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704B1 -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704B1
KR101383704B1 KR1020080005886A KR20080005886A KR101383704B1 KR 101383704 B1 KR101383704 B1 KR 101383704B1 KR 1020080005886 A KR1020080005886 A KR 1020080005886A KR 20080005886 A KR20080005886 A KR 20080005886A KR 101383704 B1 KR101383704 B1 KR 101383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signal line
circuit board
base plate
differenti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717A (ko
Inventor
최온식
이성규
김도완
강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704B1/ko
Priority to US12/186,348 priority patent/US8253672B2/en
Priority to CN2008102139723A priority patent/CN101489348B/zh
Priority to JP2008301142A priority patent/JP5686948B2/ja
Publication of KR2009007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717A/ko
Priority to JP2014030721A priority patent/JP6033247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45Lay-out of balanced signal pairs, e.g. differential lines or twisted l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28Compensation of cross-talk by a mutually correlated lay-out of printed circuit traces, e.g. for compensation of cross-talk in mounted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36Parallel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45Crossin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672Superposed layout, i.e. in different pl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Alternating conductors, e.g. alternating different shaped pads, twisted pairs; Alternating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동 신호선이 형성되어 있는 회로 기판에 관한 것으로, 바탕판 및 바탕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차동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차동 신호선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차동 신호선은 각기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은 서로 평행한 적어도 두 개의 경로를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은 경로 변경부에서 경로를 바꾸며, 이웃하는 상기 차동 신호선의 경로 변경부들은 상기 차동 신호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면 EMI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표시 장치, 회로 기판, 차동 신호선, 경로 변경부, 비아홀

Description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동 신호선이 형성되어 있는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스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 장치(flat emission display), 형광 표시판(vacuum fluorescent display)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들은 통상 표시판과 이 표시판으로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표시판은 신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받는다. 신호 제어부는 TCON(timing controller), 집적 회로 칩(integrated circuit chip)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동일 층 또는 다른 층에 배열된 배선과 연결된다. 가요성 인쇄 회로막은 필름, 필름 위에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배선 및 복수의 배선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막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들이 대형화되고 고화질화 되면서 집적 회로 칩을 비롯하여 TCON 등의 핵심 반도체들은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들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데, 특히 잡음(noise)과 신호 지연 등으로 인한 화질 저하를 막기 위해 데이터 전송 방식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기존의 TCON에서 LDI(LCD Driver IC)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식인 TTL(transistor-to-transistor)의 경우신호 전송 속도가 느리며 전류 소모량이 많고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특성이 좋지 않았다. 이를 보완한 방식이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또는 RSDS (reduced signal differential signaling)인데, 이에 의하면 기존의 TTL 방식에서 신호의 스윙 크기를 줄여 EMI 특성이 개선되었으며, 신호의 전송 속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TTL 방식에서 보다 적은 수의 배선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mini-LVDS 및PPDS(point-to-point differential signaling) 등의 인터페이스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LVDS 또는 RSDS 방식의 경우 저주파 대역에서는 EMI 특성이 개선될 수 있으나, 고주파 대역에서는 EMI 특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가령 무선 광 지역 정보 통신망(wireless wide area network) 및 무선구내 정보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경우에는 800MHz 내지 6GHz의 고주파 영역대를 사용하는데, 이 주파수 영역대에서는 LVDS 또는 RSDS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EMI 특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의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EMI를 감소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주파 대역에서 뿐만 아니라 고주파 대역에서도 EMI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은 바탕판 및 바탕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차동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차동 신호선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차동 신호선은 각기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은 서로 평행한 적어도 두 개의 경로를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은 경로 변경부에서 경로를 바꾸며, 이웃하는 상기 차동 신호선의 경로 변경부들은 상기 차동 신호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다.
상기 바탕판은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경로는 상기 제1 면에 위치하는 제1 경로와 상기 제2 면에 위치하는 제2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를 기준으로 한쪽에서는 상기 제1 경로에 위치하고 다른 쪽에서는 상기 제2 경로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제1 신호선과 반대 쪽 경로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탕판은 상기 경로 변경부에 위치한 한 쌍의 비아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한 쌍의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1 경로에서 상기 제2 경로로 경로를 바꿀 수 있다.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비아홀은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와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비아홀은 상기 제1 및 제2 경로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쪽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이들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경로 변경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 부분의 평면 모양은 마름모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경로를 상기 바탕판의 제2 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는 소정 간격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비아홀은 각기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변경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 부분의 평면 모양은 십자일 수 있다.
