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711B1 -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711B1
KR101174711B1 KR1020120030402A KR20120030402A KR101174711B1 KR 101174711 B1 KR101174711 B1 KR 101174711B1 KR 1020120030402 A KR1020120030402 A KR 1020120030402A KR 20120030402 A KR20120030402 A KR 20120030402A KR 101174711 B1 KR101174711 B1 KR 101174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frame
lifting means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상백
김복자
Original Assignee
호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상백 filed Critical 호상백
Priority to KR102012003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1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용기가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면서 가열, 냉각, 응고, 포장 과정을 모두 수행하도록 하여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작 단가를 상대적으로 낮추고, 부피를 상대적으로 축소시키며,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SECUTIVELY MOVING WHOLE SOYBEAN CURD}
본 발명은 전두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나의 용기가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면서 가열, 냉각, 응고, 포장 과정을 모두 수행하도록 하도록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래식 두부는 콩을 수침하여 불리고, 불린 콩을 분쇄한 후 두유(콩물)를 제조하고, 두유에 응고제를 투입하여 순두부를 만들고, 이러한 순두부를 압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재래식 두부는 콩의 수침시에 콩에 함유된 유기산, 당 및 수용성 단백질이 용해된 물이 폐기처리되며, 부산물로 비지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비지에는 당질과 식이섬유, 단백질, 올리고당, 이소플라본(isoflavone) 등 다량의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는바,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경우 경제적 측면과 영양적 측면에서 많은 손실이 발생한다.
한편, 대두로 두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사용된 물의 처리가 문제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대두 미세분말을 물에 녹여 두유를 만들고, 이를 가열하여 익힌 후 응고제를 가하여 그대로 응고시켜 제조되는 전두부이다. 전두부는 일반적인 두부에 비하여 콩의 팽윤시간이 단축되고 재료가 절감되며, 일부 공정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양의 폐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전두부 제조방법은 전두부는 콩 미세분말을 이용하여 두유를 제조한 후 열처리와 응고제의 첨가에 의해서 포장 용기 안에서 두부 겔을 형성시킨 제품으로, 기존의 두부 제조에 비해서 가공 공정의 간소 및 경제성이 있으며, 다양한 부 원료가 첨가된 다양한 전두부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전두부 제조를 위한 제조장치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859703호(전두부 제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두부 제조장치는 연수기(15)와 냉각유니트(45)를 구비하여 냉각수를 간접냉각하여 순환시키는 상자형 구조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연수기(15)와 연결관(22)으로 연결되어 연속공정을 수행하는 복수의 교반기(2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전기방식으로 구동되고, 상기 교반기(20)와 연결되어 일면 또는 양면에 지그재그형 유로가 연통되는 가열기(30); 상기 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열기(30)와 연결되어 벽체의 공간으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이중통(52)과, 이중통(52)의 상단에 설치되는 교반모터(55)를 구비하는 응고기(50); 및 상기 교반기(20), 가열기(30), 응고기(50)간의 펌프(40)를 단속하여 설정된 모드로 공정을 진행하도록 설치되는 제어기(80)로 구성된다.
