결되도록 직결커버(135)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축(165)은 직결커버(135)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135b)을 통해 직결커버(135)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직결구동부(163)와 교반스크류(161)를 연결하고, 보스부(135a) 내부에 설치된 베어링(135c)에 의해 직결커버(13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구동축(165)은 직결구동부(163)와 교반스크류(161)를 일축으로 연결하여 교반스크류(161)가 직결 구동방식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교반부(160) 구동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모듈(17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모듈(170)은 입력부(171)와 제어부(173)를 포함한다.
입력부(171)는 진행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구비된다. 입력부(171)는 진행모드 및 각종 제어동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된 패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71)를 통해 입력되는 진행모드는 운전모드와, 세척모드 및 정지모드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 외에 입력부(171)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동작신호로서는 교반부(160)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73)는, 입력부(171)를 통해 입력된 진행모드에 따라, 원료를 냉각 및 교반하여 슬러시 거품을 형성하는 운전동작 또는 드럼부(130)를 세척하는 세척동작을 수행하도록 각종 장치, 예를 들면 원료공급부(110)와 냉각부(150)와 교반부(160)와 세척수공급부(120) 및 가압가스공급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3)의 제어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측정부(180)는 드럼부(130) 내부 및 그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의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측정부(180)는 압력측정부(181)와 온도측정부(183)를 포함한다.
압력측정부(181)는 체류공간(S)이 형성된 내부드럼(13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측정부(181)는 내부드럼(131)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력측정부(181)는 내부드럼(131) 내부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한 측정압력을 제어부(173)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압력측정부(181)로부터 측정압력을 전송받은 제어부(173)는, 이를 기초로 원료공급부(110) 및 가압가스공급부(140)의 동작을 제어하여 체류공간(S)으로의 원료 공급을 조절한다.
온도측정부(183)는 체류공간(S)에 체류되는 원료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측정부(183)는 체류공간(S)에 체류되는 원료와 접촉하여 그 원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온도측정부(183)는 체류공간(S)에 체류되는 원료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측정온도를 제어부(173)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온도측정부(183)로부터 측정온도를 전송받은 제어부(173)는, 이를 기초로 냉각부(1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원료가 냉각되는 온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측정부(183)는 내부드럼(131)의 내부에 설치되되, 내부드럼(131)의 타측, 즉 개폐커버부(137)와 인접한 내부드럼(131)의 바닥면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온도측정부(183)는, 교반스크류(161)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면서도 원료와 가장 효과적으로 접촉 가능한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체류공간(S)에서 냉각되는 원료의 온도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제조장치(100)는 표시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90)는 입력부(181)를 통해 입력된 진행모드 및 본 실시예의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제조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장치들의 동작상태 등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면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구비된다.
표시부(190)는 입력된 진행모드가 어떠한 모드인지를 표시하는 한편, 측정부(180)를 통해 측정된 측정압력 및 측정온도 등을 표시하며, 원료공급부(110), 세척수공급부(120), 냉각부(150), 교반부(160), 배출부(139) 등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표시부(190)는, 진행모드와 측정압력, 측정온도, 및 에러발생시 에러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엘시디(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각종 장치들의 동작 여부 등을 점등 또는 소등의 방식으로 표시하는 복수개의 램프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표시부(190)는 입력부(171)와 함께 일체로 구비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입력부(171)와 표시부(190)는 화면 터치를 통해 입력이 가능하고 화면을 통해 각종 장치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운전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운전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세척수 배출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원료공급부와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세척동작을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세척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제어모듈(170)의 입력부(171)를 조작하여 진행모드를 입력한다(S100).
이와 같이 입력부(171)를 통해 입력된 진행모드가 운전모드이면 운전동작을 수행하고(S200), 입력된 진행모드가 세척모드이면 세척동작을 수행한다(S300).