상기 차동 신호선의 상기 경로 변경부는 이웃하고 있는 차동 신호선의 인접한 두 개의 경로 변경부 사이의 구간의 중앙부와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바탕판은 제1 면 및 제2 면, 그리고 상기 차동 신호선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경로 변경부와 떨어져 있는 복수의 비아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경로는 상기 제1 면에 위치하는 제1 경로,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경로와 중첩하는 제2 경로, 상기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경로와 간격을 두고 있는 제3 경로, 그리고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경로와 중첩하는 제4 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를 지나면서 상기 제1 경로에서 상기 제3 경로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비아홀에서 상기 제3 경로에서 상기 제4 경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신호선과 동일한 구간에 있는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를 지나면서 상기 제4 경로에서 상기 제2 경로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비아홀에서 상기 제2 경로에서 상기 제1 경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에서 교차할 수 있으며, 상기 경로 변경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신호선 및 상기제2 신호선 부분의 평면 모양은 십자일 수 있다.
상기 바탕판의 동일면에서 이웃하는 두 개의 차동 신호선에 대응하는 비아홀들은 상기 차동 신호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바탕판의 동일면에서 이웃하는 두 개의 차동 신호선에 대응하는 경로 변화부들 및 비아홀들은 상기 차동 신호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탕판은 상부층과 하부층을 포함하는 이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경로는 상기 상부층 위에 위치하는 제1 경로와 상기 하부층 위에 위치하는 제2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를 기준으로 한쪽에서는 상기 제1 경로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쪽에서는 상기 제2 경로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제1 신호선과 반대 쪽 경로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층은 상기 경로 변경부에 위치한 한 쌍의 비아홀(via hole)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2 신호선은 상기 한 쌍의 비아홀을 통해 상기 상부층에서 상기 하부층으로 경로를 바꿀 수 있다.
상기 바탕판 및 차동 신호선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는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집접 회로 칩, 그리고 기판 위에 복수의 박막 소자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집접 회로 칩으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는 표시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주파 대역에서 뿐만 아니라 고주파 대역에서도 EMI를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EMI와 같은 잡음 등으로 인하여 표시 장치의 화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 회로막은 액정 표시 장치, 플라스마 표시 장치, 전계 방출 표시 장치, 형광 표시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 다양한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첨부한 도면에는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 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한 실시예에 따른회로 기판(circuit board) 및 표시 장치에 대하여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회로 기판의 부분 확대 평면도의 한 예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회로 기판의 부분 확대 평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판부(panel unit)(300), 가요성 인쇄 회로막(510) 및 회로 기판(450)을 포함한다.
표시판부(300)는 하부 표시판(100), 상부 표시판(200) 및 전기 광학 활성층(electro-optic layer)(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그러나 표시판부(300)는 하나의 표시판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셋 이상의 표시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부 표시판(100)은 기판과 그 위의 박막 소자 구조물을 포함한다. 기판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의 투명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다. 박막 소자 구조물은 화 소 전극, 박막 트랜지스터, 각종 신호선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도전체와 절연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 표시판(100) 구조의 한 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하부 기판 위에는 복수의 게이트선(gate line)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gate insulating layer), 반도체, 저항성 접촉 부재(ohmic contact)가 차례로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는 데이터선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은 복수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데이터선은 복수의 소스 전극을 포함하며, 게이트 전극, 반도체,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이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룬다. 반도체, 데이터선,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절연막 위에는 보호막(passivation layer)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막 위에는 복수의 화소 전극(pixel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은 보호막에 뚫린 접촉 구멍(contact hole)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과 연결된다.
상부 표시판(200)은 하부 표시판(100)과 마주하며 하부 표시판(100)보다 크기가 작아서 하부 표시판(100)의 가장자리 일부가 상부 표시판(200)으로 가리지 않고 드러난다. 상부 표시판(200)은 기판과 박막 구조물을 포함한다. 기판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의 투명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다. 박막 구조물은 공통 전극, 색 필터, 차광 부재(light blocking member)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도전체와 절연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 표시판(200) 구조의 한 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기판 위에는 차광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차광 부재는 화소 전극과 마주 보 며 화소 전극과 거의 동일한 모양을 가지는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며, 화소 전극 사이의 빛샘을 막는다. 기판 및 차광 부재 위에는 덮개막(overcoat)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막 위에는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과 보호막 사이에는 복수의 색 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각 색필터는 차광 부재의 개구부 내에 대부분 존재하며,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의 구조는 한 예일뿐이며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공통 전극, 색 필터, 차광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하부 표시판(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 하부표시판(100)은 유지 전극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 광학 활성층은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표시판부(300)가 하나의 표시판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표시판 위에 위치한다. 전기 광학 활성층의 재료는 표시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액정 물질,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유기 발광 물질이 될 수 있다.
