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547B1 -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547B1
KR101389547B1 KR1020130065710A KR20130065710A KR101389547B1 KR 101389547 B1 KR101389547 B1 KR 101389547B1 KR 1020130065710 A KR1020130065710 A KR 1020130065710A KR 20130065710 A KR20130065710 A KR 20130065710A KR 101389547 B1 KR101389547 B1 KR 101389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ft beer
beer
slush
drum
d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식
강성하
최은석
최경문
조효성
Original Assignee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5Froth control promo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43Mixing devices for liquids
    • B67D1/0044Mixing devices for liquids for mixing inside the dispensing nozzle
    • B67D1/0046Mixing chambers
    • B67D1/0047Mixing chambers with movable parts, e.g. for sti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11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04Cool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는, 맥주탱크에 저장된 생맥주가 대기로부터 밀폐된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며, 공급된 상기 생맥주를 교반하여 외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교반부와, 밀폐된 상기 교반부의 내부공간을 기설정된 제빙온도로 냉각시켜, 교반되는 상기 생맥주에 액체와 고체의 중간 형태인 슬러쉬 거품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부 및, 상기 맥주탱크에 탄산가스(CO2)를 공급하여, 상기 맥주탱크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이용해 상기 생맥주를 상기 교반부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하는 탄산가스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SLUSH FOAM GENERATOR FOR DRAFT BEER}
본 발명은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상태에서 생맥주를 냉각 및 교반을 통해 냉각된 생맥주에 슬러쉬 거품을 추가해 줌으로써, 생맥주 교유의 청량감을 오랜 시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맥주 영업점 등에서는 생맥주 냉각기를 이용해 탄산가스가 혼합된 생맥주를 냉각시킨 상태로 취출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생맥주 냉각기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냉각탱크와, 상기 냉각탱크의 내부에 코일 형태로 배치되어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 코일과, 상기 냉각탱크의 냉각수를 교반시켜 냉각수와 냉각 코일의 열교환을 향상시키는 교반기와, 상기 냉각 코일에서 냉각된 맥주를 인출할 수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냉각 코일은 냉각탱크를 관통하여 냉각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 코일의 내부에는 맥주통(KEG)과 같은 생맥주 저장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생맥주 저장용기에서 토출된 생맥주가 유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생맥주 냉각기는 인출밸브를 통해 취출되는 생맥주의 상부에 거품만이 형성되므로, 생맥주의 고유한 청량감을 오랜 시간 유지시키기 어려웠다.
그리고, 생맥주 교반용 냉각탱크의 내부가 대기로부터 완전 밀폐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맥주 거품의 품질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생맥주의 고유한 청량감을 오랜 시간 유지시킴과 아울러 생맥주 거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40746호(등록일: 2001년07월2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생맥주 냉각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된 상태에서 생맥주를 냉각 및 교반을 통해 냉각된 생맥주에 슬러쉬 거품을 추가해 줌으로써, 생맥주 교유의 청량감을 오랜시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도가 높고 잠열이 많은 슬러쉬 거품과 생맥주를 혼합 및 반죽함으로써, 시원하면서도 품질이 좋은 슬러쉬 형태의 생맥주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는, 맥주탱크에 저장된 생맥주가 대기로부터 밀폐된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며, 공급된 상기 생맥주를 교반하여 외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교반부와, 밀폐된 상기 교반부의 내부공간을 기설정된 제빙온도로 냉각시켜, 교반되는 상기 생맥주에 액체와 고체의 중간 형태인 슬러쉬 거품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부 및, 상기 맥주탱크에 탄산가스(CO2)를 공급하여, 상기 맥주탱크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이용해 상기 생맥주를 상기 교반부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하는 탄산가스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교반부는 외부드럼과, 상기 외부드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맥주탱크로부터 상기 생맥주가 공급되는 내부드럼과, 상기 내부드럼의 내부공간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상기 생맥주를 교반시키는 교반 스크류 및, 자성체를 이용해 상기 교반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드럼의 외주는 상기 외부드럼의 내주와 이격 위치되어 간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부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전달되는 냉매가스를 응축시켜, 외부로 열을 방출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전달되는 냉매가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내부드럼의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스를 증발 및 순환시켜 상기 내부드럼에 공급된 생맥주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부드럼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권취되는 배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부드럼의 두께 내에 유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드럼과 상기 내부드럼은 스테인레스(Stainless)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드럼에는 상기 생맥주와 슬러쉬 거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생맥주와 