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463B1 -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463B1
KR101380463B1 KR1020127022075A KR20127022075A KR101380463B1 KR 101380463 B1 KR101380463 B1 KR 101380463B1 KR 1020127022075 A KR1020127022075 A KR 1020127022075A KR 20127022075 A KR20127022075 A KR 20127022075A KR 101380463 B1 KR101380463 B1 KR 10138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display device
main body
case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826A (ko
Inventor
지쯔로 마세
Original Assignee
펄크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0/07105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2070139A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35946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1162B2/ja
Application filed by 펄크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펄크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2011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4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giving the observer of a single two-dimensional [2D] image a perception of dep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5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lective optical element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6Image reproducers using prisms or semi-transparent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서 감상할 수 있는, 콤팩트한 구조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미러 장치를 사용하여 3차원으로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미러 장치를 갖는다. 미러 장치에는 안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복수의 미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3차원 영상의 표시 시에는, 미러 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본체 케이스로부터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복수의 미러가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대해 감상자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지지되고,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자측으로 반사한다.

Description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2차원 영상을, 미러를 사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로서,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복수의 하프 미러로 구성되는 미러 조립체를 배치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5에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영상으로부터 하프 미러에 의해 생성된 허상을 감상자로부터 볼 때 안길이 위치가 다른 복수의 표시면에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3차원 표시 장치는 본 발명자가 제안한 것이고, 이 3차원 표시 장치는 복수의 하프 미러의 높이를 감상자에게 가까울수록 높고, 안길이 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낮게 형성함으로써, 영상 영역을 생성시켜 시인할 수 있는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와 같이 2차원 영상 장치에 복수의 하프 미러를 배치하여 평면적인 허상을 안길이 방향으로 포개어 나타내는 입체 영상은 연극의 무대에서 사용되는 무대 장치와 같은 입체 영상이지만, 특수한 안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입체 시의 생리적 요인에 있어서도, 통상의 입체를 보는 것과 완전히 동일한, 폭주(輻輳), 핀트 조절, 양안 시차, 운동 시차의 모든 요인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양안 시차나 폭주 등의 일부의 요인만으로 보는 입체 영상 장치와 같은 눈의 피로가 없다.
또한, 최근에는 특허 문헌 3이나 특허 문헌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나 휴대 게임 장치 등의 표시기를 갖는 휴대 단말에 2차원 표시 및 3차원 표시의 기능을 탑재하는 것이 제창되고 있다. 즉,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은 휴대 전화 등에 렌티큘러 방식에 의한 3차원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기를 반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기술은 내장하는 하프 미러나 요면경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표시 부재에 투영하여 휴대 전화의 입체 화상 표시창을 통해 공간에 떠오른 것과 같이 허상의 입체 영상으로서 표시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056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5353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7292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41447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35378호 공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렌티큘러 방식에 의한 3차원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기를 반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기구가 필수로 된다. 그러나, 어떤 통신 캐리어의 휴대 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반드시 이러한 종류의 3차원 표시 기능을 필요로 한다고는 한정하지 않고, 그 결과 3차원 표시 기능을 탑재한 비용적으로 고가인 휴대 전화를 구입하게 된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휴대 전화에 하프 미러나 요면경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필수로 된다. 그로 인해, 특허 문헌 3의 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휴대 전화에 3차원 표시를 위한 특별한 기구가 필요해지므로, 고비용으로 된다.
또한, 특허 문헌 3 및 4의 기술은 휴대 전화에 특별한 기구를 필요로 하므로, 예를 들어 통신 캐리어 회사에서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휴대 전화에 일률적으로 이 3차원 표시 기능을 채용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서 감상할 수 있는, 콤팩트한 구조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한, 3차원 영상 표시를 위해 영상 표시 장치에 특별한 기구나 개조를 실시하지 않고,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영상을 반사하는 복수의 미러를 회전하여 접어서 수납함으로써, 콤팩트한 구조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가 다른 영상 표시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장착하는 장착 기구와, 상기 장착 기구의 소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미러 장치를 갖고,
상기 미러 장치에는 안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복수의 미러가 배치되고,
3차원 영상을 표시할 때에, 상기 미러 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대해 감상자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위치 부여되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자측으로 반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장착 기구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미러 장치를,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개방되도록 축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상기 본체 케이스에 장착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장착 기구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미러 장치에는 안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복수의 미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3차원 영상을 표시할 때에, 상기 미러 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대해 감상자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지지되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사하고,
3차원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때에, 상기 미러 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미러 장치의 내부에 절첩된 상태에서 수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미러 장치를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미러의 선단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과 접촉시켜 상기 복수의 미러를 지지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자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미러 장치를 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미러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미러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여 탑재하는 미러 케이스를 갖고,
상기 미러 케이스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미러는 상기 미러의 높이가 안측으로 감에 따라서 낮아지도록 배치되고, 감상자측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하프 미러와, 상기 제1 및 제2 하프 미러의 후방에 배치된 1매의 풀 미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 상에서 상기 미러 장치 중에 절첩되었을 때의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상기 미러 장치의 두께는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과 밀착하여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비해, 30%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러 장치 및 상기 본체 케이스는 합성 수지성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서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갖는 휴대 가능한 표시 장치를 수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미러가 안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고 평행하게 배치하여 고정된 미러 케이스를 갖고, 상기 미러 케이스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본 발명에 관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복수의 미러를 사용하여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장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소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미러 케이스와, 상기 미러 케이스의 안측을 향해,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게 상기 미러 케이스에 탑재된 복수의 미러를 구비하는 미러 장치를 갖고,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미러 케이스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의 선단부가 대략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화면에 대해 감상자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사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미러 케이스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내부에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로서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미러는 각각 사변형의 미러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미러 케이스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미러 프레임의 선단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자의 방향으로 반사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축을 중심으로 상기 미러 케이스를 회전하고, 상기 화면에 대해 상기 복수의 미러가 소정 각도 경사져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사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미러 케이스를 후방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복수의 미러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자가 감상할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미러 케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사변형의 미러의 높이를 규정하는 변은, 안측으로 감에 따라서 짧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축을 중심으로 상기 미러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1 및 제2 하프 미러와, 상기 제1 및 제2 하프 미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미러 케이스에 고정된 1매의 풀 미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케이스는 그 주위를 둘러싸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둘러싸인 내측에 있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케이스는 그 안측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연질 부재를 구비하고, 장착되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측부를 상기 연질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케이스는 그 안측부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선두부가 삽입되는 소킷부와, 상기 소킷부 내의 저부에 있고, 삽입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저부를 상방향으로 압박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3차원 영상을 감상할 때에 상기 미러 케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된 상기 축과, 상기 복수의 미러 프레임의 선단부는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단부에는 상기 미러 케이스의 축과 결합하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소킷부 내의 상부가 형성하는 기준면은 상기 베어링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상기 본체 소킷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판 스프링부의 압박에 의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이 상기 기준면과 접촉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두께의 차이에 의한 경사에 상관없이, 상기 복수의 미러 프레임이 상기 화면에 위치 부여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러 케이스의 전단부에는 훅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플랜지의 전방부에는 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 케이스가 회전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에 폐쇄될 때, 상기 훅과 상기 훅 구멍이 결합하여, 상기 미러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를 합체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미러 케이스는 각각 상자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미러 케이스가 상기 본체 케이스에 폐쇄하여 합체한 상태에서, 양자는 1개의 상자형 형상으로 된다.