이외에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1-0117942호, 등록특허공보 10-858026호 등 다수가 개발되어 출원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두부 제조장치는 각 공정에 따른 용기가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각 용기를 배관을 통해 연결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단가가 상승되고, 부피가 커지며, 세척과 같은 유지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용기가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면서 가열, 냉각, 응고, 포장 과정을 모두 수행하도록 하여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작 단가를 상대적으로 낮추고, 부피를 상대적으로 축소시키며,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광센서가 배열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내부에 콩가루와 물인 원료가 채워지고, 상기 컨베이어 상에 놓여지고, 상기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용기와; 상기 프레임에서 승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원료를 교반시킴과 동시에 가열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후단인 상기 프레임에서 승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원료를 교반 및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의 후단인 상기 프레임에서 승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로 응고제를 투입하여 원료를 교반 및 응고시키는 응고부와; 상기 응고부의 후단인 상기 프레임에서 승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원료를 교반 및 정량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포장하는 포장부; 및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하여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고, 상기 용기의 이동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전두부를 제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는 상기 포장부의 하단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부에서 포장된 후 배출되어 낙하되는 제품을 공급받아 응고시키는 열탕조와; 상기 열탕조와 이웃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열탕조에서 가열되어 응고된 제품을 냉각시키는 냉탕조를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1승하강 수단과; 상기 제 1승하강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승하강 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제 1커버와; 상기 제 1커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1교반기와; 상기 제 1커버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열원 수단과; 상기 제 1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 상승되면 배출시키는 안전 밸브와; 상기 제 1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계; 및 상기 제 1커버의 내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제 1오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열원 수단은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915㎒ 또는 2450㎒의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발생기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열원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가열된 열매체유를 순환시키는 순환 코일이 상기 제 1커버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상기 용기의 원료를 가열시키는 열매체가열기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열원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히팅 코일이 상기 제 1커버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상기 용기의 원료를 가열시키는 전기 히터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냉각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2승하강 수단과; 상기 제 2승하강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승하강 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제 2커버와; 상기 제 2커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2교반기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 코일이 상기 제 2커버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상기 용기의 원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제 2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계; 및 상기 제 2커버의 내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제 2오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응고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3승하강 수단과; 상기 제 3승하강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3승하강 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제 3커버와; 상기 제 3커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3교반기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내부에 응고제가 저장된 응고제 저장탱크와; 상기 응고제 저장탱크와 관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3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로 정량의 응고제를 투입시키는 응고제 정량 투입기와; 상기 제 3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 3온도계; 및 상기 제 3커버의 내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제 3오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배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4승하강 수단과; 상기 제 4승하강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4승하강 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제 4커버와; 상기 제 4커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4교반기와; 상기 제 4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로 원료를 정량으로 배출시키는 정량 배출기; 및 상기 제 4커버의 내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제 4오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 내지 제 4승하강 수단은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용기가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면서 가열, 냉각, 응고, 포장 과정을 모두 수행하도록 하여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작 단가를 상대적으로 낮추고, 부피를 상대적으로 축소시키며,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중 가열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중 냉각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중 응고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중 배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중 가열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중 냉각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중 응고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구성중 배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100)는 컨베이어(110)와, 프레임(120)과, 용기(130)와, 가열부(140)와, 냉각부(150)와, 응고부(160)와, 배출부(170)와, 포장부(180)와, 열탕조(190)와, 냉탕조(200) 및 제어부(210)로 이루어진다.
먼저, 컨베이어(110)는 통상의 회전 구조로 하기에서 설명할 용기(130)를 이송시키고, 다수개의 광센서(111)가 배열된다.
그리고, 프레임(120)은 컨베이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각 구성부가 설치된다.
또한, 용기(130)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차폐하도록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단턱(131)이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면에 원료가 고착되지 않도록 표면에 테프론, 다이아몬드와 같은 코팅면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용기(130)는 컨베이어(110) 상에 놓여지고, 컨베이어(110)의 회전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 가열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승하강 수단(141)과, 제 1커버(142)와, 제 1교반기(143)와, 열원 수단(144)과, 안전 밸브(145)와, 제 1온도계(146)와, 제 1오링(147)으로 구성된다.