슬러쉬 거품의 배출을 개폐시키는 인출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부와 상기 교반부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전방에 상기 인출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인출밸브의 하부에는 잔여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부에는 상기 교반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냉각부의 냉각 온도를 기설정된 제빙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냉각용량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밀폐된 상태에서 생맥주를 냉각 및 교반을 통해 냉각된 생맥주에 슬러쉬 거품을 추가해 줌으로써, 생맥주 교유의 청량감을 오랜 시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점도가 높고 잠열이 많은 슬러쉬 거품과 생맥주를 혼합 및 반죽함으로써, 시원하면서도 품질이 좋은 슬러쉬 형태의 생맥주를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에서 교반기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에서 교반 스크류와 구동모터 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에서 증발기를 내부드럼에 유로 형태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에서 교반기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에서 교반 스크류와 구동모터 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는 교반부(100)와, 냉각부(200) 및, 탄산가스 공급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교반부(100)는 도 2에 상세히 도시한 것처럼 맥주탱크(KEG, 10)로부터 공급되는 생맥주(11)가 밀폐된 내부공간에 공급된다.
즉, 상기 교반부(100)는 별도의 외기 유입 없이 밀폐된 상태에서 탄산가스(CO2)를 포함하는 생맥주(11)가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기 교반부(100)는, 생맥주(11)를 교반하며, 교반시 일정 량으로 생성되는 생맥주(11)와 슬러쉬 거품(12)을 외부에 선택적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슬러쉬 거품(12)은 생맥주(11)의 일부분이 제빙 및 분쇄되어 생성되며, 액체와 고체의 중간 형태로 생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교반부(100)는 외부드럼(110)과, 내부드럼(120)과, 교반 스크류(130) 및, 구동모터(140)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드럼(120)과 맥주탱크(10)를 연결시키기 위한 제1연결배관(13)이 거 구비될 수 있다.
외부드럼(110)은, 후술 될 하우징(6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공간이 밀폐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내부드럼(120)은, 외부드럼(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공간이 밀폐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내부드럼(120)은, 외부드럼(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맥주탱크(10)에 저장된 생맥주(11)가 제1연결배관(13)을 통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드럼(120)과 전술한 외부드럼(110)은 스테인레스(Stainless)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드럼(120)의 외주는 전술한 외부드럼(110)의 내주와 이격 위치되어 간격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부(150)는, 외부드럼(110)과 내부드럼(120)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내부드럼(120)의 냉기가 외부로 쉽게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드럼(100)에는 생맥주(11)와 슬러쉬 거품(12)을 위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11)에는 생맥주(11)와 슬러쉬 거품(12)의 배출을 개폐시키기 위한 인출밸브(16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11)는 생맥주(11)와 슬러쉬 거품(12)을 배출시키기 위해, 외부드럼(110)의 내부공간과 외부드럼(120)을 통해 외부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인출밸브(160)는, 생맥주(11)와 슬러쉬 거품(12)의 배출을 개방 및 차단시키기 위한 레버가 설치될 수 있다.
교반 스크류(130)는, 내부드럼(120)의 내부공간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공급된 생맥주(11)를 교반시킨다.
이때, 상기 교반 스크류(130) 회전시 후술 될 냉각부(200)에 의해 냉각된 생맥주(11) 중 일부가 제빙 및 분쇄되므로 슬러쉬 거품(12)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교반 스크류(130)는 생맥주(11)와 이에 포함된 슬러쉬 거품(12)을 후술 될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교반 스크류(130)는 중심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비어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교반 스크류(130)는 나선형 스크류 날만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 스크류(130)의 축 방향 일단은 후술 될 구동모터(140)의 구동축과 결합되고, 타단은 내부드럼(120)의 일측 벽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교반 스크류(130)의 축 방향 일단에는 후술 될 구동모터(140)의 구동축과 암수로 결합되는 회전자(13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자(131)는, 내부드럼(120)의 일측 벽면에 인접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140)는, 전술한 외부드럼(110)의 축 방향 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교반 스크류(13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축은 교반 스크류(130)의 회전축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도 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40)는 자성체를 이용해 교반 스크류(130)의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축에는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속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자성체는 제1자력부재(132) 및, 제2자력부재(14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력부재(132)는, 교반 스크류(130)의 회전축에 하나 또는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제2자력부재(141)는 구동모터(140)의 구동축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자력부재(132)와 제2자력부재(141)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자력부재(132)와 제2자력부재(141)는 각각 N극과 S극이 교차로 구비되어 자기력을 형성시킨다.