입력부(171)를 통해 입력된 진행모드가 운전모드인 경우, 표시부(190)를 통해 운전모드가 입력되었음이 화면 또는 램프를 통해 표시되고, 제어부(173)는 다음과 같이 원료를 냉각 및 교반하여 슬러시 거품을 형성하는 운전동작을 수행하도록 해당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S200).
도 5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71)를 조작하여 진행모드를 운전모드로 입력하면, 입력부(171)는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73)로 전송한다. 입력부(171)로부터 이러한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173)는 운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해당 장치들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73)는 드럼부(130)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기 전, 드럼부(130) 내부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배출부(139)와, 가압가스공급부(140) 및 교반부(160)의 동작을 제어한다(S210).
즉 제어부(173)는,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139)를 개방시키는 한편(S211), 드럼부(130) 내부에 가압가스를 공급함으로써(S213), 드럼부(130) 내부로부터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함께 교반스크류(161; 도 7 참조)가 회전되도록 교반부(160)를 동작시켜 줌으로써(S215), 세척수의 배출이 배출부(139)를 통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배출부(139)의 개방은 배출밸브(139b; 도 7 참조)가 배출구(139a;도 7 참조)를 개방시키도록 동작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압가스의 공급은, 제2가스공급밸브(146)가 개방되어 가압가스탱크(141)에 저장된 가압가스가 제2가스공급관(145; 도 7 참조)를 통해 내부드럼(131; 도 7 참조)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드럼(131) 내부로 공급되는 가압가스는, 내부드럼(131)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켜 내부드럼(131) 내부의 세척수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수는 세척동작 과정에서 드럼부(130) 내부의 세척을 완료한 후 다시 채워지는 세척수이며, 드럼부(130) 내부에 세척수가 채워져 있지 않은 경우 상기와 같은 세척수 배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73)는, 도 5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공급부(110)를 동작시켜 드럼부(130)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고, 냉각부(150)를 동작시켜 드럼부(130) 내부에 공급된 원료를 냉각시킨다(S220).
이를 위해 제어부(173)는, 제1가스공급밸브(144)를 개방하여 가압가스탱크(141) 내부의 가압가스가 제1가스공급관(143)을 통해 원료공급탱크(111)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원료공급탱크(111)에 저장된 원료가 원료공급탱크(111)로부터 공급될 수 있도록 원료공급탱크(111)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한편, 제1밸브(115)를 개방하여 원료공급탱크(111)의 원료가 제1연결관(113)을 통해 내부드럼(131) 내부의 체류공간(S)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내부드럼(131) 내부의 체류공간(S)에는 원료와 가압가스, 즉 생맥주와 탄산가스가 함께 공급되어 혼합된다.
이와 함께 제어부(173)는, 냉각부(150)를 동작시켜 드럼부(130)의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157)가 드럼부(130)의 내부를 냉각시키도록 함으로써, 체류공간(S)에 체류된 원료가 냉각되어 제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원료의 공급 및 냉각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어부(173)는 교반부(160)를 동작시켜 드럼부(130) 내부에 공급된 원료가 교반되도록 한다(S230).
이를 위해 제어부(173)는 직결구동부(163)를 동작시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처럼 동작되는 직결구동부(163)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은 구동축(165)을 통해 교반스크류(161)로 전달되어 교반스크류(16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교반스크류(161)는, 체류공간(S)에 체류되어 제빙되는 원료를 분쇄하며 저어줌으로써 액체와 고체의 중간 형태인 슬러시 거품이 생성되도록 하고, 생성된 슬러시 거품을 인출밸브(105) 측으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인출밸브(105)를 통한 슬러시 거품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직결구동부(163)와 교반스크류(161)를 일축으로 연결되어 교반스크류(161)가 직결 구동방식으로 구동되므로, 교반부(160)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어부(173)는 드럼부(130) 내부의 압력과 원료의 온도에 따라 원료공급부(110)와 냉각부(150)의 동작을 조절한다(S240). 이러한 원료공급부(110)와 냉각부(150)의 동작 조절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드럼부(130) 내부의 압력과 원료의 온도에 따라 원료공급부(110)와 냉각부(150)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5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압력측정부(181)를 통해 드럼부(13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압력을 산출하고(S241), 온도측정부(183)를 통해 드럼부(130)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온도를 산출한다(S242).