제 1승하강 수단(141)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서 1개 이상이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이때, 유압 또는 공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탱크(미도시)와 펌프(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승하강 수단(141)은 하기에서 설명할 제 1커버(142)와 결합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완충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 1커버(142)는 용기와 동일 재질로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 외주연에 용기의 단턱(131)과 결합되는 제 1결합턱(142a)이 형성되며, 제 1승하강 수단(141)에 설치되어 제 1승하강 수단(141)에 의해 하강되어 용기와 결합되어 용기를 밀폐시킨다. 이때, 제 1커버(142)는 제 1승하강 수단(141)과 결합을 위해 상단에 제 1체결턱(142b)이 돌출 형성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제 1교반기(143)와, 열원 수단(144)과, 안전 밸브(145) 및 제 1온도계(146)의 설치를 위하여 대응위치에 홀(142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교반기(143)는 통상의 교반기로서 제 1커버(142)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제 1교반기(143)의 임펠러 표면에는 원료가 고착되지 않도록 테프론, 다이아몬드와 같은 코팅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원 수단(144)은 마이크로 웨이브, 열매체유, 전기로 열을 발생한다. 이때, 열원 수단(144)은 도 1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웨이브 발생기로서 제 1커버(142)에 설치되어 915㎒ 또는 2450㎒의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생하여 용기(130) 내부의 원료를 100℃로 가열시킨다. 또한, 열원 수단(144)은 도 2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매체가열기 또는 전기 히터로서 프레임(120)에 설치되고, 가열된 열매체유를 순환시키는 순환 코일 또는 히팅 코일(144a)이 제 1커버(142)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용기(130)의 원료를 100℃로 가열시킨다. 한편, 순환 코일 또는 히팅 코일은 원료가 열에 의해 고착되지 않도록 표면에 테프론, 다이아몬드와 같은 코팅면이 형성된다. 또, 열원 수단(144)이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경우 열교환기를 설치할 수도 있고, 순환 코일 또는 히팅 코일(144a)은 제 1커버(142)의 하단으로 배출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부가 제 1승하강 수단(141)의 승하강에 대응되도록 길이 가변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 밸브(145)는 제 1커버(142)에 설치되어 용기(130)의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 상승되면 배출시킨다.
제 1온도계(146)는 제 1커버(142)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13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제 1온도계(146)는 탐침이 용기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이거나 적외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형태이다.
제 1오링(147)은 마이크로 웨이브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금속 또는 금속이 함유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일반 합성수지 재질로 제 1커버(142)의 제 1결합턱(142a) 내측에 설치된다.
한편, 냉각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승하강 수단(151)과, 제 2커버(152)와, 제 2교반기(153)와, 냉각기(154)와, 제 2온도계(155)와, 제 2오링(156)으로 구성된다.
제 2승하강 수단(151)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서 가열부(140)의 제 1승하강 수단(141)의 후단에서 1개 이상이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이때, 제 2승하강 수단(151)은 제 2커버(152)와 결합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완충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 2커버(152)는 용기(130)와 동일 재질로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 외주연에 용기의 단턱(131)과 결합되는 제 2결합턱(152a)이 형성되며, 제 2승하강 수단(151)에 설치되어 제 2승하강 수단(151)에 의해 하강되어 용기(130)와 결합되어 용기(130)를 밀폐시킨다. 이때, 제 2커버(152)는 제 2승하강 수단(151)과 결합을 위해 상단에 제 2체결턱(152b)이 돌출 형성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제 2교반기(153)와, 냉각기(154)와, 제 2온도계(155)의 설치를 위하여 대응위치에 홀(152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교반기(153)는 통상의 교반기로서 제 2커버(152)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제 2교반기(153)의 임펠러 표면에는 원료가 고착되지 않도록 테프론, 다이아몬드와 같은 코팅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기(154)는 통상의 소형 코일 냉각기로서, 프레임(120)에 설치되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 코일(154a)이 제 2커버(152)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용기(130)의 원료를 냉각시킨다. 이때, 냉각 코일(154a)은 제 2교반기(153)와 간섭이 없도록 큰 지름을 가지며, 내부에 제 2교반기(153)의 임펠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냉각 코일(154a)은 원료가 고착되지 않도록 표면에 테프론, 다이아몬드와 같은 코팅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기(154)는 열교환기를 설치할 수도 있고, 냉각 코일(154a)은 제 2커버(152)의 하단으로 배출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부가 제 2승하강 수단(151)의 승하강에 대응되도록 길이 가변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커버(142)의 하단으로 배출된 순환 코일 또는 히팅 코일(144a)을 제외하고, 상단에는 제 1승하강 수단(141)의 승하강에 대응되도록 길이 가변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온도계(155)는 제 2커버(152)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13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제 2온도계(155)는 탐침이 용기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이거나 적외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형태이다.