즉, 구동모터(140)의 구동축에 설치된 제2자력부재(141)가 회전하는 경우, 교반 스크류(130)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1자력부재(132)의 자극(N극, S극)이 교차하여 연동 회전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40)의 전원과 후술 될 냉각부(2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스위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냉각부(200)는, 프레온 같은 냉매의 기화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교반부(100)의 내부공간에 냉기를 공급한다.
즉, 상기 냉각부(200)는 교반부(100)의 내부공간에서 교반 스크류(130)에 의해 교반되는 생맥주(11)를 기설정된 제빙온도로 냉각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부(200)는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팽창밸브(230) 및, 증발기(240)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팽창밸브(230)와, 증발기(240) 및, 교반부(100)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배관(250)들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압축기(210)는 냉매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압축시킨 후 연결배관(250)을 따라 순환시킨다.
응축기(220)는, 압축기(210)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스가 제2연결배관(250)을 통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응축기(220)는 압축기(210)로부터 전달되는 냉매가스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열을 방출시킨다.
이와 같은, 응축기(220)에는 외부로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송풍팬(221)이 구비될 수 있다.
팽창밸브(230)는, 제2연결배관(250) 상에 하나 또는 다수로 설치되어, 응축기(220)로부터 전달되는 냉매가스를 팽창시킨다.
증발기(240)는, 내부드럼(120)의 외주에 설치되며, 팽창밸브(230)를 통과한 냉매가스를 증발 및 순환시켜 내부드럼(120)에 공급된 생맥주(11)를 냉각시킨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240)는 내부드럼(12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권취되는 배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증발기(240)는 내부드럼(120)의 외주에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내부드럼(120)의 냉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증발기(240)는 도 4에 에서처럼 내부드럼(120)의 두께 내에 유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증발기(240)가 내부드럼(120)의 두께 내에 형성되므로, 내부드럼(12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 생맥주(11)를 좀 더 근접한 위치에서 냉각할 수 있다.
전술한 제2연결배관(250)은, 응축기(220)의 출측과 증발기(240)의 입측을 연결하고, 상기 증발기(240)의 출축과 압축기(210)의 입측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210)의 출측과 응축기(220)의 입측을 연결하고, 팽창밸브(230)와 상기 구성들을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연결배관(250) 상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개폐밸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축기(220)로부터 전달되는 냉매가스는 증발기(240)로 공급되며, 증발기(240)를 통해 공급된 냉매가스는 압축기(210)를 통해 응축기(220)로 순환된다.
한편, 전술한 냉각부(200)와 교반부(100)는 도 1에서처럼 함 체 형상을 갖는 하우징(600)의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0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함 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600)의 전방에는 전술한 인출밸브(16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600)의 전방에는 상기 인출밸브(16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생맥주(11) 잔여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610)가 더 형성된다.
한편, 냉각부(200)에는 온도센서(400) 및, 냉각용량 제어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400)는, 내부드럼(1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온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400)는 내부드럼(120)의 내부공간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400)는 전술한 교반 스크류(130)의 회전축 내에 수평하게 설치할 수 있으나, 상기 온도센서(400)의 설치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냉각용량 제어부(500)는, 온도센서(400)의 온도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냉각부(200)의 냉각 온도를 기설정된 제빙온도로 유지시킨다.
