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693B1 - 침몰선 탱크 내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는 플랜트 - Google Patents

침몰선 탱크 내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는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693B1
KR101386693B1 KR1020077014363A KR20077014363A KR101386693B1 KR 101386693 B1 KR101386693 B1 KR 101386693B1 KR 1020077014363 A KR1020077014363 A KR 1020077014363A KR 20077014363 A KR20077014363 A KR 20077014363A KR 101386693 B1 KR101386693 B1 KR 10138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tank
plant
lin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606A (ko
Inventor
쟝-뤽 다비
Original Assignee
지엘엠데 에꼴로직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엠데 에꼴로직 그룹 filed Critical 지엘엠데 에꼴로직 그룹
Publication of KR20070086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16Apparatus engaging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06Emptying the contents of sunken, stranded, or disabled vessels, e.g. by engaging the vessel; Underwater collecting of buoyant contents, such as liquid, particulate or gaseous contents, escaping from sunken vessels, e.g. using funnels, or tents for recovery of escaping hydrocarb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1624Destructible or deformable element controlled
    • Y10T137/1632Destructible element
    • Y10T137/1692Rupture dis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1624Destructible or deformable element controlled
    • Y10T137/1632Destructible element
    • Y10T137/1692Rupture disc
    • Y10T137/1744Specific weakening poi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54Closed circulating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348Tank with internally extending flow guide, pipe or conduit
    • Y10T137/86372Inlet internally extending

Abstract

본 발명은, 갑판(2)에 고정된 다수의 도관(5)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도관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침몰선이 얹혀 있는 위치에 따라 가압된 물을 탱크 내로 주입하는 수단 또는 오염 유체를 탱크 밖으로 배출하는 수단을 구성할 수 있는, 침몰선(1)의 하나 이상의 탱크(4)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기 위한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부가 탱크의 각 상부 코너 근처에서 들어갈 수 있고 제2 단부는 침몰선의 내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도관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랜트, 침몰선, 구조선, 갑판, 탱크, 도관

Description

침몰선 탱크 내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는 플랜트{PLANT FOR RECOVERING A POLLUTING FLUID CONTAINED IN THE TANKS OF A SUNKEN VESSEL}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침몰선의 탱크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기 위한 플랜트와 다른 한편으로는 이 플랜트에 사용되는 특정 도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염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이 파손되는 사건이 잇따르고 있는데, 인바이런먼트 테크놀로지컬 그룹(Environment Technological Group)의 이름으로 그리고 발명자는 미스터.다비(Mr. DABI)로 지정되어 출원된 특허출원 WO 02/057131이 좌초된 선박의 탱크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기 위한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복구 시스템은 침몰선의 각 탱크 내에 격실(compartment)을 포함하고 있고, 이 격실은 다수의 유동라인과 침몰선에서 배출될 수 있는 유동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격실에 대해, 이 시스템은 오염 유체를 배출하는 라인을 포함하고 있고, 이 라인은 탱크에 연결된 제1 단부와 유동요소에 연결된 제2 단부를 갖고 있다. 유동 요소가 부착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이 제2 단부는 침몰선으로부터 충분이 멀리 끌어당겨질 수 있다. 각 격실에 대해, 이 시스템은 또한 흡입 라인과 주입 라인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라인은 모두 배출 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들 라인에는 탱크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의 표면에 떠있는 개개의 제1 단부와 탱크의 바닥에 배치된 무거운 제1 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각 격실에 대해, 이 시스템은 연결 라인을 포함하고 있고, 이 연결 라인은 표면에서 구조선으로부터 뻗어나오며, 한편으로는 배출 라인의 제2 단부에 밀어서 끼워지는 제1 단부와 다른 한편으로는 구조선에 설치된 펌프에 연결된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작동시, 가압된 물이 주입 라인을 통해 구조선으로부터 탱크의 바닥으로 주입된다. 오염 유체는 흡입 라인과 배출 라인 및 연결 라인을 통해 구조선에 전송된다.
