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878B1 -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878B1
KR101372878B1 KR1020127009332A KR20127009332A KR101372878B1 KR 101372878 B1 KR101372878 B1 KR 101372878B1 KR 1020127009332 A KR1020127009332 A KR 1020127009332A KR 20127009332 A KR20127009332 A KR 20127009332A KR 101372878 B1 KR101372878 B1 KR 10137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circuit board
wiring board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846A (ko
Inventor
히데히로 아사노
도시히로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6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9Arrangements for evaluating degradation, retention or wearout, e.g. by counting erase cycles
    • G11C16/3495Circuits or methods to detect or delay wearout of nonvolatile EPROM or EEPROM memory devices, e.g. by counting numbers of erase or reprogram cycles, by using multiple memory areas serially or cyc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건 개시의 회로 기판은, 배선 기판과, 무통전에서의 방치에 의해 열화를 생기게 하는 열화성 부품을 포함하여 상기 배선 기판 상에 구성된, 제1 전원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회로 기판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탑재된 제2 전원과,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으로 적어도 상기 열화성 부품을 단속적으로 통전시키는, 상기 배선 기판 상에 구성된 통전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건 개시의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전원도 더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본건 개시는,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나 휴대 전화 등과 같은 전자 기기에는 회로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많은 전자 기기에서는, 프린트 기판(배선 기판) 상에 회로 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한 회로 부품에는 어떠한 원인에서 특성이 열화하는 것이 존재한다. 또한, 회로 부품의 특성을 열화시키는 원인도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원인에 따른 대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특허문헌 4 참조).
일본국 특개평03-48999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5-23734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07-230750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10-62476호 공보
그런데, 특성이 열화하는 회로 부품 중에는, 전해 콘덴서나 Flash 메모리 등과 같이, 반년이나 1년 등과 같은 장기간에 걸쳐 방치되면 전기적인 특성이 열화하는 것이 있다. 회로 기판은, 예를 들면 보수용의 재고 등으로서 단체(單體)로 보관되어 있을 경우에는 장기간의 보관이 생기기 쉽다고 생각된다. 또한, 회로 기판이 전자 기기에 설치된 후에도 상기와 같은 장기간의 보관은 생길 수 있다. 또한, 기술적 정세나 사회적 정세를 감안한 금후의 동향을 고려하면, 회로 기판이나 전자 기기의 제품 수명을 보다 장기화하는 것도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장기 보관에 수반하는 회로 부품의 열화에 따라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의 성능이 저하하는 것이 예상된다. 그리고, 그러한 회로 부품의 열화를 억제하여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의 성능 저하를 억제하는 기술이 요망되지만, 현상에서는 특별히 제안이 없다.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본건 개시는, 장기 보관에 의한 성능 저하가 억제된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의 기본 형태는, 배선 기판과, 무통전에서의 방치에 의해 열화를 생기게 하는 열화성 부품을 포함하여 상기 배선 기판 상에 구성된 제1 전원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기본 형태는, 상기 배선 기판 상에 탑재된 제2 전원과,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으로 적어도 상기 열화성 부품을 단속적으로 통전시키는, 상기 배선 기판 상에 구성된 통전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기기의 기본 형태의 경우에는, 상기 제1 전원도 더 구비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의 상기 기본 형태에 의하면, 장기 보관에 의한 성능 저하가 억제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3은 부전원에 의한 통전의 경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터럽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터럽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기본 형태에 대해서 상기 설명한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기본 형태는, 열화성 부품이 단속적으로 통전됨으로써 회로 부품의 열화가 억제되는 것이다. 그 결과, 회로 기판이나 전자 기기는, 장기간에 걸쳐 보관되어도 성능 저하는 억제된다. 이와 같은 기본 형태에 대한 바람직한 응용 형태로서 제1 응용 형태와 제2 응용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응용 형태에서 상기 통전 제어부는,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통전 제어부는, 그 타이머에 의해 계측된 경과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에 달했을 경우에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으로 적어도 상기 열화성 부품을 일시적으로 통전시키는 경과시 통전부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통전 제어부는, 상기 열화성 부품이 제1 및/또는 제2 전원에 의해 통전되었을 경우에 상기 타이머를 리셋하는 리셋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응용 형태에 의하면, 타이머 등으로 구성되는 간이한 통전 제어부에서 열화성 부품에 대한 정기적인 통전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응용 형태에서 상기 통전 제어부는, 상기 회로에 대한 제1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의 유무를 확인하는 공급 확인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제2 응용 형태에서의 상기 통전 제어부는, 상기 공급 확인부에 의해 공급 없음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으로 적어도 상기 열화성 부품을 일시적으로 통전시키는 무급전시 통전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응용 형태에 의하면, 제1 전원에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을 경우에는 제2 전원에서의 통전이 회피되므로 제2 전원의 전력을 수명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1 실시형태는, 상술한 기본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상당함과 함께, 상기 제1 응용 형태 및 상기 제2 응용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도 상당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의 파트 (A)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1)는, 여기에서는 특별히 종류를 한정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나 서버로 대표되는 정보 처리 장치, 통신 기지국이나 통신 단말로 대표되는 통신 기기,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등으로 대표되는 가정 전화(電化) 제품 등이 상당한다. 이 전자 기기(1)가, 기본 형태에 대해서 상술한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제1 실시형태에 상당한다.
