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789B1 -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789B1
KR101372789B1 KR1020110054325A KR20110054325A KR101372789B1 KR 101372789 B1 KR101372789 B1 KR 101372789B1 KR 1020110054325 A KR1020110054325 A KR 1020110054325A KR 20110054325 A KR20110054325 A KR 20110054325A KR 101372789 B1 KR101372789 B1 KR 101372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ose
composition
cultur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550A (ko
Inventor
모상현
서효현
강효석
이정훈
정대현
김수정
김형식
민지애
신동선
조문진
이유리
모지홍
이진형
치에코 곤도
요시다카 곤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주식회사 긴자토마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주식회사 긴자토마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to SG201208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SG186061A1/en
Priority to KR1020110054325A priority patent/KR101372789B1/ko
Priority to MYPI2012004878A priority patent/MY157534A/en
Priority to PCT/KR2011/004120 priority patent/WO2012169664A1/ko
Publication of KR2012013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은 피부 세포의 성장이나 증식으로 인한 피부세포 활성화시킴으로써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있고,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뛰어난 항산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Culture Extract of Rosa Placenta and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30만종의 식물이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유용성분들이 식물에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그 유용성분들은 세포의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부차적으로 생산되어 세포 내 특수한 장소에 축적되는 2차 대사산물로서, 생화학적 또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볼 때 미생물이나 외부 동물들로부터 식물체 자신을 방어하거나 생리활성 면에서 유리한 물질이라는 점에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식물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로는 알칼로이드(alkalo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글리코사이드(glycosides), 테르페노이드(terpenoids) 등이 있다. 이러한 2차 대사산물에는 보습, 피부진정 및 수렴, 자외선 차단, 미백, 각질제거, 피부노화 방지,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항균, 항염, 항암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들이 많다.
식물체로부터 배주가 자방안에 붙어 있는 자리인 태좌를 적출 분리하여 기내배양 즉,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는 배지에 무균적으로 배양하는 식물조직배양기술을 통하여 이차대사산물(Secondary metabolites)인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한다. 식물조직배양을 통하면 식물의 기관·조직· 및 세포를 공장처럼 조직배양에 의하여 유용한 물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술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식물로부터 직접 추출하기에 그 함량이 너무 낮고, 식물체의 부위별로는 생산성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고 혹은 기후, 계절, 장소 등의 영향에 의해 식물의 생육이 제한되는 등 많은 제약조건들을 식물세포 배양시스템의 개발로 극복됨으로써 뛰어난 생리활성효과를 보이는 2차 대사산물의 상업적 생산이 가능하다.
한편,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 오염이 심각해지고, 피부의 노화 방지, 미백 등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자외선차단, 피부 진정 및 수렴, 항산화, 피부주름개선 등을 위한 제품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고, 특히 태반 유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소를 비롯한 동물 유래 태반 추출물은 BSE(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돼지의 경우 콜레라 등의 병원성 및 알레르기의 문제가 염려되고 있어,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 태반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추출하여 화장품 원료로 이용하는 경우, 그 추출방법에 따라 피부미용에 관여하지 않은 다량의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피부 특히 피부 상처가 있는 경우 면역 거부 반응을 초래할 염려가 있고, 특히 인태반인 경우에는 윤리적 문제의 이유로 인태반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의 판매가 제도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이에 반해 식물 태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나 기능성 식품에 관한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개선능이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장미의 태좌조직을 분리하고, 식물조직배양을 통해 배양하여 장미의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이 피부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활성화시키고, 항산화능 및 주름개선효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장미의 씨방내의 태좌조직을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미 태좌조직의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장미 태좌조직의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장미 태좌조직의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시켜 피부 세포의 성장이나 증식으로 인한 피부세포 활성화시킴으로써, 피부 재생,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개선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간각질형성세포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장미 태좌 조직 배양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장미 태좌 조직 배양추출물의 인간 섬유 아세포의 콜라겐 증진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의 싸이토카인 발현율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비율은 단지 바람직한 범위일 뿐이며, 예컨대, 하기 실시예에서는 0.1 내지 5중량%의 경우를 실험하였으나, 이 이외에 10중량%까지, 또는 그 이상의 20%, 30% 이상 경우도, 우수한 피부개선효과, 피부 증식,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능을 기능을 가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배양체) 자체를 사용하거나, 배양물을 여과하여 사용하거나, 배양물을 파쇄하여 사용하거나, 배양물을 건조시켜 분말화한 다음, 정제수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상기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추출, 열수 추출 등이 있다. 여기서, 초음파 추출의 경우, 초음파 발생기(Elma, Transsonic 1040/H)를 사용하여 40kHz에서 60분 동안 초음파 추출을 시행하고, 6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열탕증류기에서 8 ∼ 48시간동안, 80 ∼100 ℃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는다.