그러나 이 복구 시스템은 선박이 침몰하였을 때 탱크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격실에 외부에서 접근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을 갖고 있다. 또 다른 단점은, 선박이 건조될 때 탱크 내에 이러한 격실을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을지라도, 반대로 이미 만들어진 선박에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사실이다. 나아가, 격실이 탱크 내부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하는 문제와 안전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 시스템에서는 한편으로는 탱크 밖으로 배출 라인의 제2 단부를 끄집어 내야 하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는 주입 라인의 제2 단부를 표면으로 끌어내야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결 라인과 배출 라인을 접속하는 것이 비교적 복잡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압력하에서 주입되는 물의 밀도가 오염 유체의 밀도 보다 크기 때문에 주입 라인의 제2 단부에 무게를 더할 필요가 없다.
특허출원 FR 03.00044는, 가압된 물을 일련(run)의 탱크 내로 주입하는 수단과 일련의 탱크 외부로 오염 유체를 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구조선으로부터 나오는 하나 이상의 연결 라인이 배출 수단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는 플랜트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 플랜트는, 다수의 고정된 라인을 포함하고, 각 고정된 라인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고정된 라인은, 그 제1 단부가 적어도 각각의 일련의 탱크의 단부 코너에서 개방되도록, 그리고 제2 단부가 각각 한편으로는 침몰선의 수위(waterline) 위에 고정된 격실에 수용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침몰선 외부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 밸브에 부착되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된 라인은, 각 침몰선이 내려가 있는 위치에 따라, 가압된 물을 일련의 탱크 내로 주입하는 수단 또는 오염 유체를 일련의 탱크로부터 배출시키는 수단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밸브를 포함하고 있는 각각의 격실은 침몰선의 수위 보다 위에 있기 때문에, ROV(수중 원격 작동 차량) 또는 잠수부가 훨씬 쉽게 이 격실에 접근하여 연결 및 작동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격실이 선박의 갑판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 존재하는 선박에 설치하는 것은 비교적 쉬우며, 밀봉과 안전에 관련된 문제들도 해결될 수 있다. 또한, 한편으로는 고정된 라인의 단부가 횡단하는 일련의 탱크의 단부에 있는 각 코너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고정된 라인이 제2 단부에서 밸브에 연결되어 있다면, 가압된 물이 구조선으로부터 도입될 수 있도록 주입 라인의 단부 중 하나를 표면까지 가지고 가는 것을 더 이상 생각할 필요가 없게 된다. 사실, ROV 또는 잠수부는 필요시 선박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이러한 격실 내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밸브를 직접 개방한다. 따라서 이러한 밸브와 관련된 고정된 라인은 입구 라인으로 작용하고, 유체정역학의 압력 상태에 있는 해수가 상기 밸브를 통해 몰려 들어오고 그 후 각각의 고정된 라인을 따라 흐르고 마지막으로는 탱크의 횡단 라인 내로 들어간다. 해수는 오염 유체보다 밀도가 크기 때문에, 오염 유체가 해수에 의해 횡단하는 일련의 탱크의 최상부 지점 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이 오염 유체는 배출 라인으로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라인으로 들어가게 되며, 고정된 라인의 제1 단부는 횡단하는 일련의 탱크의 제일 끝에 있는 단부 코너에 있다. 그 후 오염 유체는 관련 격실 쪽으로 고정된 라인을 따라 배출되고, 그리고 나서 구조선이 놓여 있는 표면 쪽으로 고정된 배출 라인의 제2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 라인을 따라 배출되고, 마침내 구조선에 장착된 펌프를 이용하여 연결 라인으로부터 구조선의 탱크 쪽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랜트가 앞서 언급한 목적을 완전히 따른다고 해도, 고정된 라인 때문에 탱크를 청소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점이 첫 번째 단점이 된다. 구체적으로, 탱크는 보통 탱크 중앙에 있는 모터구동식 장치를 이용하여 탱크를 형성하는 벽에 대해 액체를 분사함으로써 청소된다. 이 경우, 고정된 라인은 탱크의 특정 영역을 가리는 스크린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고정된 라인의 내부를 청소하는 것 자체도 비교적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오염의 위험을 간과할 수 없는 오염 화학제품을 운반하는 선박의 경우에 심각하게 받아들여진다.