회로 기판(450)은 복수의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및 게이트 신호 따위를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 칩 및 데이터 구동 직접 회로 칩으로 내보낸다.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 칩 및 데이터 구동 직접 회로 칩으로 전달되는 신호로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가 이용된다. 차동 신호 전송은 LVDS, RSDS, mini-LVDS 및 PPDS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회로 기판(45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요성 인쇄 회로막(510)은 필름, 그 위에 형성되어 있는 금속 배선, 그리고 금속 배선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인쇄 회로막(510)의 한쪽 끝 부분은 도전성 접착제(570)를 통하여 하부 표시판(100)의 노출된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은 도전성 접착제(570)를 통하여 회로 기판(450)에 부착되어 있다. 도전성 접착제(570)은 일종의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으로서 여기에 섞여 있는 도전 입자를 통하여 가요성 인쇄 회로막(510)에 형성되어 있는 금속 배선과 하부 표시판(100) 및 회로 기판(450)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이트/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 칩은 가요성 인쇄 회로막(510) 위에 형성되거나(TCP 방식), 표시판부(300)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COG/FOG 방식). 회로 기판(450)으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510)의 금속 배선을 통해 게이트/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 칩으로 전달된다.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 칩은 게이트 온 전압을 게이트선에 인가하여 이 게이트선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턴온시키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 칩은 각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생성하여 이를 데이터선에 인가한다.
조명부(80)는 표시판부(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덮개(60)는 표시판부(300)의 상부에 배치된다. 표시판부(300)는 덮개(60)를 이용하여 조명부(8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조명부(80)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이나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과 같은 형광 램프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 도광판 및 반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유도하며, 반사 부재는 도광판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표시판부(300)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광손실을 최소화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회로 기판(450)은 바탕판(substrate)(451), 복수의 집적 회로칩(460), TCON(470) 및 복수의 차동 신호선(differential signal line)(420)을 포함한다.
바탕판(451)은 페놀수지 또는 에폭시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바탕판(451)이 움직이거나 굴곡을 요하는 경우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바탕판(451) 위에는 그래픽 처리 등을 위한 집적 회로 칩(460)과 이 집적 회로 칩(46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게이트/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 칩구동에 필요한 각종 제어 신호로 만드는 TCON(470)이 형성되어 있다.
바탕판(451) 위에는 또한 복수의 차동 신호선(420)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차동 신호선(420)은 제1 신호선(422) 및 제2 신호선(424)을 포함한다. 제1 신호선(422)과 제2 신호선(424)은 각각 제1 경로(10)에 놓인 부분과 제2 경로(20)에 놓인부분을 포함하고, 진폭이 동일하고 위상이 반대인 신호를 전달한다. 이 경우 수신 회로는 두 개의 신호선(422, 424) 간 전압차이에만 반응한다. 여기서 제1 경로(10)는 바탕판(451)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제2 경로(20)는 바탕판(451)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제1 경로(10)를 제2 경로(20)가 위치하는 바탕판(451)의 하부면에 투 영했을 때 이들 두 경로(10, 20)는 서로 중첩한다.
바탕판(451)에는 복수의 비아홀(via hole)(455)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아홀(455)은 경로 변경부(PCP)에 한 쌍씩 위치한다. 한 쌍의 비아홀(455)은 경로(10, 2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쪽으로 떨어져 있으며 서로 마주보고 있다. 경로 변경부(PCP)는 제1 및 제2 신호선(422, 424)의 경로가 바뀌는 부분이며, 차동 신호선(42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반복적으로 위치한다.
차동 신호선(42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이웃하는 두 개의 비아홀(455) 사이를 구간(S1, S2)이라 할 때, 이 구간(S1, S2) 거리는 모두 동일할 수 있고, 각 구간 마다 다를 수도 있다.
제1 신호선(422)은 그 길이 방향(L)을 따라 이동할 때 제1 경로(10)에 놓인 부분과 제2 경로(20)에 놓인 부분이 번갈아 나타나며, 제2 신호선(424)도 그 길이 방향(L)을 따라 이동할 때, 제1 경로(10)에 놓인 부분과 제2 경로(20)에 놓인 부분이 번갈아 나타난다. 동일 구간(S1, S2)에서 제1 신호선(422)과 제2 신호선(424)은 서로 반대 쪽 경로에 위치한다. 즉, 제1 신호선(422)이 제1 경로(10)에 있는 구간에서는 제2 신호선(424)은 제2 경로(20)에 위치하고, 제1 신호선(422)이 제2 경로(20)에 있는 구간에서는 제2 신호선(424)은 제1 경로(10)에 위치한다. 제1 신호선(422) 및 제2 신호선(424)은 비아홀(455)을 통해 제1 경로(10) 또는 제2 경로(20)로 위치가 변경된다.