또는,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추출한 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생약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약제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농축, 또는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추출물의 증류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개선용”이란, 피부 보호 및 피부 상태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면역질환 개선능,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피부자극 완화, 피부 세포 증식 및 재생능, 항산화능, 콜라겐 합성 증진능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의 의미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피부 세포의 증식활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정도로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주름개선효능과 관련된 콜라겐 합성 또는 MMP-1,9 억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 또는 항산화능 효능, 또는 싸이토카인 발현능을 나타낼 수 있을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미[薔薇, rose]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Rosaceae) 장미속(Rosa)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하며, 관목성의 화목(花木)이다. 장미속의 식물들은 낙엽성 저목으로 때로는 덩굴성이 되고, 줄기에는 가시가 많으며, 잎은 호생(互生), 꽃은 단생 또는 꽃꼭지의 길이가 밑의 것은 길고 위로 갈수록 짧아져 각 꽃은 거의 동일 평면으로 나란히 달리는 산방상(散房狀)으로 달린다. 꽃받침과 꽃잎은 보통 5개이지만 드물게는 4개인 경우도 있다. 수술은 여러 개 있으며, 암술은 화상(花床)속에 많이 있다. 화상은 과(果), 때로는 부풀어 장과형(漿果形)으로 되고, 안에는 많은 딱딱한 수과(瘦果)를 포함하고 있다. 오늘날 장미라고 하는 것은 이들 야생종의 자연잡종과 개량종을 말한다. 각 종(種)에는 개체변이가 많으며, 종간 잡종이 되기 쉽다. 장미는 갖춘 꽃으로 꽃의 아름다운 형태와 향기 때문에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재배해왔으며, 개량을 가하여 육성한 원예종(Rosa hybrida Hort.)을 말한다. 서구에서는 고대로부터 가장 사랑 받는 관상 저목이였으며 현대에 와서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가 많은 관상 저목 중의 하나이다. 서구 고대의 것은 Rosa gallica, R. centifolia, R. damascena 등이었다. 현대의 것은 중국의 월계화나 R. odorata와 지중해안의 R. gallica, R. damascena, R. moschata와의 복잡한 교배로부터 Hybrid Tea가 만들어졌다. 순황품종(純黃品種)은 이란원산의 R. foetida와 Hybrid Tea와의 교배에 의해 만들어졌다. 찔레와 월계화를 교배한 것에 Hybird Tea를 교배함으로써 꽃이 크고 다화성의 플로리번다(floribunda)가 만들어졌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미”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Rosa gallica , Rosa centifola , Rosa damascene , Rosa chinensis , Rosa odorata , Rosa moschata , Rosa foetida , Rosa canina , Rosa rugosa, Rosa davurica Pall , Rosa multiflora , Rosa luciae , Rosa wichuraiana , Rosa gigantea , Rosa alba , Rosa primula , Rosa banksiae, Rosa Mundi , Rosa brunonii , Rosa cinnamomea , Rosa glauca , Rosa spinosissma , Rosa foetida bicolor , Rosa foetida persiana , Rosa fedtschenkoana , Rosa mulliganii, Rosa sericana pteracantha , Rosa hugonis , Rosa banksiae lutea , Rosa banksiae , Rosa roxburghii, Rosa hirtula , Rosa aciculaisis nipponensis , Rosa uchiyamana , Rosa jasminoides , Rosa fujisanensis, Rosa laevigata , Rosa cinnamomea , Rosa nitida , Rosa california , Rosa virginiana, 및 Rosa palustris를 포함한 장미속 식물이다.