본 발명에 관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장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미러가 안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또한 소정 각도로 병행으로 배치하여 고정된 미러 케이스를 구비하는 미러 장치를 갖고, 3차원 영상을 표시할 때에,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대해 감상자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위치 부여되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자측으로 반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소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3차원 영상을 표시할 때에, 상기 미러 케이스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대해 감상자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위치 부여되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사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고정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되는 하프 미러의 부분을 절첩하여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수납이나 운반에 적합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미러 장치의 부분을 회전시켜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과 3차원 영상을 간단한 조작으로 전환하여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은 특수한 안경을 쓰지 않고, 3차원 영상을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를 각별히 개조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실용화되어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여 3차원 영상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러 장치를 본체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영상을 반사하는 복수의 미러를 회전하여 접어서 미러 장치 내에 수납함으로써, 콤팩트한 구조가 되어, 운반에 편리하다.
또한, 폭 또는 높이 등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를 수납할 수 있어,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기종이 확대된다.
도 1은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원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원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러 장치와 본체 케이스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을 감상할 수 있는 상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미러가 회전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미러의 축의 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미러의 축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을 감상할 때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을 감상할 때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러를 절첩했을 때의 미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러를 절첩했을 때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러를 절첩했을 때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미러가 절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러 케이스의 컷팅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을 감상할 때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을 감상할 때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상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서 2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상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러 장치를 폐쇄한 상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케이스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8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케이스를 저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9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러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0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케이스의 3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1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3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2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3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러를 절첩한 상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주요한 구성 요소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와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 상에 설치된 미러 장치(80)이다. 미러 장치(80)의 주요한 구성 요소는 2매의 평판의 하프 미러(81, 82)와 1매의 평판의 풀 미러(83)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미러 장치(80)는 하프 미러(81, 82)와 풀 미러(83)만이 도시되어 있고, 미러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2에 있어서 하프 미러(81, 82)와 풀 미러(83)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화면(71a, 71b, 71c)에 표시된 영상을 반사하여, 허상(81a, 82a, 83a)을 생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프 미러(81, 82)와 풀 미러(83)는 화면(71)에 대해, 소정 간격 또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배치된다. 하프 미러(81, 82) 및 풀 미러(83)는 화면(71) 상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고, 또한 전체의 하프 미러(81, 82)와 풀 미러(83)의 면끼리가 평행이 되도록 배치한다. 하프 미러(81, 82) 및 풀 미러(83)는 감상자(200)의 측으로 약 45° 경사지게 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는 박형 텔레비전이나 휴대 전화, 스마트 폰 등에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나타내지만, 디스플레이 부분을 포함한 박형 텔레비전, 휴대 전화, 휴대 게임 플레이어, 터치식 태블릿 등의 표시기를 갖는 장치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프 미러(81, 82)와 풀 미러(83)의 높이는 감상자(200)로부터 볼 때 안측으로 감에 따라서 낮아지도록 감상 영역 V가 웨지 형상이다. 전후의 하프 미러(81, 82), 혹은 풀 미러(83)의 높이의 비는 동일하고 그 범위는 1:0.65 내지 1:0.95로 한다.
또한, 전후의 하프 미러(81, 82), 혹은 풀 미러(83)의 높이의 비는 Ha:Hb=1:0.79 또한 Hb:Hc=1:0.7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화면(71)의 깊이 D에 대해, 하프 미러(81)의 영상 영역(71a)의 길이 Da는 0.41D, 하프 미러(82)의 영상 영역(71b)의 길이 Db는 0.33D, 풀 미러(83)의 영상 영역(71c)의 길이 Dc는 0.26D로 되고, 하프 미러(81, 82)와 풀 미러(83)의 높이 Ha, Hb, Hc의 높이는 각각 Da, Db, Dc의 1.4배로 된다. 도 1에 있어서, 하프 미러(81, 82)와 풀 미러(83)의 폭 Wm은 화면(71)의 폭 W보다도 약간 길다.
하프 미러(81)의 아래의 영상 영역(71a)의 허상(81a), 하프 미러(82)의 아래의 영상 영역(71b)의 허상(82a), 풀 미러(83)의 아래의 영상 영역(71c)의 허상(83a)이 감상자(200)의 시선 방향(201)의 안길이 위치에 겹쳐서 보이고, 3차원 영상으로서 보인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종래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반사율이 높은 하프 미러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밝은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감상자(200)로부터 볼 때 가장 전방의 하프 미러(81)의 가시광의 투과율:반사율을 67:33 내지 60:40의 범위로 하고, 다음의 하프 미러(82)의 가시광의 투과율:반사율을 50:50 내지 55:45로 하고, 가장 안측의 풀 미러(83)의 가시광의 반사율을 100%∼80%로 함으로써, 감상자로부터는 모든 허상(81a, 81b, 81c)이 대략 동일한 밝기로 보이고, 실내에서 조명을 켠 상태에서도 충분한 밝기의 영상이 얻어진다. 그 결과, 3차원 영상을 실내의 조명을 켠 밝기에서의 감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미러 장치를 구성하는 각 미러의 투과율:반사율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하프 미러(81)가 67:33, 하프 미러(82)가 50:50, 풀 미러(83)의 반사율이 100%로 되어도 좋다. 이는 풀 미러(83)의 반사 성능이 높은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하프 미러(81)가 69:31, 하프 미러(82)가 55:45, 풀 미러(83)의 반사율이 80%이다. 이는 풀 미러(83)의 반사 성능이 약간 떨어진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하프 미러(81)가 60:40, 하프 미러(82)가 50:50, 풀 미러(83)의 반사율이 80%이다. 상기 2개의 조합은 이론적인 계산에 기초하는 값이지만, 이 값은 실험적으로 얻어진 값이다.
이때의 비용을 경감시키기 위해 하프 미러(81, 82) 및 풀 미러(83)의 반사 물질의 코팅면은 감상자(200)의 측으로 되도록 배치한다.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하프 미러(81, 82)와 풀 미러(83)와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 고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하프 미러(81, 82)와 풀 미러(83)의 기본적인 비례 치수나 투과율, 반사율은 동일하다.
(1) 제1 실시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단, 이 도면 중에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도 3을 참조하여, 미러 장치(80)는 미러 케이스(2)와, 하프 미러(11, 12)와, 풀 미러(13)로 구성된다. 미러 장치(80)는 본체 케이스(3)와 합체할 수 있다.
본체 케이스(3)는 2차원 영상 장치(70)가 간극 없이 들어가는 용기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미러 케이스(2)와 합체시키기 위한 한 쌍의 베어링 구멍(3k)과 미러 케이스(2)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골형의 돌기(3i)를 구비하고 있다.
