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079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079B1
KR101382079B1 KR1020120070832A KR20120070832A KR101382079B1 KR 101382079 B1 KR101382079 B1 KR 101382079B1 KR 1020120070832 A KR1020120070832 A KR 1020120070832A KR 20120070832 A KR20120070832 A KR 20120070832A KR 101382079 B1 KR101382079 B1 KR 10138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acceleration
upper limit
tank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924A (ko
Inventor
고지 히사노
야스오 이케다
요시유키 마키노
노리후미 오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00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1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검출 정밀도의 개체차가 감소되며, 세탁물의 편중도 고려하여 회전조의 회전을 제어하여 종합적인 운전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세탁기는 외부상자, 수조, 회전조, 구동수단, 지지구조부, 회전수 검출수단, 진동검출수단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외부상자 내에 수용된 수조내에, 회전조가 수용되어 있다. 구동수단은 회전조를 회전 구동하고 지지구조부는 수조를, 외부상자내에 지지한다. 회전수 검출수단은 회전조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수조에 설치한 진동검출수단은 수조에 가해지는 진동을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기초하여 검출한다. 제어장치는 진동검출수단으로 검출한 가속도와, 미리 설정된 상한가속도를 비교하고,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한가속도보다 크다고 판단한 초과횟수를 카운트하며, 초과 횟수에 기초하여 회전조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회전조 내의 세탁물의 편중 등에 의해, 예를 들어 탈수운전시에서의 회전조의 회전시에 진동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세탁기는 회전조의 진동을 검출하고 회전조에 과대한 진동이 발생하면 운전의 정지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종래, 세탁기는 예를 들어 안전 레버를 설치하거나, 회전조의 회전수의 기동을 파악하여 회전조의 진동을 검출하고 있다.
안전 레버를 설치한 세탁기의 경우, 안전 레버는 회전조를 수용하는 수조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조에 진동이 발생하면, 회전조를 수용하는 수조와 안전 레버가 접촉되고 회전조의 진동이 검출된다.
또한, 회전조의 회전의 기동을 파악하여 회전조의 진동을 검출하는 세탁기의 경우, 예를 들어 구동수단에 지시한 회전수와 실제 회전조의 회전수의 차 등에 기초하여 회전조의 진동을 검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안전 레버를 사용하는 세탁기는 안전 레버는 회전조를 수용하는 수조와 외부상자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탁기의 소형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외부상자와 회전조를 수용하는 수조 사이의 공간이 감소되고 있다. 그 결과, 진동한 회전조는 안전 레버에 접하기 전에 외부상자에 접할 가능성이 있고, 한층 더한 세탁기의 소형화는 곤란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안전 레버는 부착 위치에 따라 검출 정밀도가 변화되므로 세탁기에 따라 진동의 검출 정밀도에 개체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회전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세탁기에서는 회전수의 검출이 애초 회전조의 진동의 검출을 목적을 한 것은 아니므로, 회전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중까지 고려하여 회전조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일본 특허 제3131536호 명세서
그래서,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검출 정밀도의 개체차가 감소되고 세탁물의 편중도 고려하여 회전조의 회전을 제어하여, 종합적인 운전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는 외부상자와, 상기 외부상자에 수용되어 있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수조를, 상기 외부상자 내에 지지하고 있는 지지구조부와,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수단과, 상기 수조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진동을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과, 상기 진동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와, 미리 설정한 상한가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기 상한가속도보다 크다고 판단한 초과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초과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세탁물의 편중도 고려하여 회전조의 회전을 제어하여 종합적인 운전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의 기억부가 기억하는 제 1 상한가속도, 제2 상한가속도 및 검출횟수를 시각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의 작동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를 도시한 도 3에 상당하는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에서의 도 4에 상당하는 모식도,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에서의 회전조의 회전수의 시간적인 변화를 도시한 모식도,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에서의 도 4에 상당하는 모식도,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의 작동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1은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의 탈수운전 초기에서의 회전조의 회전수의 시간적인 변화를 도시한 모식도,
도 12는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에서의 도 4에 상당하는 모식도, 및
도 13은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의 작동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공통되는 구성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다. 세탁기(10)는 외부상자(11), 회전조(12), 수조(13), 구동부(14) 및 지지구조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10)는 회전조(12)의 회전 중심축(16)이 동력 방향과 평행인 종축형 세탁기이고,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세탁 및 탈수를 실시한다. 또한, 세탁기(10)는 건조 기능을 추가해도 좋다. 외부상자(11)는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탁기(10)의 외각을 형성하고 있다.
회전조(12)는 저부(21), 몸통부(22) 및 회전 밸런서(23)를 갖고 있다. 저부(21)는 예를 들어 수지 등에 의해 공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22)는 예를 들어 스텐레스 강판 등에 의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부(21)와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몸통부(22)는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24)을 갖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복수의 구멍(24) 중 일부만 도시하고 있다.
세탁물을 탈수할 때 세탁물로부터 분리된 물은 상기 구멍(24)을 경유하여 회전조(12)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세탁물을 건조시킬 때, 회전조(12) 내에 공급된 온풍은 상기 구멍(24)을 경유하여 회전조(12)의 외부로 배출된다.
회전 밸런서(23)는 몸통부(22)의 상단측 즉 몸통부(22)의 저부(21)와 반대 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밸런서(23)는 예를 들어 액체가 봉입되어 있고 회전 중심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조(12)의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수조(13)는 저부(25)를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조(13)의 저부(25)와 반대측에는 수조 커버(26)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 커버(26)는 내부 덮개(27), 급수구(28) 및 송풍구(29)를 형성하고 있다. 내부 덮개(27)는 회전조(12)의 상단측 즉 구동부(14)와 반대측의 단부를 개폐한다.
급수구(28)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부로부터 회전조(12)내로 공급되는 물이 흐른다. 송풍구(29)는 도시하지 않은 송풍부로부터 회전조(12) 내로 공급되는 온풍이 흐른다.
수조 커버(26)는 필터(31)를 갖고 있다. 필터(31)는 수조(13)로부터 배출되는 온풍에 포함되는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을 포집한다. 수조(13)는 저부(25)에 배수부(32)를 갖고 있다. 수조(13) 내의 물은 배수부(32)를 경유하여 세탁기(10)의 외부에 배출된다.
구동부(14)는 수조(13)의 하방 즉 수조 커버(26)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14)는 주로 모터(33)를 갖고 있다. 세탁기(10)가 탈수운전할 때, 구동부(14)는 회전조(12)를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또한, 구동부(14)는 회전조(12)의 저부(21)측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 부재(34)에 접속되어 있다. 세탁기(10)가 세탁운전 또는 헹굼운전을 할 때, 구동부(14)는 교반 부재(34)를 회전 구동한다. 이 때, 구동부(14)는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시키면서 교반 부재(34)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번갈아 회전 구동한다.
세탁기(10)가 탈수운전할 때 구동부(14)는 회전조(12) 뿐만 아니라 교반부재(34)도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구동부(14)를 구성하는 모터(33)는 소위 아우터로터형이고 회전조(12) 및 교반 부재(34)를 직접 회전 구동한다.
지지 구조부(15)는 덮개측 지지부(41), 매달림봉(42), 저측 지지부(43) 및 탄성 부재(44)를 갖고 있다. 덮개측 지지부(41)는 외부상자(11)의 각 각부(角部)에서 상단 즉 수조 커버(26)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덮개측 지지부(41)는 받이부(411) 및 이동 부재(412)를 갖고 있다. 이동 부재(412)는 하측 즉 구동부(14)측에 구면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받이부(411)는 이동부재(412)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의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동부재(412)와 매끄럽게 이동 가능하도록 접하고 있다.