식물조직배양은 살아있는 작은 식물 조직을 기내(in vitro)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여 배양 목적에 따라서 식물 세포, 기관 및 식물체를 증식 시키는 기술이다. 식물조직배양에는 식물이 지니는 기본적인 특성을 이용한다고 볼 수 있다. 식물조직배양 기술은 식물이 지니는 독특한 특징인 식물의 체세포로부터 식물체를 재생시킬 수 있는 분화전능성(totipotency)을 이용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다. 즉, 식물의 단세포(원형질체 포함), 잎 및 뿌리 절편을 특정 영양물질 및 생장 조절제가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면 이들 세포 및 조직으로부터 식물체가 재생될 수 있다. 이러한 식물이 분화전능성(totipotency)을 지니는 능력은 식물이 지니는 특성인 고착 생활과 장기간 생존을 위하여 열악한 환경 및 초식동물의 피해로부터 생존을 하기 위한 전략이다. 따라서 식물은 잃어버린 기관을 다시 재생시키기 위한 능력을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모식물체로부터 분리된 식물조직세포는 적정배양환경에서 배양하면 완전한 식물체로 재생될 수 있는 잠재력 즉, 전형성능을 가지고 있는 식물은 발생학 등의 학술적인 중요성은 물론이지만 화장품 원료 등의 실용화를 위해서도 활용가치가 크다.
식물의 태좌(胎座, Placenta)는 동물 유래의 태반과 같이, 종자 육성을 주관하는 중요한 부위로, 암술의 씨방(자방, 子房, Ovary)안에서 밑씨가 붙는 부분이다. 보통 씨방을 형성하는 심피(心皮, carpel)의 가장자리에 있는데, 때로는 심피의 중맥에도 있다. 또 씨방의 기저나, 기저로부터 씨방 안에 직립하는 기둥 모양으로 생길 때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장미의 태좌조직을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a)단계에서, 구체적으로는 장미 태좌조직을 배양하기 위해 적절한 배지를 선택할 수 있다. 기술 분야에서 식물조직배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배지가 있다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식물에서는 일반적으로 MS배지, B5배지 등을 주로 사용하고, 일 예로, MS배지의 조성(1L기준시)은 NH4NO3 1650 mg, KNO3 1900 mg, CaCl2.2H2O 440 mg, MgSO4.7H2O 370 mg, KH2PO4 170 mg, KI 0.83 mg, H3BO3 6.2 mg, MnSO4.4H2O 22.3 mg, ZnSO4.7H2O 8.6 mg, Na2MoO4.2H2O 0.25 mg, CuSO4,5H2O 0.025 mg, CoCl2.6H2O 0.025 mg, FeSO4.7H2O 27.8 mg, Na2EDTA.2H2O 37.3 mg, Myoinositol 100 mg, Nicotinic acid 0.5 mg, Pyridoxine-HCl 0.5 mg, Thiamine-HCl 0.5 mg, Glycine 2 mg, Sucrose 30000 mg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있어서, (a)단계의 배양을 통해 얻어진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그대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절한 형태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배양물을 공지된 추출 방법을 통해 추출물 형태로 수득하여 적절한 형태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예컨대,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배양물을 열풍 건조후 분말화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필요에 따라서는, 적절한 바인더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이 식품용 소재로서 제공될 경우, 예컨대, 액상체, 분말체(산제), 과립제, 정제 등의 형태로 제공될 시에, 취급의 편의성과 형성성의 향상을 위해 추가하는 첨가제이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시로써, 액체의 경우, 물, 알코올, 글리세린, 증점 다당류 등이 있으며, 분말의 경우, 유당, 전분, 덱스트린, 자당, 올리고당, 사이클로덱스트린,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이 있고, 과립제, 정제, 캅셀 등의 경우, 유당, 전분, 덱스트린, 자당, 올리고당, 사이클로덱스트린, 셀룰로오스유도체, 자당 에스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조되는 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키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부제, 항료, 착색료, 정제수 등을 필요에 따라 미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화장수, 에센스, 젤,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또는 젤라틴 등의 피막이 있는 캅셀 (소프트 캅셀, 하드 캅셀) 제형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부는 얼굴 뿐만 아니라, 두피, 전신도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러한 두피에 적용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발모제 등이 있고, 전신에 적용될 수 있는 바디클렌져 등의 용도로써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제조방법을 일부 변형시킨 방법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본 발명에 특별히 개시된 제조방법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경우,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세포 재생, 증식능이 우수하여 피부상태개선, 항산화능, 콜라겐 합성 증진능에 따른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미백, 우수한 싸이토카인 발현능에 의한 염증의 완화/예방 등을 비롯한 면역질환 치료/예방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의 경우, 하기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VEGF, EGF, FGF, TGF-β1, IL-1α, IL-6, IL-8 및 TNF-α 의 싸이토카인을 발현하고 있고, 특ㅎ, 그 중, EGF, TGF-β1 및 TNF-α 에 대해 우수한 수준의 싸이토카인 발현능을 가지고 있어, 면역질환 치료,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써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 상기 약학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 향료, 비타민, 및 항산화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면, 희석제로는 유당, 덱스트린, 타피오카(tapioca) 녹말,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탈크,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폴라크릴린칼륨, 또는 크로스포비돈,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솔비톨, 또는 아스파탐,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잔탄검,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또는 솔빈산칼륨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제제, 주사제, 좌제, 경피 투여제제, 및 경비 