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159A -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159A
KR20140109159A KR1020130023527A KR20130023527A KR20140109159A KR 20140109159 A KR20140109159 A KR 20140109159A KR 1020130023527 A KR1020130023527 A KR 1020130023527A KR 20130023527 A KR20130023527 A KR 20130023527A KR 20140109159 A KR20140109159 A KR 20140109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seawater
ship
hu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효석
하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9159A/ko
Publication of KR20140109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43/006Methods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ingress of ambient water, e.g. leak detectors

Abstract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는 선체 하부에 형성되는 케이슨 및 상기 케이슨의 해수 유입구를 차단하는 부력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SEAWATER INFLOW PREVENTION APPARATUS OF SHIP CAISSON}
본 발명은 해수 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 하부에 형성되는 케이슨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건조 시 드라이 독에서 진수한 후에 일정 기간 동안을 바다에 부유한 상태에서 선박 건조의 마무리 작업이 진행된다. 이 기간을 안벽기간이라고 하는데 일반 선박은 6개월 이상, FPSO, FLNG 등의 특수 선박은 2년 이상 지속된다.
선박이 안벽에 계류하는 동안 선체 외판 중 해수에 잠겨있는 부분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수 전에 도장 작업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장기간의 안벽기간으로 인해 도장 도막의 표면에 해양 생물, 슬라임 등이 달라붙어 해양 퇴적물질이 형성되고, 이러한 해양 퇴적물질은 선박 인도 전에 다이버가 수중에서 스크래퍼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수중 작업은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인해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해양 퇴적물질로 인해 손상되는 도장 도막을 완전히 복구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FPSO, FLNG 등의 특수 선박에서 선체 하부에는 다양한 용도, 예를 들어 시스템 냉각용으로 해수를 끌어들이기 위하여 선체 내부로 연결되는 관 형상의 케이슨이 형성되는데, 케이슨도 선체 하부와 마찬가지로 해수에 잠기는 부분으로서 진수 전에 도장 작업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케이슨은 선체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구조적 특징상 나머지 선체 외판과 비교하여 해양 생물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해양 퇴적물질의 제거 작업도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1955호(2010.05.19, 신조 선박의 인도 전 재입거 방지를 위한 도장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안벽기간 동안 선박 케이슨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하부에 형성되는 케이슨 및 상기 케이슨의 해수 유입구를 차단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는 상기 선체 하부에 밀착되어 상기 해수 유입구를 차단하는 차단플레이트 및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슨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폐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기둥은 상기 케이슨의 내부에 끼워맞춤 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슨의 해수 유입구에 인접한 선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슨의 해수 유입구에 인접한 선체 하부가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두께만큼 선체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안벽기간이 진행되는 동안 선박 케이슨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해양 생물이 번식하기 좋고 해양 퇴적물질이 형성되기 쉬운 케이슨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력을 이용함으로써 케이슨과 부력체 사이에 별도의 접착수단이 없더라고 강력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벽기간이 종료된 후 선주에게 선박을 인도하기에 앞서 해수 유입방지장치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해수 유입방지장치의 제거 과정에서 도장 도막의 손상도 초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케이슨 하부에 강판을 용접하여 해수 유입을 방지하고 선박 인도 전에 강판을 제거하는 것과 구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케이슨이 형성된 선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부력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20)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케이슨(100)이 형성된 선박(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선박(10)은 선체 하부(12)에서 선체 외판에 접하여 형성되는 케이슨(100)을 포함한다. 상기 선박(10)은 예를 들어 FPSO, FLNG 등의 특수 선박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슨(100)은 선체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관 형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케이슨(100)의 하단에는 상기 케이슨(100)의 내부(102)로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구(104)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슨(100)의 내부(102)에는 해수를 끌어들이는데 사용되는 펌프(10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슨(100)을 통해 선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는 예를 들어 시스템 냉각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20)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20)는 케이슨(100) 및 상기 케이슨(100)의 해수 유입구(104)를 차단하는 부력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체(200)는 해수보다 낮은 비중을 가짐으로써 해수에 잠겼을 때에 부력에 의해 상향으로 힘을 받아 떠오를 수 있는 물체를 의미한다. 상기 부력체(200)는 부력에 의해 상향으로 힘을 받아 상승함으로써 선체 하부(12)에 형성되는 케이슨(100)의 해수 유입구(104)를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20)를 구성하는 부력체(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력체(200)는 차단플레이트(210) 및 상기 차단플레이트(210)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폐기둥(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플레이트(210)는 상기 선체 하부(12)에서 선체 외판에 밀착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210)는 상기 해수 유입구(104)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해수 유입구(104)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단플레이트(210)는 해수에 잠겼을 때에 부력에 의해 상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압축)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플레이트(210)는 상기 케이슨(100)의 내부(102)에서의 압력과 수압 차이로 인하여 심각하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거나 충분한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차단플레이트(210)는 도 5에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차단플레이트(2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차단플레이트(210)의 하면에는 분리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기둥(220)은 상기 케이슨(100)의 내부(102)로 삽입된다.
상기 밀폐기둥(220)은 상기 케이슨(100)의 내부(102)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차단플레이트(210)가 상기 해수 유입구(10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밀폐기둥(220)은 상기 케이슨(100)의 내부(102)에 끼워맞춤 될 수 있다.
상기 밀폐기둥(220)은 상기 케이슨(100)의 내부(102)에 끼워맞춤 됨으로써, 상기 차단플레이트(210)와 상기 선체 하부(12) 사이의 틈새로 유입될 수 있는 해수를 2차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슨(100)의 내부(102)에서의 압력과 수압 차이로 인하여 상기 차단플레이트(210)가 변형되거나 해류에 의해 상기 차단플레이트(210)가 흔들리는 경우에, 상기 차단플레이트(210)와 상기 선체 하부(12) 사이로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밀폐기둥(220)은 상기 케이슨(100)의 내부(102)에 끼워맞춤 됨으로써, 이러한 틈새로 유입될 수 있는 해수를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20)는 상기 케이슨(100)의 해수 유입구(104)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차단플레이트(210)를 지지하는 가이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300)는 상기 차단플레이트(21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300)는 상기 차단플레이트(210)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차단플레이트(210)가 해류에 의해 회전하거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해류의 영향으로 선체 하부(12)에서 이탈되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300)는 상기 케이슨(100)의 해수 유입구(104)에 인접한 선체 하부(12)가 상기 차단플레이트(210)의 두께만큼 선체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300)는 선체 하부(12)가 선체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단플레이트(210)가 선체 하부(12)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상기 차단플레이트(210)가 해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선박
12: 하부
20: 해수 유입방지장치
100: 케이슨
102: 내부
104: 해수 유입구
106: 펌프
200: 부력체
210: 차단플레이트
220: 밀폐기둥
300: 가이드