또한, 적합한 금속 라인을 결합시키는 것은, 수많은 성형 작업이 필요하고, 이러한 작업은 비용면에서 큰 반향을 초래한다. 또한, 시작부터 구조적으로, 밸브 폐쇄/개방 시스템을 포함하는 격실을 합체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비싸기도 하고 실시하는 것도 어렵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플랜트는 선박이 내려간 위치에 상관없이 오염 유체가 복구되는 경우 라인 및 고려해야할 관련 격실의 총수가 크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비교적 비용이 높다. 그래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일 낮은 곳에 있는 선박 시나리오에 대해 해결책을 제공하지만 전체 비용이 더 낮은 단순화된 플랜트를 제안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침몰선의 갑판에 고정된 다수의 도관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도관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침몰선이 아래로 내려간 위치에 따라 가압된 물을 탱크 내로 주입하는 수단 또는 오염 유체를 탱크 밖으로 배출하는 수단을 구성할 수 있는, 침몰선의 하나 이상의 탱크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기 위한 플랜트에 있어서, 제1 단부는 탱크의 각 상부 코너 근처에서 개방되고 제2 단부는 침몰선의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도관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랜트는, 최초에 선박에 합체된 요소들은 그 수가 적고 단순한 짧은 도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매우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선박이 내려간 위치에 따라, 필요한 것은 적절히 탱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길다란 관형 바늘이 특별 공구를 이용하여 선박의 갑판으로부터 적절한 도관을 통과하여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이다.
만일 선박의 용골이 약간 아래로 내려가 있다면, 이 관형 바늘은 관형 바늘 및 특별 공구 내에 있는 밸브 세트가 개방되거나 닫혔을 때 가압된 물을 탱크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다른 도관 중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의해 오염 유체가 복구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적절한 밸브 세트를 구비하는 특별 공구를 이용하여 구조선에 연결된 복구 라인에 연결될 것이다.
선박의 용골이 약간 내려가 있다면, 이 관형 바늘은 오염 유체를 복구하게 될 것이고 이를 위해 적절한 밸브 세트를 구비하는 특별 공구를 이용하여 구조선에 연결된 복구 라인에 연결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도관들에 의해 가압된 물은 적절한 밸브 세트를 구비하는 특별 공구를 이용하여 탱크의 가장 낮은 부분에 주입될 수 있다.
명백하게, 선박이 아래로 내려간 구조에 따라, 다수의 길다란 관형 바늘을 삽입하거나 다수의 복구 라인을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결과, 이와 같은 플랜트는 탱크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어떤 길다란 요소를 더 이상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게다가, 선박이 좌초되는 경우에만 격실이 갖는 기능을 플랜트에 연결된 특별 공구에 포함시킴으로써, 선박의 수선(waterline) 위에 위치된 격실에 의존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플랜트는 구조선이 선박의 갑판 위에 있고 도관에 접근할 수 없을 때 작동하지 않고 또한 선박이 이런 위치로 내려가는 것은 비교적 드문 일이라는 것은 사실이지만, 선박이 아래로 내려갈 수 있는 다른 위치를 모두 다룰 수 있고, 이것은 탱크의 각 상부 코너 근처에 하나씩 놓여 있는 단지 네 개의 짧은 도관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사실이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도관 위에는 선박의 갑판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플랜지가 있다. 이 플랜지에 의해 선박이 좌초된 경우 부착되는 특별 공구에 더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플랜지는 적어도 하나의 파열 디스크에 의해 천공된다. 선박이 좌초되면, 상기 부착되는 특별 공구에 파열 디스크를 파열할 수 있는 파열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파열 디스크는 거의 원형인 취약선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파열 디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할 수 있는 보호판으로 덮혀 있고, 이 보호판은 각각 파열 디스크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도관은 거의 관 형태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세한 설명을 보면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횡단하는 일련의 탱크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가 장착된 선박의 평면도.
도 2는 용골(keel)의 일부가 생략되어 있는, 측면이 아래로 내려간 위치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사시도.
도 3은 선박에 장착되는 도관의 절개 사시도.
도 4는 오염 유체를 복원하는 동안 용골이 아래로 내려간 선박의 두 탱크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오염 유체를 복원하는 동안 측면이 아래로 내려간 선박의 두 탱크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오염 유체를 복원하는 동안 갑판이 아래로 내려간 선박의 두 탱크에 대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연결지점을 개방하고 가압된 유체를 탱크 내로 집어넣기 위해 제1 특별 공구가 부착된 도관의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연결지점을 개방하고 오염 유체를 복원하기 위해 제2 특별 공구가 부착된 도관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이용되는 또 다른 유형의 탱크의 사시도.