미러 케이스(2)는 하프 미러(11, 12)와 풀 미러(13)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것으로, 본체 케이스(3)와 합체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미러 케이스(2)에는 하프 미러(11, 12)와 풀 미러(13)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대략 부채형의 구멍(축 구멍)(2a, 2b, 2c)과 한 쌍의 스토퍼(2d, 2f, 2h) 및 한 쌍의 갈고리(2e, 2g, 2i)가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본체 케이스와의 합체를 위한 한 쌍의 피봇(2k)과 미러 케이스(2)와 본체 케이스(3)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산형의 돌기(2j)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3) 및 미러 케이스(2)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스티롤 수지, 경질염화 비닐 등의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하프 미러(11, 12)와 풀 미러(13)는 미러 케이스(2)에 있는 대략 부채형 구멍(축 구멍)(2a, 2b, 2c)에 삽입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축(11a, 12a, 13a)을 그 1변의 양측에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프 미러(11, 12), 풀 미러(13)의 두께는 화면(71)의 대각선 길이가 3.5인치 정도인 경우 1㎜ 내지 2㎜가 바람직하다.
화면(71)이 10인치 정도인 경우 2㎜ 내지 3㎜가 바람직하다. 화면(71)이 30인치 정도인 경우 3㎜ 내지 5㎜가 바람직하다. 하프 미러(11, 12) 및 풀 미러(13)는 글래스 또는 아크릴, 경질염화 비닐, 폴리카보네이트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색은 가능한 한 투명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하프 미러(11, 12)의 가시광의 투과율이나 반사율은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이고, 하프 미러(11, 12)는 가시광의 흡수율을 적게 억제하기 위해 유전체 다층막 코팅에 의한 하프 미러가 바람직하다. 풀 미러(13)는 유전체 다층막 코팅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금속 증착막에 의한 인코넬 코팅의 것이라도 상관없다.
도 4는 본체 케이스(3)에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수용하여, 미러 장치(80)와 본체 케이스(3)가 합체한 상태를 도시한다. 미러 장치(80)는 미러 케이스(2)의 대략 부채형의 구멍(2a, 2b, 2c)에 하프 미러(11, 12)와 풀 미러(13)의 축이 각각의 삽입됨으로써 조립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3)의 베어링 구멍(3k)에 미러 케이스(2)의 피봇(2k)을 삽입함으로써 미러 장치(80)와 본체 케이스(3)는 합체할 수 있다[도 12의 (d) 참조]. 도 4의 상태에서는, 화면(71)이 전부 보이고 있으므로, 화면(71)을 통상적으로 감상할 수 있지만, 하프 미러(11, 12)와 풀 미러(13)가 화면(71)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는 없으므로 3차원 영상의 감상은 할 수 없다.
도 5는 하프 미러(11)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하프 미러(11)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하프 미러(11)의 축(11a)은 외부로 돌출된 직사각형이고, 길이는 d이고, 폭은 w이다. 길이 d는 대략 부채형의 베어링 구멍(2a)의 직경과 동등하다. 양측에 직사각형의 축(11a)을 갖는 하프 미러(11)는 양측으로부터 대략 부채형의 베어링 구멍(2a)(도 3 참조)에 의해 끼움으로써 누락되지 않고 대략 부채형의 부채 정상각 α의 범위에서 회전축(10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즉, 하프 미러(11)는 점선의 하프 미러(11)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전축이 흔들리지 않고 회전이 가능해진다. 통상 회전 부분의 축은 가는 형상으로 되지만, 하프 미러(11)가 글래스나 합성 수지로 제작되는 것을 고려하여, 축(11a)을 직사각형으로 하여 강도를 높여, 축이 빠질 위험성을 경감시키고 있다. 동일한 구조에 의해 하프 미러(12)와 풀 미러(13)도 각각 대략 부채형의 베어링 구멍(2b, 2c)에 의해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고정된다.
도 6 및 도 7은 하프 미러(11, 12) 및 풀 미러(13)의 축(11a, 12a, 13a)의 강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의 (a)와 (b)는 각각 d1, d2가 다른 형상의 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축(11a, 12a, 13a)은 모두 도 6의 (c)의 부호 10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경우, 하중에 대한 응력 집중은 코너부 C1, C2에 자주 발생한다. 바닥 B를 고정하여, P의 위치에 하중을 가한 조건으로 유한 요소법의 평면 응력 해석을 하면, 코너부 C1, C2에 최대 주응력의 응력 집중이 발생한다.
통상 회전 부분의 축은 가늘고,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w:길이 d1=1:1과 같은 형상인 경우의 코너부의 최대 주응력 σa가 1.0이었다고 한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w:d2=1:5로서 축의 형상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함으로써, 코너부의 최대 주응력 σb는 약 0.3으로 된다.
하프 미러(11, 12) 및 풀 미러(13)의 재질은 글래스나 합성 수지이므로, 축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응력 집중 개소의 응력을 경감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축의 폭 w에 대한 길이 d2의 비를 크게 함으로써, 코너부의 응력을 경감시키고 있다. 또한, 폭w:길이 d2의 비는 1:4 이상이 바람직하고, 1:5로 함으로써, 1:1인 경우에 비해 코너부의 응력을 약 3분의 1로 경감시킬 수 있다.
도 7은 축의 형상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프 미러(11, 12) 및 풀 미러(13)의 축이 형성되어 있는 코너부 C1과 C2[도 6의 (c) 참조]에 R을 부여함으로써, 더욱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R의 반경 r은 w의 3분의 1 내지 4분의 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러 장치(80)의 회전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미러 장치(80)에 있어서, 하프 미러(11)는 미러 케이스(2)에 구비되어 있는 스토퍼(2d) 및 갈고리(2e)[도 9의 (a), (b), 도 3 참조]에 들어가는 상태에 있으므로 회전이 허용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하프 미러(12) 및 풀 미러(13)도 마찬가지로 스토퍼(2f, 2h) 및 갈고리(2g, 2i)에 의해 회전이 허용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도 9의 (a) 참조].
도 4의 상태로부터 미러 장치(80)를 피봇(2k)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가 들어간 본체 케이스(3) 위에 씌운 상태를 도 8, 도 9에 도시한다. 도 9의 (a)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3차원 영상의 감상 시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에 있어서, 화살표 B-B로 나타내는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9의 (c)는 도 9의 (a)에 있어서, 화살표 C-C로 나타내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화면(71)에 대해 하프 미러(11, 12)와 풀 미러(13)가 소정의 위치에 있고, 이 실시 형태의 3차원 영상의 감상 시의 상태로 된다. 본체 케이스(3)와 베어링 구멍(3k), 미러 케이스(2)와 피봇(2k) 및 대략 부채형의 구멍(2a, 2b, 2c)과 스토퍼(2d, 2f, 2h), 갈고리(2e, 2g, 2i)는, 이 상태에서 화면(71)에 대해 하프 미러(11, 12)와 풀 미러(13)가 소정의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대략 부채형 구멍(2a, 2b, 2c)의 부채 정상각은 각각 약 28도, 약 23도, 약 15도로 된다.