제 2오링(156)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 2커버(152)의 제 2결합턱(152a)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응고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승하강 수단(161)과, 제 3커버(162)와, 제 3교반기(163)와, 응고제 탱크(164)와, 응고제 정량 투입기(165)와, 제 3온도계(166)와, 제 3오링(167)으로 구성된다.
제 3승하강 수단(161)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서 응고부(160)의 제 2승하강 수단(151)의 후단에서 1개 이상이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이때, 제 3승하강 수단(161)은 제 3커버(162)와 결합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완충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 3커버(162)는 용기(130)와 동일 재질로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 외주연에 용기(130)의 단턱(131)과 결합되는 제 3결합턱(162a)이 형성되며, 제 3승하강 수단(161)에 설치되어 제 3승하강 수단(161)에 의해 하강되어 용기(130)와 결합되어 용기(130)를 밀폐시킨다. 이때, 제 3커버(162)는 제 3승하강 수단(161)과 결합을 위해 상단에 제 3체결턱(162b)이 돌출 형성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제 3교반기(163)와, 응고제 정량 투입기(165)와, 제 3온도계(166)의 설치를 위하여 대응위치에 홀(162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교반기(163)는 통상의 교반기로서 제 3커버(162)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제 3교반기(163)의 임펠러 표면에는 원료가 고착되지 않도록 테프론, 다이아몬드와 같은 코팅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고제 저장탱크(164)는 프레임(120)에 설치되고, 내부에 응고제가 저장된다.
응고제 정량 투입기(165)는 응고제 저장탱크(164)와 관로를 통해 연결되고, 제 3커버(162)에 설치되어 용기(130) 내부로 정량의 응고제를 투입시킨다. 여기에서, 응고제는 전두부를 제조할 시 사용되는 통상의 응고제이다.
제 3온도계(166)는 제 3커버(162)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13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제 3온도계(166)는 탐침이 용기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이거나 적외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형태이다.
제 3오링(167)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 3커버(162)의 제 3결합턱(162a)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배출부(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승하강 수단(171)과, 제 4커버(172)와, 제 4교반기(173)와, 정량 배출기(174)와, 제 4온도계(175)와, 제 4오링(176)으로 구성된다.
제 4승하강 수단(171)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서 배출부(170)의 제 4승하강 수단(171)의 후단에서 1개 이상이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이때, 제 4승하강 수단(171)은 제 4커버(172)와 결합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완충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 4커버(172)는 용기(130)와 동일 재질로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 외주연에 용기의 단턱(131)과 결합되는 제 4결합턱(172a)이 형성되며, 제 4승하강 수단(171)에 설치되어 제 4승하강 수단(171)에 의해 하강되어 용기(130)와 결합되어 용기(130)를 밀폐시킨다. 이때, 제 4커버(172)는 제 4승하강 수단(171)과 결합을 위해 상단에 제 4체결턱(172b)이 돌출 형성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제 4교반기(173)와, 정량 배출기(174)와, 제 4온도계(175)의 설치를 위하여 대응위치에 홀(172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교반기(173)는 통상의 교반기로서 제 4커버(172)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제 4교반기(173)의 임펠러 표면에는 원료가 고착되지 않도록 테프론, 다이아몬드와 같은 코팅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량 배출기(174)는 제 4커버(172)에 설치되어 원료를 정량으로 배출시킨다.
제 4온도계(175)는 제 4커버(172)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13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제 4온도계(175)는 탐침이 용기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이거나 적외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형태이다.
제 4오링(176)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 4커버(172)의 제 4결합턱(172a) 내측에 설치된다.
또, 포장부(180)는 통상의 구조로 포장 용기(181)가 자동 공급장치(182)에서 이송용 컨베이어(183)의 케이스(184)에 안치된 후, 이송용 컨베이어(183)의 이동으로 이송해 가면서, 포장롤 공급기(185)에서 공급되는 포장용 필름과 압착 포장기(186)에 의해서 포장된 후 커팅기(187)에서 커팅된 다음 배출되는 구성이다.