매달림봉(42)은 덮개측 지지부(41)의 이동부재(412)로부터 하방 즉 구동부(14)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닥측 지지부(43)는 받이부(431) 및 이동 부재(432)를 갖고 있다. 받이부(431)는 수조(13)의 저부(25)측에서 외부상자(11)의 각 각부에 대응하여 사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동부재(432)는 매달림봉(42)의 하방 즉 구동부(14)측의 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덮개측 지지부(41)측에 구면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받이부(431)는 하면이 이동 부재(432)에 대응하는 오목부 형상의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동부재(432)와 매끄럽게 이동 가능하도록 접하고 있다. 탄성부재(44)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형성되고, 한쪽의 단부가 매달림봉(42)의 하단에 접하고 다른쪽 단부가 바닥측 지지부(43)의 이동 부재(432)에 접하고 있다. 탄성부재(44)는 신장 방향의 힘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수조(13)는 지지 구조부(15)에 의해 외부상자(11)에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구조부(15)에 의해 수조(13)를 매달린 상태로 지지하는 구조는 일례이고 수조(13)는 예를 들어 하방으로부터의 지지 구조부(15)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이어도 좋다.
세탁기(10)는 진동검출수단으로서의 가속도 센서(46)를 구비하고 있다. 가속도 센서(46)는 수조(13)의 상단 즉 수조 커버(26)측의 단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46)는 수조(13)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46)는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기초하여 수조(13)에 가해지는 진동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46)는 세탁기(10)가 설치되어 있는 가옥의 마루 등의 접지면(47)에 대하여, 중력 방향 및 수평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가속도 센서(46)가 검출하는 가속도의 수평 방향이라는 것은, 도 1의 지면에서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쌍방 또는 어느 한쪽이다. 또한, 가속도 센서(46)는 도 1에서 상하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세탁기(10)는 또한 제어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50)는 외부상자(11)와 수조(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측에 수용되어 있다. 제어 장치(50)는 예를 들어 리드선(51) 등에 의해 가속도 센서(4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50)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패널 등에도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부(52), 회전수 취득부(53), 진동 취득부(54), 회전수 제어부(55), 중량 취득부(56), 중량별 설정부(57) 및 기억부(58)를 갖고 있다.
처리부(52)는 예를 들어 CPU, ROM 및 RAM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처리부(52)는 ROM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세탁기(10)의 운전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50)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회전수 취득부(53), 진동 취득부(54), 회전수 제어부(55), 중량 취득부(56) 및 중량별 설정부(57)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하고 있다.
또한, 처리부(52)는 기억부(58)에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58)는 예를 들어 불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한가속도, 검출 횟수 및 하한 회전수를 기억하고 있다. 기억부(58)는 처리부(52)의 ROM이나 RAM과 공용해도 좋다.
회전수 취득부(53)는 모터(33)와 함께 회전수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33)는 자기의 회전수에 기초하는 전기 신호, 즉 공급된 전류값 또는 인가된 전압값 등을 출력한다. 회전수 취득부(53)는 상기 모터(33)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모터(33)의 회전수를 취득한다. 또한, 회전수 취득부(53)는 예를 들어 로터리엔코더 등의 회전수 센서에 의해 회전조(12) 또는 모터(33)의 회전수를 직접 취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진동 취득부(54)는 가속도 센서(46)와 함께 진동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46)는 검출한 가속도에 기초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진동 취득부(54)는 가속도 센서(46)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가속도 센서(46)가 검출한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 즉 진동을 취득한다.
중량 취득부(56)는 모터(33)와 함께 중량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추가적으로는 교반부재(34)를 구동하는 모터(33)는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부하가 변화된다. 즉,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이 커질수록, 교반부재(34)를 구동하는 모터(33)의 부하는 증대된다.
이에 의해,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은 교반 부재(34)를 구동하는 모터(33)의 부하에 상관(相關)한다. 그래서, 중량 취득부(56)는 세탁운전에서 주수(注水)를 개시하기 전에, 세탁물을 회전조(12)에 수용한 상태에서 교반 부재(34)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리고, 중량 취득부(56)는 상기 구동시에서의 모터(33)의 부하 즉 모터(33)로 공급되는 전류값 또는 모터(33)로 인가하는 전압값을 취득함으로써,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건조시에서의 중량을 취득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수 취득부(53)가 모터(33)로부터 취득한 회전조(12)의 회전수, 및 진동 취득부(54)가 가속도 센서(46)로부터 취득한 수조(13)의 진동에 기초하여, 회전조(12)의 회전수 즉 모터(33)에 출력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수 제어부(55)는 진동 취득부(54)가 가속도 센서(46)로부터 취득한 수조(13)의 진동 즉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와, 기억부(58)에 기억되어 있는 상한가속도를 비교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취득한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한가속도보다 크다고 판단한 횟수를 초과 횟수로서 카운트한다.
또한, 회전수 제어부(55)는 카운트한 초과 횟수에 따라서 회전조(12)의 회전수, 즉 모터(33)에 출력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기억부(58)는 상한가속도를 2단계로 설정하여 기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5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한가속도(a1), 제2 상한가속도(a2) 및 검출횟수(D)를 테이블로서 기억하고 있다. 제2 상한가속도(a2)는 제1 상한가속도(a1)보다 큰 값, 즉 a2>a1로 설정되어 있다.
회전수 제어부(55)는 가속도 센서(46)에서 취득한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와, 제1 상한가속도(a1) 및 제2 상한가속도(a2)를 비교하고, 가속도(a)가 제1 상한가속도(a1)보다 큰, 즉 a>a1이 되는 제1 초과횟수(L1) 및 가속도(a)가 제2 상한가속도(a2)보다 큰, 즉 a>a2가 되는 제2 초과횟수(L2)를 카운트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a2>a1이므로, 회전수 제어부에서 카운트한 제2 초과횟수(L2)는 제1 초과횟수(L1) 이하 즉 L1≥L2가 된다. 기억부(58)는 회전수 제어부(55)에서 카운트된 제1 초과횟수(L1) 및 제2 초과횟수(L2)를 기억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제2 상한가속도(a2)보다 클 때, 즉 a>a2일 때, 제2 초과횟수(L2)가 1회 즉 L2=1이 되면 회전조(12)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또한, 회전수 제어부(55)는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제1 상한가속도(a1)보다 크고 제2 상한가속도(a2) 이하일 때, 즉 a2>a>a1일 때, 제1 초과횟수(L1)가 미리 설정되어 기억부(58)에 기억되어 있는 검출횟수(D)에 도달, 즉 L1=D가 되면 회전조(12)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회전수 제어부(55)는 제2 초과횟수(L2)가 1회에 도달 즉 L2=1, 또는 제1 초과횟수(L1)가 검출횟수(D)에 도달 즉 L1=D가 되면, 회전조(12)의 회전수를 저하, 또는 회전조(12)를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수를 저하 또는 회전조(12)를 정지시킴으로써 탈수운전을 중단하고, 회전조(12) 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을 푸는 운전인 「풀림운전」으로 제어한다.
중량별 설정부(57)는 중량 취득부(56)에서 취득한 세탁물의 중량에 대응하여, 상한가속도 및 초과횟수를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중량별 설정부(5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한가속도(a1), 제2 상한가속도(a2) 및 제1 초과횟수(L1)로서 허용되는 횟수에 상당하는 검출횟수(D)를,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서 설정한다. 중량별 설정부(57)는 중량 취득부(56)에서 검출한 세탁물의 중량이 작아질수록 검출횟수(D)를 크게 설정하고 있다.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10)의 작동의 흐름을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50)는 미리 설정된 작동 프로그램에 따라서 세탁운전, 헹굼운전 및 탈수운전을 실행한다. 제어장치(50)는 세탁운전의 개시에 앞서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을 취득한다(S101). 구체적으로는 중량 취득부(56)는 회전조(12)가 정지한 상태에서 교반부재(34)를 회전 구동하고, 상기 구동시의 모터(33)의 부하로부터 수용된 세탁물의 세탁전의 중량을 취득한다.