Claims (6)

  1. 선체 하부에 형성되는 케이슨; 및
    상기 케이슨의 해수 유입구를 차단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선체 하부에 밀착되어 상기 해수 유입구를 차단하는 차단플레이트; 및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슨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폐기둥을 포함하는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기둥은 상기 케이슨의 내부에 끼워맞춤 되는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의 해수 유입구에 인접한 선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슨의 해수 유입구에 인접한 선체 하부가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두께만큼 선체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는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KR1020130023527A 2013-03-05 2013-03-05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KR20140109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527A KR20140109159A (ko) 2013-03-05 2013-03-05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527A KR20140109159A (ko) 2013-03-05 2013-03-05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159A true KR20140109159A (ko) 2014-09-15

Family

ID=5175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527A KR20140109159A (ko) 2013-03-05 2013-03-05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91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81U (ko) 2018-10-26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슨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81U (ko) 2018-10-26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슨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1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oil from a body of water
JP2005239142A (ja) 船舶のシーチェスト海水流入孔堰板
JP7341627B2 (ja) ドライドック未浮揚タンデム工法を適用した船舶建造工法
CN112673135A (zh) 用于从湿地的底部清除污泥和/或沙子的装置
KR20140109159A (ko) 선박 케이슨의 해수 유입방지장치
US20190106854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moving fixed offshore platforms
KR101386693B1 (ko) 침몰선 탱크 내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는 플랜트
US202002989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ouling and/or corrosion on vessels and marine objects
US20100275832A1 (en) Raft parking for boat
RU2603340C1 (ru) Морск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едостойкая платформа
JP6389074B2 (ja) 海水交換装置
KR101948641B1 (ko) 부력 장치
CN202345883U (zh) 船用排水挡冲装置
KR101029653B1 (ko)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KR20170019903A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KR101491665B1 (ko) 선박용 물막이 장치
EP28852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salvage of vessels
JP2009051379A (ja) 船底防汚装置
JPH10264888A (ja) 浮遊物回収装置
KR101313554B1 (ko) 선박 러더용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JPH0514076B2 (ko)
KR20170001573U (ko) 댐 시스템
JP5005855B2 (ja) オイルフェンス装置
KR102027520B1 (ko) 착저형 부유식 구조물
JP2002220823A (ja) 移動式防波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