이 전자 기기(1) 내에는, 회로 기판(10)과 주(主)전원(20)이 설치되어 있다. 주전원(20)은, 도시를 생략한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얻어 회로 기판(10)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정전압 전원이다. 이 회로 기판(10)은, 배선 기판(17)과, 그 배선 기판(17) 상에 설치된 회로(13)를 갖고 있다. 회로(13)는 비(非)통전시에도 전기적 특성이 열화하지 않는 비열화성 부품 그룹(11)과, 전해 콘덴서나 Flash 메모리 등과 같이 비통전시에 전기적 특성이 열화하는 열화성 부품 그룹(12)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해 콘덴서는, 비통전이 장기화하면, 전극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는 산화막이 풀림으로써 산화막과 전해액이 도통(導通)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전해 콘덴서에 전압이 인가되면 리크 전류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열화성 부품 그룹(12)에 속하는 부품은, 전기적 특성의 열화가 약간의 열화이면 일시적인 통전에 의해 특성이 회복된다. 예를 들면 전해 콘덴서는,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리크 전류에 의해 산화막이 재형성되어 풀림이 수복된다. 열화성 부품 그룹(12)에 속하는 부품 중에는, 통전이 장기간에 걸쳤을 경우에도 전기적 특성이 열화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전해 콘덴서는, 통전이 장기간에 걸치면 전해액의 성질이 변화하여 콘덴서로서의 특성이 열화해버린다. 즉, 열화성 부품 그룹(12)에 속하는 부품이 비통전시에 열화한다고 해서, 계속해서 통전해버리면 다른 열화를 생기게 하는 것이 된다. 열화성 부품 그룹(12)에 속하는 부품은, 통전과 비통전이 적절히 반복되면 전기적 특성이 오래 유지된다.
비열화성 부품 그룹(11)에 속하는 부품은, 비통전이 장기간에 걸쳐도 전기적 특성은 열화하지 않는다. 반대로, 이 비열화성 부품 그룹(11)에 속하는 부품에는, 통전이 장기간에 걸치면 전기적 특성이 열화하는 것이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10)이나 전자 기기(1)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비열화성 부품 그룹(11)에의 통전은 되도록이면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도 1은 회로(13)가 비열화성 부품 그룹(11)과 열화성 부품 그룹(12)을 포함하고 있다는 개념을 나타내고 있을 뿐이다. 즉 이 도 1은 이들 비열화성 부품 그룹(11)과 열화성 부품 그룹(12)의 회로(13) 중에서의 위치 관계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
회로 기판(10)의 배선 기판(17) 상에는 회로(13) 외에, 부전원(14), 제어 IC(15), 스위치(16, 16')도 설치되어 있다. 부전원(14)은 구체적으로는 리튬 전지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배선 기판(17) 상에는, 회로 기판(10)과 주전원(20)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8)도 설치되어 있다.