투여제제의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형은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엑스제와 같은 경구 투여용 제형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안전하게 식품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기능성식품(functional food)"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라는 용어에는,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이라는 용어와 호용된다. “건강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는 건강 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은 피부 미백, 주름개선, 항산화능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소프트캅셀, 하드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음료, 젤리, 구미, 캔디, 쿠키, 비스켓, 에네르기바 등의 밸런스 영양 식품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은 피부 보호 및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자극 완화,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및 개선 효과,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효과, 또는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능을 제공함으로 인해, 항산화 작용이 가지고 있는 신진대사 활성을 비롯한, 신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VEGF, EGF, FGF, TGF-β1, IL-1α, IL-6, IL-8 및 TNF-α 의 싸이토카인을 발현하고 있고, 특히, 그 중 EGF, TGF-β1 및 TNF-α 에 대해 우수한 수준의 싸이토카인 발현능을 가지고 있어, 면역질환 개선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식품 전체 중량의 0.0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는 100㎖를 기준으로 0.01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은 정제수를 비롯한 무기용매,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희석하거나, 희석되지 않은 상태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이 첨가된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는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만노스,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이 있다. 상기의 향미제로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등의 천연 향미제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식품 및 음료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류, 광물류(전해질), 합성 향료 및 천연 향료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향미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100 중량% 당 0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추출물은 식품에 직접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대상 식품을 직접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에 침지하거나 식품에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분무하는 방법으로 피부 보호 및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및 개선 효과,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효과, 및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능을 제공함으로 인해, 신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VEGF, EGF, FGF, TGF-β1, IL-1α, IL-6, IL-8 및 TNF-α 싸이토카인을 발현하고 있고, 특히, 그 중, EGF, TGF-β1 및 TNF-α 에 대해 우수한 수준의 싸이토카인 발현능을 가지고 있어, 면역질환 개선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소프트 캡슐, 하드캡슐, 액상,환, 젤리, 구미, 캔디, 쿠키, 비스킷, 밸런스 영양 식품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으며, 이들 형태로의 제조기술은 하기 제조예들을 비롯하여 크게 제한됨 없이, 종래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능성 식품은,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이 식품첨가제로써 제공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식품첨가제에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α-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 mary extract),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식품첨가제를 식품에 살균제, 향신료, 조미제,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향료 및 천연 향료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향미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 또는 식품소재의 필수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식품첨가제는 식품을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식품은 곡류, 감자류, 두류, 채소류, 과일류, 어패류, 육류, 우유류, 해조류 등의 천연식품; 또는 빵류, 과자류, 라면, 아이스크림 등의 가공식품; 또는 음료 등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장미 태좌조직의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능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항산화용 조성물은, 신진대사의 기능을 촉진하고, 신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VEGF, EGF, FGF, TGF-β1, IL-1α, IL-6, IL-8 및 TNF-α 싸이토카인을 발현하고 있고, EGF, TGF-β1 및 TNF-α 에 대해 우수한 수준의 싸이토카인 발현능을 가지고 있어, 면역질환 개선의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이러한 항산화용 조성물은 항노화 조성물, 면역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특히,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에 관한 효능을 확인하였으나, 추출물이 아닌 배양물에 대해서도 이러한 효과가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제조
1.1 장미(Rosa Damascena) 태좌조직의 분리
배양을 위해서, 장미꽃 꽃봉오리내의 밑씨, 씨방을 70 % 에탄올 및 0.5 % sodium hypochlorite로 5분간 멸균 소독하고, 멸균수로 여러 차례 씻어줬다. 조심스럽게 핀셋을 이용하여 씨방벽을 벗겨내고, 태좌를 분리하여 5% Sucrose가 포함된 MS 배지(Duchefa, Cat# M0256)에서 2~ 3주간 배양하였다.