즉, 내부드럼(120)의 내부 온도를 기설정된 제빙온도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생맥주(11)와 슬러쉬 거품(12)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맥주(11)와 슬러쉬 거품(12)의 온도와, 상기 슬러쉬 거품(12)의 생성 량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원하는 상태의 생맥주(11)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용량 제어부(500)는 온도센서(400)의 온도 감지신호가 기설정된 제빙온도에 미달하는 경우, 냉각부(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용량 제어부(500)는 온도센서(400)의 온도 감지신호가 기설정된 제빙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냉각부(200)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탄산가스 공급부(300)는, 맥주탱크(10)에 탄산가스(CO2)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 차이를 이용해 맥주탱크(10)에 저장된 생맥주(11)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300)는 내부에 탄산가스(CO2)가 일정 압력으로 저장되는 압력 탱크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산가스 공급부(300)에서 맥주탱크(10)의 내부로 탄상가스를 공급하는 경우, 맥주탱크(1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이를 이용해 생맥주(11)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맥주탱크(10)에서 배출되는 생맥주(11)는 제1연결배관(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술한 내부드럼(1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다.
이하,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의 구동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탄산가스 공급부(300)의 입구를 개방시켜 탄산가스 공급 상태로 전환 시킨 후, 전원 스위치를 이용해 냉각부(200)와 교반부(100)를 구동시킨다.
이때, 맥주탱크(10)의 생맥주(11)가 내부드럼(120)으로 공급되며, 교반 스크류(130)의 회전에 의해 생맥주(11)가 내부드럼(120)의 내부에서 교반된다.
이 상태에서는, 내부드럼 내에서 교반되는 생맥주(11)는 일정 온도로 냉각이 이루어지고, 생맥주(11) 상에는 슬러쉬 거품(12)이 생성된다.
이후, 사용자가 수용부(610)의 상부에 맥주잔(1)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인출밸브(160)를 개방시, 인출밸브(160)를 통해 생맥주(11)와 슬러쉬 거품(12)이 함께 배출된다.
이때, 맥주잔(1)에 담긴 생맥주(11)의 상부에는 슬러쉬 거품(12)이 위치되는데, 상기 슬러쉬 거품(12)은 맥주잔(1)의 15~30% 정도로 채워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밀폐된 상태에서 생맥주(11)를 냉각 및 교반을 통해 냉각된 생맥주(11)에 슬러쉬 거품(12)을 추가해 줌으로써, 생맥주(11) 교유의 청량감을 오랜 시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점도가 높고 잠열이 많은 슬러쉬 거품(12)과 생맥주(11)를 혼합 및 반죽함으로써, 소비자는 시원하면서도 품질이 좋은 슬러쉬 형태의 생맥주를 즐길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맥주잔 10: 맥주탱크
11: 생맥주 12: 슬러쉬 거품
13: 제1연결배관 100: 교반부
110: 외부드럼 111: 배출구
120: 내부드럼 130: 교반 스크류
131: 회전자 132: 제1자력부재
140: 구동모터 141: 제2자력부재
150: 간격부 160: 인출밸브
200: 냉각부 210: 압축기
220: 응축기 221: 송풍팬
230: 팽창밸브 240: 증발기
250: 제2연결배관 300: 탄산가스 공급부
400: 온도센서 500: 냉각용량 제어부
600: 하우징 610: 수용부

Claims (10)

  1. 맥주탱크에 저장된 생맥주가 대기로부터 밀폐된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며, 공급된 상기 생맥주를 교반하여 외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교반부;
    밀폐된 상기 교반부의 내부공간을 기설정된 제빙온도로 냉각시켜, 교반되는 상기 생맥주에 액체와 고체의 중간 형태인 슬러쉬 거품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부; 및
    상기 맥주탱크에 탄산가스(CO2)를 공급하여, 상기 맥주탱크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이용해 상기 생맥주를 상기 교반부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하는 탄산가스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에는,
    상기 교반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냉각부의 냉각 온도를 기설정된 제빙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냉각용량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외부드럼과,
    상기 외부드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맥주탱크로부터 상기 생맥주가 공급되는 내부드럼과,
    상기 내부드럼의 내부공간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상기 생맥주를 교반하는 교반 스크류 및,
    자성체를 이용해 상기 교반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드럼의 외주는,
    상기 외부드럼의 내주와 이격 위치되어 간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전달되는 냉매가스를 응축시켜, 외부로 열을 방출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전달되는 냉매가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내부드럼의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스를 증발 및 순환시켜 상기 내부드럼에 공급된 생맥주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부드럼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권취되는 배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부드럼의 두께 내에 유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드럼과 상기 내부드럼은,
    스테인레스(Stainless)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드럼에는,
