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198B1 -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198B1
KR101385198B1 KR1020130030079A KR20130030079A KR101385198B1 KR 101385198 B1 KR101385198 B1 KR 101385198B1 KR 1020130030079 A KR1020130030079 A KR 1020130030079A KR 20130030079 A KR20130030079 A KR 20130030079A KR 101385198 B1 KR101385198 B1 KR 101385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glass fiber
display
composite film
epox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남
이기호
박승우
김세원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주)아이컴포넌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컴포넌트 filed Critical (주)아이컴포넌트
Priority to KR102013003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평균 직경이 1 내지 15 ㎛인 유리섬유로 된 씨실과 날실이 상하로 교차하여 직조된 유리섬유 직물; 상기 유리섬유 직물에 함침되어 유리섬유 직물의 표면 및 씨실과 날실 사이에 위치하는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 및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가 상기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비율로 비스페놀A형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실란, 및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굴절률이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와 동일한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제조방법{A optical transparent composite film for the use of display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판과 같이 투명성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 유리섬유 직물, 및 무기 나노입자를 이용한 투명하며 열팽창계수가 낮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정보화 시대에서는 영상 산업에 있어서 고정화 및 대형화 뿐 아니라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정보를 공유하고 기록하기 위한 이동성(mobile) 및 편리성이 지향되고 있다.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는 가볍고 휴대가 용이하여 이러한 요구를 잘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이 형태의 디스플레이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 핵심 기술인 플렉서블 기판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표시방식, 플렉서블 능동구동소자의 기술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어왔던 유리 기판은 투명성은 좋으나 특성상 내충격성이 부족하여 충격에 쉽게 파손되며 박형화 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 부피당 무게가 커서 플렉서블 기판으로써의 응용에 무리가 있다. 이에 따라, 고분자 투명 필름이 유리 기판의 대체 소재로써 연구되고 있다. 고분자 투명 필름은 내충격성이 뛰어나 박형화가 가능하고 연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단위 부피 당 무게가 가벼운 성질을 지니고 있어 기존의 유리 기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소재로의 가능성이 충분하지만 실제로 매우 높은 열팽창계수를 가지기 때문에 유리 기판에 맞추어 개발된 현재의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열팽창이 심하게 발생하여 치수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화면을 이루는 화소의 배열이 흐트러져 화면 왜곡현상이 발생하므로 디스플레이 성능을 제대로 발현할 수 없다. 따라서, 플라스틱 투명필름을 광학용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열팽창계수를 낮추어서 열수축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무기물과의 복합체를 구성하는 방법들이 여러 형태로 연구되었다. 열팽창 계수가 낮은 무기입자를 고분자 필름에 분산시키는 방법은 함량이 많아질수록 무기입자 표면에서 빛이 산란되어 투광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나노 단위의 크기를 갖는 유무기 소재를 사용하게 되면 입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강하여 분산 자체가 쉽지 않아 실용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열가소성 투명 베이스 수지를 유리섬유 직물에 함침시켜 광학 특성이 양호하면서도 낮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은 위와 같은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는데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면 고온의 공정이 필요하여 양산에 어려움이 있으며 UV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면 경화시 수축이 발생하여 표면이 매우 거칠어 투명 기판으로 사용하는데 무리가 있다. 또한, 함침이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되기 어렵고 고분자 수지와 유리섬유 간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 필름이 헤이즈(haze)해 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함침 물질을 개발하거나 유리섬유 직물 자체에 전처리를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역시 공정이 복잡해져 양산이 쉽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광학 특성이 양호하면서도 낮은 열팽창계수를 갖고, 기재 자체의 치수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기재와 유리섬유 직물의 상용성을 높여 안정한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고분자 수지간의 혼합 및 경화 공정을 간단히 하여 양산이 용이한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평균 직경이 1 내지 15 ㎛인 유리섬유로 된 씨실과 날실이 상하로 교차하여 직조된 유리섬유 직물;
상기 유리섬유 직물에 함침되어 유리섬유 직물의 표면 및 씨실과 날실 사이에 위치하는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 및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가 상기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비율로 비스페놀A형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실란, 및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굴절률이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와 동일한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이 제공된다.
하기 비스페놀A형 에폭시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24318602-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0의 정수이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24318602-pa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R은 하기 화학식 3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3]
Figure 112013024318602-pat00003
상기 화학식에서, r은 1 내지 50의 정수이다.