상기와 같이 측정압력과 측정온도가 산출되면, 제어부(173)는 측정압력에 따라 원료공급부(110)의 동작을 조절하고(S243,S245,S247), 측정온도에 따라 냉각부(150)의 동작을 조절한다(S244,S246,S248).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73)는 기설정된 자동충전시간동안 드럼부(130)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고, 드럼부(130) 내부에 원료가 공급되는 동안 압력측정부(181)를 통해 측정된 측정압력과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비교한다(S243).
이때 자동충전시간은 입력부(171)를 통해 미리 입력된 원료 공급 시간이며, 기준압력은 입력부(171) 등을 통해 미리 입력된 기준 압력값에 해당된다. 자동충전시간 및 기준압력은 드럼부(130)의 크기, 형상, 제조하고자 하는 슬러시 거품의 양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측정압력은 드럼부(130) 내부에 원료가 공급될수록 증가하게 된다.
측정압력과 기준압력을 비교하여 측정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으면 드럼부(130) 내부에 원료를 계속 공급하도록 가압가스공급부(140) 및 원료공급부(110)의 동작을 유지시키고(S245), 측정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이면 드럼부(130) 내부로의 원료 공급이 중단되도록 가압가스공급부(140) 및 원료공급부(11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247).
여기서 드럼부(130) 내부로의 원료 공급을 중단시키기 위한 가압가스공급부(140) 및 원료공급부(110)의 동작 정지는, 개방되어 있던 제1가스공급밸브(144)와 제1밸브(115)를 폐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3)는 온도측정부(183)를 통해 측정된 측정온도와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고(S244), 측정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으면 드럼부(130)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를 냉각시키도록 냉각부(150)의 동작을 유지시키며(S246), 측정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이면 드럼부(130)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에 대한 냉각이 중단되도록 냉각부(1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248).
이때 기준온도는 입력부(171) 등을 통해 미리 입력된 기준 온도값이며, 이 기준온도는 원료의 조성이나 상태, 제조하고자 하는 슬러시 거품의 온도, 질감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3)는 자동충전시간 동안 측정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이 될 때까지 원료의 공급이 지속되도록 하되, 자동충전시간에 도달한 시점에서도 측정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은 경우, 측정압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상압력경보가 표시부(190)를 통해 표시되도록 표시부(190)의 동작을 제어한다(S249).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190)에 표시된 이상압력경보를 통해 측정압력에 이상이 있음을 파악하고, 원료 공급에 이상이 있는지, 압력측정부(181)의 동작에 이상이 있는지, 또는 드럼부(130) 내부에 누설이 발생되었는지 여부 등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운전동작에 의해, 드럼부(130)의 내부에는 슬러시 거품이 생성된다. 즉 내부드럼(131) 내부의 체류공간(S)에는, 원료공급부(110)에 의해 공급된 생맥주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슬러시 거품으로 생성되고, 인출밸브(105) 개방시 인출밸브(105)를 통해 배출된다.
이처럼 인출밸브(105)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시 거품은, 인출밸브(105) 개방시 생맥주와 함께 배출될 수도 있고, 생맥주가 따라진 컵에 토핑 형태로 얹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슬러시 거품은, 생맥주가 따라진 컵의 상부에 얹혀져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 미려한 효과를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생맥주를 마시는 소비자에게 시원한 촉감을 오랫동안 제공할 수 있으며, 생맥주 고유의 청량감을 오랜 시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출밸브(105)를 통해 슬러시 거품이 배출되어 드럼부(13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본 실시예의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100)는, 상기한 운전동작(S200)을 반복하여 슬러시 거품이 배출된 만큼 슬러시 거품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71)를 통해 입력된 진행모드가 세척모드인 경우, 표시부(190)를 통해 세척모드가 입력되었음이 화면 또는 램프를 통해 표시되고, 제어부(173)는 다음과 같이 드럼부(130)를 세척하는 세척동작을 수행하도록 해당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S300).