도 1은 갑판(2)을 구비한 선박(1)을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으로서, 갑판은 오염 유체(30)를 담고 있는 평행 육면체이며 가로로 배열되어 있는 탱크로서, 다섯 개의 열(3)로 이루어진 탱크(4)를 덮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각각의 탱크(4)는 네 개의 짧은 도관(5)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도관은 갑판(2)을 통과하고 또한 각각의 도관은 탱크(4)의 네 개의 코너 중 한 코너에서 개방된 제1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도관(5)은 원형 취약선(9)을 포함하는 파열 디스크(8)에 의해 그리고 보호판(10)에 의해 연속적으로, 블랭크-오프(blank off) 플랜지(7)의 형태로 상부에서 종결되는 거의 관모양인 관부분(6)을 포함하고 있다. 파열 디스크(8)는 예를 들어 외주부 주위에 배치된 볼트(40)를 이용하여 플랜지(7)에 고정되어 있고, 보호판(10)은 예를 들어 외주부 주위 전체를 둘러싸고 배치된 볼트(11)를 이용하여 파열 디스크(8)에 고정되어 있고, 볼트(40)는 볼트(11)로부터 각도상으로 약 30°정도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플랜지(7)와 파열 디스크(8) 및 보호판(10)으로 형성된 조립체는 선박(1)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제2 단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볼트(40)는 너트(도시 안됨)가 그 단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7)로부터 튀어나온 섕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파열 디스크(8)와 보호판(10)으로 형성된 하위조립체는 단순히 너트를 돌려서 풀어버림으로써 플랜지(7)와 분리될 수 있다.
선박(1)이 침몰되어 바다(13)의 바닥(12) 위에 놓이게 되면, 구조선(14)은 선박의 위치를 파악하여 선박(1) 위에 거의 수직으로 배치된다.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선박(1)이 균형을 유지한 채로 내려가 있 고 바다의 바닥(12)은 거의 수평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긴 관형 바늘(15)이 제일 낮은 지점에 도달하도록 각 탱크(4)의 도관(5) 중 한 도관을 통해 삽입되어 있다. 또한, 탱크(4)의 제일 높은 부분과 연결되어 통하도록 구조선(14)에 연결된 복구 라인(16)이 다른 도관(5)에 연결되어 있다. 다수의 관형 바늘(15) 및/또는 다수의 복구 라인(16)이 동일한 탱크(4)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관형 바늘(15)은 아래와 같이 연결된 도관(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먼저, 잠수부나 수중 로보트가 보호판(10)을 제거한다. 그 다음에, 수중 로보트는 제1 클램핑 턱 세트(도시 안됨)를 이용하여 개방된 제1 밸브(17)를 플랜지(7)에 연결시킨다. 제1 특별 공구(19)가 제2 클램핑 턱 세트(도시 안됨)를 이용하여 수중 로보트에 의해 제1 밸브(17)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 특별 공구(19)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처음에는 물러서 있는 위치에 있는 모터식 파열 부재(20)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이러한 파열 부재(20)가 개방된 제1 밸브(17)를 통과하면, 파열 부재에 의해 파열 디스크(8)는 취약선(9)을 따라 파열된다. 그리고 나서 파열 부재(20)는 뒤로 물러서 있는 위치로 다시 올라가게 되고, 그런 다음 제1 밸브(17)는 닫힌다. 따라서, 도관(5)은 일단 다시 봉인되고, 가압된 물이 탱크(4)에 즉시 들어가지 않게 하면서 제1 특별 공구(19)는 분리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관형 바늘(15)의 단부는 도관(5)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일단 제1 밸브(17)가 개방되면 관형 바늘(15)은 탱크(4)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관형 바늘(15)에는 처음에는 닫혀 있는 제2 밸브(2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관형 바늘(15)을 탱크(4) 내에 삽입하는 단계에서는 가압된 물이 탱크(4) 내로 들어갈 수 없다.