상기 에폭시 실란이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메틸디에톡시 실란,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및 2-(3,4 에폭시 사이클로헥실) 에틸 트리메톡시 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이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3024318602-pat00004

상기 화학식에서, k, l, m, n 및 p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0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가 상기 비스페놀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100 중량부, 상기 에폭시 실란 5 내지 20 중량부, 및 상기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수지 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와 유리섬유 직물의 중량비가 30:70 내지 60:40이고, 상기 유리섬유 직물의 두께는 30 내지 150 ㎛일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이 0.05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평균 직경이 1 내지 15㎛인 유리섬유로 된 씨실과 날실이 상하로 교차하여 직조된 유리섬유 직물을 준비하는 단계;
비스페놀A형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실란, 및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각각의 용액 및 무기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을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도록 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에폭시계 수지 함침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에폭시계 수지 함침액을 상기 유리섬유 직물에 캐스팅하여 함침 및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함침하는 단계가 이형필름 사이에 유리섬유 직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리섬유 직물에 에폭시계 수지 함침액을 도포하고 마주보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이송 및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비스페놀A형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실란,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의 조성에 따라 함침 수지의 굴절률 조절이 넓은 범위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유리섬유와의 함침방법과 동일하게 투명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해지는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열팽창계수가 낮아져 열팽창률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고온의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적합한 광학 투명 복합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UV 경화타입의 양이온 촉매를 첨가하여 고온의 열경화 과정 없이 경화 공정과정을 매우 간단히 할 수 있는데 기존의 UV 경화 수지와는 다르게 경화 시 수축이 적은 에폭시계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치수안정성이 뛰어나다. 또한, 에폭시 실란 및 무기 나노입자의 첨가로 인해 유리섬유와의 상용성을 높여 계면에서의 박리 현상이 방지 가능하며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은 고무와 같은 성질을 나타내므로 첨가 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들은 용액 상태로 각각의 특성을 유지한 채로 간단히 혼합하여 에폭시계 수지 함침액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여 간단한 경화과정과 더불어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에 사용되는 유리섬유 직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사용된 유리섬유 직물의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낮은 열팽창계수를 가질 뿐 아니라 에폭시계 수지를 함침 수지로 사용함으로써, 유리섬유 직물과의 상용성 향상, 제조공정의 간단화 및 경화에 따른 수축 최소화 등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의 전반적인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평균 직경이 1 내지 15 ㎛인 유리섬유로 된 씨실과 날실이 상하로 교차하여 직조된 유리섬유 직물;
상기 유리섬유 직물에 함침되어 유리섬유 직물의 표면 및 씨실과 날실 사이에 위치하는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 및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가 상기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비율로 비스페놀A형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실란, 및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굴절률이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와 동일한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온의 디스플레이 공정 과정에서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열팽창 및 열수축이 일어나게 되면 화면을 이루는 화소의 배열이 흐트러져 화면 왜곡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실제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의 역할을 이행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의 열팽창 및 열수축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한 무기물질로서 열팽창계수가 낮아 열에 의한 수축 및 팽창 현상이 거의 없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직물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직물은 직경이 1 내지 15㎛인 유리섬유로 된 씨실과 날실이 상하로 교차하여 직조된 직물이다. 유리섬유 직물은 단섬유와는 달리 유리섬유들이 투명 베이스 수지 내에서 뭉치는 현상이 전혀 없으며, 직조되어 형성된 유리섬유 직물은 유리 단섬유 첨가시보다 큰 기계적 물성의 향상효과를 나타낸다.
유리섬유로 된 씨실과 날실들은 각각 한 개씩 교번하여 상하로 교차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섬유 직물(10)은 여러 개의 씨실들과 날실들이 교번하여 상하로 교차될 수도 있으며, 패턴 또한 평직, 능직, 수자직 등의 패턴으로 직조될 수 있다. 유리섬유 직물은 2장 이상이 적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에 있어서, 유리섬유 직물을 구성하는 씨실과 날실의 유리섬유 직경은 1 내지 15㎛, 또는 2 내지 12㎛, 또는 4 내지 10㎛일 수 있다. 유리섬유의 직경이 이러한 범위 보다 크면, 산란현상에 의해 필름의 투과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유리섬유의 직경을 전술한 범위 내로 조절하면,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직물은 상기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수지와 함침되어 복합필름을 구성하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폭시계 수지인 비스페놀A형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실란,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의 조성을 변경하여 굴절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리섬유 종류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다"는 의미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빛의 산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도로 굴절률의 차가 없거나 미미하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굴절률 차이가 0.01 이하라면,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수지들은 종류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며 사용하는 물질에 따라 각각의 조성을 적절히 변경해야함은 물론이다.