전자 기기(1) 내에는, 회로 기판(10) 외의 부품도 설치되어 있다. 그 회로 기판(10) 외의 부품에는, 비통전시에 열화하지 않는 비열화성 부품 그룹(30)과 비통전시에 열화하는 열화성 부품 그룹(40)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로 기판(10)은 기본 형태에 대해서 상술한 회로 기판의 구체적인 제1 실시형태에 상당한다. 또한, 배선 기판(17)이 상기 기본 형태에 있어서의 배선 기판의 일례에 상당한다. 주전원(20)은 상기 기본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전원의 일례에 상당한다. 회로 기판(10) 상의 회로(13)는 상기 기본 형태에 있어서의 회로의 일례에 상당한다. 회로 기판(10) 상의 열화성 부품 그룹(12)에 속하는 부품은, 상기 기본 형태에 있어서의 열화성 부품의 일례에 상당한다. 부전원(14)은 상기 기본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전원의 일례에 상당한다. 그리고, 제어 IC(15) 및 스위치(16, 16')가, 상기 기본 형태에 있어서의 통전 제어부의 일례를 구성하고 있다.
주전원(20)은 커넥터(18)에 의해 회로 기판(10)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넥터(18)를 통해, 상술한 직류 전압에 의해 회로 기판(10) 상의 회로(13)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13)에 포함되어 있는 비열화성 부품 그룹(11)과 열화성 부품 그룹(12)의 쌍방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전력을 공급받은 회로(13)는, 그 공급받은 전력으로 동작한다. 이 회로(13)의 동작은, 이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1)가 정보 처리 장치이면 정보 처리 동작이고, 통신 기기이면 통신 처리 동작이며, 가정 전화 제품이면 제품으로서의 동작이다. 또한, 주전원(20)은 회로 기판(10) 외의 비열화성 부품 그룹(30)에도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주전원(20)은 회로 기판(10) 외의 열화성 부품 그룹(40)에도, 회로 기판(10)을 경유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전원(20)에 의한 전력 공급은, 도시를 생략한 전원 스위치가 유저의 조작 혹은 온오프 신호에 의해 지시됨으로써 온오프된다.
회로 기판(10) 상의 부전원(14)은, 제어 IC(15)에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스위치(16)를 경유하여, 회로 기판(10) 상의 열화성 부품 그룹(12)과 회로 기판(10) 외의 열화성 부품 그룹(40)에도 전력을 공급한다.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 속하는 각 부품은, 부전원(14)의 전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통전된다. 단, 이 도 1에서는 단순히,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 전력이 공급된다는 개념이 나타나 있을 뿐이다.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 대한 구체적인 공급 경로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술한다.
스위치(16, 16')는 제어 IC(1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된다. 이들 스위치(16, 16')가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됨으로써, 부전원(14)에 의한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의 전력 공급이 온오프되게 된다. 이들 스위치(16, 16')는 한쪽이 온일 때에 다른쪽이 오프가 된다. 그리고, 비열화성 부품 그룹(11)에 연결되어 있는 쪽의 스위치(16')는, 부전원(14)의 전력이 비열화성 부품 그룹(11)으로 흐르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비열화성 부품 그룹(11)을 보호한다. 제어 IC(15)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주전원(20)으로부터 회로(13) 등에의 전력 공급의 유무를 제어 IC(15)가 감시한 결과에 따라 출력된다.
이 도 1의 파트 (B)에는, 제어 IC(15)의 기능 블록도가 나타나 있다. 제어 IC(15)는 내부 기능으로서 보면, 감시부(51)와 신호 출력부(52)와 타이머(53)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타이머(53)는 상기 제1 응용 형태에 있어서의 타이머의 일례에 상당한다. 신호 출력부(52)와 스위치(16)는 상기 제1 응용 형태에 있어서의 경과시 통전부의 일례를 구성하고 있다. 신호 출력부(52)와 감시부(51)는 상기 제1 응용 형태에 있어서의 리셋부의 일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감시부(51)는 상기 제2 응용 형태에 있어서의 공급 확인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신호 출력부(52)와 타이머(53)와 스위치(16)는 상기 제2 응용 형태에 있어서의 무급전시 통전부의 일례를 구성하고 있다.
감시부(51)는 주전원(20)이 회로(13)에 대하여 인가하고 있는 직류 전압의 유무를 감시함으로써, 주전원(20)으로부터 회로(13)에의 전력 공급의 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즉, 감시부(51)는 주전원(20)의 직류 전압에 의해 생기는 전압 신호를, 주전원(20)에 의한 전력 공급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신호로서 이용하고 있다. 감시부(51)에 의한 감시 결과는 신호 출력부(52)에 통지된다. 타이머(53)는 신호 출력부(5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시간 계측을 개시한다. 타이머(53)는 복수의 개시 시각 각각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53)는 계시(計時) 결과를 신호 출력부(52)에 통지한다. 신호 출력부(52)는 감시부(51)에 의한 감시 결과 및 타이머(53)에 의한 계시 결과에 따라, 스위치(16, 16')를 온오프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제어 신호의 출력에 의해,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은 자립적으로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의 통전을 행하게 된다.