일단 관형 바늘(15)이 탱크(4)의 최저점에 도달하도록 정확하게 삽입되었다면, 복구 라인(16)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관련된 도관(5)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이전 처럼, 잠수부 또는 수중 로보트는 무엇보다도 먼저 보호판(10)을 제거한다. 그 다음에 수중 로보트는 제1 클램핑 턱 세트(도시 안됨)를 통해서 개방 제1 밸브(17)를 플랜지(7)에 연결시킨다. 그 다음에 제2 특별 공구(24)가 제2 클램핑 턱 세트(도시 안됨)를 이용하여 수중 로보트에 의해 제1 밸브(17)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2 특별 공구(24)는 직접 복구 라인(16)에 연결되고,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처음에 뒤로 물러나 있는 위치에 있는 모터식 파열 부재(20)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이러한 파열 부재(20)에 의해 취약선(9)을 따라 파열 디스크(8)가 파열되고, 파열 부재는 개방된 제1 밸브(17)를 통과한다. 그 후 파열 부재(20)는 뒤로 물러난 위치 내로 다시 올라간다.
필요한 것은, 가압된 물이 탱크(4)의 최저점으로 들어가도록 관형 바늘(15)의 제2 밸브(21)가 개방되는 것이고, 이것으로 인해 오염 유체(30)가 복구 라인(16)을 따라 올라가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파열 부재(20)가 파열 디스크(8)를 파열시킨 후에만 복구 라인(16)을 제2 특별 공구(24)에 연결시켜 그 뒤로 물러난 외치로 돌아가게 할 수 있다.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나리오에서, 선박(1)은 두 측면 중 한 측면이 아래로 내려가 있다. 최소 시간으로 오염 유체(30)를 최대로 복구하기 위해서, 복구 라인(16)을 탱크(4)의 가장 높은 지점에 놓여 있는 도관(5)에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선박(1)은 갑판(2)이 다소 아래쪽을 향하도록 내려가 있으며 바다의 바닥(12)이 거의 수평이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고, 긴 관형 바늘(15)은 탱크의 최상부 지점에 도달하도록 각 탱크(4)의 도관(5)들 중 하나의 도관 내로 삽입된다. 또한, 구조선(14)에 연결된 복구 라인(16)은 관형 바늘(15)에 연결되어 있다. 여러 세트의 관형 바늘(15)/복구 라인(16)이 동일한 탱크(4)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앞에서와 같이, 관형 바늘(15)은 아래와 같이 관련된 도관(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첫 번째로, 잠수부 또는 수중 로보트는 보호판(10)을 제거한다. 다음에, 수중 로보트는 제1 클램핑 턱 세트(도시 안됨)를 통해 개방된 제1 밸브(17)를 플랜지(7)에 연결시킨다. 그 후 제1 특별 공구(19)가 제2 클램핑 턱 세트(도시 안됨)를 이용하여 수중 로보트에 의해 제1 밸브(17)에 연결된다. 이 제1 특별 공구(19)는 처음에 뒤로 물러선 위치에서 모터식 파열 부재(20)를 포함하고 있다. 그 후 이 파열 부재(20)가 개방 제1 밸브(17)를 통과하게 되면서 취약선(9)을 따라 파열 디스크(8)가 파열된다. 파열 부재(20)는 뒤로 물러선 위치로 다시 올라가고, 제1 밸브(17)는 닫힌다. 따라서 도관(5)은 일단 다시 밀봉되고, 가압된 물이 탱크(4) 내로 즉시 들어가게 하지 않으면서 제1 특별 공구(19)를 분리시킬 수 있다.
관형 바늘(15)의 단부는 도관(5)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제1 밸브(17)가 일단 개방되면 관형 바늘(15)은 완전히 탱크(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관형 바늘(15)에는 처음에 닫혀 있는 제2 밸브(21)가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관형 바늘(15)을 탱크(4) 내로 삽입하는 동안에, 가압된 물은 탱크(4) 내로 들어갈 수 없다.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관련 복구 라인(16)이 관형 바늘(15)에 연결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는 심지어 상기 관형 바늘(15)이 대응하는 도관(5)을 통해 삽입되기 전에 관련 복구 라인(16)에 연결된 관형 바늘(15)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병행하여, 제1 특별 공구(19)가 탱크(4)의 다른 도관(5)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제1 특별 공구(19)는 파열 디스크(8)를 파괴하는 업무를 가지고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도관(5)에 부착된 제1 밸브(17)가 있다는 것은 결국 필요한 순간이 될 때까지 가압된 물이 탱크(4)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밸브(17)가 개방되면, 물은 탱크(4) 내로 빠르게 들어가고, 오염 유체(30)는 관형 바늘(15)과 이에 연결된 복구 라인(16)을 통해 탱크로부터 추출된다.