먼저, 사용자가 입력부(171)를 조작하여 진행모드를 세척모드로 입력하면, 입력부(171)는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73)로 전송한다. 입력부(171)로부터 이러한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173)는 세척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해당 장치들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73)는 드럼부(130)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전, 드럼부(130) 내부에 잔재된 생맥주, 슬러시 거품 등과 같은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배출부(139)와, 가압가스공급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S310).
즉 제어부(173)는 배출부(139)를 개방시키는 한편, 드럼부(130) 내부에 가압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드럼부(130) 내부에 잔재된 내용물이 배출부(139)를 통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배출부(139)의 개방은 배출밸브(139b; 도 12 참조)가 배출구(139a; 도 12 참조)를 개방시키도록 동작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압가스의 공급은, 제2가스공급밸브(146)가 개방되어 가압가스탱크(141; 도 12 참조)의 가압가스가 제2가스공급관(145; 도 12 참조)을 통해 내부드럼(131)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드럼(131) 내부로 공급되는 가압가스는, 내부드럼(131)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켜 내부드럼(131) 내부의 잔여물이 내부드럼(131)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예로서, 드럼부(130) 내부에 잔재된 내용물의 배출은, 개폐커버부(137; 도 12 참조)를 개방하여 개방된 개방구를 통해 사용자가 드럼부(130) 내부의 잔여물을 직접 꺼냄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잔여물 배출 과정이 설정시간 동안 이루어져 내부드럼(131) 내부에서 잔여물이 배출되면, 도 5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공급부(120)를 동작시켜 드럼부(130)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한다(S320). 이러한 세척수 공급은, 제어부(173)의 동작 제어에 의해 제2밸브(125)가 개방되어 세척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제2연결관(123)을 통해 내부드럼(131)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어부(173)는 내부드럼(131)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교반부(160)를 동작시킴으로써 드럼부(130)를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330).
이때 제어부(173)는 개방되어 있던 제2가스공급밸브(146) 및 배출부(139)가 폐쇄되도록 그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직결구동부(163)를 동작시켜 교반스크류(161)가 회전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회전되는 교반스크류(161)는 내부드럼(131)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를 유동시켜 내부드럼(131) 및 교반스크류(161)의 표면에 잔재된 슬러시 거품이 헹구어지도록 함으로써, 드럼부(130)의 세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세척 작업이 이루어짐과 함께 설정시간 동안 세척수 공급이 이루어져 세척수 공급이 완료되면, 드럼부(130) 내부에 채워져 드럼부(130) 내부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출한다(S340).
