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976B1 - 건축물 지붕 처마캡 - Google Patents

건축물 지붕 처마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976B1
KR101378976B1 KR1020120058327A KR20120058327A KR101378976B1 KR 101378976 B1 KR101378976 B1 KR 101378976B1 KR 1020120058327 A KR1020120058327 A KR 1020120058327A KR 20120058327 A KR20120058327 A KR 20120058327A KR 101378976 B1 KR101378976 B1 KR 101378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eaves
cornice
roof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248A (ko
Inventor
이재경
이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지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지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지티에스
Priority to KR102012005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9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5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 E04D13/158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covering the overhang at the eave side, e.g. soffits, or the verge of saddle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출물의 처마끝 돌출부를 용이하게 마감하는 지붕 처마캡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처마캡은 캡헤드와 캡몸체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캡헤드의 중앙에 원형요홈이 형성되어 처마끝 돌출부에 끼워지게 되어 처마끝 돌출부를 마감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붕 처마캡은 건축물의 처마끝 돌출부를 안전하게 마감할 수 있으며, 시공방법이 간단하여 비용절감 효과가 있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면서도 상기 지붕 처마캡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비나 눈, 이물질 등이 지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처마끝 돌출부의 날카로운 부분을 처마캡으로 안전하게 덮게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지붕 처마캡{The Eaves Cap For Roof Of House}
건축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소재의 지붕재가 개발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지고 독특한 디자인의 지붕을 갖는 건축물이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의 지붕소재 및 디자인이 다양해짐에 따라 그에 맞는 지붕 마감장치의 구성과 시공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 지붕에 상판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지붕상판의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감장치로 사용되는 처마캡(Eaves Cap)은 처마끝 돌출부를 견고하게 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나 눈, 바람 및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며 지붕상판의 날카로운 끝부분을 안전하게 마감처리하며, 미려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붕의 구조는 지붕잇기 재료에 따라 달라진다. 기와나 금속판으로 잇는 경우에는 서까래·지붕패널 등으로 밑바탕을 만들고 아스팔트 등으로 방수 가능하도록 밑바탕을 만든다. 금속의 골판을 사용할 때에는 서까래를 생략할 때도 있고, 지붕패널도 생략하고 중도리에 직접 고정시킬 때도 있다. 목조지붕의 골조형식으로서는 보통 한식 지붕틀과 양식 지붕틀을 사용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지붕패널은 하판과 상판 사이에 폴리우레탄 또는 유리솜(glass wool) 및 암면 등과 같은 소재를 충전하여 샌드위치 형태로 단열층을 만든다. 상기 지붕패널은 나사 및 볼트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도리들보(purlin: 용마루와 평행하게 서까래를 받치는 구조물)등에 지붕의 한 변 길이로 하여 중첩됨이 없도록 고정되게 시공한다.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20-0436989호의 건출물 본체의 상면에 시공되는 지붕판넬의 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에 대해 공개되어 있으나, 처마끝 돌출부를 각각 마감처리해주는 장치가 개발되지 않아 시공이 복잡하고 비나 눈, 바람 등 이물질이 유입되며, 처마끝 돌출부가 날카롭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가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조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36989 Y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캡헤드, 캡몸체, 원형요홈으로 구성된 경량의 지붕상판 처마캡을 이용하여 처마끝 돌출부를 막아주고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처마캡은 CPP, 복합PE, 플라스틱, 티타늄아연판, 동판, 스텐리스, 알루미늄, 징크, 철판 및 기타 비철금속 등을 사용하여 처마끝 돌출부를 마감시킬 수 있도록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지붕 처마캡은 캡헤드와 캡몸체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캡헤드는 중앙에 원형요홈이 형성되어 처마끝 돌출부에 끼워지게 되어 처마끝 돌출부를 마감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처마캡은 처마끝 돌출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캡몸체의 양끝단에 상기 캡헤드와 연결된 캡측부에 캡돌출부가 더 구비되어 처마끝 돌출부를 마감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지붕의 상판 처마캡은 처마끝 돌출부를 쉽게 마감할 수 있어 시공방법이 간단하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저렴하고 간단한 시공방법에도 불구하고, 상기 처마캡은 고강도 및 내구성 있게 제작되며 처마끝 돌출부의 개방된 공간에 결합되어 비와 눈 등의 유입을 방지하며, 곤충 등의 유입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처마끝 돌출부의 날카로운 부분이 미려하게 처리되어 안전하며 시각적인 효과가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의 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의 2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의 3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의 4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의 5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보호캡의 6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1실시예에 따른 처마캡의 사용 전 상태도
도 8는 상기 2실시예에 따른 처마캡의 사용 전 상태도