제1 및 제2 신호선(422, 424)의 위치에 대해 제1 구간(S1)에서 제2 구간(S2) 방향을 따라가며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신호선(422)은 제1 구간(S1)이 시작하는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제1 경로(10)에서 제2 경로(20)로 위치를 바꾸고, 이어 제1 구간(S1)의 끝에 위치한 비아홀(455)까지 제2 경로(20)를 따라 뻗어 있다. 그리고 제1 신호선(422)은 제1 구간(S1)의 끝이자 제2 구간(S2)의 시작인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다시 제1 경로(10)로 위치를 바꾸고, 이어 제2 구간(S2)의 끝에 위치한 비아홀(455)까지 제1 경로(10)를 따라 뻗어 있다.
제2 신호선(424)은 제1 구간(S1)이 시작하는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제2 경로(20)에서 제1 경로(10)로 위치를 바꾸고, 이어 제1 구간(S1)의 끝에 위치한 비아홀(455)까지 제1 경로(10)를 따라 뻗어 있다. 그리고 제2 신호선(424)은 제1 구간(S1)의 끝이자 제2 구간(S2)의 시작인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다시 제2 경로(20)로 위치를 바꾸고, 이어 제2 구간(S2)의 끝에 위치한 비아홀(455)까지 제2 경로(20)를 따라 뻗어 있다.
제1 신호선(422)과 제2 신호선(424)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중첩하고 있으나, 경로 변경부(PCP)에서는 중첩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 신호선(422, 424)은 경로 변경부(PCP)에서 경로(10, 2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쪽 방향으로 경로(10, 20)와 멀어지고, 경로(10, 20)와 떨어진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서로 위치를 바꾼다. 위치가 서로 바뀐 제1 및 제2 신호선(422, 424)은 다시 경로(10, 20)와 가까워져 바뀐 경로(10, 20)를 따라 뻗는다. 경로 변경부(PCP)에 위치하는 제1 신호선(422) 및 제2 신호선(424) 부분의 평면 모양은 대략 마름모형일 수 있다.
차동 신호선(420)의 경로 변경부(PCP)와 이웃하는 차동 신호선(420)의 경로 변경부(PCP)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다. 예컨대, 도 2에서 'A'로 표시된 가장 왼쪽 차동 신호선(420)의 경로 변경부(PCP)는 이웃하는 차동 신호선(420)의 제1 구간(S1) 중심부와 마주할 수 있다.
만약, 이웃하는 차동 신호선(420)의 경로 변경부(PCP) 및 비아홀(455)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지 않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면, 경로 변경부(PCP) 및 비아홀(455)들이 루프 안테나의 기능을 하게 되어 EMI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탕판(451)은 상부층(451a)과 하부층(451b)을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경로(10)는 상부층(451a)에 위치하고, 제2 경로(20)는 하부층(451b)에 위치한다. 그리고 복수의 비아홀(455)은 상부층(451a)에 형성된다. 이외의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은 위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회로 기판을 사용되는 다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회로 기판(450)은 바탕판(451)과 복수의 차동 신호선(520)을 포함한다.
바탕판(451)은 페놀수지 또는 에폭시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바탕 판(451)이 움직이거나 굴곡을 요하는 경우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바탕판(451)은 단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탕판(451) 위에는 또한 복수의 차동 신호선(520)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차동 신호선(520)은 제1 신호선(522) 및 제2 신호선(524)을 포함한다. 제1 신호선(422)과 제2 신호선(424)은 각각 제1 경로(10)에 놓인 부분과 제2 경로(20)에 놓인 부분을 포함하고, 진폭이 동일하고 위상이 반대인 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제1 경로(10)는 바탕판(451)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제2 경로(20)는 바탕판(451)의 하부면에 위치한다. 제1 경로(10)를 제2 경로(20)가 위치하는 바탕판(451)의 하부면에 투영했을 때 이들 두 경로(10, 20)는 서로 중첩하지 않고 떨어져 있다.
바탕판(451)은 두 경로(10, 20)를 따라가며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비아홀(455)을 포함한다. 비아홀(455)은 제1 및 제2 신호선(522, 524)이 교차하여 경로가 바뀌는 부분 즉 경로 변경부(PCP)에 한 쌍씩 위치한다. 경로 변경부(PCP)는 차동 신호선(52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반복적으로 위치한다.
차동 신호선(52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이웃하는 두 개의 비아홀(455) 사이를 구간(S1, S2)이라 할 때, 이 구간(S1, S2) 거리는 모두 동일할 수 있고, 각 구간 마다 다를 수도 있다.