제어장치(50)는 세탁물의 중량을 취득하면(S101), 세탁운전 및 헹굼운전을 실행한다(S102). 제어장치(50)는 세탁운전 및 헹굼운전이 종료되면 탈수운전을 개시한다(S103). 그리고, 세탁기(10)가 탈수운전을 개시하면 회전수 취득부(53)는 탈수운전에서의 회전조(12)의 회전수(R)를 취득한다(S104).
이 때, 회전수 취득부(53)는 모터(33)에 공급되는 전류값 또는 모터(33)에 인가되는 전압값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모터(33)의 회전수(R)를 취득한다.
회전수 취득부(53)는 S104에서 회전조(12)의 회전수(R)를 취득하면, 취득한 회전수(R)가 하한 회전수(Ri)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5). 하한 회전수(Ri)는 탈수운전에 의해 회전조(12)가 회전을 개시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취득한다.
예를 들어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에 중량적인 편중이 있을 때, 상기 편중에 의해 회전조(12)는 회전이 정상적으로 기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회전수 취득부(53)는 탈수운전을 개시한 후 그 회전수(R)와 하한 회전수(Ri)를 비교하여 회전조(2)의 회전이 정상적으로 기동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하한 회전수(Ri)는 예를 들어 20rpm 등과 같이 세탁기(10)의 성능에 맞추어 미리 설정되어 있다.
회전수(R)가 하한 회전수(Ri) 이상이라고 판단되면(S105: 예), 진동 취득부(54)는 가속도 센서(46)로부터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를 취득한다(S106).
S104에서 취득한 회전수(R)가 하한 회전수(Ri) 이상일 때, S103에서 회전을 개시한 회전조(12)는 그 회전이 정상적으로 기동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 때문에, 회전조(12)의 회전은 초기의 기동 행정을 거쳐, 안정적인 회전수 상승 행정으로 이행하고 있는 것이 된다. 그래서, 진동 취득부(54)는 회전조(12)의 회전이 정상적으로 기동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의 취득을 개시한다.
한편, 진동 취득부(54)는 S105에서 취득한 회전수(R)가 하한 회전수(Ri)보다 작다고 판단되면(S105: 아니오), S104로 이행하고, S104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취득되면(S106), 회전수 제어부(55)는 취득된 가속도(a)가 제2 상한가속도(a2)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7).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취득한 가속도(a)와 기억부(58)에 기억되어 있는 제2 상한가속도(a2)를 비교하여 취득한 가속도(a)가 제2 상한가속도(a2)보다도 큰 지, a>a2인지를 판단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107에서 가속도(a)가 제2 상한가속도(a2)보다 큰, a>a2라고 판단하면(S107: 예),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하고 풀림운전으로 이행한다(S108).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제2 상한가속도(a2)보다 클 때, 제2 초과횟수(L2)가 1회에 도달한, 즉 L2=1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가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로 주수 및 회전조(12)를 정지시키면서 교반부재(34)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을 풀기 위한, 풀림운전을 실행한다.
제어장치(50)는 풀림운전(S108)이 완료되면, 다시 탈수운전(S103)으로 복귀되고, 탈수운전(S103)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하는 대신, 회전조(12)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도록 해도 좋다.
여기에서, 제2 상한가속도(a2)는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에 허용되는 진동의 최대값에 상당한다. 그 때문에,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에 제2 상한가속도(a2)를 초과하는 진동 즉 가속도가 가해질 때, 회전조(12)의 회전 구동의 계속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회전수 제어부(55)는 제2 초과횟수(L2)가 1회에 도달하면, 회전수(12)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고 풀림운전으로 이행한다.
한편, 회전수 제어부(55)는 S107에서의 가속도(a)가 제2 상한가속도(a2)보다 크지 않은, 즉 a2≥a라고 판단되면(S107: 아니오),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제1 상한가속도(a1)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9).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S106에서 취득한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a)와 기억부(58)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상한가속도(a1)를 비교하여 S106에서 취득한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제1 상한가속도(a1)보다 큰 지, a>a1인지를 판단한다(S109).
회전수 제어부(55)는 S109에서 가속도(a)가 제1 상한가속도(a1)보다 큰, a>a1이라고 판단하면(S109: 예), 상기 a>a1으로 판단한 횟수를 제1 초과횟수(L1)로서 카운트한다(S110). 회전수 제어부(55)는 a>a1으로서 판단한 횟수를 제1 초과횟수(L1)로서 기억부(58)에 기억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S110에서 카운트한 제1 초과횟수(L1)가 미리 설정한 검출횟수(D)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1).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L1≥D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1 상한가속도(a1)는 제2 상한가속도(a2)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조(13)의 진동 즉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제1 상한가속도(a1)보다 커져도, 회전조(12)의 운전을 바로 정지할 필요는 없다.
즉,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a1<a≤a2의 진동이면 회전조(12)의 회전의 계속은 허용된다. 그러나, 상기 a1<a≤a2의 가속도의 진동이어도, 상기 진동이 반복되어 복수회 발생하면, 회전조(12)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에는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편중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회전수 제어부(55)는 S106에서 취득한 가속도(a)가 a1<a≤a2가 되는 제1 초과횟수(L1)가 검출횟수(D)에 도달하면, 풀림운전(S108)으로 이행하고,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하여 풀림운전을 실행한다(S108). 풀림운전(S108)에서의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에서, 제1 상한가속도(a1), 제2 상한가속도(a2), 및 제1 초과횟수(L1)의 횟수에 상당하는 검출횟수(D)는 중량별 설정부(57)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조(12)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서 다른 값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회전조(12)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중량이 작을 때에는 수조(13)에 가해지는 진동 즉 가속도가 a1<a≤a2의 범위에 있어도, 회전조(12)의 회전 구동을 계속함으로써 회전조(12)는 안정된 회전으로 이행되기 쉽다.
이에 대하여, 회전조(12)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중량이 클 때에는 회전조(12)의 회전 구동을 계속해도, 회전조(12)는 안정된 회전으로 이행되기 어렵고, 진동이 반복하여 발생하거나 진동이 커지기 쉽다.
그래서, 중량별 설정부(57)는 S101에서 취득한 세탁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허용되는 제1 초과횟수(L1) 즉 검출횟수(D)를 설정하고 있다. 즉, 중량별 설정부(57)는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이 작을수록 제1 초과횟수(L1)에 상당하는 검출횟수(D)를 크게 설정하고 있다.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제1 상한가속도(a1) 이하, 즉 a1≥a라고 판단되면(S109: 아니오),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을 계속한다(S112). 이에 의해, 회전조(12)의 회전수는 상승하고, 회전조(12)는 미리 설정된 정상 회전수로 회전 구동된다.
제어장치(50)는 S112에서 회전조(12)가 정상 회전수에 도달하면, 미리 설정된 탈수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3). 제어장치(50)는 탈수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S113: 예), 탈수운전을 종료하고(S114) 세탁기(10)의 운전을 종료한다.
한편, 제어장치(50)는 S113에서 탈수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S113: 아니오), 탈수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탈수운전을 계속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세탁기(10)의 회전조(12)는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에 기초하여 그 회전이 제어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10)는 가속도 센서(46)를 구비하고 있고, 가속도 센서(46)는 수조(13)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46)는 회전조(12)에 진동이 발생했을 때,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에 발생하는 가속도를 검출한다.
이 때, 가속도 센서(46)는 수조(13)에 발생한 회전 중심축(16) 방향 및 회전조(12)의 직경 방향의 요동을 직접 검출한다. 이에 의해, 회전조(12)의 진동은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중도 포함하여 검출된다.