도 9는 상기 1실시예에 따른 처마캡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상기 2실시예에 따른 처마캡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리한 지붕 처마캡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 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의 1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의 2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의 3, 4, 5, 6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 1실시예의 사용 전 상태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 2실시예의 사용 전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 1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 2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10)은 처마끝 돌출부(30)를 마감하는 것으로, 캡헤드(11), 캡몸체(13), 원형요홈(12),단턱(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붕 처마캡(10)은 캡헤드(11)와 캡몸체(13)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턱(16)은 상기 캡몸체(13)의 아래쪽 양측에 형성이 되며, 상기 캡헤드(11)는 중앙에 원형요홈(12)이 형성되어 상기 처마끝 돌출부(30) 상부에 끼워지게 되어 상기 처마끝 돌출부(30)를 마감처리 하는 것이다.
상기 단턱(16)은 상기 지붕 처마캡(10)이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에 결합될때 비나 눈이 오게 될 경우 지붕상판(50)에 흘러내리는 물을 댐처럼 막지 않고 원활하게 흐를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의 문제를 해결하고 물이 튀는 현상으로 인한 지붕상판의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캡몸체(13)는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사각돌기(14)가 더 형성되어 상기 처마끝 돌출부(30)를 더욱 단단하게 마감처리할 수 있다.
상기 지붕 처마캡(10)은 0.5~5cm 길이로 제작되며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에 끼워 마감처리 해줌으로써,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의 개방된 공간으로 비나 눈,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의 날카로운 끝부분을 덮어서 보호하고 시각적으로도 미려한 효과를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 처마캡(10)의 재질은 복합PE, CPP, 플라스틱, 티타늄아연판, 동판, 스텐리스, 알루미늄, 징크, 철판 및 기타 비철금속 등을 사용하며, 상기 처마끝 돌출부(30)를 마감시킬 수 있도록 강도와 내구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한다.
상기 지붕 처마캡(10)은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에 삽입되어 상기 처마끝 돌출부(30)를 마감시키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출물 위에 단열재(40)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40) 상부에 각각의 지붕상판(50)이 상판고정클립(20)을 중심으로 걸림형식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고정클립(20)에 고정설치되는 지붕상판(50)이 상호 연결되는 상기 처마끝 돌출부(30)를 캡헤드(11)와 캡몸체(13)로 구성된 상기 처마캡(10)으로 마감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처마캡(10)의 캡몸체(13)는 사각돌기(14)가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처마끝 돌출부(30)를 더욱 단단하게 마감시킨다.
도 2,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10)은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에 삽입시켜 비, 바람 또는 이물질이 지붕 안쪽으로 유입되는 방지하는 기구이며, 상기 처마캡(10)은 캡헤드(11), 캡몸체(13), 원형요홈(12),캡측부(15) 및 단턱(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붕 처마캡(10)은 상기 캡몸체(13)의 양 끝단에 상기 캡헤드(11)와 연결된 캡측부(15)가 더 구비되어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에 삽입되어 마감처리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캡몸체(13) 역시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사각돌기(14)가 더 형성되어 상기 처마끝 돌출부(30)를 더욱 견고하게 마감처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몸체(13)의 하부에 역시 상기 단턱(16)을 형성하여 비나 눈이 올 때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지붕 처마캡(10)은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에 설치되어 상기 처마끝 돌출부(30)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지붕은 건축물의 벽 상부에 C형강 등으로 골조를 형성하고 골조에 바닥판을 형성시킨 다음 Z바 또는 M바 등으로 지붕상판을 이격시켜주며 상기 바닥판과 상판 사이에는 단열재(40)를 넣어 단열시키며, 상기 단열재(40) 상부에 각각의 지붕상판(50)이 상판고정클럽(20)을 이용하여 걸림형식으로 고정시켜 준다.
상기 상판고정클립(20)은 서로 이웃하는 지붕상판(50)을 순차적으로 걸어 연결시켜 지붕을 덮게 되며,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에 캡헤드(11)와 캡측부(15)로 구성된 상기 처마캡(10)을 삽입 하거나 덮어 상기 처마끝 돌출부(30)를 커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처마캡의 캡몸체(13)는 사각돌기(14)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돌기(14)는 상기 처마캡(10)이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에 삽입될 때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의 크기와 일체가 되어 상기 처마캡(10)이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지붕 처마캡의 3실시예 및 4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따른 지붕 처마캡(10)은 도 1에 도시한 제 1실시예의 지붕 처마캡(10)의 중앙부에 캡돌출부(17)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지붕 처마캡(10)이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에 삽입 또는 커버될 때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의 원형홈에 상기 캡돌출부(17)가 끼워지게 되어 더욱 견고하고 확실하게 결합이 되며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제 4실시예의 지붕 처마캡(10)은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2실시예의 지붕 처마캡(10)에 캡돌출부(17)를 더 구비하여 제 3실시예의 지붕 처마캡(1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지붕 처마캡의 5실시예 및 6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5, 6 실시예에 따른 지붕 처마캡(10)은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의 형상이 상기 지붕 처마캡(10)이 용이하게 결합 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의 형상이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붕 처마캡(10)의 형상 역시 상기 처마끝 돌출부(30)의 형상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처마캡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번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지붕 처마캡 11: 캡헤드
12: 원형요홈 13: 캡몸체
14: 사각돌기 15: 캡측부
16: 단턱 17: 캡돌출부
20: 상판고정클립 30: 처마끝 돌출부
40: 단열재 50: 지붕상판