제1 신호선(522)은 그 길이 방향(L)을 따라 이동할 때 제1 경로(10)에 놓인 부분과 제2 경로(20)에 놓인 부분이 번갈아 나타나며, 제2 신호선(524)도 그 길이 방향(L)을 따라 이동할 때 제1 경로(10)에 놓인 부분과 제2 경로(20)에 놓인 부분이 번갈아나타난다. 동일 구간(S1, S2)에서 제1 신호선(522)과 제2 신호선(524)은 서로 반대 쪽 경로에 위치한다. 제1 신호선(522) 및 제2 신호선(524)은 비아홀(455)을 통해 바탕판(451)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으로 이동하고, 서로 교차하여 경로(10, 20)를 변경한다. 제1 신호선(522) 및 제2 신호선(524)이 교차하는 부분의 평면 모양은 십자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신호선(522, 524)의 위치에 대해 제1 구간(S1)에서 제2 구간(S2) 방향을 따라가며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신호선(522)은 제1 구간(S1)이 시작하는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제1 경로(10)에서 바탕판(451)의 하부면으로 이동하고 이어 제2 경로(20) 쪽으로 꺾여 제2 경로(20)를 따라 제1 구간(S1)의 끝에 위치한 비아홀(455)까지 뻗어 있다. 그리고 제1 신호선(522)은 제1 구간(S1)의 끝이자 제2 구간(S2)의 시작인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다시 제2 경로(20)에서 바탕판(451)의 상부면으로 이동하고 이어 제1 경로(10) 쪽으로 꺾여 제1 경로(10)를 따라 제2 구간(S2)의 끝에위치한 비아홀(455)까지 뻗어 있다.
제2 신호선(524)은 제1 구간(S1)이 시작하는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제2 경로(20)에서 바탕판(451)의 상부면으로 이동하고 이어 제1 경로(10) 쪽으로 꺾여 제1 경로(10)를 따라 제1 구간(S1)의 끝에 위치한 비아홀(455)까지 뻗어 있다. 그리고 제2 신호선(524)은 제1 구간(S1)의 끝이자 제2 구간(S2)의 시작인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다시 제1 경로(10)에서 바탕판(451)의 하부면으로 이동하고 이어 제2 경로(20) 쪽으로 꺾여 제2 경로(20)를 따라 제2 구간(S2)의 끝에 위치한 비아홀(455)까지 뻗어 있다.
제1 신호선(522)과 제2 신호선(524)은 거의 중첩하지 않고 있으나, 다만 경 로 변경부(PCP)의 교차하는 부분에서 일부 중첩한다. 교차 부분의 모양은 대략 십자일 수 있다.
차동 신호선(520)의 경로 변경부(PCP)와 이웃하는 차동 신호선(520)의 경로 변경부(PCP)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다. 예컨대, 도 5에서 'B'로 표시된 가장 왼쪽 차동 신호선(520)의 경로 변경부(PCP)가 이웃하는 차동 신호선(520)의 제1 구간(S1) 중심부와 마주할 수 있다.
만약, 이웃하는 차동 신호선(520)의 경로 변경부(PCP) 및 비아홀(455)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지 않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면, 경로 변경부(PCP) 및 비아홀(455)들이 루프 안테나의 기능을 하게 되어 EMI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탕판(451)은 상부층(451a)과 하부층(451b)을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경로(10)는 상부층(451a)에 위치하고, 제2 경로(20)는 하부층(451b)에 위치한다. 이들 두 경로(10, 20)는 서로 중첩하지 않고, 차동 신호선(520)의 길이 방향(L)과 수직한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그리고 복수의 비아홀(455)은 상부층(451a)에 형성된다. 이외의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은 위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회로 기판을 사용되는 다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 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회로 기판(450)은 바탕판(451)과 복수의 차동 신호선(620)을 포함한다.
바탕판(451)은 페놀수지 또는 에폭시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바탕판(451)이 움직이거나 굴곡을 요하는 경우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바탕판(451)은 단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탕판(451) 위에는 또한 복수의 차동 신호선(620)이 형성되어 있다. 차동 신호선(620)은 제1 신호선(622) 및 제2 신호선(624)을 포함한다. 제1 신호선(622) 및 제2 신호선(624)은 제1 경로 내지 제4 경로(10, 20, 30, 40)를 따라 뻗어 있으며, 진폭이 동일하고 위상이 반대인 신호를 전달한다.
제1 경로(10)와 제3 경로(30)는 바탕판(451)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서로 소정 간격(d) 떨어져 있다. 제2 경로(20)와 제4 경로(40)는 바탕판(451)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서로 소정 간격(d) 떨어져 있다. 그리고 제1 경로(10)와 제2 경로(20)는 서로 중첩하며, 제3 경로(30)와 제4 경로(40)는 서로 중첩한다.
바탕판(451)에는 경로(10, 20, 30, 40)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비아홀(455)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경로(10, 20) 상에 위치하는 비아홀(455)과 제3 및 제4 경로(30, 40) 상에 위치하는 비아홀(455)은 서로 마주보고 있다.