상기 비스페놀A형 에폭시는 상기 에폭시 수지 복합체의 베이스로 열경화 및 UV 경화가 가능하고 경화제의 종류에 따라 물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24318602-pat00005
상기 화학식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0의 정수이다.
이와 같이 에폭시계 물질로 이루어진 수지는 양이온성 촉매를 사용하여 UV 경화시킬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UV 경화성 수지는 경화시 수축이 심하여 표면 거칠기가 심해져 디스플레이용 필름으로 응용되기 어려운데 에폭시는 경화시 축합물이 없어 수축이 덜하여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다. 그러나 에폭시계 물질을 경화하려면 가혹한 UV 조건이 필요하여 공정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UV 경화가 쉽게 일어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여 UV 경화 조건을 완화할 수 있으며, 다만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너무 커지면 필름의 유연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너무 적으면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예를 들어 비스페놀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 또는 40 내지 60 중량부일 수 있다. 이러한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UV 경화조건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24318602-pat00006
상기 화학식에서, R은 하기 화학식 3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3]
Figure 112013024318602-pat00007
상기 화학식에서, r은 1 내지 50의 정수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분자 물질을 유리섬유 직물에 함침하거나 모노머 혹은 올리고머 상태에서 함침하여 경화시키는 경우 고분자 물질과 유리섬유 직물 간의 상용성이 떨어져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 불투명해지는 경향을 보여 투명 기판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없어 유리섬유 직물에 전처리를 하기도 하는데 공정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에폭시실란은 에폭시기를 가진 실란으로 수지와 유리섬유 직물간의 상용성 향상에 도움이 되며 용액상태로 혼합이 용이한 특성이 있다. 이러한 에폭시 실란을 포함한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상용성 향상으로 인해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에폭시실란은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메틸디에톡시 실란,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및 2-(3,4 에폭시 사이클로헥실) 에틸 트리메톡시 실란을 포함하며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이면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에폭시실란의 함량은, 예를 들면 비스페놀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10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비스페놀A형 에폭시 또는 에폭시실란은 종류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므로 각각의 함량은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어느 정도 넓은 범위에서의 조절이 가능하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리섬유 직물과의 굴절률 매칭으로 인해 투명함은 물론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계면에서의 박리가 없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예폭시계 수지 복합체에서는 주쇄 및 측쇄에 에폭시기를 도입하고 있어, 경화형 에폭시 수지와 상용성이 좋고, 또한 가요성(flexible)이 우수한 부타디엔기를 포함하여 경화 후에도 우수한 연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수지를 채용하고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3024318602-pat00008

상기 화학식에서, k, l, m, n 및 p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0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수지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13024318602-pat00009
상기 화학식에서, R은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 알콕시, 아실옥시, 또는 하이드록시기이고, 양 말단의 R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수지로는 하기 표 1과 같은 물성을 갖는 일본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의 EPOLEAD PB 3600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3024318602-pat00010
상기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수지의 함량은, 예를 들면 비스페놀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부, 또는 10 내지 2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수지의 함량은 굴절률 조절이 가능한 범위에서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경화형 에폭시 수지와의 경화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고, 그 결과 복합수지의 유연성을 우수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물성개선을 위한 무기 나노입자로는 실리카(SiOx), 티타니아(TiOx), 알루미나(Al2O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재와 유리섬유 직물의 상용성 향상 및 열팽창계수 감소에 가장 유리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사용하고,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는 에폭시계 물질 등과의 상용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실란 커플링제에 의해 표면 개질될 수 있으며, 이때, 실란 커플링제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실리카 표면과 반응할 수 있는 것이면 종류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단, 무기 나노입자는 가시광선의 파장 영역보다 그 평균 크기가 작아야 하는데 최대 300 nm 이하, 또는 5 내지 300 nm, 또는 30 내지 200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가시광선의 파장 영역보다 평균 직경이 작은 무기 나노입자를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야만 입자에 의한 산란이나 반사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 자체의 열팽창계수를 효과적으로 낮추기 위하여 매우 낮은 열팽창계수를 가지고 있는 무기 나노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열팽창계수는 8 ㎛/m·℃ 이하, 또는 3 내지 8 ㎛/m·℃일 수 있다. 