또 다른 유형의 탱크(104)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오일 수송선, 대형 수송선, 컨테이너 선박, 카페리, 등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상선에서 볼 수 있는 사각형 베이스의 평행육면체 탱크이다. 이러한 유형의 탱크(104)는 일반적으로 추진 연료를 위해 이용되고 침전 탱크(settling tank) 위에 있다. 직사각형의 길이가 긴 쪽의 길이는 약 10 내지 40 미터이고, 짧은 쪽의 길이는 항상 5 미 터 이하이고, 따라서 각각의 짧은 쪽의 두 코너에 있는 두 도관에 끼우기에는 충분한 간격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 처음에 탱크(104)의 네 코너에 끼워지도록 된 네 개의 도관보다는 단지 두 개의 중앙 도관(105)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몇몇의 특정 실시예와 함께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사상에 속하는 앞에서 설명한 수단의 모든 기술적인 등가물들과 그 조합물을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10)

  1. 침몰선(1)의 하나 이상의 탱크(4)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30)를 복구하기 위한 플랜트로서, 침몰선의 갑판(2)에 고정된 다수의 도관(5)을 포함하며, 각각의 도관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관은 침몰선이 아래로 내려간 위치에 따라 가압된 물을 탱크 내로 주입하는 수단이 되거나 오염 유체를 탱크 밖으로 배출하는 수단이 되는,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도관(5)의 제1 단부는 탱크의 상부 각 코너 근처에서 갑판을 통과하여 탱크 내부로 개방되고, 상기 도관(5)의 제2 단부는 침몰선의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침몰선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도관(5)은 그 위에 침몰선(1)의 갑판(2)에서 접근할 수 있는 플랜지(7)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플랜지(7)에는 파열 디스크(8)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디스크(8)는 원형 취약선(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디스크(8)는 제거할 수 있는 보호판(10)으로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10)은 파열 디스크(8)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도관(5)은 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8. 플랜트용 도관으로서, 상기 도관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랜트에 사용되는 도관(5)이며, 상기 도관 위에 플랜지(7)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플랜지(7)에는 파열 디스크(8)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하나 이상의 제거할 수 있는 보호판(10)으로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KR1020077014363A 2004-11-25 2005-11-07 침몰선 탱크 내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는 플랜트 KR101386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12502 2004-11-25
FR0412502A FR2878225B1 (fr) 2004-11-25 2004-11-25 Installation pour la recuperation d'un fluide polluant contenu dans les cuves d'un navire coule
PCT/FR2005/002765 WO2006056671A1 (fr) 2004-11-25 2005-11-07 Installation pour la recuperation d'un fluide polluant contenu dans les cuves d'un navire co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606A KR20070086606A (ko) 2007-08-27
KR101386693B1 true KR101386693B1 (ko) 2014-04-17

Family

ID=3495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363A KR101386693B1 (ko) 2004-11-25 2005-11-07 침몰선 탱크 내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는 플랜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302626B2 (ko)
EP (1) EP1827962B1 (ko)
JP (2) JP2008521677A (ko)
KR (1) KR101386693B1 (ko)
CN (1) CN101065288B (ko)
CY (1) CY1114834T1 (ko)
DK (1) DK1827962T3 (ko)
FR (1) FR2878225B1 (ko)
NO (1) NO337589B1 (ko)
WO (1) WO2006056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5729B1 (fr) 2007-05-04 2009-07-10 Jlmd Ecologic Group Sarl Engin flotant tel qu'un navire equipe de moyens de recuperation de fluide polluant en cas de sinistre, et procede de recuperation de ce fluide
FR2975072B1 (fr) * 2011-05-13 2014-08-08 Jlmd Ecologic Group Procede d'evacuation du liquide d'une cuve d'un navire sinistre
FI124420B (en) * 2013-05-20 2014-08-29 Alfons Håkans Oy Ab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liquid from an underwater tank