도 8 및 도 9의 3차원 영상의 감상 시의 상태에 있어서,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케이스(2)에 구비되어 있는 산형의 돌기(2j)는 본체 케이스(3)의 골형의 돌기(3j)의 골의 부분에 들어가 있다. 그로 인해, 미러 장치(80)와 본체 케이스(3)의 위치는 어느 정도 고정된다. 또한 미러 케이스(2)와 본체 케이스(3)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탄성이 있는 합성 수지로 되어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힘으로 산형의 돌기(2j)는 골형의 돌기(3j)로부터 제거되고 미러 케이스(2)를 회전시켜 도 4의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4의 상태로부터 도 8, 도 9의 상태로 하는 것도 동일한 이유로부터 가능하다. 이와 같이 미러 장치(80)를 간단하게 회전시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3차원 영상을 감상하는 상태와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화면(71)을 통상의 감상하는 상태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화면(71)이 터치 패널부인 경우에는 도 4의 상태에서는 화면을 만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착 후에도 미러 장치(80)의 부분만을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을 순시에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전환하여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미러 장치(80)의 절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미러 케이스(2) 내에 있어서 도 4의 상태로부터 미러를 절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프 미러(11)는 힘 P1을 가하면, 갈고리(2e)를 타고 넘어 미러 케이스(2)의 저부(2n)에 절첩된다(도 3 참조). 하프 미러(12)와 풀 미러(13)도 마찬가지로 절첩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도 10의 상태의 미러 케이스(2)를 본체 케이스(3)에 씌운 상태를 도시한다. 도 9의 3차원 영상의 감상 시와 달리, 하프 미러(11, 12)와 풀 미러(13)는 미러 케이스(2) 중에 절첩되고, 미러 장치(80)는 본체 케이스(3)와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에 접근한 상태에서 절첩되어 있다. 도 9의 감상 시와 비교하여 전체의 체적이 삭감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의 (a)는 절첩 시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에 있어서, 화살표 B-B로 나타내는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2의 (c)는 도 12의 (a)에 있어서, 화살표 C-C로 나타내는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2의 (d)는 도 12의 (a)에 있어서, 화살표 D-D로 나타내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프 미러(11)는 스토퍼(2d)와 갈고리(2e)로부터 어긋나 있다. 또한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형의 돌기(2j)는 골형의 돌기(3j)로부터 어긋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팽창되는 하프 미러의 부분을 절첩하여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수납이나 운반에 적합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 하프 미러(11, 12) 및 풀 미러(13)가 미러 케이스(2) 중에 절첩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13의 (a)는 가령 미러 케이스(2)의 저부(2n')에 꺾임이 없이 평평했던 경우, 하프 미러(11, 12)와 풀 미러(13)를 미러 케이스 중에 절첩하고, 또한 미러 케이스(2)를 본체 케이스(3)에 씌우려고 시험해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화면(71)으로부터의 미러 케이스(2)의 절첩 시의 저부(2n')의 높이 h1을 가능한 한 낮게 함으로써 절첩한 상태에서의 체적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을 실현하려고 하면, 미러 케이스(2)와 본체 케이스(3)를 연결하는 회전축 k'는 본체 케이스(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고 있어야만 해, 양자의 합체가 불가능하다. 또한 도 13의 (b)와 같이 양자를 합체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3) 중에 회전축 k를 배치한 경우, 저부(2n')와 화면(71)의 절첩 시의 높이 h2는 3차원 영상의 감상 시의 높이 hmax의 약 40%로 된다. 이때 미러 케이스(2)의 단부(2w')가 최고 높이로 되고, 이 높이가 절첩 시의 높이 h2로 되어 있다.
도 13의 (c)는 미러 케이스(2)의 저부(2n)를 풀 미러(13)의 상단부 부근(2v)에서 접은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 절곡 각도 θ를 약 19도로 함으로써, 미러 케이스(2)의 단부(2w)는 화면(71)에 접근하므로, 미러 케이스(2)의 2v의 위치가 최고 높이로 되어 절첩 시의 높이 h3은 감상 시의 높이 hmax의 약 30%로 할 수 있다. 또한 최고 높이가 되는 위치 2v가 미러 케이스(2)의 저부(2n)의 중앙 부근에 오기 때문에, 도 13의 (b)와 비교하여 중앙이 팽창된 각지지 않은 형상으로 되어, 운반하는 데 적합하다. 이와 같이 미러 케이스(2)의 저부(2n)를 2v 부근에서 접어도, 풀 미러(13)가 수납되는 스페이스가 있으므로, 풀 미러(13)의 절첩에도 영향은 없다.
도 14는 미러 케이스의 상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케이스(2)의 저부에는 U자형의 컷팅(2p, 2q, 2r)이 있다. U자형의 컷팅(2p)의 내측 부분(2s)에 손가락이나 손 등의 힘 P2를 가하여 합성 수지의 탄성으로 컷팅 내부를 하프 미러(11)측으로 휘게 할 수 있다. 이 작업을 도 10의 상태에서 행하면 2s의 부분이 하프 미러(11)에 닿아 압출되게 되고, 절첩된 상태로부터 스토퍼(2d), 갈고리(2e)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직접 하프 미러(11)에 손가락이나 손을 접촉시키는 일 없이 하프 미러(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하프 미러(12)와 풀 미러(13)도 마찬가지로 2t, 2u의 부분에 힘을 가함으로써 손가락 등으로 직접 접촉되는 일 없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체 케이스(3)와는 다른 형태의 본체 케이스(4)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체 케이스(4)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단부만을 간극 없이 덮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6은 본체 케이스(4)에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넣고, 미러 케이스(2)를 합체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체 케이스(4)도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 케이스(4)와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는 마찰력에 의해 용이하게 떼어지지 않는다. 베어링 구멍(4k)과 골형의 돌기(4j)는 본체 케이스(3)의 베어링 구멍(3k)과 골형의 돌기(3j)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하프 미러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러 장치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고, 미러 장치는 절첩하여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3차원 영상을 용이하게 운반하여 즐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 부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 이 도면 중에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장치(50)는 미러 케이스(5a), 하프 미러(21, 22), 풀 미러(23) 및 본체 케이스(5b)로 구성된다. 미러 케이스(5a)와 본체 케이스(5b)는 힌지부(5f)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힌지 특성이 높은 합성 수지에 의한 일체 성형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러 케이스(5a)에는 하프 미러(21, 22), 풀 미러(23)를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홈(5c, 5d, 5e)이 있다. 하프 미러(21, 22), 풀 미러(23)의 두께와 재질 및 투과율, 반사율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형태는 모두 직사각형이다.
본체 케이스(5b)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단부만을 간극 없이 덮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8, 도 19는 미러 케이스(5a)에 하프 미러(21, 22), 풀 미러(23)를 고정하여 미러 장치(50)가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5b)에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화면(71)을 통상적으로 감상하는 상태이다.