Claims (5)

  1. 처마끝 돌출부를 마감하는 지붕 처마캡에 있어서,
    상기 지붕 처마캡은 캡헤드와 캡몸체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캡헤드는 안쪽에 캡돌출부가 형성되며 중앙에 원형요홈이 형성되어 처마끝 돌출부에 삽입하거나 덮어 처마끝 돌출부를 안전하게 커버하고, 상기 캡몸체는 처마끝 돌출부에 처마캡이 체결될 때 끼움식으로 고정되도록 캠몸체에 사각돌기가 형성되어 처마끝 돌출부를 마감처리 하고, 상기 지붕 처마캡은 캠몸체의 아래쪽 양측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처마캡을 처마끝 돌출부에 삽입하였을 때 비가와도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처마캡.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처마캡은 처마끝 돌출부에 삽입된 후 상기 캡몸체의 양끝단에 상기 캡헤드와 연결된 캡측부가 더 구비되어 처마끝 돌출부를 마감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처마캡.
  4. 삭제
  5. 삭제
KR1020120058327A 2012-05-31 2012-05-31 건축물 지붕 처마캡 KR101378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327A KR101378976B1 (ko) 2012-05-31 2012-05-31 건축물 지붕 처마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327A KR101378976B1 (ko) 2012-05-31 2012-05-31 건축물 지붕 처마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248A KR20120083248A (ko) 2012-07-25
KR101378976B1 true KR101378976B1 (ko) 2014-03-27

Family

ID=4671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327A KR101378976B1 (ko) 2012-05-31 2012-05-31 건축물 지붕 처마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9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107B2 (ja) * 1988-08-24 1996-09-11 不二サッシ株式会社 軒先部構造
JPH10331365A (ja) * 1997-05-30 1998-12-1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屋根破風の取付具
JP2002309738A (ja) 2001-04-10 2002-10-2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軒先カバー板及び軒先の納まり構造
JP2007146487A (ja) 2005-11-28 2007-06-14 Panahome Corp 軒先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107B2 (ja) * 1988-08-24 1996-09-11 不二サッシ株式会社 軒先部構造
JPH10331365A (ja) * 1997-05-30 1998-12-1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屋根破風の取付具
JP2002309738A (ja) 2001-04-10 2002-10-2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軒先カバー板及び軒先の納まり構造
JP2007146487A (ja) 2005-11-28 2007-06-14 Panahome Corp 軒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248A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599B1 (ko) 조립식 지붕 설치구조
KR101378976B1 (ko) 건축물 지붕 처마캡
JP2008231665A (ja) 屋根構造
KR101471468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구조체
JP2006161453A (ja) 瓦棒葺き屋根の改修工法
KR101847057B1 (ko) 건축용 외부 마감재
CN204343554U (zh) 一种建筑屋顶板
KR101174043B1 (ko) 건축 구조물의 지붕 구조 및 건축 구조물의 신설 지붕 건축 방법
CN220133283U (zh) 一种抗超强台风的抗风揭面金属屋面系统
CN204343553U (zh) 一种防漏水建筑物
CN213329720U (zh) 一种瓦屋面檐口节点防水构造
JP3883545B2 (ja) 屋外床板接続具及びそれを用いた屋外床並びに屋外床の施工方法
CN205840009U (zh) 一种外墙板防水节点
KR101854032B1 (ko) 옥상 난간의 캡핑장치
JPH0328646Y2 (ko)
JP4296573B2 (ja) 外壁構造
JPH0224831Y2 (ko)
JPH0725369Y2 (ja) バルコニーの上部に設けるテラス屋根の雨樋装置
JP6116057B2 (ja) 屋根構造
JP2536341Y2 (ja) ケラバの納め構造
JP2736221B2 (ja) 金属屋根材を葺設した屋根の構造
TW593856B (en) End cap
JP3083960U (ja) 三角屋根における落雪融雪装置
JP2520845B2 (ja) 二重葺き屋根構造
JP2520844B2 (ja) 二重葺き屋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