1.2 분리된 장미 태좌조직의 배양 및 대량생산
무균적으로 분리된 장미 태좌조직을 5% Sucrose가 포함된 MS배지에서 2~ 3주의 일정기간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이후, 풍선형 생물반응기(㈜삼성과학)를 이용하여 Agar를 제외한 동일한 조성의 액체 배지에서 온도 25 ℃, 공기공급량을 0.1vvm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며 14일 간격으로 배양·증식하여 대량생산하였다.
1.3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제조
증식된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을 수확하여 깨끗한 티슈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60℃로 2일 동안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 분말 100g을 용기에 담고, 정제수 10 L를 넣은 후, 초음파 발생기(Elma, Transsonic 1040/H)를 사용하여 40kHz에서 60분 동안 초음파 추출을 시행하고, 6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열탕증류기에서 8 ∼ 48시간동안, 80 ∼100 ℃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 후, mesh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장미 꽃잎 추출물의 제조
장미 꽃잎을 수확하여 60℃로 2일 동안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하였다. 건조된 장미 꽃잎 100g을 용기에 담고, 정제수 10 L를 넣은 후, 초음파 발생기(Elma, Transsonic 1040/H)를 사용하여 40kHz에서 60분 동안 초음파 추출을 시행하고, 6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열탕증류기에서 8 ∼ 48시간동안, 80 ∼100 ℃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 후, mesh로 여과하고, 고형분을 제거하여, 장미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세포 성장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피부 세포의 증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각질형성 세포(Human Skin Keratinocyte, HaCaT)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주 받아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1×104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 well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10 % FBS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USA)을 사용하였다. 10% FBS를 함유하는 DMEM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배양용기 표면적의 25 ~ 30%만큼 배양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이 0.1 % ~ 5 중량% 함유된 FBS-free DMEM으로 교체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롬화물 (MTT, Sigma M5655, USA) 용액 (2.5 mg/ml)을 50㎕ 첨가하고 3시간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well 당 200 ㎕의 Dimethylsulfoxide (DMSO, Sigma D2650, USA)용액을 가한 후 20분간 교반하여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녹인 다음, 100㎕ 씩을 96 well 로 취하여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57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세포의 증식 활성 정도는 순수한 물을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수학식 1]
세포증식효과(%) = (추출물 처리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 100
처리 농도(중량%) 세포증식효과
대조군 100
장미꽃잎
추출물
0.1 99
0.5 100
1 102
5 105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
0.1 102
0.5 109
1 116
5 124
상기 인간각질형성 세포(keratinocyte)를 이용한 세포성장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시험 결과,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5 중량%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이 함유된 경우에는 124 %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증식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1 중량%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이 함유된 경우 대조군에 비해서 116 %의 증식 정도를 보였고, 0.5 중량%, 0.1 중량%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이 함유된 경우 대조군에 비해서 109%, 102%의 증식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은 피부 세포성장과 증식의 활성화에 영향을 나타내었고, 이에 비해 태좌조직 배양물이 아닌 장미 꽃잎 추출물의 경우 세포 증식 효과가 미비하였다.