도 20, 도 21은 미러 케이스(5a)를, 힌지(5f)를 축으로 회전시켜 화면(71)에 씌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는 하프 미러(21, 22)와 풀 미러(23)가 화면(71)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오기 때문에,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러 장치(50)를 간단하게 회전하여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3차원 영상을 감상하는 상태와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화면(71)을 통상의 감상하는 상태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화면(71)이 터치 패널부인 경우에는 도 18, 도 19의 상태에서는 화면을 만질 수도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미러 장치(50)의 부분을 절첩하여 체적을 삭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보다도 부품수가 적어, 부품의 형상도 간단하다. 그로 인해, 제1 실시 형태보다도 제작 비용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미러 케이스(5a)는 힌지(5f)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하였지만, 힌지(5f)를 설치하지 않고, 미러 케이스(5a)와 본체 케이스(5b)를 일체적으로 고정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본체 케이스(5b)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본체 케이스(5b)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하프 미러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러 장치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어, 3차원 영상을 즐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22 이후를 참조하면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하프 미러나 풀 미러의 기본적인 치수비 등은 도 1 내지 도 2와 동일하다.
도 22는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상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23은 미러 장치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으로 2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상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24는 미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5는 미러 장치를 폐쇄한 상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26은 미러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미러 장치(90)와 본체 케이스(3)로 구성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3)는 대략 상자형이고, 그 중에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가 수용된다.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다. 미러 장치(90)는 복수의 미러(본 예에서는 3매 미러)가 안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하여 실장되는, 대략 상자형의 미러 케이스(2)를 구비하고, 이 미러 케이스(2), 그 축(2k)이 본체 케이스(3)의 후단부의 베어링(3k)(도 27, 도 28 참조)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다. 도 23은 미러 케이스(2)를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3)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케이스(2)가 본체 케이스(3)에 폐쇄된 상태에서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1개의 상자형으로 되므로, 콤팩트해져, 백으로의 수납이나 운반이 용이하고 편리해진다.
도 22 내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3)는 그 주위를 플랜지(높이가 낮은 측벽)(3i)로 둘러싸고, 중앙에는 플랜지(3i)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부(3m)가 설치된다. 이 수용부(3m)에,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71)을 구비한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방의 좌우에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가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벽(3b)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3)의 상세는, 도 27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에, 미러 장치(9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을 참조하는 데 있어서, 미러 케이스(2)에는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2매의 하프 미러(11, 12) 및 1매의 풀 미러(13)가 실장된다. 2매의 사변형의 하프 미러(11, 12)는 사변형의 미러 프레임(21, 22)에 끼워 넣도록 하여 설치되고, 사변형의 풀 미러(13)는 마찬가지로 사변형의 미러 프레임(23)에 설치된다. 복수의 미러(11, 12, 13)의 4변 형상의 폭(나타낸 예에서는 장변)은 동일하지만, 다른 1변(단변)은 안측으로 가는 것(감상자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따라서 짧아진다. 여기서, 미러 케이스(2)와, 미러 프레임(21, 22, 23)은 모두 탄성이 있는 합성 수지, 예를 들어 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24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여, 미러 장치(90)의 조립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하프 미러(11, 12)는 각각 미러 프레임(21, 22)에 끼워 넣어지고, 풀 미러(13)는 미러 케이스(2)의 일부를 형성하는 미러 프레임(23)에 끼워 넣어져 설치된다. 미러 프레임(21)에는 각각 한 쌍의 축(21a)이 있다. 한쪽의 축(21a)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41)을 결합한 상태에서, 미러 케이스(2)에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부(2a)에 설치된다. 하프 미러(12)를 끼워 넣은 미러 프레임(22)도 마찬가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42)을 결합한 상태에서, 미러 케이스(2)에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부(2b)에 설치된다. 또한, 베어링부(2a, 2b)는 탄성이 있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변형이 가능하고, 미러 프레임(21, 22)의 축(21a, 22a)을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하프 미러(11, 12)를 설치한 미러 프레임(21, 22)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41, 42)의 작용력에 의해 미러 프레임(21, 22)을 축(21a, 22a)을 중심으로 하여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미러 프레임의 선단(21d, 22d)을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71)의 표면에 밀착시킨다(상세하게는 도 29, 도 31을 참조). 한편, 풀 미러(13)를 설치한 미러 프레임(23)은 미러 케이스(2)와 일체 성형되어 있으므로, 회전은 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미러 프레임(23)의 선단(2d)은 미러 프레임의 선단(21d, 22d)과 마찬가지로, 화면(71)에 접하는 면(도 29의 S)을 형성한다.
도 26은 미러 장치(90)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미러 케이스(2)의 후단부에는 한 쌍의 축(2k)이 설치되고, 이 축(2k)이 본체 케이스(3)에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3k)에 결합하여, 미러 장치(90)와 본체 케이스(3)가 합체한 조립체를 구성한다. 미러 장치(90) 내지 미러 케이스(2)는 본체 케이스(3)에 대해 축(2k)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도 22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본체 케이스(3)의 수용부(3m)에 수용한 상태에서,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화면(71)에 표시된 2차원 영상을, 미러(21 내지 23)로 반사시켜, 감상자에게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23은 마찬가지로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본체 케이스(3)의 수용부(3m)에 수용한 상태이며, 미러 장치(90)를 회전시켜 화면(7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화면(71)에 표시되는 통상의 2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3차원 영상은 감상할 수 없다. 또한, 스마트 폰과 같은 화면(71)이 터치 패널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2차원 영상의 감상 중에도 손가락 등으로 화면(71)을 자유자재로 만질 수 있다.
도 29는 미러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9를 참조하여, 미러 프레임(21, 22)의 동작,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미러 프레임(21)은 축(21a)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한 범위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다. 그러나, 비틀림 코일 스프링(41)의 힘에 의해 미러 프레임(21)에 회전력이 가해져, 단부(21b)가 스토퍼(2e)에 접하는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미러 프레임(21)에 전혀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러 프레임(21)은 미러 케이스(2)에 대해 이 위치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또한 미러 프레임(21)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즉, 미러 케이스를 본체 케이스(3)에 폐쇄할 때], 비틀림 코일 스프링(41)의 반발력이 약해, 미러 프레임(21)은 단부(21d)의 부분이 미러 케이스(2)를 향해 회전한다.
미러 프레임(22)도, 미러 프레임(21)과 동일한 상태에 있다. 단, 미러 프레임(22)의 경우에는, 단부(22b)가 미러 케이스(2)의 저면(2g)에 접하는 상태에 있다. 미러 프레임(22)도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단부(22d)의 부분이 미러 케이스(2)를 향해 회전한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41, 42)은 축(21a, 22a) 이외의 개소에 결합시켜도 좋다.
도 29의 상태에서, 미러 프레임(21)의 단부(21d), 미러 프레임(22)의 단부(22d) 및 미러 프레임(23)의 단부(2d)는 동일 평면 S[즉, 화면(71)]에 있다. 또한, 미러 케이스(2)의 한 쌍의 축(2k)의 중심도 동일 평면 S 상에 있다. 또한, 하프 미러(11, 12) 및 풀 미러(13)의 반사면은 평면 S에 대해 45°를 유지하여 병행 상태로 되어 있다.