이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동작에 대해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이 이후의 설명시에는, 특별히 도면 번호를 명시하지 않고 도 1의 요소를 인용한다.
이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동작의 개시 전에는 사전 준비(스텝 S101, S102)가 행해진다. 이 사전 준비에서는, 제어 IC(15)에 대하여, 도시를 생략한 설정 수단에 의해 2개의 시간이 설정된다. 1번째는,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의 통전을 위해 자동 기동할 때까지의 대기 시간(T1)이다. 그리고, 2번째는,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 있어서의 전기적 특성을 통전으로 회복시키는데 필요한 리프레쉬 시간(T2)이다.
이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동작이 개시되면, 감시부(51)에 의해 주전원(20)의 직류 전압의 유무가 감시된다. 주전원(20)의 전원 스위치가 오프가 되면, 주전원(20)의 직류 전압에서 생기는 전압 신호(즉 감시 신호)가 디어서트(deassert)된다(스텝 S103). 감시부(51)는 감시 신호의 디어서트를 확인하면 신호 출력부(52)에 통지한다. 그 통지를 받은 신호 출력부(52)는 타이머(53)에, 주전원(20)의 오프 상태의 계속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 A로서의 시간 계측을 개시시킨다(스텝 S104). 신호 출력부(52)는, 타이머 A의 계측 시간이 상술한 대기 시간(T1)에 달하지 않는 동안(스텝 S105; No)에는, 타이머(53)에, 타이머 A로서의 시간 계측을 계속시킨다(스텝 S106). 그리고, 신호 출력부(52)는 타이머 A의 계측 시간이 상술한 대기 시간(T1)에 달하면(스텝 S105; Yes), 스위치(16)를 온으로 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107). 또한, 신호 출력부(52)는 타이머 A의 시간 계측을 정지시킴과 함께 타이머 A의 계측 시간을 클리어시킨다(즉 타이머 A를 리셋한다). 또한, 신호 출력부(52)는 타이머(53)에,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의 통전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 B로서의 시간 계측을 개시시킨다. 스위치(16)가 제어 신호에 의해 온이 됨으로써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 속하는 각 부품은, 부전원(14)의 전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통전된다(스텝 S108). 여기에서, 도 2의 플로우 차트의 설명을 일단 중단하여,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 대한 구체적인 공급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부전원에 의한 통전의 경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기본 형태에 대한 바람직한 응용 형태에 대응한 경로에 의해 통전이 행해지고 있다.
이 바람직한 응용 형태는, 상기 제1 전원의 전력을 상기 회로로 유도하는 제1 전원 라인과,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을 상기 열화성 부품으로 유도하는 제2 전원 라인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응용 형태에서는, 상기 통전 제어부가, 상기 제2 전원 라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응용 형태에 의하면, 제2 전원 라인에서 확실히 열화성 부품을 통전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이 바람직한 응용 형태에 대응한 경로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전해 콘덴서(81)는 열화성 부품 그룹(12)에 속하는 부품이다. 신호 처리 부품(84)은 비열화성 부품 그룹(11)에 속하는 부품이다.
주전원(20)으로부터의 전력은 전원 라인(80)을 통해 전해 콘덴서(81)와 신호 처리 부품(84)의 쌍방에 공급된다. 신호 처리 부품(84)은 그 전력으로 동작하여, 입력 신호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전해 콘덴서(81)는 그 전력에 의해 통전된다.
또한, 부전원(14)으로부터의 전력도 전원 라인(80)에 의해 전해 콘덴서(81)에 직접적으로 공급된다. 이 부전원(14)으로부터의 전력은, 도 1에 나타내는 2개의 스위치(16, 16') 중 한쪽의 스위치(16)에 의해 온오프된다. 이 스위치(16)에 의해 부전원(14)으로부터의 전력이 온이 되면 전해 콘덴서(81)는 그 전력으로 확실히 통전한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2개의 스위치(16, 16') 중 다른쪽의 스위치(16')에 대해서는, 이 도 3에도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스위치(16')는 부전원(14)으로부터의 전력이 전원 라인(80)에 공급되어 있을 경우에 제어 신호에 의해 오프로 됨으로써 신호 처리 부품(84)에의 통전을 막는다.