실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항산화능 효능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Antioxidant Assay Kit (Cayman, Ann Arbor, Mich.)를 사용하였고,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실험하였다.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항산화능(Antioxidative Capacity)은 Antioxidant Assay Kit (Cayman사, Cat No. 709001, Antioxidant Kit)를 이용하여, Trolox의 항산화능(Antioxidative Capacity)을 다양한 농도의 기준(standard)으로 하여, Trolox 농도로 전환시켜 측정하였다.
처리 농도(중량%) mM Trolox equiv.
음성 대조군(물) 0
장미꽃잎
추출물
0.1 0.12
0.5 0.16
1 0.21
5 0.28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
0.1 0.28
0.5 0.37
1 0.4
5 0.45
양성 대조군
100 μM Vitamin C
0.42
그 결과, 표 2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Dose-Dependent)으로 항산화능이 증가하였다. 5 중량% 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은 양성대조군인 100 μM 비타민 C보다도 더 높은 항산화능(Antioxidative Potency)을 보임으로써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높은 항산화능을 알수 있었다. 이에 비해 장미 꽃잎 추출물의 경우는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에 비해서는, 항산화능이 매우 낮았다.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주름개선(콜라겐 합성) 효과 시험
인간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를 37℃, 5% CO2 배양기에서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세포 배양기내에서 10% FBS, Penicillin(50U/ml), Streptomycin(50/ml)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USA)으로 배양하여, 1×105개/ml로 24 well plate에 500㎕씩 분주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대조군(DMEM 배지)과 0.1 ~ 5 중량%의 다양한 농도의 실시예 1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배지를 넣고 48시간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배지의 상층액을 각각 20㎕을 취해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PICP, Takara, Cat No. MK101)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비교예의 장미꽃잎 추출물과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결과를 얻었다. PICP양은 ng/1×105세포로 환산하였다.
처리 농도 (중량%)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
장미꽃잎
추출물
0.1 % 100
0.5 % 100
1 % 106
5 % 115
10 % 119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
0.1 % 103
0.5 % 110
1 % 123
5 % 139
10 % 157
양성대조군 레티놀 25IU 127
대조군 수치를 100으로 하여, 장미 꽃잎 추출물 처리군과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 처리군 및 양성대조군의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은 표 3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3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콜라겐의 생합성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고, 장미 추출물에 비해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이 탁월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싸이토카인의 발현 분석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에 대한 싸이토카인의 발현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섬유아세포인 Fibroblast (Cell Lines Service, Germany)를 1×105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 well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10% FBS를 함유하는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USA)에서 배양하여 배양용기 표면적의 25 ~ 30%만큼 배양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이 1% 함유된 FBS-free DMEM, 대조군으로 사용된 FBS-free DMEM 으로 교체하여 48시간 더 배양하였다. HUMAN CYTOKINE ASSAY KIT(Millipore)을 사용하여 VEGF, EGF, FGF, TGF-β1, IL-1α, IL-6, IL-8 및 TNF-α 의 싸이토카인의 발현율을 조사하였다. 실험방법은 HUMAN CYTOKINE ASSAY KIT의 지시에 따라 수행하였다.
  사이토카인 종류 pg/ml
대조군 VEGF 19
EGF 16
FGF 14
TGF-β1 21
IL-1α 20
IL-6 21
IL-8 12
TNF-α 21
1 중량% 장미태좌조직 배양 추출물 VEGF 24
EGF 36
FGF 19
TGF-β1 52
IL-1α 24
IL-6 23
IL-8 24
TNF-α 50
상기 표 4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싸이토카인의 발현율은 무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1%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EGF, TGF-β1 및 TNF-α 가 유의적인 수준으로 발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이 싸이토카인 발현 효과를 가짐으로써, 면역 조절제로써 기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5 :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 함량 분석 실험
(1) 총 폴리페놀의 함량(Total polyphenol content)은 분석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Folins-Denis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장미 태좌 조직배양 추출물 0.5 ml 에 Folin reagent 0.5 ml 를 가하고 3분간 정치한 다음 0.5 ml의 10 % Na2CO3 용액을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1시간 동안 정치한 후 분광광도계 (UV/VIS spectrometer, Jasco, Japan)를 사용하여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gallic acid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mM gallic acid equivalent 로 나타내었다.