미러 프레임(21)의 단부(21d)가, 하프 미러(11)의 반사면에 대해 45°의 각도로 되어 있는 이유는, 단부(21d)가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화면(71)에 접촉했을 때에,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화면(71)에 대해 가능한 한 넓은 면적에서 접함으로써, 화면(71)을 유리로 만든 하프 미러(21)가 손상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27 및 도 28, 도 30을 참조하여, 본체 케이스(3)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 케이스(3)의 안측부에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선두부가 삽입되는 소킷부(3e)가 설치되고, 또한 소킷부(3e)의 대향하는 본체 케이스(3)의 저부에는 그 일부가 절결되고, 소킷부(3e)의 내부에 구부려 연신된 판 스프링부(3a)가 설치된다. 이들의 구성 부위는 본체 케이스(3)와 일체 형성된 합성 수지제이다.
소킷부(3e)의 내부의 좌우에는, 예를 들어 스펀지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연질 부재(51)가 배치된다. 도 30에 연질 부재(51)의 배치 위치를 도시한다. 또한, 도 30의 (a)는 종단면도, (b)는 평면도, (c)는 횡단면도이다. 소킷부(3e)의 내부에 한 쌍의 연질 부재(51)를 배치하는 이유는, 폭이 다른 복수종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수용하고, 이 연질 부재(51)로 그 폭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해서이다.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3)의 저부에 판 스프링부(3a)를 설치하는 이유는, 판 스프링부(3a)와 본체 케이스(3)의 소킷부(3e)의 내측 사이에, 높이가 다른 복수종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수용하고, 이 판 스프링부(3a)의 탄성력에 의해 화면(71)이 기준면(3g)에 항상 접한 상태로 된다. 또한, 판 스프링(3a)의 압력에 의해,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가 소킷부(3e)로부터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그것을 보유 지지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3)의 후단부에는 미러 장치(90)의 축(2k)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베어링(3k)이 설치된다.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3k)은 기준면(3g)과 동일 평면 R 상에 있다. 또한, 도 29의 각 미러 프레임의 단부(21d, 22d, 2d) 및 축(2k)은 동일 평면 S 상에 있다. 본체 케이스(3)에 대해 미러 장치(90)가 축(2k)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이 평면 S도 동시에 회전하고, 도 3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R과 평면 S가 합치한다.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화면(71)은 기준면(3g)에 접하고 있으므로, 각 미러 프레임의 단부(21d, 22d, 2d)가 화면(71)에 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프 미러(11, 12)와 풀 미러(13)가 화면(71)에 대해 높은 정밀도로 위치 부여된 상태에서, 감상자에게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1은 본체 케이스(3)에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수용하고, 미러 장치(90)를 사용하여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3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본체 케이스(3)의 소킷부(3e)에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삽입하면, 한 쌍의 연질 부재(51)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폭 형상에 맞추어 수축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누른다. 연질 부재(51)에는 일정한 마찰이 있으므로, 본체 케이스(3)의 소킷부(3e)로부터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가 용이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체 케이스(3)의 전방에 설치된 한 쌍의 대략 L자형의 벽(3b)(도 30 내지 도 31)에 의해,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가 본체 케이스(3)로부터 용이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벽(3b)은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 폭 및 길이보다도 약간 큰 사이즈를 허용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31의 (a), (c)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3)의 판 스프링(3a)은 일정한 압력으로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기준면(3g)에 대해 압박하고 있고, 화면(71)의 단부는 항상 기준면(3g)과 접촉한 상태에 있다.
또한, 도 3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미러 프레임(21, 22, 23)이,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상태에 있을 때라도, 미러 프레임(23)과 미러 케이스(2)는 일체 형성되고, 단부(2d)와, 축(2k)과, 미러 프레임(23)과 미러 케이스(2)가 합체한 정점 P(각도 β를 유지함)는 3점 지지의 상태에 있고, 견고하므로, 미러 케이스(2)는 병행 배치 상태에 있는 미러 프레임(21, 22)에 대해 외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 이로 인해, 미러 케이스(2)의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병행 배치 상태에서 3차원 영상의 표시 상태에 있는 미러 프레임(21, 22)이 절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한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와 다른 크기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80)를, 본체 케이스(3)에 장착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31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각 치수 Ws1, Ds1, Ts1에 비해, 도 32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80)의 각 치수 Ws2, Ds2, Ts2는 모두 약간 작은 예이다. 도 32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질 부재(51)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80)를 그 폭 방향으로부터 충분한 압력으로 보유 지지하고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3)의 판 스프링(3a)은 일정한 압력으로 2차원 영상 표시 장치(80)를 기준면(3g)에 대해 압박하고 있고, 화면(81)의 단부는 항상 기준면(3g)과 접촉한 상태로 된다. 연질 부재(51)에는 일정한 마찰이 있으므로, 본체 케이스(3)의 소킷부(3e)로부터 2차원 영상 표시 장치(80)는 용이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하는, 한 쌍의 대략 L자형의 벽(3c)에 의해, 2차원 영상 표시 장치(80)가 본체 케이스(3)로부터 용이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벽(3c)은 2차원 영상 표시 장치(80)보다도 약간 큰 사이즈를 허용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벽(3b)과 벽(3c)에는 단차가 있으므로, 크기가 다른 2종류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 80)의 양쪽을 수용할 수 있다.
도 31의 (a)의 예에서는, 본체 케이스(3)의 저부(3h)와 화면(71)은 평행이었지만, 도 32의 (a)의 예에서는, 2차원 영상 표시 장치(80)의 두께 Ts2가 얇기 때문에, 화면(81)은 저부(3h)와 약간의 각도 θ를 이루고 있다.
도 32와 같이, 화면(81)이 저부(3h)에 대해 약간의 각도 θ를 이루고 있어도, 미러 프레임(21, 22)의 단부(21d, 22d), 미러 프레임(23)의 케이스 단부(2d), 미러 케이스(2)의 축(2k)은 동일 평면 상에 있고, 화면(81)이 기준면(3g)과 대략 접하고 있으므로, 베어링(3k)은 화면(81) 상에 있다. 이와 같이, 단부(21d, 22d) 및 단부(2d)가 형성하는 평면 S(도 29)는 화면(81)과 동일면에 있게 되고, 하프 미러(11, 12) 및 풀 미러(13)가 화면(81)에 대해 높은 정밀도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질 부재(51), 판 스프링(3a), 대략 L자형의 벽(3b, 3c)에 의해 크기가 다른 2차원 영상 표시 장치를, 본체 케이스(3)에 수용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기종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2차원 영상 표시 장치가 스마트 폰인 경우, 재킷 등으로 불리는 전용 케이스를 상시 장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용 케이스에는 일정한 두께가 있으므로, 이를 장착하면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이즈는 커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크기가 다른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동일 기종에 있어서도 전용 케이스를 장착한 경우와,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양 형태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미러 프레임(21, 22)의 단부(21d, 22d), 미러 프레임(23)의 단부(2d), 축(2k), 본체 케이스(3)의 기준면(3g), 베어링(3k)의 각각의 배치를 고안함으로써, 2차원 영상 표시면이 본체 케이스 저면(3h)에 대해 각도 θ의 범위에서 약간 기울여 장착해도, 미러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도 23과 같이, 미러 장치(90)를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3)로부터 개방 상태로 한다. 그리고,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수용부(3m)로부터 취출한다. 이 경우, 본체 케이스(3)의 플랜지(3i)의 높이는 복수종의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 80)의 높이보다도 낮게 설계되어 있어,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의 측면(70a)은 플랜지(3i)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측면(70a)을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본체 케이스(3)로부터 2차원 영상 표시 장치(70)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크기가 다른 2차원 영상 표시 장치(8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33을 참조하여, 3매의 미러를 절첩한 경우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미러 프레임(21, 22)은 각각 축(21a, 22a)을 중심으로 미러 케이스(2)의 내측에 회전하여 절첩된다. 미러 프레임(21, 22)이 절첩되면, 미러 케이스(2)와 본체 케이스(3) 사이에 수납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41, 42)은 반발하여, 미러 프레임(21, 22)이 미러 케이스(2)를 개방하려고 하지만, 훅(2f)과 훅 구멍(3f)이 결합하여 양자가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미러 프레임(21, 22)이 절첩된 상태에서 안정되어 있다.