이러한 세척수 배출 과정은 전술한 운전동작(S200)에서의 세척수 배출 과정(S2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드럼부(130) 내부의 세척을 위한 하나의 사이클이 완료되고, 이 사이클의 반복 횟수는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171)를 통해 그 반복 횟수를 임의로 입력함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설정 또는 입력된 반복 횟수만큼 드럼부(130) 내부의 세척이 완료되면, 배출부(139)를 폐쇄하고, 세척수공급부(120)를 동작시켜 드럼부(130) 내부에 세척수를 다시 채워줌으로써 세척동작을 완료한다(S350). 이러한 세척수 공급은 전술한 세척수 공급 과정(S320)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71)를 통해 입력된 진행모드가 정지모드인 경우, 표시부(190)를 통해 정지모드가 입력되었음이 화면 또는 램프를 통해 표시되고, 제어부(173)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10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S400).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가우면서도 부드러운 슬러시 거품을 제조하여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 미려한 효과를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생맥주를 마시는 소비자에게 시원한 촉감을 오랫동안 제공할 수 있으며, 생맥주 고유의 청량감을 오랜 시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은,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간단한 입력 조작만으로 슬러시 거품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기계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고 편리하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드럼부(130) 내부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으므로 드럼부(130)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번거롭고 힘든 작업 없이도 장치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 105 : 인출밸브
110 : 원료공급부 111 : 원료공급탱크
113 : 제1연결관 115 : 제1밸브
120 : 세척수공급부 121 : 세척수공급원
123 : 제2연결관 125 : 제2밸브
130 : 드럼부 131 : 내부드럼
131a : 제1주입구 131b : 제2주입구
131c : 제3주입구 133 : 외부드럼
135 : 직결커버 135a : 보스부
135b : 관통홀 135c : 베어링
137 : 개폐커버부 137a : 개방커버부
137b : 개폐도어부 137c : 투시창
138 : 실링부 139 : 배출부
140 : 가압가스공급부 141 : 가압가스탱크
143 : 제1가스공급관 144 : 제1가스공급밸브
145 : 제2가스공급관 146 : 제2가스공급밸브
151 : 압축기 153 : 응축기
155 : 팽창밸브 157 : 증발기
158 : 냉각자켓 159 : 냉매관
160 : 교반부 161 : 교반스크류
163 : 직결구동부 165 : 구동축
170 : 제어모듈 171 : 입력부
173 : 제어부 180 : 측정부
181 : 압력측정부 183 : 온도측정부
190 : 표시부
110 : 원료공급부 111 : 원료공급탱크
113 : 제1연결관 115 : 제1밸브
120 : 세척수공급부 121 : 세척수공급원
123 : 제2연결관 125 : 제2밸브
130 : 드럼부 131 : 내부드럼
131a : 제1주입구 131b : 제2주입구
131c : 제3주입구 133 : 외부드럼
135 : 직결커버 135a : 보스부
135b : 관통홀 135c : 베어링
137 : 개폐커버부 137a : 개방커버부
137b : 개폐도어부 137c : 투시창
138 : 실링부 139 : 배출부
140 : 가압가스공급부 141 : 가압가스탱크
143 : 제1가스공급관 144 : 제1가스공급밸브
145 : 제2가스공급관 146 : 제2가스공급밸브
151 : 압축기 153 : 응축기
155 : 팽창밸브 157 : 증발기
158 : 냉각자켓 159 : 냉매관
160 : 교반부 161 : 교반스크류
163 : 직결구동부 165 : 구동축
170 : 제어모듈 171 : 입력부
173 : 제어부 180 : 측정부
181 : 압력측정부 183 : 온도측정부
190 : 표시부
Claims (10)
-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 또는 상기 세척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체류되는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에 체류되는 원료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드럼부에서 냉각되는 원료를 교반하여 액체와 고체의 중간 형태인 슬러시 거품을 생성하거나 상기 드럼부에 체류되는 세척수를 유동시켜 상기 드럼부를 세척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진행모드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진행모드가 운전모드이면 원료를 냉각 및 교반하여 슬러시 거품을 형성하는 운전동작을 수행하고, 입력받은 진행모드가 세척모드이면 상기 드럼부를 세척하는 세척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입력받은 진행모드가 정지모드이면 상기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동작은,
상기 원료공급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냉각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를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교반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를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원료공급부와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공급부와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는,
압력측정부가 상기 드럼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압력을 산출하는 단계;
온도측정부가 상기 드럼부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온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압력에 따라 상기 원료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고, 상기 측정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동작은, 상기 원료공급부의 동작시간이 기설정된 자동충전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드럼부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원료공급부의 동작시간이 상기 자동충전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측정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드럼부 내부로의 원료 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원료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와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압력과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압력이 상기 기준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드럼부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측정압력이 