또한, 가속도 센서(46)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안전 레버와 같이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와 접하는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와 외부상자(11) 사이에 확보해야 할 공간이 감소되고 또한 개체차가 발생하기 어렵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의 경우, 제어장치(50)는 상기 가속도 센서(46)에서 검출된 수조(13)의 진동, 즉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미리 설정한 상한가속도와 비교하고 있다. 상기 제어장치(50)는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한가속도보다 커진 초과횟수를 카운트하고, 계측한 초과횟수에 기초하여 회전조(12)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검출정밀도의 개체차가 감소되고, 세탁물의 편중도 고려하여 회전조(1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와 상한가속도를 비교하여 가속도(a)가 제1 상한가속도(a1) 또는 제2 상한가속도(a2)를 초과한 초과횟수에 기초하여 회전조(12)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가속도가 작은 미소한 수조(13)의 진동은 허용하면서, 가속도가 큰 수조(13)의 진동이 발생하면 세탁기(10)는 탈수운전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수조(13)의 진동의 크기에 대응한 회전조(12)의 회전수의 제어가 실시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탈수운전의 정지가 감소되고 종합적인 운전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중량 취득부(56)에 의해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을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중량별 설정부(57)는 검출된 세탁물의 중량에 대응하여 상한가속도를 설정하고 있다.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이 작을 때에는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에 상한가속도를 초과하는 진동이 발생해도, 그대로 회전 구동을 계속함으로써 회전조(12)의 회전은 안정되기 쉽다. 이러한 경우,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에 상한가속도를 초과하는 진동이 발생했을 때, 회전조(12)의 운전을 정지시키기보다도 운전을 계속하는 편이 탈수공정을 포함하는 세탁기(10)의 전체적인 운전시간이 단축된다.
한편,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이 클 때,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에 상한가속도를 초과하는 진동이 발생하면, 회전조(12)의 회전은 용이하게 안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회전조(12)의 운전을 일단 정지시키고 다시 주수나 헹굼을 실시하여 세탁물의 편중을 완화시킨 편이 전체적인 운전시간의 단축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검출한 세탁물의 중량에 대응하여 상한가속도 및 초과횟수를 설정함으로써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의 과대한 진동을 억제하면서 세탁기(10)의 운전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 6에 도시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세탁기(10)의 제어장치(50)는 제1 실시형태의 구성에 추가하여 온도 취득부(61) 및 온도별 설정부(62)를 갖고 있다. 제어장치(50)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온도 취득부(61) 및 온도별 설정부(62)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하고 있다. 온도 취득부(61)는 온도센서(63)와 함께 온도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온도센서(63)는 수조(13)의 주위의 기온을 검출한다. 온도센서(63)는 예를 들어 외부상자(11)나 송풍구(29)의 근방 등에 설치되어 있다. 온도센서(63)는 검출한 기온에 기초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온도 취득부(61)는 온도센서(63)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온도센서(63)가 검출한 수조(13)의 근방의 기온을 취득한다.
온도별 설정부(62)는 온도센서(63)에서 검출한 수조(13)의 근방에 기온에 따라서 상한가속도 및 초과횟수로서 허용되는 검출횟수(D)를 설정한다. 제2 실시형태의 경우, 온도별 설정부(6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한가속도(a1), 제2 상한가속도(a2) 및 검출횟수(D)를, 온도센서(63)에서 검출한 기온에 따라서 설정한다.
온도별 설정부(62)는 예를 들어 온도센서(63)에서 검출한 수조(13)의 근방의 온도가 실온에 가까운 10℃ 내지 30℃의 범위에 있을 때, 그 온도가 10℃ 이하 또는 30℃ 이상에 비교하여 검출횟수(D)를 크게 설정하고 있다.
수조(13)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부(15)는 예를 들어 고무나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갖고 있다. 이들 탄성부재, 특히 고무 등은 기온에 따라 탄성계수가 변화된다. 탄성부재는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아질수록 단단해지고, 기온이 높아질수록 부드러워진다.
또한, 지지구조부(15)나 모터(33) 등의 구동 부분은 마찰을 경감시키기 위해 그리스 등의 유지가 도포되어 있다. 이들 유지도 기온이 낮아질수록 단단해지고 기온이 높아질수록 부드러워진다.
또한, 지지구조부(15) 등을 구성하는 부재는 기온에 따라서 치수가 미소하게 변화된다. 그 때문에, 기온이 낮을 때, 수조(13)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부(15)는 단단해지고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의 진동은 비교적 작아진다.
한편, 기온이 높아짐에 따라서 회전조(12)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부(15)는 부드러워지고,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의 진동은 비교적 커진다. 또한 기온이 높아지면 회전조(12)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부(15)는 치수의 변화에 따라서 각 부재간이 밀착(?)되기 쉬워지고, 회전조(12)를 수용하는 수조(13)의 진동은 오히려 작아진다.
그래서, 온도별 설정부(62)는 온도센서(63)에서 검출한 온도에 따라서 제1 상한가속도(a1), 제2 상한가속도(a2) 및 검출횟수(D)를 각각 설정한다. 이에 의해, 회전수 제어부(55)는 도 5에 도시한 S111에서 제1 초과횟수(L1)와 검출횟수(D)를 비교할 때, 도 7에 도시한 기온에 따라서 설정된 검출횟수(D)를 사용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취득부(61) 및 온도센서(63)에 의해 수조(13)의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온도별 설정부(62)는 검출한 수조(13) 주위의 온도에 따라서 상한가속도 및 검출횟수를 설정하고 있다.
상기 지지구조부(15)의 특성은 온도에 따라서 변화된다. 상기 지지구조부(15)의 특성의 변화는 예를 들어 탄성부재의 스프링 정수나, 각 부재에 도포된 윤활유 등의 특성이 온도에 따라 변화되므로 발생한다. 그래서, 검출된 수조(13)의 주위의 온도에 따라서 상한가속도 및 검출횟수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회전조(12)를 수용한 수조(13)의 과대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는 구성이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지만, 제어장치(50)에 의한 제어가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제3 실시형태의 경우, 제어장치(50)의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영역을 저속회전영역과 중고속 회전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수 취득부(53)에서 취득되는 회전조(12)의 회전수(R)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3)로의 통전의 개시로부터 시간(T)의 경과와 함께 변화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회전조(12)의 회전수(R)는 T=Tc1까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증가하여 제1기 안정회전수(Rc1)에 도달한다. 그리고, 회전조(12)의 회전수(R)는 T=Tc1 부터 T=Tc2까지의 기간, 제1기 안정회전수(Rc1)를 유지한 후, 다시 T=Tt까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증가하여 제2기 안정회전수(Rc2)에 도달한다. 회전조(12)는 상기 제2기 안정회전수(Rc2)를 유지한 채로 미리 설정된 탈수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회전을 계속한다.
도 8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회전조(12)의 회전수(R)의 변화율 즉 회전의 가속도는 T=Tc2 내지 T=Tt까지의 사이에 적어도 1회 변화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기 안정회전수(Rc1)는 Rc1=100~150rpm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기 안정회전수(Rc2)는 Rc2=800~1000rpm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조(12)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은 이미 세탁운전 및 헹굼운전이 종료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조(12)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은 많은 물을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젖은 세탁물을 수용하고 있는 회전조(12)의 회전을 급격하고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면, 세탁물이 급격하게 탈수되어 회전조(12)로부터 수조(13)로 대량의 물이 배출된다. 그 결과, 배수부(32)를 경유한 물의 배출이 불충분해지고 탈수운전이 방해받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가 회전을 개시하고, 그 회전수(R)가 제1기 안정회전수(Rc1)에 도달하면, 회전조(12)의 회전수(R)의 증가를 억제하고, 세탁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탈수운전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제거되는 물은 일부가 제1기 안정회전수(Rc1)에 도달할 때까지의 탈수운전에 의해 제거되고, 나머지가 후속되는 T=Tc2 이후의 탈수운전에서 제거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제거된 물이 한 시기에 집중하여 배출되는 것이 감소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조(12)의 회전수(R)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된다. 제3 실시형태의 경우, 회전수 제어부(55)는 상기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모터(33)로의 통전의 개시 즉 T=T0로부터 제1기 안정회전수(Rc1)에 도달하는 T=Tc1까지의 기간을 저속회전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하한 회전수로서 제1기 안정회전수(Rc1)를 설정하고,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상기 제1기 안정회전수(Rc1)보다 낮은, 즉 R<Rc1의 영역을 저속회전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제1기 안정회전수(Rc1) 이상, 즉 R≥Rc1의 영역을 중고속 회전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의 경우, 상한가속도 및 검출횟수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저속회전영역 및 중고속 회전영역의 각 영역마다 세탁물의 용량에 따라서 각각 설정되어 있다.