여기에서, 스위치(16')가 온일 때의 전원 라인(80)은, 상술한 응용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전원 라인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스위치(16')가 오프일 때의 전원 라인(80)은, 상술한 응용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전원 라인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하, 도 2로 돌아가 플로우 차트의 설명을 계속한다.
상기 스텝 S108에서 부전원(14)의 전력에 의한 통전이 개시되면 스텝 S109로 진행한다. 신호 출력부(52)는, 타이머 B의 계측 시간이 상술한 리프레쉬 시간(T2)에 달하지 않는 동안(스텝 S109; No)은, 타이머(53)에, 타이머 B로서의 시간 계측을 계속시킨다. 또한, 신호 출력부(52)는, 스위치(16)를 온으로 하는 제어 신호도 계속해서 출력한다(스텝 S110). 이에 따라, 리프레쉬 시간(T2) 동안,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의 통전이 유지되어 각 부품의 특성이 회복된다. 그 후, 신호 출력부(52)는, 타이머 B의 계측 시간이 상술한 리프레쉬 시간(T2)에 달하면(스텝 S109; Yes), 스위치(16)를 오프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111). 또한, 신호 출력부(52)는, 타이머 B의 시간 계측을 정지시킴과 함께 타이머 B의 계측 시간을 클리어시킨다(즉 타이머 B를 리셋한다). 또한, 신호 출력부(52)는 타이머(53)에 타이머 A로서의 시간 계측을 개시시킨다. 그 후, 상술한 스텝 S105로 돌아가, 스텝 S105 이후의 동작이 반복된다.
이상 설명한 도 2의 플로우 차트가 나타내는 동작에 의해, 회로 기판(10)은 정기적이며 또한 자립적으로 열화성 부품 그룹에의 통전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기적인 통전은 열화성 부품 그룹에 속하는 각 부품의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므로, 전자 기기(1)가 미사용이고 장기적으로 보관되었을 경우에도 회로 기판(10)이나 전자 기기(1)로서의 성능이 유지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정기적이며 또한 자립적인 통전은, 회로 기판(10)이 전자 기기(1)에 설치되지 않고 보수용의 재고품 등으로서 단체로 보관될 경우에도 실행된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10) 단독으로 보관될 경우에도 회로 기판(10)의 성능은 장기적으로 유지된다.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이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 이하 설명하는 인터럽트 처리가 정기적으로 실행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터럽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도 4에 나타내는 인터럽트 처리는,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동작의 도중에 인터럽트하여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처리이다. 이 인터럽트 처리가 개시되면, 감시부(51)에 의해 주전원(20)의 직류 전압의 유무가 확인된다(스텝 S202). 주전원(20)의 직류 전압에서 생기는 전압 신호(즉 감시 신호)가 디어서트일 경우(스텝 S202; No)에는, 이 인터럽트 처리는 종료된다. 종료 후에는,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동작이, 인터럽트된 개소로부터 재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 주전원(20)의 전원 스위치가 온이 되면 감시 신호가 어서트된다(스텝 S201). 이 감시 신호의 어서트 상태는, 이 도 4에 나타내는 인터럽트 처리가 개시되었을 때에 감시부(51)에 의해 확인된다(스텝 S202; Yes). 그리고, 제어 IC(15)는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동작을 중단한다(스텝 S203).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 출력부(52)가, 스위치(16)를 오프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 후, 신호 출력부(52)는 스텝 S204에서, 타이머 A 및 타이머 B의 시간 계측을 정지시킴과 함께 타이머 A 및 타이머 B의 계측 시간을 모두 클리어시킨다(즉 타이머 A 및 타이머 B를 리셋한다). 그리고 제어 IC(15)의 동작은,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동작의 스타트로 돌아간다.
이 도 4에 나타내는 인터럽트 처리는, 부전원(14)에 의한 열화성 부품 그룹(12, 40)에의 통전을, 주전원(20)이 온일 경우에는 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결과, 부전원(14)의 전력의 여분의 소비가 회피되므로, 그 회피된 분만큼 부전원(14)의 전력이 수명 연장된다.