미러 케이스(2) 내지 미러 장치(9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도 25 혹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두께가 얇고, 주위에 돌기물도 없는 1개의 상자 형상으로 되므로, 콤팩트하고 휴대에 적합한 상태로 된다.
한편, 미러 케이스(2) 내지 미러 장치(90)를 개방할 때에는, 미러 케이스(2)의 훅 포인트(2i)의 부분을 누름으로써, 훅(2f)이 제거되어, 미러 케이스(2)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의(41, 42)의 반발력으로, 미러 프레임(21, 22)은 자동적으로 회전하고, 도 22 혹은 도 31에 도시하는, 소정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미러 케이스(2)를 폐쇄한 상태로부터,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3차원 영상을 감상하는 상태로,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매의 하프 미러와 그 후방부에 1매의 풀 미러의 합계 3매의 미러를 배치한 예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매 이상의 하프 미러를 배치하는 예라도 좋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장착하는 장착 기구와, 상기 장착 기구의 소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미러 장치를 갖고,
    상기 미러 장치에는 안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복수의 미러가 배치되고,
    3차원 영상을 표시할 때에, 상기 미러 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대해 감상자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위치 부여되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자측으로 반사하여 표시하고,
    상기 장착 기구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미러 장치에는 안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복수의 미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3차원 영상을 표시할 때에, 상기 미러 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대해 감상자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지지되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사하고,
    3차원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때에, 상기 미러 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미러 장치의 내부에 절첩된 상태에서 수납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미러 장치를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미러의 선단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과 접촉시켜 상기 복수의 미러를 지지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자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미러 장치를 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미러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미러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여 탑재하는 미러 케이스를 갖고,
    상기 미러 케이스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러는 상기 미러의 높이가 안측으로 감에 따라서 낮아지도록 배치되고, 감상자측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하프 미러와, 상기 제1 및 제2 하프 미러의 후방에 배치된 1매의 풀 미러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 상에서 상기 미러 장치 중에 절첩되었을 때의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상기 미러 장치의 두께는,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과 밀착하여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비해, 30%로 줄이는 것이 가능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치 및 상기 본체 케이스는 합성 수지성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서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갖는 휴대 가능한 표시 장치를 수용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미러가 안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고 평행하게 배치하여 고정된 미러 케이스를 갖고,
    상기 미러 케이스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11.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복수의 미러를 사용하여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장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소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미러 케이스와, 상기 미러 케이스의 안측을 행해,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본체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미러 케이스에 탑재된 복수의 미러를 구비하는 미러 장치를 갖고,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미러 케이스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의 선단부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미러가 상기 화면에 대해 감상자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사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미러 케이스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내부에 접힌 상태에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러는 각각 사변형의 미러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미러 케이스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미러 프레임의 선단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자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축을 중심으로 상기 미러 케이스를 회전하고, 상기 화면에 대해 상기 복수의 미러가 소정 각도 경사져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사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미러 케이스를 후방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복수의 미러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자가 감상할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미러 케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러의 높이를 규정하는 변은 안측으로 감에 따라서 짧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축을 중심으로 상기 미러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1 및 제2 하프 미러와,
    상기 제1 및 제2 하프 미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미러 케이스에 고정된 1매의 풀 미러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그 주위를 둘러싸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둘러싸인 내측에 있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그 안측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연질 부재를 구비하고, 장착되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측부를 상기 연질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그 안측부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선두부가 삽입되는 소킷부와, 상기 소킷부 내의 저부에 있고, 삽입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저부를 상방향으로 압박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3차원 영상을 감상할 때에 상기 미러 케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된 상기 축과, 상기 복수의 미러 프레임의 선단부는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단부에는 상기 미러 케이스의 축과 결합하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소킷부 내의 상부가 형성하는 기준면은 상기 베어링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상기 본체 소킷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판 스프링부의 압박에 의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이 상기 기준면과 접촉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두께의 차이에 의한 경사에 상관없이, 상기 복수의 미러 프레임이 상기 화면에 위치 부여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케이스의 전단부에는 훅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플랜지의 전방부에는 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 케이스가 회전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에 폐쇄되었을 때, 상기 훅과 상기 훅 구멍이 결합하여, 상기 미러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를 합체한 상태를 유지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20.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미러 케이스는 각각 상자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미러 케이스가 상기 본체 케이스에 폐쇄하여 합체한 상태에서, 양자는 1개의 상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21. 삭제
KR1020127022075A 2010-11-25 2011-11-22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101380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10/071053 2010-11-25
PCT/JP2010/071053 WO2012070139A1 (ja) 2010-11-25 2010-11-25 3次元映像表示装置
JPJP-P-2011-235946 2011-10-27
JP2011235946A JP5341162B2 (ja) 2011-10-27 2011-10-27 3次元映像表示装置
PCT/JP2011/076861 WO2012070553A1 (ja) 2010-11-25 2011-11-22 3次元映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826A KR20120112826A (ko) 2012-10-11
KR101380463B1 true KR101380463B1 (ko) 2014-04-01

Family

ID=4614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075A KR101380463B1 (ko) 2010-11-25 2011-11-22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35056B2 (ko)
EP (1) EP2645151B1 (ko)
KR (1) KR101380463B1 (ko)
CN (1) CN102782563B (ko)
HK (1) HK1178979A1 (ko)
SG (1) SG182656A1 (ko)
WO (1) WO2012070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5604B2 (en) 2013-12-11 2016-05-10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US11726332B2 (en) 2009-04-27 2023-08-15 Digilens Inc. Diffractive projection apparatus
WO2016020630A2 (en) 2014-08-08 2016-02-11 Milan Momcilo Popovich Waveguide laser illuminator incorporating a despeckler
EP2995986B1 (en) 2011-08-24 2017-04-12 Rockwell Collins, Inc. Data display
US9933684B2 (en) 2012-11-16 2018-04-03 Rockwell Collins, Inc. Transparent waveguide display providing upper and lower fields of view having a specific light output aperture configuration
US20140355114A1 (en) * 2013-06-03 2014-12-04 Aivaras GRAUZINIS Holographic Display Extension for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NL2011740C2 (nl) * 2013-11-05 2015-05-07 Marcel Dirk Johannes Haarhuis Inrichting voor het projecteren van een door een beeldscherminrichting gegenereerd beeld op een projectiescherm.