즉, 기억부(58)는 상한가속도로서 저속회전영역에 대해서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를 기억하고, 중고속 회전영역에 대해서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를 기억하고 있다. 이 경우,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는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보다 큰, 즉 AL<AH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58)는 저속회전영역에 대해서 저속 회전 상한횟수(EL)를 기억하고, 중고속 회전영역에 대해서 중고속 회전 상한횟수(EH)를 기억하고 있다. 이 경우, 중고속 회전 상한횟수(EH)는 저속회전 상한횟수(EL)보다 작은, 즉 EL>EH로 설정되어 있다.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저속회전영역에 있을 때, 가속도 센서(46)를 통하여 진동 취득부(54)로부터 취득한 진동, 즉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보다 커지는 저속회전 초과횟수(NL)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상기 저속회전 초과횟수(NL)가 미리 설정된 저속회전 상한횟수(EL)에 도달하면, 회전조(12)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여 풀림운전으로 이행한다.
한편,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중고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 가속도 센서(46)를 통하여 진동 취득부(54)로부터 취득한 진동, 즉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보다 커지는 중고속 회전 초과횟수(NH)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상기 중고속 회전 초과횟수(NH)가 미리 설정한 중고속 회전 상한횟수(EH)에 도달하면, 회전조(12)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고 풀림운전으로 이행한다.
이들 저속회전영역에서의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 및 저속회전 상한횟수(EL), 및 중고속 회전영역에서의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 및 중고속 회전 상한횟수(EH)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대소관계가 정의되어 있다.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저속회전영역에 있을 때에는 회전의 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이 짧고, 회전조(12)의 회전수(R)도 작다. 그 때문에, 회전조(12)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은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또한 회전조(12) 중에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있다. 그 결과, 저속회전영역에 있을 때 회전조(12)의 회전은 중고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불안정해지기 쉽다.
한편,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중고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에는 회전조(12)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은 함유하는 수분이 감소되고, 회전조(12) 중에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중고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 회전조(12)의 회전은 안정화되지만, 회전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조(13)와 접촉되었을 때의 충격은 커지기 쉽다.
이상의 점에서, 회전조(12)의 회전이 저속회전영역에 있을 때에는 회전조(12)와 수조(13)가 접촉되는 충격은 작지만, 회전조(12)와 수조(13)가 접촉되는 빈도는 높아지기 쉽다.
한편, 회전조(12)의 회전이 중고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에는 저속회전영역에 비교하여 회전조(12)와 수조(13)가 접촉되는 빈도는 저하되지만, 회전조(12)와 수조(13)가 접촉되는 충격은 커지기 쉽다.
그런데, 가속도 센서(46)에서 검출하는 가속도, 즉 회전조(12)와 수조(13)가 접촉되는 충격이 상한가속도를 초과하면 바로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하고 풀림 회전으로 이행하면, 탈수운전이 완료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의 연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제3 실시형태의 경우, 가능한 탈수운전을 계속한다는 관점에서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와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의 관계를 AL<AH로 하고, 또한 저속회전 상한횟수(EL)와 중고속 회전 상한횟수(EH)의 관계를 EL>EH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저속회전영역에서는 비교적 작은 진동이 많은 빈도로 발생하면, 회전조(12)는 회전수가 제어된다. 한편, 중고속 회전영역에서는 저속회전영역에 비교하여 큰 진동이 발생하면 회전조(12)는 회전수가 제어된다. 다시 말하면, 회전수 제어부(55)는 저속회전영역에서는 비교적 작은 진동이 많은 빈도로 발생할 때까지 탈수운전을 계속하고 또한 중고속 회전영역에서는 비교적 큰 진동이 발생할 때까지 탈수운전을 계속한다.
다음에,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10)의 작동의 흐름을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처리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장치(50)는 미리 설정된 작동 프로그램에 따라서 세탁운전, 헹굼운전 및 탈수운전을 실행한다.
제어장치(50)는 세탁운전의 개시에 앞서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을 취득한다(S201). 제어장치(50)는 세탁물의 중량을 취득하면, 세탁운전 및 헹굼운전을 실행한다(S202). 제어장치(50)는 세탁운전 및 헹굼운전이 종료되면 탈수운전을 개시한다(S203). 그리고, 세탁기(10)가 탈수운전을 개시하면, 회전수 취득부(53)는 탈수운전에서의 회전조(12)의 회전수(R)를 취득한다(S204).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수(R)를 취득하면(S204), 취득한 회전수(R)가 제1기 안정회전수(Rc1)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5). S205에서 회전수(R)가 제1기 안정회전수(Rc1) 미만인, 즉 R<Rc1이라고 판단되면(S205:아니오), 진동 취득부(54)는 가속도 센서(46)로부터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를 취득한다(S206). 회전수(R)가 제1기 안정회전수(Rc1) 미만일 때, S203에서 회전을 개시한 회전조(12)는 저속회전영역에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S205에서 회전수(R)가 제1기 안정회전수(Rc1) 이상인, 즉 R≥Rc1이라고 판단되면(S205: 예), 진동 취득부(54)는 가속도 센서(46)로부터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를 취득한다(S207). 회전수(R)가 제1기 안정회전수(Rc1) 이상일 때, S203에서 회전을 개시한 회전조(12)는 저속회전영역을 거쳐 중고속 회전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206에서 저속회전영역에서의 가속도(a)를 취득하면, 상기 취득한 가속도(a)가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 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8).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취득한 가속도(a)와 기억부(58)에 기억되어 있는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를 비교하여 취득한 가속도(a)가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보다 큰지, 즉 a>AL인지를 판단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208에서 가속도(a)가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보다 큰, 즉 a>AL이라고 판단하면(S208: 예), 이 a>AL이라고 판단한 횟수를 저속회전 초과횟수(NL)로서 카운트한다(S209). 회전수 제어부(55)는 a>AL로서 판단한 횟수를 저속회전 초과횟수(NL)로서 기억부(58)에 기억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S209에서 카운트한 저속회전 초과횟수(NL)가 미리 설정한 저속회전 상한횟수(EL)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0).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NL≥EL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206에서 취득한 가속도(a)가 a>AL이 되는 저속회전 초과횟수(NL)가 저속회전 상한횟수(EL)에 도달한, 즉 NL≥EL이라고 판단하면(S210: 예),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하고 풀림운전을 실행한다(S211). 제어장치(50)는 S211에서 풀림운전을 실행하면 S203으로 되돌아가 탈수운전을 다시 개시한다.
한편, 회전수 제어부(55)는 S208에서 가속도(a)가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 이하, 즉 a≤AL이라고 판단했을 때(S208: 아니오) 및 S210에서 가속도(a)가 a>AL이 되는 저속회전 초과횟수(NL)가 저속회전 상한횟수(EL)에 도달하지 않은, 즉 NL<EL이라고 판단했을 때(S210:아니오), 회전조의 회전수를 취득하는 (S204)로 되돌아가 S204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중고속 회전영역에서의 가속도(a)를 취득하면(S207), 상기 취득한 가속도(a)가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 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2).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취득한 가속도(a)와 기억부(58)에 기억되어 있는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를 비교하여 취득한 가속도(a)가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보다 큰지, 즉 a>AH인지를 판단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212에서 가속도(a)가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보다 큰, 즉 a>AH라고 판단하면(S212: 예), 상기 a>AH라고 판단한 횟수를 중고속 회전 초과횟수(NH)로서 카운트한다(S213).