경로 변경부(PCP)는 제1 및 제2 신호선(622, 624)이 각기 바탕판(451)의 동일한 면에서 경로(10, 20, 30, 40)를 바꾸는 부분이며, 차동 신호선(52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아홀(455)은 위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들과는 달리 경로 변경부(PCP)와 떨어져 있다. 즉 비아홀(455)은 차동 신호선(520)의 길이 방향(L)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경로 변경부(PCP) 사이에 위치한다.
차동 신호선(62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이웃하는 두 개의 비아홀(455) 사이를 구간(S1, S2)이라 할 때, 이 구간(S1, S2) 거리는 모두 동일할 수 있고, 각 구간 마다 다를 수도 있다.
제1 신호선(622)과 제2 신호선(624)은 그 길이 방향(L)을 따라 이동할 때 네 경로(10, 20, 30, 40)에 번갈아 위치하고, 동일 구간(S1, S2)에서 제1 신호선(622)과 제2 신호선(624)은 서로 다른 경로에 위치한다. 제1 신호선(622) 및 제2 신호선(624)은 비아홀(455)을 통해 바탕판(451)의 상부면에 있는 경로(10, 30) 또는 하부면에 있는 경로(20, 40)로 이동하고, 또한 경로 변경부(PCP)에서 경로(10, 20, 30, 40)를 변경한다. 경로 변경부(PCP)에서 제1 신호선(622) 및 제2 신호선(624) 부분의 평면 모양은 십자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신호선(622, 624)의 위치에 대해 제1 구간(S1)에서 제2 구간(S2) 방향을 따라가며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신호선(622)은 제1 구간(S1)이 시작하는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제1 경로(10)에서 제2 경로(20)로 이동하고 이어 제2 경로(20)를 따라 경로 변경부(PCP)까지 뻗어 있으며 이어 경로 변경부(PCP)에서 제4 경로(40) 쪽으로 꺾여 제4 경로(40)를 따라 제1 구간(S1)의 끝에 위치한 비아홀(455)까지 뻗어 있다. 그리고 제1 신호선(622)은 제1 구간(S1)의 끝이자 제2 구간(S2)의 시작인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제4 경로(40)에서 제 3 경로(30)로 이동하고 이어 제3 경로(30)를 따라 경로 변경부(PCP)까지 뻗어 있으며 이어 경로 변경부(PCP)에서 제1 경로(10) 쪽으로 꺾여 제1 경로(10)를 따라 제2 구간(S2)의 끝에 위치한 비아홀(455)까지 뻗어 있다.
제2 신호선(624)은 제1 구간(S1)이 시작하는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제4 경로(40)에서 제3 경로(30)로 이동하고 이어 제3 경로(30)를 따라 경로 변경부(PCP)까지 뻗어 있으며 이어 경로 변경부(PCP)에서 제1 경로(10) 쪽으로 꺾여 제1 경로(10)를 따라 제1 구간(S1)의 끝에 위치한 비아홀(455)까지 뻗어 있다. 그리고 제2 신호선(624)은 제1 구간(S1)의 끝이자 제2 구간(S2)의 시작인 곳에 위치한 비아홀(455)을 통해 제1 경로(10)에서 제2 경로(20)로 이동하고 이어 제2 경로(20)를 따라 경로 변경부(PCP)까지 뻗어 있으며 이어 경로 변경부(PCP)에서 제4 경로(40) 쪽으로 꺾여 제4 경로(40)를 따라 제2 구간(S2)의 끝에 위치한 비아홀(455)까지 뻗어 있다.
제1 신호선(622)과 제2 신호선(624)은 거의 중첩하지 않고 있으나, 다만 경로 변경부(PCP)의 교차 부분에서 일부 중첩한다. 교차 부분의 모양은 대략 십자일 수 있다.
차동 신호선(620)의 경로변경부(PCP)와 이웃하는 차동 신호선(620)의 경로 변경부(PCP)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차동 신호선(620)의 비아홀(455)은 이웃하는 차동 신호선(620)의 비아홀(455)과 마주하지 않는다. 이와 더불어 차동 신호선(620)의 비아홀(455)과 이웃하는 차동 신호선(620)의 경로 변경부(PCP)도 차동 신호선(6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 할 수 있다.