이상으로 제1 실시형태의 설명을 종료하고,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도, 상술한 기본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상당해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1 응용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상당해 있지만, 제2 응용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는 상당해 있지 않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5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2)는, 기본 형태에 대해서 상술한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제2 실시형태에 상당한다. 이 제2 실시형태의 전자 기기(2)는,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회로 기판(60)을 구비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의 전자 기기(1)와 동등한 것이다. 또한, 이 도 5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60)은, 기본 형태에 대해서 상술한 회로 기판의 구체적인 제2 실시형태에 상당한다. 이 제2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60)은,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제어 IC(61)를 구비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10)과 동등한 것이다.
이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이 도 5의 파트 (A)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60)이 구비하고 있는 제어 IC(61)는, 부전원(14)으로부터 전력으로 동작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제어 신호는 스위치(16, 16')에 입력된다. 즉,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대상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대상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이 제어 IC(61)는, 주전원(20)의 직류 전압의 감시는 행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제어 IC(61)로부터 제어 신호가 출력되는 타이밍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출력 타이밍과는 약간 상이하다.
도 5의 파트 (B)에는 제어 IC(61)의 기능 블록도가 나타나 있다. 이 기능 블록도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IC(61)는 타이머(53)와 신호 출력부(62)를 내부 기능으로서 갖고 있다. 그러나, 제어 IC(61)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감시부를 갖고 있지 않다. 이 도 5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IC(61)는 부전원(14)에 의한 열화성 부품 그룹(12)에의 통전을 항상 정기적으로 실행시킨다.
여기에서, 타이머(53)는, 상기 제1 응용 형태에 있어서의 타이머의 일례에 상당한다. 신호 출력부(62)와 스위치(16, 16')는, 상기 제1 응용 형태에 있어서의 경과시 통전부의 일례를 구성하고 있다. 신호 출력부(62)는, 상기 제1 응용 형태에 있어서의 리셋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는, 스텝 S103이 결여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도 2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와 마찬가지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 따른 제어 동작은, 도 5에 나타내는 부전원(14)(리튬 전지)이 회로 기판(60)에 설치되어 제어 IC(61)에 전력이 공급되면 개시된다. 또한,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이 도 6의 제어 동작을 중단시키는 인터럽트 처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주전원(20)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의 유무에 관계없이, 부전원(14)의 전력이 계속되는 한 항상 정기적으로 열화성 부품 그룹(12)에의 통전이 실행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형태에서도, 회로 기판(60)은 정기적이며 또한 자립적으로 열화성 부품 그룹에의 통전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 기기(1)가 미사용이고 장기적으로 보관되었을 경우나 회로 기판(10)이 단체로 장기적으로 보관될 경우에도 회로 기판(10)이나 전자 기기(1)로서의 성능은 유지된다.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3 실시형태도, 상술한 기본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상당해 있다. 또한, 이 제3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1 응용 형태 및 제2 응용 형태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상당해 있다. 또한, 이 제3 실시형태는, 다음 제3 응용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도 상당해 있다.
이 제3 응용 형태에서는, 상기 제2 전원이, 상기 제1 전원을 겸한 공통 전원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응용 형태는, 상기 공통 전원의 전력을 상기 회로로 유도하는 전원 라인과, 상기 전원 라인을 배선 기판 외로부터의 지시로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3 응용 형태는, 회로 기판 상의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회로 기판 상에서 자급하는 타입의 형태이다. 이 제3 응용 형태에 의하면, 회로 기판 상에서 자급하는 전력을 제1 전원과 제2 전원 각각의 역할로 이용함으로써 회로 기판의 성능 열화를 장기에 걸쳐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7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70)은, 회로 기판(70) 단체로 전자 기기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 회로 기판(70)은, 기본 형태에 대해서 상술한 회로 기판의 구체적인 제3 실시형태에 상당함과 함께, 기본 형태에 대해서 상술한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제3 실시형태에도 상당한다.
이 회로 기판(70)이 구비한 요소 중, 도 1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10)이 구비한 요소와 동등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 회로 기판(70)이 구비하고 있는 전원(14)은, 도 1에 나타내는 부전원(14)과 완전히 같은 리튬 전지이지만,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단순히 「전원」이라고 칭하고 있다.