회전수 제어부(55)는 a>AH로서 판단한 횟수를 중고속 회전 초과횟수(NH)로서 기억부(58)에 기억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S213에서 카운트한 중고속 회전 초과횟수(NH)가 미리 설정된 중고속 회전 상한횟수(EH)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4).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NH≥EH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207에서 취득한 가속도(a)가 a>AH이 되는 중고속 회전 초과횟수(NH)가 중고속 회전 상한횟수(EH)에 도달한, 즉 NH≥EH라고 판단하면(S214: 예),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하여 풀림운전을 실행하는 (S211)로 이행한다. 제어장치(50)는 S211에서 풀림운전을 실행하면 S203으로 되돌아가 탈수운전을 다시 개시한다.
한편, 회전수 제어부(55)는 S212에서 가속도(a)가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 이하, 즉 a≤AH라고 판단했을 때(S212: 아니오), S207로 되돌아가 중고속 회전영역에서의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를 취득하고, S212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회전수 제어부(55)는 S214에서 가속도(a)가 a>AH가 되는 중고속 회전초과횟수(NH)가 중고속 회전 상한횟수(EH)에 도달하지 않은, 즉 NH<EH라고 판단했을 때(S214: 아니오), 미리 설정된 탈수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5).
제어장치(50)는 탈수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하면(S215: 예), 탈수운전을 종료하고(S216), 세탁기(10)의 운전을 종료한다.
한편, 회전수 제어부(55)는 S215에서 탈수시간이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215: 아니오), S207로 되돌아가 중고속 회전영역에서의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를 취득하고 S212 이행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조(12)의 회전수(R)에 따라서 가속도의 기준 및 초과횟수의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회전조(12)가 저속회전영역에 있을 때, 회전수 제어부(55)는 후속되는 중고속 회전영역과 비교하여 작은 진동이 다수회 발생해도 이를 허용하면서 회전조(12)의 회전을 계속한다. 그 때문에, 탈수운전의 초기에서 회전조(12)의 회전이 불안정하고 작은 진동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에도 회전조(12)는 상기 진동을 허용하면서 탈수운전을 계속한다. 그 결과, 약간의 진동으로 탈수운전이 정지되지 않고 풀림운전 및 탈수운전의 재작동이 회피된다.
이에 대하여 회전조(12)가 중고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 회전수 제어부(55)는 비교적 작은 진동을 허용하면서 회전조(12)의 회전을 계속하면서, 큰 진동이 발생하면 적은 회수이어도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회전조(12)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진동도 커지기 쉽고, 소음이나 기기의 손상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중고속 회전영역에서 비교적 큰 진동이 발생했을 때, 이것이 소수회이어도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중고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 미소한 진동은 허용되면서 큰 진동이 발생하면 회전조(12)의 회전이 제어된다. 따라서, 회전조(12)의 회전이 가능한 한 계속되고 탈수운전의 재작동에 수반되는 총운전시간의 연장을 초래하지 않고 소음이나 기기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이다. 상술한 제3 실시형태의 경우, 제어장치(50)의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영역을 저속회전영역과 중고속 회전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저속회전영역을, 추가로 초기회전영역과 등가속 회전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수 취득부(53)에서 취득되는 회전조(12)의 회전수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3)로의 통전의 개시부터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된다. 상세하게는 T=0에서 모터로 통전했을 때, 회전조(12)의 회전수(R)는 R=0부터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간, 불규칙적으로 증가한다.
즉, 회전조(12)는 모터(33)로 통전한 직후에 회전을 개시하지만, 이 때 회전조(12)의 회전수(R)는 수십회전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회전조(12)의 회전수(R)는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영향에 의해 회전의 초기에서 불규칙하게 변화하면서 증가한다.
이와 같이, 회전조(12)의 회전수(R)는 모터(33)로의 통전으로부터 T=Tc0이 경과하고 이행 회전수(Rs)에 도달할 때까지 불규칙하게 증가한다. 그리고, 모터(33)의 통전으로부터 T=Tc0이 경과하여 이행 회전수(Rs)에 도달하면, 회전조(12)의 회전이 안정된다.
즉, 회전조(12)의 회전수(R)는 모터(33)로의 통전으로부터 T=Tc0가 경과하면 등가속적, 즉 시간에 비례하여 회전수(R)가 증가한다. 상기 이행 회전수(Rs)는 회전조(12)를 구동하는 모터(33) 등의 기기의 특성, 및 회전조(12)에 수용되는 세탁물의 중량 등에 따라서 변화된다. 일반적으로는 이행 회전수(Rs)는 Rs=10~50rpm 정도이다.
제4 실시형태의 경우, 회전수 제어부(55)는 저속회전영역 중, 모터(33)로의 통전의 개시 즉 T=0부터 T=Tc0이 경과되어 이행 회전수(Rs)에 도달할 때까지의 회전이 불규칙한 영역을 초기회전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이행 회전수(Rs)를 설정하고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상기 이행 회전수(Rs) 보다 낮은, 즉 R<Rs의 영역을 초기회전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이행 회전수(Rs) 이상, 즉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규칙적인 등가속으로 증가하는 R≥Rs의 영역을 등가속 회전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상한가속도 및 검출횟수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초기회전영역 및 등가속 회전영역의 각 영역마다 세탁물의 용량에 따라서 각각 설정되어 있다.
즉, 기억부(58)는 상한가속도로서 초기회전영역에 대해서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를 기억하고, 등가속 회전영역에 대해서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를 기억하고 있다. 이 경우,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는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보다 큰, 즉 AL1<AL2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58)는 초기회전영역에 대해서 초기회전 상한횟수(EL1)를 기억하고 등가속 회전영역에 대해서 등가속 회전 상한횟수(EL2)를 기억하고 있다. 이 경우, 등가속 회전 상한횟수(EL2)는 초기회전 상한회전수(EL1)보다 작은, 즉 EL1>EL2로 설정되어 있다.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초기회전영역에 있을 때, 가속도 센서(46)를 통하여 진동 취득부(54)로부터 취득한 진동, 즉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보다 커지는 초기회전 초과횟수(NL1)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상기 초기회전 초과횟수(NL1)가 미리 설정한 초기회전 상한횟수(EL1)에 도달하면, 회전조(12)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고 풀림운전으로 이행한다.
한편,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등가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 가속도 센서(46)를 통하여 진동 취득부(54)로부터 취득한 진동, 즉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가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 보다도 커지는 등가속 회전 초과횟수(NL2)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상기 등가속 회전 초과횟수(NL2)가 미리 설정한 등가속 회전 상한횟수(EL2)에 도달하면 회전조(12)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고 풀림운전으로 이행한다.
이들, 초기회전영역에서의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 및 초기회전 상한횟수(EL1), 및 등가속 회전영역에서의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 및 등가속 회전 상한횟수(EL2)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대소 관계가 정의되어 있다.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초기회전영역에 있을 때, 모터(33)로의 통전의 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이 짧다. 그 때문에, 모터(33)의 회전수는 안정되지 않고, 또한 모터(33)의 정확한 회전수의 검출도 어렵다. 또한, 모터(33)는 전기적인 특성으로부터 통전의 개시 직후에는 수십회전에 도달한다. 그 결과, 초기회전영역에 있을 때 회전조(12)의 회전수(R)는 등가속 회전영역과 비교하여 불규칙적으로 변화되기 쉽다.
한편, 회전조(12)의 회전수(R)가 등가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 모터(33)의 회전수가 안정되어 증가하지만, 회전조(12)의 회전수(R)의 증가에 수반하는 수조(13)와 접촉되었을 때의 충격은 커지기 쉽다.