만약, 이웃하는 차동 신호선(620)의 경로 변경부(PCP) 및 비아홀(455)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지 않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면, 경로 변경부(PCP) 및 비아홀(455)들이 루프 안테나의 기능을 하게 되어 EMI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탕판(451)은 상부층(451a)과 하부층(451b)을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경로(10) 및 제3 경로(30)는 상부층(451a)에 위치하고, 제2 경로(20) 및 제4 경로(40)는 하부층(451b)에 위치한다. 그리고 복수의 비아홀(455)은 상부층(451a)에 형성된다. 이외의 구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회로 기판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차동 신호선의 경로
60: 덮개 80: 광원부
100: 하부 기판 200: 상부 기판
300: 표시판부 420, 520, 620: 차동 신호선
450: 회로 기판 451, 452: 기판
455: 비아홀 510: 가요성 인쇄 회로막

Claims (19)

  1. 바탕판, 그리고
    바탕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차동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차동 신호선
    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동 신호선은 각기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은 서로 평행한 적어도 두 개의 경로를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은 경로 변경부에서 경로를 바꾸며,
    이웃하는 상기 차동 신호선의 경로 변경부들은 상기 차동 신호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2. 제1항에서,
    상기 바탕판은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경로는 상기 제1 면에 위치하는 제1 경로와 상기 제2 면에 위치하는 제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를 기준으로 한쪽에서는 상기 제1 경로에 위치하고, 다른 쪽에서는 상기 제2 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제1 신호선과 반대 쪽 경로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3. 제2항에서,
    상기 바탕판은 상기 경로 변경부에 위치한 한 쌍의 비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한 쌍의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1 경로에서 상기 제2 경로로 경로를 바꾸는 회로 기판.
  4. 제3항에서,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가 중첩하는 회로 기판.
  5. 제4항에서,
    상기 한 쌍의 비아홀은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와 떨어져 있는 회로 기판.
  6. 제5항에서,
    상기 한 쌍의 비아홀은 상기 제1 및 제2 경로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쪽으로 떨어져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회로 기판.
  7. 제6항에서,
    상기 경로 변경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 부분의 평면 모양은 마름모형인 회로 기판.
  8. 제3항에서,
    상기 제1 경로를 상기 바탕판의 제2 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는 소정 간격 떨어져 있는 회로 기판.
  9. 제8항에서,
    상기 한 쌍의 비아홀은 각기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는
    회로 기판.
  10. 제9항에서,
    상기 경로 변경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 부분의 평면 모양은 십자인 회로 기판.
  11. 제10항에서,
    상기 차동 신호선의 상기 경로 변경부는 이웃하고 있는 차동 신호선의 인접한 두 개의 경로 변경부 사이의 구간의 중앙부와 마주하는 회로 기판.
  12. 제1항에서,
    상기 바탕판은
    제1 면 및 제2 면, 그리고
    상기 차동 신호선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경로 변경부와 떨어져 있는 복수의 비아홀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경로는
    상기 제1 면에 위치하는 제1 경로,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경로와 중첩하는 제2 경로,
    상기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경로와 간격을 두고 있는 제3 경로, 그리고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경로와 중첩하는 제4 경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를 지나면서 상기 제1 경로에서 상기 제3 경로로 변경되고 상기 비아홀에서 상기 제3 경로에서 상기 제4 경로로 변경되며,
    상기 제1 신호선과 동일한 구간에 있는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를 지나면서 상기 제4 경로에서 상기 제2 경로로 변경되고 상기 비아홀에서 상기 제2 경로에서 상기 제1 경로로 변경되는
    회로 기판.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에서 교차하며,
    상기 경로 변경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신호선 및 상기제2 신호선 부분의 평면 모양은 십자인
    회로 기판.
  14. 제13항에서,
    상기 바탕판의 동일면에서 이웃하는 두 개의 차동 신호선에 대응하는 비아홀들은 상기 차동 신호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15. 제14항에서,
    상기 바탕판의 동일면에서 이웃하는 두 개의 차동 신호선에 대응하는 경로 변화부들 및 비아홀들은 상기 차동 신호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16. 제1항에서,
    상기 바탕판은 상부층과 하부층을 포함하는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경로는 상기 상부층 위에 위치하는 제1 경로와 상기 하부층 위에 위치하는 제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경로 변경부를 기준으로 한쪽에서는 상기 제1 경로에 위치하고, 다른 쪽에서는 상기 제2 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제1 신호선과 반대 쪽 경로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17. 제16항에서,
    상기 상부층은 상기 경로 변경부에 위치한 한 쌍의 비아홀(via hol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2 신호선은 상기 한 쌍의 비아홀을 통해 상기 상부층에서 상기 하부층으로 경로를 바꾸는 회로 기판.