이 회로 기판(70)에는, 전원(14)의 전력을 회로(13)로 유도하는 전원 라인(7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회로 기판(70)에는, 그 전원 라인(71)을 회로 기판(70) 외로부터의 지시로 온오프시키는 전원 스위치(72)도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지시」의 구체적인 내용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전원 스위치(72)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어도 되고, 유저에 의한 수동 조작이어도 된다.
이 제3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70)은, 전원(14)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주전원(20)과 부전원(14)의 쌍방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10)과 거의 마찬가지의 것이다. 따라서,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IC(15)에 의한 제어 동작이나 인터럽트 처리도,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과 거의 마찬가지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유일한 전원(14)으로부터 전원 라인(71)을 거쳐 회로(13)에 인가되는 전압이 전원 스위치(72)에 의해 오프로 되면 감시 신호가 디어서트된다(스텝 S103'). 또한, 스텝 S107에서 스위치(16)가 온이 되면, 도 7에 나타내는 유일한 전원(14)의 전력에 의해 열화성 부품 그룹(12)에 통전된다(스텝 S108'). 이들 2개의 스텝 S103', S108'를 제외하는 다른 스텝은, 도 2에 나타내는 각 스텝과 동등하다. 또한, 제어 동작 전체로서도, 이 도 8의 플로우 차트가 나타내는 제어 동작은, 도 2의 플로우 차트가 나타내는 제어 동작과 본질적으로 동등하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터럽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전원 스위치(72)가 온이 되면 감시 신호가 어서트된다(스텝 S201'). 이 1개의 스텝 S201'를 제외하는 다른 스텝은, 도 4에 나타내는 각 스텝과 동등하다. 인터럽트 처리 전체로서도, 이 도 9의 플로우 차트가 나타내는 인터럽트 처리는, 도 4의 플로우 차트가 나타내는 인터럽트 처리와 본질적으로 동등하다.
제3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70)에서는, 상술한 제어 동작이나 인터럽트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회로 기판(70) 상에 자급하는 전력을 절약하면서 회로 기판(70)의 성능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배선 기판과,
    무통전에서의 방치에 의해 열화를 생기게 하는 열화성 부품을 포함하여 상기 배선 기판 상에 설치된, 제1 전원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회로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탑재된 제2 전원과,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으로 적어도 상기 열화성 부품을 단속적으로 통전시키는, 상기 배선 기판 상에 구성된 통전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전 제어부가,
    상기 회로에 대한 제1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의 유무를 확인하는 공급 확인부와,
    상기 공급 확인부에 의해 공급 없음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으로 적어도 상기 열화성 부품을 일시적으로 통전시키는 무급전시 통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제어부가,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의해 계측된 경과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에 달했을 경우에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으로 적어도 상기 열화성 부품을 일시적으로 통전시키는 경과시 통전부와,
    상기 열화성 부품이 (제1 혹은 제2 전원에 의해) 통전되었을 경우에 상기 타이머를 리셋하는 리셋부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이, 상기 제1 전원을 겸한 공통 전원이며,
    상기 공통 전원의 전력을 상기 회로로 유도하는 전원 라인과,
    상기 전원 라인을 상기 배선 기판 외로부터의 지시로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의 전력을 상기 회로로 유도하는 제1 전원 라인과,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을 상기 열화성 부품으로 유도하는 제2 전원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통전 제어부가, 상기 제2 전원 라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6. 온오프되는 제1 전원과,
    배선 기판과,
    무통전에서의 방치에 의해 열화를 생기게 하는 열화성 부품을 포함하여 상기 배선 기판 상에 설치된, 상기 제1 전원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회로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탑재된 제2 전원과,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으로 적어도 상기 열화성 부품을 단속적으로 통전시키는, 상기 배선 기판 상에 구성된 통전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전 제어부가,
    상기 회로에 대한 제1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의 유무를 확인하는 공급 확인부와,
    상기 공급 확인부에 의해 공급 없음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전원의 전력으로 적어도 상기 열화성 부품을 일시적으로 통전시키는 무급전시 통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7009332A 2009-10-15 2009-10-15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 KR101372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7857 WO2011045858A1 (ja) 2009-10-15 2009-10-15 回路基板およ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846A KR20130056846A (ko) 2013-05-30
KR101372878B1 true KR101372878B1 (ko) 2014-03-10

Family

ID=4387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332A KR101372878B1 (ko) 2009-10-15 2009-10-15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67966A1 (ko)
EP (1) EP2490099A4 (ko)
JP (1) JP5198665B2 (ko)
KR (1) KR101372878B1 (ko)