무기 나노입자의 열팽창계수가 낮을수록 복합 수지의 열팽창계수 감소 효과는 극대화되는데 유리 소재에 맞춰져 있는 현재 디스플레이 공정에 따라 유리 소재의 열팽창계수인 8 ㎛/m·℃이하의 무기 나노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은, 예를 들면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 내지 5 중량부, 또는 0.05 내지 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 자체의 열팽창계수(CTE)를 낮추고 유리섬유 직물과의 상용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우수한 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20)에 있어서, 유리섬유 직물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 내지 150 ㎛, 또는 40 내지 120 ㎛, 또는 50 내지 1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총 두께는, 예를 들면 50 내지 500 ㎛, 또는 75 내지 400 ㎛, 또는 100 내지 300 ㎛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직물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지 않고 너무 얇게 되면 유리섬유 직물 상에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가 균일하게 함침될 수 없어 표면에서 광산란이 일어나 우수한 광학특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면 열팽창계수 감소에 대한 유리섬유 직물의 기여도가 떨어져 낮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을 제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와 유리섬유 직물의 중량비는 30:70 내지 60:40 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에서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는 표면과 유리섬유 직물의 개구면에 존재한다. 유리섬유 직물로 인한 열팽창계수 감소와 기계적 특성의 보완 효과를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의 양을 최소로 해야 한다. 그러나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의 양을 30 중량비 이하로 줄이게 되면 유리섬유 직물이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표면에 드러나게 되어 광산란이 일어나 광학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은 평균 직경이 1 내지 15㎛인 유리섬유로 된 씨실과 날실이 상하로 교차하여 직조된 유리섬유 직물을 준비하는 단계; 비스페놀A형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실란, 및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각각의 용액 및 무기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을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도록 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에폭시계 수지 함침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에폭시계 수지 함침액을 상기 유리섬유 직물에 캐스팅하여 함침 및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균 직경이 1 내지 15㎛인 유리섬유로 된 씨실과 날실이 상하로 교차하여 직조된 유리섬유 직물을 준비한다. 이러한 유리섬유 직물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유리섬유 장섬유들을 준비한 다음, 직조기를 이용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에폭시계 수지 함침액은 비스페놀A형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실란,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각각의 용액 및 무기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을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도록 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각각의 물질은 용액 상으로 용매에 녹여 사용하는데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물질의 굴절률을 파악하여 혼합한 후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도록 각 함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용매는 각각의 물질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키고 혼합시 상용성이 우수하면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후, 상기 함침액을 유리섬유 직물에 함침시켜 도 2와 같이 유리섬유 직물 (13)의 상하면에 형성된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로 이루어진 층들(11, 20)을 갖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을 제조한다. 이때,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가 유리섬유 직물의 상하면 이외에 유리섬유 직물의 씨실과 날실 사이의 개구부에도 위치하게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용액 캐스팅을 이용하여 함침액을 유리섬유 직물에 함침시키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함침 방법은 이형필름 사이에 위치한 유리섬유 직물에 함침액을 도포하고 마주보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이송 및 통과시키는 방법이다. 롤러 사이에 존재하는 갭 압력에 의해 나노섬유 수지 복합체가 유리섬유 직물에 충분히 함침될 수 있으며 유리섬유 직물은 1장 또는 2장을 겹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은 광학 특성이 양호하면서도 낮은 열팽창계수를 가질 뿐 아니라 기재 자체의 치수안정성을 확보되어 UV 경화 후에도 수축이 거의 없고 기재와 유리섬유 직물의 상용성이 높아 함침 후 계면에서 박리로 인한 광학특성 저하가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실시예 1
톨루엔(Toluene) 용매에 비스페놀 A형 에폭시 SE-184(SHIN-A tech) 100 중량부,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과 에폭시아크릴레이트 SEA-184(SHIN-A tech)를 각각 7.6 중량부와 56 중량부,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수지(EPOLEAD PB 3600) 7.6 중량부 그리고 경화제로써 Irgacure 184 2.24 중량부 및 양이온성 촉매로써 트리아릴술포니움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염(triaryl sulfonium hexafluoro antimonite salts mixed 50w% in propylene carbonate) 4.3 중량부를 혼합한 후 실란커플링제에 의해 표면 개질된 실리카계열의 나노입자를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중량부 첨가하여 에폭시 함침액을 제조하였다.