이상에서 회전조(12)의 회전이 초기회전영역에 있을 때, 회전조(12)와 수조(13)가 접촉되는 충격은 작지만, 회전조(12)와 수조(13)가 접촉되는 빈도는 높아지기 쉽다. 한편, 회전조(12)가 등가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 초기회전영역과 비교하여 회전조(12)와 수조(13)가 접촉되는 빈도는 저하되지만, 회전조(12)와 수조(13)가 접촉되는 충격이 커지기 쉽다.
그런데, 제3 실시형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46)에서 검출되는 가속도, 즉 회전조(12)와 수조(13)가 접촉되는 충격이 상한가속도를 초과하면 바로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하고 풀림운전으로 이행하면, 탈수운전이 완료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의 연장을 초래한다.
그래서, 제4 실시형태의 경우,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가능한 한 탈수운전을 계속한다는 관점으로부터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와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의 관계를 AL1<AL2라고 하고, 초기회전 상한횟수(EL1)와 등가속 회전 상한횟수(EL2)의 관계를 EL1>EL2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초기회전영역에서는 비교적 작은 진동이 많은 빈도로 발생하면, 회전조(12)는 회전수가 제어된다. 한편, 등가속 회전영역에서는 초기회전영역에는 비교하여 큰 진동이 발생하면, 회전조(12)는 회전수가 제어된다.
다시 말하면, 회전수 제어부(55)는 초기회전영역에서는 비교적 작은 진동이 많은 빈도로 발생할 때까지 탈수운전을 계속하고 또한 등가속 회전영역에서 비교적 큰 진동이 발생할 때까지 탈수운전을 계속한다.
또한,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 및 등가속 회전 상한횟수(EL2)는 각각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 및 저속회전 상한횟수(EL)와 동일한 값 또는 이들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해도 좋다.
다음에,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의 작동의 흐름을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50)는 미리 설정된 작동 프로그램에 따라서 세탁운전, 헹굼운전 및 탈수운전을 실행한다. 제어 장치(50)는 세탁운전의 개시에 앞서 회전조(12)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을 취득한다(S301).
제어 장치(50)는 S301에서 세탁물의 중량을 취득하면, 세탁운전 및 헹굼운전을 실행한다(S302). 제어 장치(50)는 세탁운전 및 헹굼운전이 종료되면 탈수운전을 개시한다(S303). 그리고, 세탁기(10)가 탈수운전을 개시하면, 회전수 취득부(53)는 탈수운전에서의 회전조(12)의 회전수(R)를 취득한다(S304).
회전수 제어부(55)는 S304에서 회전조(12)의 회전수(R)를 취득하면, 취득한 회전수(R)가 이행 회전수(Rs)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5). S305에서 회전수(R)가 이행 회전수(Rs) 미만인, 즉 R<Rs라고 판단되면(S305: 아니오), 진동 취득부(54)는 가속도 센서(46)로부터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를 취득한다(S306). 회전수(R)가 이행 회전수(Rs) 미만일 때, S303에서 회전을 개시한 회전조(12)는 초기 회전 영역에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S305에서 회전수(R)가 이행 회전수(Rs) 이상인, 즉 R≥Rs라고 판단되면(S305: 예), 진동 취득부(54)는 가속도 센서(46)로부터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를 취득한다(S307). 회전수(R)가 이행 회전수(Rs) 이상일 때, S303에서 회전을 개시한 회전조(12)는 초기 회전 영역을 거쳐, 등가속 회전영역에 도달했다고 판단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306에서 초기회전영역에서의 가속도(a)를 취득하면 상기 취득한 가속도(a)가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8).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취득한 가속도(a)와 기억부(58)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를 비교하여 취득한 가속도(a)가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보다 큰지, 즉 a>AL1인지를 판단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308에서 가속도(a)가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보다 큰, 즉 a>AL1이라고 판단하면(S308: 예), 이 a>AL1이라고 판단한 횟수를 초기회전 초과횟수(NL1)로서 카운트한다(S309).
회전수 제어부(55)는 a>AL1으로서 판단한 횟수를 초기회전 초과횟수(NL1)로서 기억부(58)에 기억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S309에서 카운트한 초기회전 초과횟수(NL1)가 미리 설정된 초기회전 상한횟수(EL1)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0).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NL1≥EL1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306에서 취득한 가속도(a)가 a>AL1이 되는 초기회전 초과횟수(NL1)가 초기회전 상한횟수(EL1)에 도달, 즉 NL1≥EL1이라고 판단하면(S310: 예),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하여 풀림운전을 실행한다(S311). 제어장치(50)는 S311에서 풀림운전을 실행하면 S303으로 되돌아가고, 탈수운전을 다시 개시한다.
한편, 회전수 제어부(55)는 S308에서 가속도(a)가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 이하, 즉 a≤AL1이라고 판단했을 때(S308: 아니오), 및 S310에서 가속도(a)가 a>AL1이 되는 초기회전 초과횟수(NL1)가 초기회전 상한횟수(EL1)에 도달하지 않은, 즉 NL1<EL1으로 판단했을 때(S310: 아니오) S304로 되돌아가고 S304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307에서 등가속 회전영역에서의 가속도(a)를 취득하면 상기 취득한 가속도(a)가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2).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취득한 가속도(a)와 기억부(58)에 기억되어 있는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를 비교하여 취득한 가속도(a)가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보다도 큰지, 즉 a>AL2인지를 판단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312에서 가속도(a)가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보다 크다고, 즉 a>AL2라고 판단하면(S312: 예), 상기 a>AL2라고 판단한 횟수를 등가속 회전 상한횟수(EL2)로서 카운트한다(S313). 회전수 제어부(55)는 a>AL2로서 판단한 횟수를 등가속 회전 초과횟수(NL2)로서 기억부(58)에 기억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부(55)는 S313에서 카운트한 등가속 회전 초과횟수(NL2)가 미리 설정된 등가속 회전 상한횟수(EL2)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4). 즉, 회전수 제어부(55)는 NL2≥EL2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회전수 제어부(55)는 S307에서 취득한 가속도(a)가 a>AL2가 되는 등가속 회전 초과횟수(NL2)가 등가속 회전 상한횟수(EL2)에 도달, 즉 NL2≥EL2로 판단되면(S314: 예) S311로 이행하고,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하여 풀림운전을 실행한다(S311). 제어장치(50)는 S311에서 풀림운전을 실행하면 S303으로 되돌아가고, 탈수운전을 다시 개시한다.
한편, 회전수 제어부(55)는 S312에서 가속도(a)가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 이하, 즉 a≤AL2라고 판단했을 때(S312: 아니오), S307로 되돌아가 등가속 회전영역에서의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를 취득하고, S312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회전수 제어부(55)는 S314에서 가속도(a)가 a>AL2가 되는 등가속 회전수 초과횟수(NL2)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에 도달하지 않은, 즉 NL2<EL2라고 판단했을 때(S314: 아니오), 미리 설정된 탈수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5).
제어장치(50)는 탈수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하면(S315: 예), 탈수운전을 종료하고(S315) 세탁기(10)의 운전을 종료한다. 한편, 회전수 제어부(55)는 S315에서 탈수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S315: 아니오), S307로 되돌아가 등가속 회전영역에서의 수조(13)에 가해지는 가속도(a)를 취득하고 S312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저속회전영역을 추가로 초기 회전 영역과 등가속 회전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 가속도의 기준 및 초과횟수의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회전조(12)가 초기 회전 영역에 있을 때, 회전수 제어부(55)는 후속되는 등가속 회전 영역과 비교하여 작은 진동이 다수회 발생해도, 이를 허용하면서 회전조(12)의 회전을 계속한다.
그 때문에, 탈수운전의 극히 초기에 있어서 회전조(12)의 회전이 불규칙하고 작은 진동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에도, 회전조(12)는 상기 진동을 허용하면서 탈수운전을 계속한다. 그 결과, 매우 약간의 진동으로 탈수운전이 정지되지 않고, 풀림운전 및 탈수운전의 재작동이 회피된다.