JP6278349B2 (ja) 2013-11-05 2018-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携帯型情報機器用ケースおよび映像表示装置のケース
CN105096794A (zh) * 2014-05-22 2015-11-25 深圳创锐思科技有限公司 显示设备、显示设备的控制方法及显示系统
WO2016042283A1 (en) 2014-09-19 2016-03-24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put images for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s
EP3245444B1 (en) 2015-01-12 2021-09-08 DigiLens Inc. Environmentally isolated waveguide display
US9632226B2 (en) 2015-02-12 2017-04-25 Digilens Inc. Waveguide grating device
CN106033256A (zh) * 2015-03-17 2016-10-19 深圳市加珠宝有限公司 一种人机互动装置
JP6598269B2 (ja) 2015-10-05 2019-10-30 ディジレ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導波管ディスプレイ
CN108780224B (zh) 2016-03-24 2021-08-03 迪吉伦斯公司 用于提供偏振选择性全息波导装置的方法和设备
CN107229129A (zh) * 2016-03-25 2017-10-03 许家琪 一种场真立体显示装置
WO2018102834A2 (en) 2016-12-02 2018-06-07 Digilens, Inc. Waveguide device with uniform output illumination
WO2018129398A1 (en) 2017-01-05 2018-07-12 Digilens, Inc. Wearable heads up displays
WO2019008411A1 (en) * 2017-07-01 2019-01-10 Hon Ngai Lung GREETING CARD THAT DISPLAYS A HOLOGRAPHIC IMAGE AND ITS SYSTEM
CN107966781B (zh) * 2017-12-25 2020-03-27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洛阳电光设备研究所 一种透视型显示光学系统中反射镜收放及调整装置
JP2019124783A (ja) * 2018-01-15 2019-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撮像装置
US11764821B2 (en) * 2018-01-17 2023-09-19 Langhans Ventures Llc Mobile phone case with epinephrine injection pen carrying feature
US11258890B2 (en) * 2018-07-30 2022-02-22 IKIN, Inc. Portable terminal accessory device for holographic projection and user interface
FR3087986A1 (fr) * 2018-10-26 2020-05-01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affichage avec superposition d’image autostereoscopique sur une image reelle
FR3091361B1 (fr) * 2018-12-28 2021-05-07 Burhanettin Okcu Dispositif de visualisation holographique
US20200264378A1 (en) 2019-02-15 2020-08-20 Digilen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Using Integrated Gratings
KR20220016990A (ko) 2019-06-07 2022-02-10 디지렌즈 인코포레이티드. 투과 및 반사 격자를 통합하는 도파관 및 관련 제조 방법
CN114450608A (zh) 2019-08-29 2022-05-06 迪吉伦斯公司 真空布拉格光栅和制造方法
USD994011S1 (en) 2021-06-16 2023-08-01 IKIN, Inc. Holographic projection device
USD988277S1 (en) 2021-06-17 2023-06-06 IKIN, Inc. Portable holographic projection device
USD1009969S1 (en) 2021-06-17 2024-01-02 IKIN, Inc. Holographic device housing
KR200496687Y1 (ko) * 2022-08-23 2023-04-04 에피톤코리아(주) 원격 증강현실용 3차원 입체 영상장치
KR200496688Y1 (ko) * 2022-08-23 2023-04-04 에피톤코리아(주) 포터블 원격 증강현실용 3차원 입체 영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2093A (ja) * 1996-12-06 1998-08-21 Sony Corp 携帯型表示装置
JP2008020564A (ja) 2006-07-11 2008-01-31 Saneo Mase 立体映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768A (en) * 1979-04-13 1981-12-22 Taito America Corporation Creation of multiplanular images
US5086354A (en) * 1989-02-27 1992-02-04 Bass Robert E Three dimensional optical viewing system
JP3256625B2 (ja) * 1994-05-18 2002-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841030B2 (ja) * 1994-07-25 1998-12-24 株式会社村上開明堂 原稿表示装置
US6052239A (en) * 1996-12-06 2000-04-18 Sony Corporation Portable display device
FR2790575B3 (fr) 1999-03-05 2001-10-12 Maurice Bocquet Dispositif permettant le jaillissement immateriel d'images video dans le vide
JP4049977B2 (ja) 2000-09-01 2008-02-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に用いられるレンズアダプタ
JP2002362184A (ja) * 2001-06-11 2002-12-1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JP2002372929A (ja) 2001-06-13 2002-12-26 Namco Ltd 両面表示ディスプレイおよび電子機器
KR20040064271A (ko) * 2001-11-09 2004-07-16 미네베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어셈블리
JP2006135378A (ja) 2004-11-02 2006-05-25 Saneo Mase 三次元映像表示装置
KR20070035397A (ko) 2005-09-27 2007-03-30 최해용 원 채널용 입체 모니터 장치
JP2009053539A (ja) 2007-08-28 2009-03-12 Sony Corp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41447A (ja) 2008-12-10 2010-06-24 Casio Computer Co Ltd カメラ付携帯情報端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2093A (ja) * 1996-12-06 1998-08-21 Sony Corp 携帯型表示装置
JP2008020564A (ja) 2006-07-11 2008-01-31 Saneo Mase 立体映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5056B2 (en) 2016-01-12
EP2645151B1 (en) 2016-10-05
CN102782563B (zh) 2015-03-25
CN102782563A (zh) 2012-11-14
EP2645151A4 (en) 2015-05-06
HK1178979A1 (en) 2013-09-19
US20120287503A1 (en) 2012-11-15
WO2012070553A1 (ja) 2012-05-31
EP2645151A1 (en) 2013-10-02
KR20120112826A (ko) 2012-10-11
SG182656A1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463B1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US89080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s for stereoscopic viewing
JP6278349B2 (ja) 携帯型情報機器用ケースおよび映像表示装置のケース
KR20150027651A (ko)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두부 탑재형 장치
KR101538660B1 (ko) 입체영상장치
WO2013114717A1 (ja) 3次元映像表示装置
KR20210066784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US20150271477A1 (en) Expande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KR101964310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JP2012022018A (ja) 立体表示装置
JP4933678B2 (ja) 3次元映像表示装置
KR101829952B1 (ko) 입체영상시청이 가능한 단말기포장박스
JP5341162B2 (ja) 3次元映像表示装置
JP2012137766A (ja) 3次元映像表示装置
JP2011039470A (ja) 立体画像鑑賞装置
KR101921623B1 (ko)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571636B1 (ko) 입체영상시청이 가능한 단말기포장박스
KR102439092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JP6547471B2 (ja) 映像鑑賞機能付き包装容器
WO2012070139A1 (ja) 3次元映像表示装置
JP6464363B2 (ja)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ビューア
KR102096483B1 (ko) Vr 헤드셋 기기
TWI646883B (zh) 拼接式顯示裝置及筆記型電腦
JP2021016087A (ja) Vrビューアおよびvrビューア用型紙
JP2017200046A (ja) 3dビュー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