불소이형필름 사이에 준비된 굴절률이 1.56이며 평균직경이 8㎛인 유리섬유들이 직조된 두께 90㎛의 유리섬유 직물에 굴절률 매칭된 위 함침액을 도포하고 두께 조절을 위해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이송하였다. 함침액은 롤러사이의 갭압력에 의해 완전히 함침되고 일정한 두께로 통과하여 3,000mJ/cm2의 조건하에 UV 경화시켰다. 폭 방향의 바깥쪽 사이드 부분은 cutter기로 재단하였고, 최종적으로 가로 5cm, 세로 5cm, 및 두께 100㎛인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도 3은 상기 사용된 유리섬유 직물의 사진이고, 도 4는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사진이고,
실시예 2
가로 210mm 및 세로 297mm의 사이즈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도 5는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을 i-comp onents라는 로고가 새겨진 기재 위에 얹고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비해서 필름의 사이즈가 약 4배 이상 커졌음에도, 실시예 2의 필름의 경우에도 공정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며, 우수한 광학 특성 및 외관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과 에폭시아크릴레이트 SEA-184 (SHIN-A tech)의 함량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56 중량부, 14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필름을 제조하였다. 폭 방향의 바깥쪽 사이드 부분은 커터(cutter)기로 재단하였고, 최종적으로 두께 100㎛인 투명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을 투입하지 않고 PB 3600의 함량을 비스페놀 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8 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필름을 제조하였다. 폭 방향의 바깥쪽 사이드 부분은 cutter기로 재단하였고, 최종적으로 두께 100㎛인 투명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PB 3600을 투입하지 않고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의 함량을 비스페놀 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8 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필름을 제조하였다. 폭 방향의 바깥쪽 사이드 부분은 cutter기로 재단하였고, 최종적으로 두께 100㎛인 투명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란커플링제에 의해 표면 개질된 실리카계열의 나노입자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필름을 제조하였다. 폭 방향의 바깥쪽 사이드 부분은 cutter기로 재단하였고, 최종적으로 두께 100㎛인 투명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을 하기 평가방법에 따라 광투과율, 열팽창계수, 벤딩성 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광투과율 : Minolta 사의 3600D 장비로 ASTM100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열팽창계수 : TA사에 제조된 TMA(TMA 2940) 장비를 이용하여 열팽창계수를 측정하였다.
3) 밴딩 내구성 :직경 30mm 봉에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필름의 일단을 봉의 표면을 완전히 덮도록 와인딩하는 공정을 분당 왕복 20회의 속도로 5,000회 반복하였다.
구분 550nm 투과율(%)
-함침 직후
550nm 투과율(%)
-함침 24시간 후
열팽창계수(CTE) 벤딩성
실시예 1 89% 이상 88% 이상 10.3(30~100℃) 양호
비교예 1 83% 이상 82% 이상 12.1(30~120℃) 양호
비교예 2 89% 이상 80% 이상 11.2(30~120℃) 양호
비교예 3 89% 이상 89% 이상 12.5(30~120℃) 크랙발생
비교예 4 90% 이상 86% 이상 12(30~120℃) 양호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은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서,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비율로 비스페놀A형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실란, 및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를 구비함으로써, 함침 24시간 이후에도 함칙 직후와 비교하여 550nm 투과율의 변화가 거의 없고, 벤딩성도 양호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평균 직경이 1 내지 15 ㎛인 유리섬유로 된 씨실과 날실이 상하로 교차하여 직조된 유리섬유 직물;
    상기 유리섬유 직물에 함침되어 유리섬유 직물의 표면 및 씨실과 날실 사이에 위치하는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 및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가 상기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비율로 비스페놀A형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실란, 및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굴절률이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와 동일한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비스페놀A형 에폭시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3024318602-pat00011

    상기 화학식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0의 정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화학식 2]
    Figure 112013024318602-pat00012

    상기 화학식에서, R은 하기 화학식 3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3]
    Figure 112013024318602-pat00013

    상기 화학식에서, r은 1 내지 50의 정수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실란이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메틸디에톡시 실란,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및 2-(3,4 에폭시 사이클로헥실) 에틸 트리메톡시 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이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화학식 4]
    Figure 112013024318602-pat00014