  18. 제1항에서,
    상기 바탕판 및 차동 신호선은 가요성을 가지는 회로 기판.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는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집접 회로 칩, 그리고
    기판 위에 복수의 박막 소자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게이트 및 데 이터 구동 집접 회로 칩으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는 표시판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080005886A 2008-01-18 2008-01-18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383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886A KR101383704B1 (ko) 2008-01-18 2008-01-18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2/186,348 US8253672B2 (en) 2008-01-18 2008-08-05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08102139723A CN101489348B (zh) 2008-01-18 2008-09-01 电路板以及包括该电路板的显示装置
JP2008301142A JP5686948B2 (ja) 2008-01-18 2008-11-26 回路基板を含む表示装置
JP2014030721A JP6033247B2 (ja) 2008-01-18 2014-02-20 回路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886A KR101383704B1 (ko) 2008-01-18 2008-01-18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717A KR20090079717A (ko) 2009-07-22
KR101383704B1 true KR101383704B1 (ko) 2014-04-10

Family

ID=4087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886A KR101383704B1 (ko) 2008-01-18 2008-01-18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53672B2 (ko)
JP (2) JP5686948B2 (ko)
KR (1) KR101383704B1 (ko)
CN (1) CN1014893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8205A4 (en) * 2008-10-17 2012-04-1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RANSMISSION LINE CIRCUIT WITH PAIRS OF CROSSLINKING CONDUCTIVE CONDUCTORS
CN101841969B (zh) * 2009-03-17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差分信号线及差分信号线偏移量的补偿方法
US9232645B2 (en) 2013-11-22 2016-0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speed differential wiring in glass ceramic MCMS
JP6614903B2 (ja) * 2014-11-04 2019-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回路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CN105072804B (zh) * 2015-07-17 2018-10-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电路板及其制作方法
KR102513997B1 (ko) 2016-02-04 2023-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321959A1 (en) * 2016-11-10 2018-05-16 ABB Schweiz AG Power semiconductor module
CN110570812B (zh) * 2019-10-18 2020-11-10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像素电路、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7479B1 (en) 1999-06-14 2001-03-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lace and route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design
US20020079564A1 (en) 2000-10-02 2002-06-27 Stmicroelectronics S.R.L. Anti-deciphering contacts
JP2006517053A (ja) 2002-10-21 2006-07-13 エイチアールエル ラボラトリーズ,エルエルシー 無関係な導電トレースを有する多層集積回路
US20070075432A1 (en) 2005-08-12 2007-04-0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rinted circuit board with differential pair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5362U (ko) * 1986-03-07 1987-09-12
JPH0254985A (ja) * 1988-08-19 1990-02-23 Fujitsu General Ltd プリント基板のツイスト伝送路
US5397862A (en) * 1993-08-31 1995-03-14 Motorola, Inc. Horizontally twisted-pair planar conductor line structure
JPH07235341A (ja) * 1994-02-21 1995-09-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切換盤のマトリクスボード
JP3528484B2 (ja) * 1996-12-27 2004-05-1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擬似ツイストペア平型柔軟ケーブル
JP2000151041A (ja) * 1998-11-09 2000-05-30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プリント配線板
US6396000B1 (en) * 2000-09-11 2002-05-28 Hewlett-Packard Co.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reduc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emissions from conductive traces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3950681B2 (ja) * 2001-12-05 2007-08-01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伝送線路基板
US7280808B2 (en) * 2004-04-12 2007-10-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including circuit substrates with partially overlapping conductors thereon coupling power to/from power amplifier systems
CN101064992A (zh) * 2006-04-29 2007-10-31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印刷电路板及其布线方法
EP1865757B1 (en) * 2006-06-06 2011-03-02 Alcatel Lucent Reduced crosstalk in printed circuit boards by twisting trac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7479B1 (en) 1999-06-14 2001-03-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lace and route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design
US20020079564A1 (en) 2000-10-02 2002-06-27 Stmicroelectronics S.R.L. Anti-deciphering contacts
JP2006517053A (ja) 2002-10-21 2006-07-13 エイチアールエル ラボラトリーズ,エルエルシー 無関係な導電トレースを有する多層集積回路
US20070075432A1 (en) 2005-08-12 2007-04-0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rinted circuit board with differential pair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86948B2 (ja) 2015-03-18
US8253672B2 (en) 2012-08-28
JP2009170884A (ja) 2009-07-30
CN101489348B (zh) 2012-10-10
JP2014112718A (ja) 2014-06-19
JP6033247B2 (ja) 2016-11-30
US20090184910A1 (en) 2009-07-23
KR20090079717A (ko) 2009-07-22
CN101489348A (zh)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704B1 (ko)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4885007B (zh) 显示元件和显示装置
US10705398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panel
KR20070002278A (ko)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802309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711575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020067009A (ko) 표시 소자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US11703985B2 (en) Touch display device
CN109725447B (zh)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3011608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onductive lines on different levels
US11493815B2 (en) Display device
CN109148485B (zh)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US20220330430A1 (en) Bonding pad structure
US20230369233A1 (en) Wiring substrate, array substrate and light emitting module
US11347097B2 (en) Display device
CN110161764B (zh) 显示装置
US9035190B2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TWI837709B (zh) 電子裝置
US11527557B2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11874575B2 (en) Display panel having first and second wires extended and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bezel region
KR102387554B1 (ko) 표시 장치
CN117751702A (zh) 一种显示面板、显示屏及电子设备
KR100470439B1 (ko) 씨오지실장형엘씨디모듈
JP2024070148A (ja) 表示装置
KR2018001341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