CN (1) CN102576241B (ko)
WO (1) WO201104585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276A (ja) * 1994-04-15 1995-10-31 Canon Inc カメラ
JPH1062476A (ja) * 1996-08-13 1998-03-06 Fuj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のプリント板劣化検出装置
JP2002175168A (ja) * 2000-12-06 2002-06-21 Nec Corp プリンタ制御装置及びプリンタの節電方法
JP2005023734A (ja) * 2003-07-02 2005-01-27 Miwa Lock Co Ltd 非接触式カード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8999U (ko) * 1989-09-20 1991-05-13
DE69123770T2 (de) * 1990-03-23 1997-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and-Datenverarbeitungsgerät mit reduziertem Leistungsverbrauch
JP3562043B2 (ja) * 1995-07-19 2004-09-08 ソニー株式会社 不揮発性記憶装置
JPH10126969A (ja) * 1996-10-16 1998-05-15 Yokogawa Electric Corp 電源供給回路
JP4580621B2 (ja) * 2003-03-17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
JP2006318380A (ja) * 2005-05-16 2006-11-24 Handotai Rikougaku Kenkyu Center:Kk 回路システム
JP4857716B2 (ja) * 2005-11-07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回路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5055787B2 (ja) * 2006-02-20 2012-10-24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7817051B2 (en) * 2007-09-14 2010-10-19 Astec International Limited Power converter with degraded component alarm
JP2009081904A (ja) * 2007-09-25 2009-04-16 Brother Ind Ltd 直流電源供給装置
US8046615B2 (en) * 2007-10-19 2011-10-25 Denso Corporation Microcomputer system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20090204835A1 (en) * 2008-02-11 2009-08-13 Nvidia Corporation Use methods for power optimization using an integrated circuit having power domains and partitions
US8650411B2 (en) * 2008-09-07 2014-02-11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Energy manag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JP5244669B2 (ja) * 2009-03-26 2013-07-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装置の実装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276A (ja) * 1994-04-15 1995-10-31 Canon Inc カメラ
JPH1062476A (ja) * 1996-08-13 1998-03-06 Fuj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のプリント板劣化検出装置
JP2002175168A (ja) * 2000-12-06 2002-06-21 Nec Corp プリンタ制御装置及びプリンタの節電方法
JP2005023734A (ja) * 2003-07-02 2005-01-27 Miwa Lock Co Ltd 非接触式カード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0099A1 (en) 2012-08-22
CN102576241A (zh) 2012-07-11
US20120267966A1 (en) 2012-10-25
JPWO2011045858A1 (ja) 2013-03-04
EP2490099A4 (en) 2016-05-25
WO2011045858A1 (ja) 2011-04-21
KR20130056846A (ko) 2013-05-30
CN102576241B (zh) 2014-11-26
JP5198665B2 (ja)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52996B (zh) 一种TBox功耗管理方法
US20090195234A1 (en) On-chip voltage supply scheme with automatic transition into low-power mode of msp430
JP2011109768A (ja) パック電池
JP2005151632A (ja) 充電・給電制御方法及び充電・給電装置
CN103259327B (zh) 一种电力控制系统
KR101372878B1 (ko)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
JP200609467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140354061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switch method thereof
KR101989492B1 (ko) 슬립 모드의 mcu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
US9184606B2 (en) Battery charger
US20210284488A1 (en) Passenger conveyor
US8650421B2 (en) Network interface apparatus and relate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US9007032B2 (en) Control method for charging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JP2009095107A (ja) 無瞬断バックアップ電源
TWI392879B (zh) 電路基板及電子機器
JPS60216728A (ja) 無停電電源装置
TWI476578B (zh) 電源供應裝置及其切換方法
US8615277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unctional blocks individually controlled to selectively enter power-saving mode and relate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37309B1 (ko) 외부에서 모드 전환이 가능한 배터리 팩 및 외부에서 배터리 팩의 모드 전환 방법
KR102380003B1 (ko)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
JP2009177887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CN211506404U (zh) 电源控制电路
CN110943527B (zh) 电源供应装置
US20180092038A1 (en) Wireless terminal, wireless system, wireless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10739915B (zh) 一种功放供电装置、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