한편, 열탕조(190)는 포장부(180)의 하단 측면에 설치되고, 온수가 내부에 채워져 포장부(180)에서 포장된 후 배출되어 자유 낙하되는 제품을 공급받아 응고시킨다. 여기에서, 열탕조(190)는 온수를 투입하거나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히터 등을 이용하여 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냉탕조(200)는 열탕조(190)의 후단에 설치되고, 냉수가 내부에 채워져 열탕조(190)에서 가열되어 응고된 제품을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공급받아 냉각시켜 제품을 완성한다. 여기에서, 냉탕조(200)는 냉수를 투입하거나 또는 냉각기를 이용하여 물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특히 컨베이어(110)를 제어하여 용기(130)를 컨베이어(110)에 설치된 광센서(111)를 통해 가열부(140)와, 냉각부(150)와, 응고부(160)와, 배출부(17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용기(130)의 이동에 따라 각 구성부를 승하강시키면서 원료를 교반, 가열, 냉각, 응고, 배출시킨다. 여기에서, 제어부(210)는 포장부(180)를 제어하여 제품이 포장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어부(210)는 각종 버튼이 구비된 조작 패널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100)는 컨베이어(110)의 길이를 짧게 유지하게 위하여 가열부(140)와, 냉각부(150)의 구성을 하나의 커버에 모두 설치하고, 응고부(160)와, 배출부(170)를 다른 하나의 커버에 모두 설치하며, 중복되는 구성인 승하강 수단, 교반기, 온도계, 오링을 가열과 냉각 또는 응고와 배출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용기(130)가 이동되어 가열과 냉각이 첫 번째 스텝에서 모두 이루어지고, 응고와, 배출이 두 번째 스텝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동 거리가 짧아지고, 공정 진행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컨베이어(110)의 정위치에 용기(130)를 설치하고, 내부에 원료를 투입시킨다.
준비가 완료되어 작업자가 각 구성부에 전원을 투입하고, 제어부(210)를 통해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210)는 컨베이어(110)를 동작시키고, 광센서(111)를 통해 용기(130)를 가열부(14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킨 후 대응되는 위치에 이송되면 컨베이어(110)의 동작을 멈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40)의 제 1승하강 수단(141)을 하강시켜 제 1커버(142)가 용기(130)를 밀폐시키도록 한다. 이때, 제 1교반기(143)의 임펠러가 용기(130) 내부로 삽입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210)는 열원 수단(144)을 제어하여 용기(130) 내부의 원료가 가열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제 1교반기(143)를 회전시켜 원료가 골고루 가열되도록 한다. 도 11은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는 열원 수단(144)을 도시하였고, 열매체유 또는 전기를 이용하는 경우 순환 코일 또는 히팅 코일(144a)이 용기(130) 내부로 투입되어 원료를 가열시킨다. 이때, 용기(130)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게 되면 안전 밸브(145)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폭발의 위험을 방지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 1온도계(146)를 통해 원료의 온도가 100℃로 상승되면, 제 1교반기(143)와, 열원 수단(144)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제 1승하강 수단(141)을 승강시켜 제 1커버(142)와 용기(130)를 분리시킨다. 이때, 제어부(210)는 제 1온도계(146)를 통해 원료의 온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제어부(210)는 컨베이어(110)를 동작시키고, 광센서(111)를 통해 용기(130)를 냉각부(15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킨 후 대응되는 위치에 이송되면 컨베이어(110)의 동작을 멈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150)의 제 2승하강 수단(151)을 하강시켜 제 2커버(152)가 용기(130)를 밀폐시키도록 한다. 이때, 제 2교반기(153)의 임펠러와 냉각기(154)의 냉각 코일(154a)이 용기(130) 내부로 삽입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210)는 냉각기(154)를 제어하여 냉각 코일(154a)로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제 2교반기(153)를 회전시켜 원료가 냉각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 2온도계(155)를 통해 원료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로 냉각되면, 제 2교반기(153)와, 냉각기(154)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제 2승하강 수단(151)을 승강시켜 제 2커버(152)와 용기(130)를 분리시킨다. 이때, 제어부(210)는 제 2온도계(155)를 통해 원료의 온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어부(210)는 컨베이어(110)를 동작시키고, 광센서(111)를 통해 용기(130)를 응고부(16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킨 후 대응되는 위치에 이송되면 컨베이어(110)의 동작을 멈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고부(160)의 제 3승하강 수단(161)을 하강시켜 제 3커버(162)가 용기(130)를 밀폐시키도록 한다. 이때, 제 3교반기(163)의 임펠러와 응고제 정량 투입기(165)의 투입관이 용기(130) 내부로 삽입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210)는 응고제 정량 투입기(165)를 통해 응고제 저장탱크(164)에 저장된 응고제를 용기(130)로 투입하고, 이와 동시에 제 3교반기(163)를 회전시켜 원료가 응고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응고제를 투입후 기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카운팅이 완료되면, 제 3교반기(163)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제 3승하강 수단(161)을 승강시켜 제 3커버(162)와 용기(130)를 분리시킨다. 