    상기 화학식에서, k, l, m, n 및 p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0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가 상기 비스페놀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100 중량부, 상기 에폭시 실란 5 내지 20 중량부, 및 상기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수지 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수지 복합체와 유리섬유 직물의 중량비가 30:70 내지 60:40이고, 상기 유리섬유 직물의 두께는 30 내지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이 0.05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9. 평균 직경이 1 내지 15㎛인 유리섬유로 된 씨실과 날실이 상하로 교차하여 직조된 유리섬유 직물을 준비하는 단계;
    비스페놀A형 에폭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실란, 및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각각의 용액 및 무기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을 유리섬유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도록 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에폭시계 수지 함침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에폭시계 수지 함침액을 상기 유리섬유 직물에 캐스팅하여 함침 및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하는 단계가 이형필름 사이에 유리섬유 직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리섬유 직물에 에폭시계 수지 함침액을 도포하고 마주보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이송 및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30030079A 2013-03-21 2013-03-21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제조방법 KR101385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079A KR101385198B1 (ko) 2013-03-21 2013-03-21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079A KR101385198B1 (ko) 2013-03-21 2013-03-21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198B1 true KR101385198B1 (ko) 2014-04-29

Family

ID=5065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079A KR101385198B1 (ko) 2013-03-21 2013-03-21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1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3016A (zh) * 2017-10-17 2020-07-03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公司 玻璃纤维复合量子点膜
WO2021182910A1 (ko) * 2020-03-12 2021-09-16 주식회사 두산 접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필름 및 인쇄회로기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92A (ko) * 2010-07-30 2012-02-09 (주)아이컴포넌트 디스플레이 기판용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방법
JP2012136580A (ja) 2010-12-24 2012-07-19 Panasonic Corp 透明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92A (ko) * 2010-07-30 2012-02-09 (주)아이컴포넌트 디스플레이 기판용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방법
JP2012136580A (ja) 2010-12-24 2012-07-19 Panasonic Corp 透明フィル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3016A (zh) * 2017-10-17 2020-07-03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公司 玻璃纤维复合量子点膜
WO2021182910A1 (ko) * 2020-03-12 2021-09-16 주식회사 두산 접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필름 및 인쇄회로기판
CN115279857A (zh) * 2020-03-12 2022-11-01 株式会社斗山 粘接组合物及包含其的覆盖膜和印刷电路基板
CN115279857B (zh) * 2020-03-12 2023-10-10 株式会社斗山 粘接组合物及包含其的覆盖膜和印刷电路基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2154B2 (en) Transparent composite composition
JP5520000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1340B2 (ja) 樹脂シート、液晶セル基板、液晶表示装置、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基板、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太陽電池用基板
US20070042168A1 (en) Resin sheet,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bstrate for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a substrate for a solar cell
TW201431900A (zh) 樹脂組成物、預浸體及膜片
KR101329218B1 (ko)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206787A (ja) 透明複合体組成物
KR101385198B1 (ko)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제조방법
JP2007091965A (ja) 透明複合材料
KR101127102B1 (ko)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엘씨디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76586A (ja) 透明複合体組成物及び光学シート並びに表示素子用プラスチック基板
KR101285306B1 (ko)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제조방법
KR101233839B1 (ko) 플라스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149018A1 (ja) 透明フィルム
KR20090093113A (ko) 폴리카보네이트와 상용성이 우수한 코어-쉘 구조의 무기입자, 플라스틱 기판용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체 및 이를이용한 플라스틱 기판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TWI600949B (zh) 2d/3d切換透鏡及其顯示器裝置
JP4356395B2 (ja) プラスチック複合透明シー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表示素子
KR20140095499A (ko) 투명 복합 기판 및 표시 소자 기판
KR20120126663A (ko)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판
KR102089952B1 (ko) 투명 복합 소재 및 제조 방법
JP2012219155A (ja) 透明樹脂複合材
JP4957003B2 (ja) 透明樹脂積層シート
KR102310104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5898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9028945B2 (en) Transparent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