이에 대하여 회전조(12)가 등가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 회전수 제어부(55)는 비교적 작은 진동을 허용하면서 회전조(12)의 회전을 계속하면서 큰 진동이 발생하면, 소수회이어도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회전조(12)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진동도 커지기 쉽고, 소음이나 기기의 손상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등가속 회전 영역에서 비교적 큰 진동이 발생했을 때, 이것이 소수회이어도 회전수 제어부(55)는 회전조(1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등가속 회전 영역에 있을 때, 미소한 진동은 허용되면서 큰 진동이 발생하면 회전조(12)의 회전이 제어된다. 따라서, 회전조의 회전이 가능한 한 계속되고 탈수운전의 재작동에 수반하는 총운전시간의 연장을 초래하지 않고 소음이나 기기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술한 복수의 실시형태에서는 수조(13)를 중력 방향의 상방으로부터 매달고, 회전조(12)의 회전 중심축이 중력 방향과 평행인 종축형 세탁기(10)를 예로 설명했다. 그러나, 상술한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어는 종축형 세탁기(10)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조(12)의 회전 중심축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소위 비스듬한 축형의 세탁기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각 실시형태를 개별적으로 세탁기(10)에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복수의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세탁기(10)에 적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제2 실시형태와 제3 실시형태 또는 제4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세탁기(10)에 적용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 세탁기
11: 외부상자
12: 회전조
13: 수조
14: 구동부
15: 지지 구조부
33: 모터(회전수 검출수단, 중량검출수단)
46: 가속도 센서(진동검출수단)
50: 제어 장치
53: 회전수 취득부(회전수 검출수단)
54: 진동 취득부(진동검출수단)
56: 중량 취득부(중량검출수단)
57: 중량별 설정부(중량별 설정수단)
61: 온도 취득부(온도검출수단)
62: 온도별 설정부(온도별 설정수단)
63: 온도센서(온도검출수단)

Claims (7)

  1. 외부상자,
    상기 외부상자에 수용되어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
    상기 수조를, 상기 외부상자 내에 지지하고 있는 지지구조부,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수단,
    상기 수조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진동을 상기 수조에 가하는 가속도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 및
    상기 진동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와, 미리 설정한 상한가속도를 비교하고,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기 상한가속도보다 크다고 판단한 초과횟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초과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하한 회전수보다 낮은 저속회전영역과 상기 하한 회전수 이상의 중고속 회전영역으로 구분하고, 또한 상기 저속회전영역에서의 상기 상한가속도로서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를 설정하고, 상기 중고속 회전영역에서의 상기 상한가속도로서 상기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보다 큰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를 설정하며,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가 상기 저속회전영역에 있을 때, 상기 진동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기 저속회전 상한가속도(AL) 보다 크다고 판단한 저속회전 초과횟수(NL)를 카운트하고, 상기 저속회전 초과횟수(NL)가 미리 설정된 저속회전 상한횟수(EL)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가 상기 중고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 상기 진동검출수단으로 검출한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기 중고속 회전 상한가속도(AH)보다 크다고 판단한 중고속 회전 초과횟수(NH)를 카운트하고, 상기 중고속 회전 초과횟수(NH)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저속회전 상한횟수(EL)보다 작은 중고속 회전 상한횟수(EH)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저속회전영역에서의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상기 구동수단으로의 통전에 의해 상기 회전조가 회전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회전조의 회전이 불규칙하게 증가하는 초기회전영역과 상기 초기회전영역에 계속하여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가 규칙적으로 증가하는 등가속 회전영역으로 구분하고 또한 상기 초기회전영역에서의 상기 상한가속도로서 초기 회전 상한속도(AL1)를 설정하고, 상기 등가속 회전영역에서의 상기 상한가속도로서 상기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 보다 큰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를 설정하며,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가 상기 초기 회전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진동검출수단으로 검출한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기 초기회전 상한가속도(AL1)보다 크다고 판단한 초기회전 초과횟수(NL1)를 카운트하고, 상기 초기회전 초과횟수(NL1)가 미리 설정된 초기회전 상한횟수(EL1)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가 상기 등가속 회전영역에 있을 때, 상기 진동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기 등가속 회전 상한가속도(AL2)보다 크다고 판단한 등가속 회전 초과횟수(NL2)를 카운트하고, 상기 등가속 회전 초과횟수(NL2)가 미리 설정되어 상기 초기회전 상한횟수(EL1)보다 작은 등가속 회전 상한횟수(EL2)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세탁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검출수단과,
    상기 중량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서 상기 상한가속도 및 상기 초과횟수를 설정하는 중량별 설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별 설정수단은 상기 세탁물의 중량이 작아질수록 상기 초과횟수를 크게 설정하는 세탁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주위에서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온도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수조의 주위에서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상한가속도 및 상기 초과횟수를 설정하는 온도별 설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세탁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진동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와 미리 설정한 제 1 상한가속도 및 상기 제 1 상한가속도보다 값이 큰 제 2 상한가속도를 비교하고,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기 제 1 상한가속도보다 크다고 판단한 제 1 초과횟수, 및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기 제 2 상한가속도보다 크다고 판단한 제 2 초과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기 제 2 상한가속도보다 클 때, 상기 제 2 초과횟수가 1회로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상기 수조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상기 제 1 상한가속도보다 크고 상기 제 2 상한가속도 이하일 때, 상기 제 1 초과횟수가 미리 설정한 검출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세탁기.
KR1020120070832A 2011-07-06 2012-06-29 세탁기 KR101382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0021 2011-07-06
JP2011150021 2011-07-06
JP2011225836A JP5788287B2 (ja) 2011-07-06 2011-10-13 洗濯機
JPJP-P-2011-225836 2011-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924A KR20130009924A (ko) 2013-01-24
KR101382079B1 true KR101382079B1 (ko) 2014-04-10

Family

ID=4778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832A KR101382079B1 (ko) 2011-07-06 2012-06-29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88287B2 (ko)
KR (1) KR101382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2610B2 (ja) * 2014-06-11 2019-02-2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JP7010609B2 (ja) * 2017-07-12 2022-02-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073A (ko) * 2008-09-01 2011-05-09 파나소닉 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5557B2 (ja) * 2002-03-13 2007-05-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モータ駆動装置
JP3860112B2 (ja) * 2002-12-24 2006-12-20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JP2006346270A (ja) * 2005-06-17 2006-12-28 Toshiba Corp 洗濯機
JP5326842B2 (ja) * 2009-06-11 2013-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JP2011200273A (ja) * 2010-03-24 2011-10-13 Panasonic Corp 洗濯機
JP2011217761A (ja) * 2010-04-02 2011-11-04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073A (ko) * 2008-09-01 2011-05-09 파나소닉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924A (ko) 2013-01-24
JP5788287B2 (ja) 2015-09-30
JP2013031623A (ja)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3772B2 (ja) 洗濯機及び布量算出方法
RU2398059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KR101588202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0641955B1 (ko) 세탁기
WO2010023912A1 (ja) 洗濯機
KR20180039601A (ko) 세탁기
US11208748B2 (en)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1382079B1 (ko) 세탁기
JP5297934B2 (ja) 洗濯機
CN102888738B (zh) 洗衣机
JP2011062334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12424413B (zh) 滚筒式洗衣机
JP5753980B2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210189624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5191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436702B1 (ko)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JP2009189537A (ja) 洗濯機
CN112368438B (zh) 洗衣机
JP5810269B2 (ja) 洗濯機
KR101154953B1 (ko) 드럼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US20230407542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26985B1 (ko) 진동감지기능을 갖는 세탁기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
JP2020103420A (ja) 縦型洗濯機
JP2020103419A (ja) 縦型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