이때, 제어부(210)는 제 3온도계(166)를 통해 원료의 온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제어부(210)는 컨베이어(110)를 동작시키고, 광센서(111)를 통해 용기(130)를 배출부(17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킨 후 대응되는 위치에 이송되면 컨베이어(110)의 동작을 멈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2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170)의 제 4승하강 수단(171)을 하강시켜 제 4커버(172)가 용기(130)를 밀폐시키도록 한다. 이때, 제 4교반기(173)의 임펠러와 정량 배출기(174)의 토출관이 용기(130) 내부로 삽입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210)는 정량 배출기(174)를 통해 용기(130)의 원료를 포장부(180)의 이송용 컨베이어(183)의 케이스(184)에 안치된 포장 용기(181)로 배출하고, 이와 동시에 제 4교반기(173)를 회전시켜 원료를 교반시킨다. 이때, 제어부(210)는 정량 배출기(174)의 배출을 카운팅하여 용기(130)의 원료가 모두 소진되면 제 4교반기(173)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제 4승하강 수단(171)을 승강시켜 제 4커버(172)와 용기(130)를 분리시켜 1사이클의 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 4온도계(175)를 통해 원료의 온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다시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포장부(180)를 제어하여 배출부(170)에서 포장 용기(181)로 원료가 배출되면 이송용 컨베이어(183)를 이동시키면서 압착 포장기(185)로 포장용 필름을 포장 용기(181) 상부에 포장한 후 커팅하여 배출한다.
계속해서, 포장부(180)에서 배출되어 자유 낙하되는 제품은 열탕조(190)로 투입되어 응고되고, 응고가 완료되면 작업자에 의해 냉탕조(200)에 투입되어 냉각되어 제품을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100)는 자동으로 운전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 운전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컨베이어 120 : 프레임
130 : 용기 140 : 가열부
150 : 냉각부 160 : 응고부
170 : 배출부 180 : 열탕조
200 : 냉탕조 210 : 제어부

Claims (10)

  1. 전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광센서가 배열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내부에 콩가루와 물인 원료가 채워지고, 상기 컨베이어 상에 놓여지고, 상기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용기와;
    상기 프레임에서 승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원료를 교반시킴과 동시에 가열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후단인 상기 프레임에서 승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원료를 교반 및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의 후단인 상기 프레임에서 승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로 응고제를 투입하여 원료를 교반 및 응고시키는 응고부와;
    상기 응고부의 후단인 상기 프레임에서 승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원료를 교반 및 정량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포장하는 포장부; 및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하여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고, 상기 용기의 이동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전두부를 제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는,
    상기 포장부의 하단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부에서 포장된 후 배출되어 낙하되는 제품을 공급받아 응고시키는 열탕조와;
    상기 열탕조와 이웃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열탕조에서 가열되어 응고된 제품을 냉각시키는 냉탕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1승하강 수단과;
    상기 제 1승하강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승하강 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제 1커버와;
    상기 제 1커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1교반기와;
    상기 제 1커버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열원 수단과;
    상기 제 1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 상승되면 배출시키는 안전 밸브와;
    상기 제 1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계; 및
    상기 제 1커버의 내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제 1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수단은,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915㎒ 또는 2450㎒의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가열된 열매체유를 순환시키는 순환 코일이 상기 제 1커버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상기 용기의 원료를 가열시키는 열매체가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히팅 코일이 상기 제 1커버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상기 용기의 원료를 가열시키는 전기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2승하강 수단과;
    상기 제 2승하강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승하강 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제 2커버와;