처리 농도(중량%) mM gallic acid equiv.
대조군(물) 0.05
장미꽃잎
추출물
0.1 0.46
0.5 0.60
1 8.79
5 10.94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
0.1 4.31
0.5 30.3
1 38.0
5 38.7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이 장미꽃잎 추출물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Total flavonoid content)은 Moreno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 0.5 mL에 10 % aluminum nitrate 0.1 mL를 첨가한 후 1 M potassium acetate 0.1 mL, ethanol 4.3 mL를 순서대로 혼합하고 상온에서 40분간 반응시켜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catechin을 표준물질로 한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 g당 함량으로 계산하였다.
처리 농도(중량%) mg/g catechin equiv.
대조군(물) 1.02
장미꽃잎
추출물
0.1 2.17
0.5 2.30
1 2.54
5 3.77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
0.1 5.5
0.5 7.74
1 7.94
5 8.78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이 장미 꽃잎추출물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효과가 있어,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로써,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은 이러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생체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신체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으로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1: 화장수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화장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글리세린 5.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히아루론산 0.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1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틸 0.1
에탄올 5.0
방부제 0.15
항료 적량
착색료 적량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 2.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2: 에센스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에센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쿠알란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 7.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3: 로션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로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테아린산 0.5
유동파라핀 7.0
스쿠알란 5.0
마카데미아오일 3.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2.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카르복시폴리머 0.12
트리에탄올아민 0.15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장미 태좌 조직 추출물 5.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4: 크림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크림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5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1.5
밀납 0.5
유동파라핀 8.0
스쿠알란 7.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
정제호호바유 4.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6.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산탄검 0.06
트리에탄올아민 0.10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장미 태좌 조직 추출물 7.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5: 젤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w/w)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4.0
에탄올 1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1
카르복시폴리머 0.30
트리에탄올아민 0.3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장미 태좌 조직 추출물 1.0
정제수 to 100
기능성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예 3-1: 밀가루 식품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2: 스프 및 육즙( gravies )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3: 그라운드 비프( ground beef )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4: 유제품( dairy products )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5: 곡물 분말 식품( 선식 )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를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3 중량부)
상기 제법에서 얻은 곡물 분말 식품(선식)에 적량의 물등을 가해 혼합하여, 먹을수 있다.
제조예 3-6: 음료
6-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6-2)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 ㎖에 가하여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6-3)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장미 태좌조직 배양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7: 소프트캡슐
홍화유, 옥수수 기름, 면실유, 땅콩 기름, 유채 기름, 참기름, 쌀 배아 오일, 콩기름, 해바라기 기름, 달맞이꽃 오일, 아보카도 오일, 아마인유, 들깨 기름 등 식물성 기름에 본 발명의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을 25 % 혼합하고, 그위에 비타민과 미네랄 및 각종 건강 기능 소재를 그 목적으로하는 기능에 맞게 적절하게 혼합하여 밀랍이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유화제를 함유한 슬러리 상태로 조정했다. 그 슬러리 280mg을 내용물로, 젤라틴에 글리세린을 적당량 함유하고 피막 또는 가공 전분, 글리세린, 증점 다당류로 이루어진 식물성 피막으로 감싸고 전체 량 450mg 소프트 캡슐을 열 형성했다.