KR102246669B1 (ko) * 2017-10-20 2021-04-2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탱크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912A (ko) * 1999-05-13 2002-03-13 비에스 앤드 비 새프티 시스템즈 인코퍼레이티드 파열 디스크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3887A (en) * 1972-03-03 1974-06-04 J Kruger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contaminants from a submerged tank
FR2380968A2 (fr) * 1976-12-13 1978-09-15 Inst Francais Du Petrole Methode et appareillage pour recuperer des produits difficiles a pomper
FR2406605A1 (fr) * 1977-10-21 1979-05-18 Banet Rivet Pierre Procede et dispositif de recuperation d'un fluide contenu dans une enceinte submergee
US4404982A (en) * 1982-02-10 1983-09-20 Bs&B Safety Systems, Ltd. Rupturable pressure relief apparatus
GB9221740D0 (en) * 1992-10-16 1992-12-02 Subsea Offshore Ltd A fluid container provided with fluid discharge and supply means
US5795103A (en) * 1996-02-26 1998-08-18 Gaerlan; Doroteo C. Oil tanker and method for recovering oil from submerged oil tanker
WO2002057131A1 (fr) 2001-01-22 2002-07-25 Environment Technological Group Systeme de recuperation d'un contenu fluide d'un navire coule
FR2849640B1 (fr) * 2003-01-03 2005-03-04 Jean Luc Dabi Installation pour la recuperation d'un fluide polluant contenu dans au moins une tranche de cuves transversale d'un navire coule
US6959828B2 (en) * 2003-11-13 2005-11-01 Fike Corporation Non-fragmenting pressure relief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912A (ko) * 1999-05-13 2002-03-13 비에스 앤드 비 새프티 시스템즈 인코퍼레이티드 파열 디스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7962B1 (fr) 2013-09-11
WO2006056671A1 (fr) 2006-06-01
FR2878225B1 (fr) 2007-02-23
DK1827962T3 (da) 2013-11-25
EP1827962A1 (fr) 2007-09-05
NO337589B1 (no) 2016-05-09
NO20073233L (no) 2007-06-22
FR2878225A1 (fr) 2006-05-26
JP5940396B2 (ja) 2016-06-29
JP2012236595A (ja) 2012-12-06
JP2008521677A (ja) 2008-06-26
CN101065288B (zh) 2010-05-12
CN101065288A (zh) 2007-10-31
KR20070086606A (ko) 2007-08-27
US20090120861A1 (en) 2009-05-14
US8302626B2 (en) 2012-11-06
CY1114834T1 (el)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1485B1 (en) Large volume subsea chemical storage and metering system
EP1513723B1 (en) Subsea oil collector
US4507093A (en) Buoy device for automatic raising of submerged objects
KR101386693B1 (ko) 침몰선 탱크 내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는 플랜트
US4409919A (en) Ship's double bottom and bag segregated ballast system
KR101845072B1 (ko)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
GB2499804A (en) Collapsible fluid receptacle weighted to overcome buoyancy of contents
WO2008029983A1 (en) Method for generating buoyancy for vessel salvage
KR20160000477U (ko) 에어 벤트용 오일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JP4153913B2 (ja) 沈没船のタンクの少なくとも一つの横長の区分から内部に収容された汚染流体を回収するための施設
RU2214344C1 (ru) Способ спасения с аварийной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KR20090085233A (ko)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US5522334A (en) Flexible portable container for leaking tanks
ES2239494B1 (es) Sistema de cupula para recuperar o evitar la dispersion de una carga contaminante de un buque hundido.
KR102396265B1 (ko) 배유 기능을 구비한 헬리콥터 연료공급 시스템
KR200479094Y1 (ko) 침몰 선박 인양장치
GB2529311A (en) Submersible fluid storage
KR20140109159A (ko)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RU2006422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затонувшего объекта
ES2275380A1 (es) Colector submarino de petroleo.
HRP20020610A2 (en) System for recovering a fluid content from a sunken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