    상기 생맥주와 슬러쉬 거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생맥주와 슬러쉬 거품의 배출을 개폐시키는 인출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와 상기 교반부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전방에 상기 인출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인출밸브의 하부에는 잔여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10. 삭제
KR1020130065710A 2013-06-10 2013-06-10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KR101389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710A KR101389547B1 (ko) 2013-06-10 2013-06-10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710A KR101389547B1 (ko) 2013-06-10 2013-06-10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547B1 true KR101389547B1 (ko) 2014-04-29

Family

ID=5065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710A KR101389547B1 (ko) 2013-06-10 2013-06-10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5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560B1 (ko) 2014-06-11 2016-05-12 고선욱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70060797A (ko) 2015-11-25 2017-06-0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맥주 거품 방지 장치
KR20180059125A (ko)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캠프런 거품 터짐 방지 및 세척 기능이 통합된 커플러
KR101936844B1 (ko) * 2018-01-23 2019-01-11 한평식 식품 교반 장치
WO2020191221A1 (en) * 2019-03-21 2020-09-24 Taylor Commercial Foodservice, Llc Frozen beverage machine
KR20210066107A (ko) * 2019-11-28 2021-06-07 정성욱 살얼음맥주 생성수단을 구비한 생맥주 인출장치
KR102314234B1 (ko) 2020-09-08 2021-10-19 이정민 거품을 억제하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649A (ko) * 2011-06-23 2013-01-03 오규환 냉매 순환 실린더를 구비하는 슬러시 제조기
JP2013014382A (ja) * 2011-06-07 2013-01-24 Kirin Brewery Co Ltd 爽快な泡の穀類分解物含有発泡性飲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4382A (ja) * 2011-06-07 2013-01-24 Kirin Brewery Co Ltd 爽快な泡の穀類分解物含有発泡性飲料
KR20130000649A (ko) * 2011-06-23 2013-01-03 오규환 냉매 순환 실린더를 구비하는 슬러시 제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560B1 (ko) 2014-06-11 2016-05-12 고선욱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70060797A (ko) 2015-11-25 2017-06-0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맥주 거품 방지 장치
KR20180059125A (ko)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캠프런 거품 터짐 방지 및 세척 기능이 통합된 커플러
KR101936844B1 (ko) * 2018-01-23 2019-01-11 한평식 식품 교반 장치
WO2020191221A1 (en) * 2019-03-21 2020-09-24 Taylor Commercial Foodservice, Llc Frozen beverage machine
KR20210066107A (ko) * 2019-11-28 2021-06-07 정성욱 살얼음맥주 생성수단을 구비한 생맥주 인출장치
KR102344165B1 (ko) 2019-11-28 2021-12-27 정성욱 살얼음맥주 생성수단을 구비한 생맥주 인출장치
KR102314234B1 (ko) 2020-09-08 2021-10-19 이정민 거품을 억제하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547B1 (ko) 생맥주용 슬러쉬 거품 발생장치
EP2590515B1 (en) Machine for producing and dispensing products such as ice creams, granita or frozen beverages
US7596964B2 (en) Refrigerator with supercooled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213345A (ja) 飲料供給装置
US20080156000A1 (en) Ic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ice
US6830239B1 (en) Semi-frozen food product carbonator
JP2003042612A (ja) 製氷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冷凍冷蔵庫
US20110120163A1 (en) Semi-Frozen Product Dispenser
JP5338299B2 (ja) 飲料供給装置
JP2008101833A (ja) 飲料供給装置の温水タンク
KR101502287B1 (ko) 수평 드럼형 제빙 장치
KR20150142288A (ko)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91799B1 (ko) 슬러시 제조장치
US9381476B2 (en) Drink dispenser
JP2007255828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130040711A (ko) 에코얼음팩
JP2017003239A (ja) 製氷機
JP5024210B2 (ja) 冷媒冷却回路
JP3804309B2 (ja) フローズン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456604Y1 (ko) 음료 냉각기
KR20060120876A (ko) 슬러쉬 공급장치
KR20200113340A (ko) 커피 및 맥주 빙수 생성장치
KR101269434B1 (ko) 냉각 공기 공급구조를 갖는 아이스크림의 냉각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아이스크림 제조 장치
KR101778468B1 (ko) 복합 아이스크림 제조장치
US11918009B2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one or more incorporated features for making ice cr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