상기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드럼부 내부로의 원료 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원료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동작은, 상기 자동충전시간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측정압력이 상기 기준압력보다 낮은 경우 압력이상경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와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온도와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드럼부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를 냉각시키고, 상기 측정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이하이면 상기 드럼부 내부에 체류되는 원료에 대한 냉각을 중단하도록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기 전, 상기 드럼부 내부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부 내부에 수용된 원료 또는 세척수의 배출을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부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드럼부 내부에 가압가스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동작은,
상기 세척수공급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 내부에 세척수를 채우는 단계;
상기 드럼부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상기 교반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드럼부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를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수공급부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 내부에 세척수를 다시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7950A KR101505162B1 (ko) | 2014-09-24 | 2014-09-24 |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7950A KR101505162B1 (ko) | 2014-09-24 | 2014-09-24 |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5162B1 true KR101505162B1 (ko) | 2015-03-25 |
Family
ID=5302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7950A KR101505162B1 (ko) | 2014-09-24 | 2014-09-24 |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516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0653B1 (ko) | 2018-12-13 | 2019-02-20 | 지구환 | 생맥주 공급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27792A (ja) * | 1997-10-31 | 1999-05-18 | Sanyo Electric Co Ltd | 冷菓製造装置 |
KR20020035803A (ko) * | 2002-04-16 | 2002-05-15 | 최은오 |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세척장치 |
JP4159523B2 (ja) * | 2004-08-12 | 2008-10-01 | 三洋電機株式会社 | 冷菓製造装置 |
KR101278641B1 (ko) * | 2010-12-22 | 2013-06-25 | 한국기계연구원 | 아이스크림 제조 장치의 자동 세척 장치 및 방법 |
-
2014
- 2014-09-24 KR KR1020140127950A patent/KR1015051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27792A (ja) * | 1997-10-31 | 1999-05-18 | Sanyo Electric Co Ltd | 冷菓製造装置 |
KR20020035803A (ko) * | 2002-04-16 | 2002-05-15 | 최은오 |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세척장치 |
JP4159523B2 (ja) * | 2004-08-12 | 2008-10-01 | 三洋電機株式会社 | 冷菓製造装置 |
KR101278641B1 (ko) * | 2010-12-22 | 2013-06-25 | 한국기계연구원 | 아이스크림 제조 장치의 자동 세척 장치 및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0653B1 (ko) | 2018-12-13 | 2019-02-20 | 지구환 | 생맥주 공급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13203B2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RU2501076C2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создания рецепта напитка для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й системы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и перемешивания/смешивания ингредиентов напитка | |
KR102237595B1 (ko)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
CA2983303C (en) | Frozen food product dispensing machine including mixing manifold | |
EP2772713B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CN100434846C (zh) | 快速冷却包装饮料的方法和设备 | |
CN106885442A (zh) | 冰箱及其控制方法 | |
CN104543309A (zh) | 用于生产和分发冰淇淋等的带有综合显示器的机器 | |
KR101389547B1 (ko) |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 |
KR20150094122A (ko)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505162B1 (ko) | 생맥주용 슬러시 거품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 |
CN105486000A (zh) | 冰箱及其控制方法 | |
CN105486015A (zh) | 冰箱及其控制方法 | |
JP6807697B2 (ja) | 発泡性飲料供給装置及び発泡性飲料供給方法 | |
JP2004298016A (ja) | 飲料製造装置および飲料製造方法 | |
JP5513845B2 (ja) | 炭酸水生成装置 | |
JP2006271221A (ja) | 冷菓製造装置 | |
KR20130100671A (ko) | 아이스크림 제조 장치 및 그의 아이스크림 투출 제어 방법 | |
US11992863B2 (en) | Automated cleaning for ice making unit | |
CN219048080U (zh) | 物联网智能整体包装饮料冷藏即热摇摆混合直饮一体机 | |
JP4386596B2 (ja) | 冷菓製造装置 | |
JP2005127698A (ja) | 自動製氷機及び冷蔵庫 | |
JP2024121257A (ja) | 飲料供給装置 | |
JP2005114198A (ja) | 製氷皿及び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 |
JP2001169730A (ja) | ディスペン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