제조예 3-8 : 하드 캡슐
본 발명의 장미 태좌 조직 배양 추출물 180mg 대해 덱스트린 40mg을 혼합하고, 그 분말 220mg을 내용물로 해서, 젤라틴 또는 셀룰로오스 등으로 구성되는 하드 캡슐에 넣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장미 태좌조직의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콜라겐 합성 증진용 또는 면역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 태좌조직의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 태좌조직의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은 분말화하여 조성물에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장미 태좌조직의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용, 콜라겐 합성 증진용 또는 면역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 장미의 씨방내의 태좌조직을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a)단계에서 얻어진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을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정제수에 혼합시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a)단계에서 얻어진 장미 태좌조직 배양물을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정제수에 혼합시킨 다음, 초음파 추출 또는 열수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장미 태좌조직의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콜라겐 합성 증진용 또는 면역조절용 기능성 식품.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소프트 캡슐, 하드캡슐, 액상,환, 젤리, 구미, 캔디, 쿠키, 비스킷, 밸런스 영양 식품 또는 음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상기 장미 태좌조직의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희석하지 않거나, 희석하여 캡슐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20. 삭제
KR1020110054325A 2011-06-07 2011-06-07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1372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12084125A SG186061A1 (en) 2011-06-07 2011-06-07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and functional food containing rose placenta tissue culture or extract thereof
KR1020110054325A KR101372789B1 (ko) 2011-06-07 2011-06-07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MYPI2012004878A MY157534A (en) 2011-06-07 2011-06-07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and functional food containing rose placenta tissue culture or extract thereof
PCT/KR2011/004120 WO2012169664A1 (ko) 2011-06-07 2011-06-07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325A KR101372789B1 (ko) 2011-06-07 2011-06-07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550A KR20120135550A (ko) 2012-12-17
KR101372789B1 true KR101372789B1 (ko) 2014-03-12

Family

ID=4729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325A KR101372789B1 (ko) 2011-06-07 2011-06-07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372789B1 (ko)
MY (1) MY157534A (ko)
SG (1) SG186061A1 (ko)
WO (1) WO20121696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374B1 (ko) 2017-11-28 2019-04-05 이노팜 주식회사 침향 추출물 및 베타글루칸(β-Glucan)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395B1 (ko) * 2013-10-28 2020-09-18 에스엠생명과학 주식회사 광천수 함유 배지에서 배양된 생열귀 캘러스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178963B1 (ko) * 2013-11-12 2020-1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651321B1 (ko) * 2014-03-06 2016-08-25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알로에 베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26854B1 (ko) * 2014-11-14 2017-04-13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101766538B1 (ko) * 2015-11-09 2017-08-09 한국식품연구원 영실로부터 폴리페놀 성분을 포함하는 영실 추출물을 고수율로 수득하는 방법
CN105232687A (zh) * 2015-11-30 2016-01-13 湖南省广林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玫瑰花及玫瑰果中有效成份的提取方法
WO2020022731A1 (ko) * 2018-07-26 2020-01-30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장미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4823B1 (ko) * 2020-05-06 2022-02-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1932B1 (ko) * 2020-06-04 2021-12-22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장미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5562A (ja) * 2002-08-12 2004-03-11 Yamakawa Boeki Kk 皮膚外用剤
JP2006273811A (ja) * 2005-03-30 2006-10-12 Naris Cosmetics Co Ltd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566A (ko) * 2009-08-14 2011-02-22 (주)아모레퍼시픽 장미 추출물 함유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5562A (ja) * 2002-08-12 2004-03-11 Yamakawa Boeki Kk 皮膚外用剤
JP2006273811A (ja) * 2005-03-30 2006-10-12 Naris Cosmetics Co Ltd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374B1 (ko) 2017-11-28 2019-04-05 이노팜 주식회사 침향 추출물 및 베타글루칸(β-Glucan)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7534A (en) 2016-06-15
WO2012169664A1 (ko) 2012-12-13
KR20120135550A (ko) 2012-12-17
SG186061A1 (en)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789B1 (ko)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1839407B1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5577443B2 (ja) バラ胎座組織培養物の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04134A (ko) 포도 캘러스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101607503B1 (ko) 아이스플랜트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333676B1 (ko) 달맞이꽃, 갈근, 솔잎 및 유근피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축소 및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조성물
KR101896908B1 (ko) 다단발효를 통한 동백 인퓨즈드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3940B1 (ko)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20190067287A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83946B1 (ko) 유자 유래 항염증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KR101487942B1 (ko)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KR101797567B1 (ko)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88133B1 (ko)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102595015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대시키는 수경인삼의 재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수경인삼의 이용
KR102133479B1 (ko) 국내 자생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0725B1 (ko) 나도풍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25585B1 (ko) 증삼액 가공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6188B1 (ko)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3125B1 (ko) 개벚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13743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83825B1 (ko) 발효 백수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백수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