    상기 제 2커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2교반기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 코일이 상기 제 2커버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상기 용기의 원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제 2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계; 및
    상기 제 2커버의 내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제 2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3승하강 수단과;
    상기 제 3승하강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3승하강 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제 3커버와;
    상기 제 3커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3교반기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내부에 응고제가 저장된 응고제 저장탱크와;
    상기 응고제 저장탱크와 관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3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로 정량의 응고제를 투입시키는 응고제 정량 투입기와;
    상기 제 3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 3온도계; 및
    상기 제 3커버의 내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제 3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4승하강 수단과;
    상기 제 4승하강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4승하강 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제 4커버와;
    상기 제 4커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4교반기와;
    상기 제 4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로 원료를 정량으로 배출시키는 정량 배출기; 및
    상기 제 4커버의 내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제 4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승하강 수단은,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KR1020120030402A 2012-03-26 2012-03-26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KR10117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02A KR101174711B1 (ko) 2012-03-26 2012-03-26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02A KR101174711B1 (ko) 2012-03-26 2012-03-26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711B1 true KR101174711B1 (ko) 2012-08-17

Family

ID=4688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402A KR101174711B1 (ko) 2012-03-26 2012-03-26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735A (ko) * 2018-03-15 2019-09-25 (주)광동플랜트 식자재 자동 구이 장치
KR102589380B1 (ko) * 2022-11-02 2023-10-12 김성욱 두부팩 살균용 두부팩 컨테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59Y1 (ko) 2002-06-12 2002-08-30 김건우 전두부 제조장치
KR100829460B1 (ko) 2007-05-02 2008-05-16 백두대간조합공동사업법인 전두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59Y1 (ko) 2002-06-12 2002-08-30 김건우 전두부 제조장치
KR100829460B1 (ko) 2007-05-02 2008-05-16 백두대간조합공동사업법인 전두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735A (ko) * 2018-03-15 2019-09-25 (주)광동플랜트 식자재 자동 구이 장치
KR102028188B1 (ko) * 2018-03-15 2019-10-04 (주)광동플랜트 식자재 자동 구이 장치
KR102589380B1 (ko) * 2022-11-02 2023-10-12 김성욱 두부팩 살균용 두부팩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3061B1 (en)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and dispensing liquid, semi-liquid and/or semi-solid food products
KR101162297B1 (ko) 전두유 및 전두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CN106853680B (zh) 一种旋转式3d打印头
KR101174711B1 (ko) 연속 이동식 전두부 제조장치
CN110667032B (zh) 一种生产封盖用注塑设备
JPH03211025A (ja) 粘稠材料の射出装置
US20020112612A1 (en) Cooking machine
CN208275342U (zh) 一种恒温超声波样品溶解装置
CN219291370U (zh) 一种缩合反应釜
KR20160028708A (ko) 고무성형 프레스시스템
CN111047786A (zh) 自动化食物蒸煮贩卖一体机
CN211594995U (zh) 一种凝胶剂灌装机
CN207670706U (zh) 一种汤料定量灌装系统
KR101387167B1 (ko)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US101131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oap
KR102049346B1 (ko) 통두부 자동화 제조 장치
CN110477427B (zh) 一种米粉制备一体机
CN208624531U (zh) 一种出料冷却的果品预煮锅
CN218281614U (zh) 一种新型混合调配罐
KR20170105209A (ko) 열 보유액 충전장치
CN206043280U (zh) 一种豆腐成型生产线
CN213463800U (zh) 一种甜面酱生产加工系统
CN218025383U (zh) 一种温度可控的灌装设备
CN219249853U (zh) 流动式咖啡饮料智能制作自动售卖机器
CN220442920U (zh) 一种灭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